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807B1 - 폭기 장치 - Google Patents

폭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807B1
KR101600807B1 KR1020140135738A KR20140135738A KR101600807B1 KR 101600807 B1 KR101600807 B1 KR 101600807B1 KR 1020140135738 A KR1020140135738 A KR 1020140135738A KR 20140135738 A KR20140135738 A KR 20140135738A KR 101600807 B1 KR101600807 B1 KR 10160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ation
water
gas
water tank
wast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영
김인환
Original Assignee
(주)하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하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13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폭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기 장치는, 수조; 상기 수조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조에 폐유수를 유입하는 유입구;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된 상기 폐유수에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폐유수에 포함된 폐유지를 분해하여 처리수를 생성하는 폭기부; 및 상기 수조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를 상기 폐유수 내에 폭기하기 위해 상기 폭기부에 형성된 폭기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폭기부의 하부에 형성된다.

Description

폭기 장치{AE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폭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당, 급식 시설, 정육점 등에서 배출되는 폐유지를 제거?처리하지 않고 일반 하수에 섞여서 배출하게 되면, 폐유지가 하수관 내 표면에 부착되어 하수관을 폐색시킬 수 있으며 환경 오염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 내의 폐유지를 흡착포 등을 통해 걸러내는 방식을 통해 하수 내의 폐유지가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걸러낸 폐유지를 수거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으며, 폐유지 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기존과 마찬가지로, 폐유지가 하수관 및 정화조를 폐색시키고 환경 오염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배출되는 폐유지를 수산화 라디칼을 이용하여 분해시키기 위한 지방 분해 제거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지방 분해 제거장치에는 수산화 라디칼을 폭기(暴氣)하는 폭기 장치가 포함되어 있어서 폐유지를 포함하는 하수를 수용하는 폭기조 내에 수산화 라디칼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지방 분해 제거장치에 포함되는 폭기 장치에 의하면, 수산화 라디칼을 포함하는 기체가 폭기조 내의 하수 전체에 공급되지 못하고, 특히 폭기조의 모서리 부근에는 지방을 분해하는 기체가 제대로 공급되지 못하여 폭기조의 모서리 부근의 하수에서는 폐유지의 분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8073호 (2013.09.0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8075호 (2013.09.0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폐유수에 포함된 폐유지를 분해하는 기체(예를 들어, 광촉매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 라디칼 및/또는 오존)를 폐유수가 수용된 수조의 모서리까지 도달하도록 폭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폐유수에 포함된 폐유지와 기체 간의 반응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조; 상기 수조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조에 폐유수를 유입하는 유입구;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된 상기 폐유수에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폐유수에 포함된 폐유지를 분해하여 처리수를 생성하는 폭기부; 및 상기 수조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를 상기 폐유수 내에 폭기하기 위해 상기 폭기부에 형성된 폭기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폭기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폭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폭기부의 하부에 형성된 폭기요소의 폭기 방향은 수직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폭기부는 상기 수조 내에 위치하고, 복수의 관으로 형성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폭기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폭기요소는 상기 폭기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기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폭기요소는 노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폭기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폭기요소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보다 넓은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기부와 상기 수조의 