KR101556209B1 - 오염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염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209B1
KR101556209B1 KR1020140078096A KR20140078096A KR101556209B1 KR 101556209 B1 KR101556209 B1 KR 101556209B1 KR 1020140078096 A KR1020140078096 A KR 1020140078096A KR 20140078096 A KR20140078096 A KR 20140078096A KR 101556209 B1 KR101556209 B1 KR 101556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ipe
water
contaminated wat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인
김원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오염수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처리장치는 오염수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 및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저장 탱크로 유입시키는 유입 파이프의 말단에 연결되는 오일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분리장치는, 상기 오염수를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시키는 이동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파이프에는 상기 오염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개방된 오일 배출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오염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OILY WATER}
본 발명은 오염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등에는 각종 장비가 사용된다. 장비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일을 포함하는 오염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오염수는 정화 처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오염수를 처리하기 위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는 슬롭 탱크가 탑재된다. 오염수가 슬롭 탱크로 유입되면 슬롭 탱크 안에서 비중에 의해 물과 기름으로 분리된다. 이후, 오일과 분리된 물은 다른 공정을 통해 정화 처리된다.
그런데, 지속적으로 오염수가 슬롭 탱크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물과 기름으로 분리된 슬롭 탱크 내부 상태를 교란시킨다. 즉, 물과 기름이 섞인 새로운 오염수가 지속적으로 슬롭 탱크로 유입되면서 물과 기름이 섞인 상태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오염수를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등록특허 제10-1318683호 (2013.10.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속한 오염수 처리가 가능한 오염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염수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 및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저장 탱크로 유입시키는 유입 파이프의 말단에 연결되는 오일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분리장치는, 상기 오염수를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시키는 이동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파이프에는 상기 오염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개방된 오일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배출구는, 상기 이동 파이프의 상측으로 볼록한 마루부에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 배출구는, 상기 이동 파이프 중 상기 오염수가 상승 이동하는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수 저장 탱크에서 상기 오염수는 비중차로 물층과 오일층으로 분리되고, 상기 오일분리장치는 상기 물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파이프의 선단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장치는 상기 이동 파이프를 둘러싸는 커버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파이프의 선단은 상기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파이프에는 상기 오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일분리장치가 오염수가 저장 탱크로 유입되기 전 오염수를 오일과 물로 분리하여 각각 배출함으로써, 기존 물층과 오일층으로 분리된 저장 탱크 내부의 상태를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어 오염수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분리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분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분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오일분리장치의 오일 배출구의 형성 위치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처리장치(1)는 저장 탱크(10)와 오일분리장치(100)를 포함한다.
저장 탱크(10)는 오염수를 저장한다. 본 실시에에서 저장 탱크(10)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운송 수단에 탑재되거나 육상 구조물에 탑재되거나 독자적으로 육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오염수는 선박 내 각종 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오염수는 유입 파이프(11)를 통해 저장 탱크(10)로 내부로 유입된다. 저장 탱크(10)로 유입되는 오염수는 오일과 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오염수는 저장 탱크(10)로 유입된 후 비중차에 의해 물과 오일로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물과 오일은 각각 저장 탱크(10) 내에 물층(W)과 오일층(O)을 형성한다.
물층(W)을 형성하는 물은 연결 파이프(15)에 의해 다른 저장 탱크(20)로 유입되어 임시 저장되고, 이후 각종 장치(미도시)에 의해 정화 처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유입 파이프(11)의 말단에는 오일분리장치(100)가 연결된다. 유입 파이프(11)의 말단에서 배출된 오염수는 오일분리장치(100)의 선단으로 유입되고, 오염수가 오일분리장치(100) 내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일이 분리된다. 분리된 오일은 오일분리장치(100)의 상측부를 통해 배출되고, 오일이 분리된 물은 오일분리장치(100)의 말단에서 배출되어 저장 탱크(10)로 유입된다.
이러한 오일분리장치(100)는 오염수가 저장 탱크(10)로 유입되기 전 오염수를 오일과 물로 분리하여 각각 배출하기 때문에 기존 물층(W)과 오일층(O)으로 분리된 저장 탱크(10) 내부의 상태를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어 오염수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분리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분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일분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에에 따르면, 오일분리장치(100)는 이동 파이프(110)를 포함한다.
이동 파이프(110)는 오염수를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이동 파이프(110)는 위로 볼록한 마루부와 아래로 볼록한 골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동 파이프(110)를 이동하는 오염수는 상승 이동과 하강 이동을 반복한다.
이동 파이프(110)에는 오일 배출구(111)가 형성된다. 오일 배출구(111)는 상측을 향해 개방된다. 오염수가 이동 파이프(11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염수에 포함된 오일은 오일 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오염수가 이동 파이프(11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일 배출구(111)를 만나면 오염수 내 비중이 작은 오일 성분은 부상하여 오일 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오일 배출구(111)는 이동 파이프(110)의 상측으로 볼록한 마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마루부에서는 이동 파이프(110)를 통해 상승 이동하는 오염수가 급격히 하강 이동한다. 즉, 마루부에서는 이동 파이프(110)를 통해 이동하는 오염수의 이동 방향이 급격히 변한다.
이와 같이 오염수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마루부에 오일 배출구(111)가 형성되면, 오염수 내 비중이 작은 오일 성분은 용이하게 오일 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일 배출구(111)는 도 5와 같이 이동 파이프(110) 중 오염수가 상승 이동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오일분리장치의 오일 배출구의 형성 위치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오염수가 상승하려는 힘에 의해 오염수 내 비중이 작은 오일 성분이 더 급속히 부상하여 오일 배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오일분리장치(100)는 저장 탱크(10) 내 물층(W)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일분리장치(100)에서 물층(W)으로 분리된 오일은 비중차에 의해 상승하여 오일층(O)에 합류한다. 그리고 오일분리장치(100)에서 오일이 제거된 오염수가 물층(W)으로 유입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파이프(110)의 선단에는 유입 파이프(도 1의 11)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121)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21)는 이동 파이프(1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122)는 이동 파이프(110)의 후단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파이프(110)의 후단에 별도의 오염수 처리 장치를 결합할 수 있다.
오일분리장치(100)는 이동 파이프(110)를 둘러싸는 커버 파이프(1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 파이프(110)는 커버 파이프(1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커버 파이프(130)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이동 파이프(110)를 보호한다.
커버 파이프(130)에는 배출구(131)가 형성된다. 이동 파이프(110)의 오일 배출구(111)에서 배출된 오일은 커버 파이프(130)의 배출구(131)를 통해 커버 파이프(130) 안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커버 파이프(130)의 선단은 이동 파이프(110)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121)에 고정될 수 있다. 플랜지(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파이프(110)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가 막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유입 파이프(도 1의 11)에서 직접 배출된 오염수는 이동 파이프(110)로 유입되고 커버 파이프(130)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 파이프(130)의 후단은 이동 파이프(110)의 후단에 형성된 플랜지(122)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실시예에 따른 오염수 처리장치(1)는 오염수가 저장 탱크(10)로 유입되기 전 오염수를 오일과 물로 분리하여 각각 배출하기 때문에 기존 물층(W)과 오일층(O)으로 분리된 저장 탱크(10) 내부의 상태를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어 오염수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오염수 처리장치 10 : 저장 탱크
11 : 유입 파이프 15 : 연결 파이프
100 : 오일분리장치 110 : 이동 파이프
111 : 오일 배출구 121, 122 : 플랜지
130 : 커버 파이프 131 : 배출구

Claims (6)

  1. 오염수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 및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저장 탱크로 유입시키는 유입 파이프의 말단에 연결되는 오일분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분리장치는,
    상기 오염수를 상하 지그재그 형태로 이동시키는 이동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파이프에는 상기 오염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오염수에 포함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측으로 개방된 오일 배출구가 형성되는, 오염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배출구는,
    상기 이동 파이프의 상측으로 볼록한 마루부 또는 상기 오염수가 상승 이동하는 구간에 형성되는, 오염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수 저장 탱크에서 상기 오염수는 비중차로 물층과 오일층으로 분리되고,
    상기 오일분리장치는 상기 물층에 위치하는, 오염수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파이프의 선단에는 상기 유입 파이프와 결합하기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는, 오염수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장치는 상기 이동 파이프를 둘러싸는 커버 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파이프의 선단은 상기 플랜지에 고정되는, 오염수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파이프에는 상기 오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오염수 처리장치.
KR1020140078096A 2014-06-25 2014-06-25 오염수 처리장치 KR101556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96A KR101556209B1 (ko) 2014-06-25 2014-06-25 오염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096A KR101556209B1 (ko) 2014-06-25 2014-06-25 오염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209B1 true KR101556209B1 (ko) 2015-09-30

Family

ID=5424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096A KR101556209B1 (ko) 2014-06-25 2014-06-25 오염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732A (ko) 2021-03-23 2022-10-04 (주)필로스 오염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732A (ko) 2021-03-23 2022-10-04 (주)필로스 오염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302B1 (ko) 고액분리장치
ATE456966T1 (de) Vorrichtung zur abtrennung von öl und teilchen aus einem wässrigen fluid.
US20100236409A1 (en) Combined gas removal, dirt removal and contaminating liquid removal device
KR101692990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구비한 드레인 박스
JP2015083302A (ja) 排出ノズル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排出ノズル装置を用いた流体の分配方法および処理方法
KR101556209B1 (ko) 오염수 처리장치
US11014842B2 (en) Lamella filter tank assembly
JP3210936U (ja) 排水処理装置
KR101460958B1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JP2016113845A (ja) エアリフトポンプ装置および水中汚濁成分の除去方法
JP6264556B2 (ja) Pcb汚染廃電気機器の洗浄装置
JP6391350B2 (ja) スカム除去装置及びスカム除去方法
KR101785077B1 (ko) 상분리 장치
KR950005753A (ko) 정화기
KR102211487B1 (ko) 차동 기포 크기를 이용한 하이 레이트 daf
US102589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sulfur from hydrocarbon fluids
KR101519783B1 (ko) 거품 분리를 위한 우회유동을 갖는 거품저감 배수로 구조물
CN104507557B (zh) 气体溶解装置
JP4832551B2 (ja) くらげ放流システム及びくらげ放流方法
KR20190036199A (ko) 세퍼레이터
KR102266934B1 (ko) 해수 부상 장치
RU145895U1 (ru) Тонкослойный отстойник
KR101741505B1 (ko) 빌지 처리 탱크
KR101600807B1 (ko) 폭기 장치
WO2014080875A1 (ja) 気液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