저면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기부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폭기부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수직 방향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폭기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폭기부 간의 간격 및 가장 아래의 폭기부와 상기 수조의 저면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기부는, "日"의 형상, "田"의 형상 또는 사각형 내에 "目X"가 포함된의 형상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폭기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폭기요소는 상기 폭기부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폭기부의 적절한 위치에 폭기요소를 배치시킴으로써, 폐유수에 포함된 폐유지를 분해하는 기체를 폐유수가 수용된 수조의 모서리까지 도달하도록 폭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폭기요소의 형태를 폭기요소가 배치된 위치에 따라서 달리하여 폐유수 내에 기체에 의한 마이크로 버블을 형성함으로써, 폐유수에 포함된 폐유지와 기체 간의 반응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기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폭기요소로부터 기체가 폭기되는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제1 폭기요소로부터 기체가 폭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폭기요소와 제2 폭기요소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폭기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폭기 장치(100)는 수조(110), 유입구(120), 배출구(130) 및 폭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110)는 상면은 개구되어 덮개(미도시됨)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폐유지를 포함하는 폐유수를 수용하는 용기 형태일 수 있다. 수조(110)의 일측에는 폐유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0)가 형성될 수 있고, 수조(110)의 다른 일측에는 수조(110) 내에서 폐유수가 폭기부(150)에 의해 처리된 결과인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폭기부(150)는 수조(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수조(110)의 저면 상에 소정의 높이만큼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수조(110)의 저면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기 위하여, 복수의 지지부(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폭기부(150)가 수조(110)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진 높이는, 수조(110) 내에 폐유수가 수용될 때 폭기부(150) 전체가 폐유수에 잠길 정도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기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조(110) 내의 폭기부(150)는, 그 내부에 폐유지를 분해하기 위한 기체(예를 들어, 광촉매에 의해 생성된 수산화 라디칼 및/또는 오존)가 흐를 수 있는 관 형상이며, 상기 기체가 수조(110) 내부에 골고루 폭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수조(110)의 4개 내면에 대응되는 4개의 관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을 구성할 수 있다.
폭기부(150)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폭기부(150)의 소정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체 공급라인(140)이 연결될 수 있다. 기체 공급라인(140)에 의해 공급된 기체는 폭기부(150) 내부를 따라 흐르다가 제1 폭기요소(150a) 및 제2 폭기요소(150b)를 통해 수조(110) 내부에 수용된 폐유수 내로 폭기될 수 있다.
제1 폭기요소(150a)는 사각형의 폭기부(150) 중 변에 해당하는 위치에 복수 개가 형성되어 수조(110) 내부로 공급되는 대부분의 기체를 폭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폭기요소(150a)는 폭기부(150)의 하부에 형성되어 폭기부(150)의 아래 방향을 향해 기체를 폭기시킬 수 있다. 제1 폭기요소(150a)가 폭기부(150)의 상부에 형성되어 폭기부(150)의 윗 방향을 향해 기체를 폭기시키는 경우에는, 폭기되는 기체가 폐유수 외부로 빠져 나가기가 쉽다. 따라서, 폐유수 내의 폐유지와 기체 간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서, 기체에 의한 폐유지의 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폭기요소(150a)가 폭기부(150)의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제1 폭기요소(150a)에서 폭기된 기체가 폐유수 내에서 1차로 버블을 형성하고, 제1 폭기요소(150a)로부터 직진하던 기체가 수조(110)의 내면과 부딪히면서 2차로 버블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폐유수 내에서 기체가 충분히 폐유지와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폭기부(150)의 모서리 부근에는 제2 폭기요소(150b)가 폭기부(150)의 상부에 형성되어서 폭기부(150)로부터 윗 방향을 향해 기체를 폭기시킬 수 있다. 수조(110)의 모서리에 대하여 기체를 폭기시키는 경우에는, 다른 부위와는 달리, 폭기부(150)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기체를 폭기시키면 수조(110)의 모서리까지 기체가 잘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조(110)의 모서리까지 폭기된 기체가 잘 도달하도록 하기 위하여, 폭기부(150)의 모서리 부근에 형성된 제2 폭기요소(150b)는 폭기부(150)로부터 상부를 향해 기체가 폭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폭기요소(150b)는 노즐 형태로 형성되어, 기체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버블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조(110)의 모서리 부근에 골고루 기체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폭기요소로부터 기체가 폭기되는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제1 폭기요소로부터 기체가 폭기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x 방향은 폭기부(150)를 형성하는 관의 길이 방향, y 방향은 폭기부(150)를 형성하는 관의 길이 방향과 90˚를 이루는 수평 방향, z 방향은 폭기부(150)를 형성하는 관의 길이 방향과 90˚를 이루는 수직 방향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폭기요소(150a)로부터 기체가 폭기되는 방향(a)은 z 방향과 평행한 방향은 아니고, y 축으로 일정 정도 기울어진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1 폭기요소(150a)로부터 기체가 폭기되는 방향(a)이 y 축으로 동일하게 기울어진 것은 아니고,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인접한 제1 폭기요소(150a) 간에는 y 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기체가 폭기되도록 복수의 제1 폭기요소(150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기부(150)를 형성하는 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폭기요소(150a)를 지그재그로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제1 폭기요소(150a)로부터 폭기되는 기체의 폭기 방향(a)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폭기요소(150a)로부터 기체가 폭기되는 방향(a')이 y 축 뿐만 아니라 x 축 방향으로도 일정 정도 기울어진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폭기요소(150a)로부터 기체가 폭기되는 방향(a')이, 인접한 제1 폭기요소(150a) 간에는 x 축 및 y 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로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기체가 폭기되도록 복수의 제1 폭기요소(150a)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기부(150)를 형성하는 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폭기요소(150a)를 지그재그로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제1 폭기요소(150a)로부터 폭기되는 기체의 폭기 방향(a')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폭기요소(150a)를 폭기부(150)를 형성하는 관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지그재그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제1 폭기요소(150a)를 폭기부(150)를 형성하는 관의 중심선을 따라 일렬로 형성하되 제1 폭기요소(150a)를 기울여서 형성함으로서, 인접하는 제1 폭기요소(150a)로부터 폭기되는 기체의 폭기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폭기요소와 제2 폭기요소의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비교하면, 제1 폭기요소(150a)는 상부와 하부의 단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된 구멍 형상인 것에 반해, 제2 폭기요소(150b)에 형성된 구멍은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 폭기요소(150a)의 경우에는 제2 폭기요소(150b)에 비하여 폭기되는 기체의 직진성이 중요한 반면에, 제2 폭기요소(150b)는 제1 폭기요소(150a)에 비하여 폭기되는 기체의 확산성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폭기요소(150b)는 폭기부(150)의 모서리 부근에 형성되어 수조(110)의 모서리에 골고루 기체가 폭기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2 폭기요소(150b)는 제1 폭기요소(150a)에 비하여 확산성이 중요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폭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폭기부(250)는 제1 부재(251) 및 제2 부재(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51) 및 제2 부재(252) 각각은 앞선 실시예의 폭기부(150)와 유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폭기부(250)는 복수의 앞선 실시예의 폭기부(150)를 높이 방향으로 중첩시킨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제1 부재(251)와 제2 부재(252) 사이에는 제1 지지부(261)가 설치되어서 제1 부재(251)와 제2 부재(252) 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52)와 수조(110)의 저면 사이에는 제2 지지부(262)가 설치되어서 제2 부재(252)와 수조(110)의 저면 간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폭기부(350, 450, 550)는 앞선 실시예의 폭기부(150)의 사각형 형태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a)에서와 같이, 폭기부(350)가 "日"의 형태일 수 있고, 도 9(b)에서와 같이, 폭기부(450)가 "田"의 형태일 수 있으며, 도 9(c)에서와 같이, 폭기부(550)가 사각형 내에 "X目"가 포함된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폭기부(350, 450, 550)의 형태에 의해서, 수조(110) 내에 기체를 골고루 폭기시켜서 수조(110) 내에 수용된 폐유수가 기체에 의해 전체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폭기 장치
110: 외부 용기
120: 내부 용기
130: 제1 혼합부
140: 제2 혼합부
150, 250, 350, 450, 550: 폭기부
150a: 제1 폭기요소
150b: 제2 폭기요소
160: 지지부
251: 제1 부재
252: 제2 부재
261: 제1 지지부
262: 제2 지지부

Claims (11)

  1. 수조;
    상기 수조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조에 폐유수를 유입하는 유입구;
    상기 수조 내에 수용된 상기 폐유수에 기체를 폭기하여 상기 폐유수에 포함된 폐유지를 분해하여 처리수를 생성하는 폭기부; 및
    상기 수조의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를 상기 폐유수 내에 폭기하기 위해 상기 폭기부에 형성된 폭기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폭기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폭기부의 하부에 형성된 폭기요소의 폭기 방향은 수직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지고,
    상기 폭기부는 상기 수조 내에 위치하고, 복수의 관으로 형성된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폭기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폭기요소는 상기 폭기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폭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기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폭기요소는 노즐 형상인, 폭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기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폭기요소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보다 넓은 구멍을 포함하는, 폭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기부와 상기 수조의 저면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폭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기부가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폭기부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수직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폭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폭기부 중 인접하는 두 개의 폭기부 간의 간격 및 가장 아래의 폭기부와 상기 수조의 저면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폭기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기부는, "日"의 형상, "田"의 형상 또는 사각형 내에 "目X"가 포함된의 형상 중 하나인, 폭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폭기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폭기요소는 상기 폭기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폭기 장치.
KR1020140135738A 2014-10-08 2014-10-08 폭기 장치 KR10160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38A KR101600807B1 (ko) 2014-10-08 2014-10-08 폭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38A KR101600807B1 (ko) 2014-10-08 2014-10-08 폭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807B1 true KR101600807B1 (ko) 2016-03-08

Family

ID=5553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38A KR101600807B1 (ko) 2014-10-08 2014-10-08 폭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8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6293A (ja) * 2002-05-08 2003-11-18 Fuji Clean Kogyo Kk 流体供給管および該流体供給管を備えた排水処理装置
WO2007029256A2 (en) * 2005-09-07 2007-03-15 Aqwise - Wise Water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1308075B1 (ko) 2013-05-23 2013-09-12 브이케이테크(주) 수산화라디칼을 이용한 지방 분해 제거장치
KR101308073B1 (ko) 2013-05-23 2013-09-12 브이케이테크(주) 오존과 수산화라디칼을 이용한 지방 분해 제거장치
KR101409735B1 (ko) * 2014-04-10 2014-06-2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응집제 용해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6293A (ja) * 2002-05-08 2003-11-18 Fuji Clean Kogyo Kk 流体供給管および該流体供給管を備えた排水処理装置
WO2007029256A2 (en) * 2005-09-07 2007-03-15 Aqwise - Wise Water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water treatment
KR101308075B1 (ko) 2013-05-23 2013-09-12 브이케이테크(주) 수산화라디칼을 이용한 지방 분해 제거장치
KR101308073B1 (ko) 2013-05-23 2013-09-12 브이케이테크(주) 오존과 수산화라디칼을 이용한 지방 분해 제거장치
KR101409735B1 (ko) * 2014-04-10 2014-06-2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응집제 용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052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otable water in municipal and similar water tanks
CN108067093A (zh) 空气接触式药液除臭装置
JP2017042381A (ja) 水ろ過材空気浄化装置
US91936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and wastewater
KR101600807B1 (ko) 폭기 장치
RU255387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сыщения воды кислородом
US8440076B2 (en) Dissolved air flotation unit
JP4382956B2 (ja) エアレーション装置
JP2001170616A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JP5611127B2 (ja) 使用済排出海水の消泡装置及び方法、使用済排出海水の排出システム
KR101554479B1 (ko) 유기물 처리 시스템
KR101370470B1 (ko) 오염수 처리용 유수분리 장치
JP4383751B2 (ja) 排水処理装置
RU2666858C2 (ru) Септик
JPS61111187A (ja) 排水中油の瀑気凝集分離装置
KR101556209B1 (ko) 오염수 처리장치
JP6541384B2 (ja) 水処理装置
RU10221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эрирования очищаемой жидкости
JP5846526B2 (ja) 脱臭装置
JP4248722B2 (ja) 油脂分解浄化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グリーストラップ
CA2534799A1 (en)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ed water
JP2003326293A (ja) 流体供給管および該流体供給管を備えた排水処理装置
JP2003225658A (ja) 油脂分処理装置およびその被処理水貯留タンク
US9975794B2 (en) Managing greywater from a microbial decomposition process
KR20230139419A (ko) 폐염수 재활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