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735B1 - 응집제 용해 장치 - Google Patents

응집제 용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735B1
KR101409735B1 KR1020140043127A KR20140043127A KR101409735B1 KR 101409735 B1 KR101409735 B1 KR 101409735B1 KR 1020140043127 A KR1020140043127 A KR 1020140043127A KR 20140043127 A KR20140043127 A KR 20140043127A KR 101409735 B1 KR101409735 B1 KR 10140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agulant
pipe
compartment
floccu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4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 유지용 칸막이에 의해 일렬의 구획들로 나뉜 내부공간을 갖는 용해조; 상기 구획들 중 가장 앞선 제1구획의 상면에 마련된 응집제 투입관; 상기 응집제 투입관으로 응집제를 공급하기 위한 응집제 공급기; 상기 응집제가 용해될 물을 상기 제1구획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 상기 제1구획으로 공급된 물 및 응집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 및 상기 제1구획에 위치하여 상기 제1구획의 바닥 쪽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 분사기;를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응집제 용해 장치{APPARATUS FOR DISSOLVING FLOCCULANT}
본 발명은 응집제 용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응집제를 물에 자동으로 용해시키기 위한 응집제 용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버려지는 하수는 하수처리장으로 보내진 후 처리되고 있다. 하수 처리 과정은 정수 과정과 슬러지 처리 과정을 포함하는데, 정수 과정에서는 하수가 하천의 자정작용이 발동될 수 있는 범위까지 정화된 후 하천과 같은 공공수역으로 방류되고,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는 정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가 처리된다.
슬러지 처리 과정은 농축 과정과 탈수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농축 과정은 슬러지의 함수율을 1차적으로 낮추는 고액 분리 과정으로서, 탈수 과정에서의 부하 감소와 처리 효율 향상에 기여한다. 그리고 탈수 과정은 탈수기를 이용하여 슬러지의 함수율을 2차적으로 낮추는 고액 분리 과정이다.
위와 같은 고액 분리 과정에서는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을 위해 일반적으로 응집제(고분자 화합물)가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응집제는 물에 용해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응집성을 상실하기 때문에 대부분 분말 형태로 생산된다. 그리고 분말 형태의 응집제는 슬러지와 균일하게 혼합되기 어렵다. 따라서 분말 형태의 응집제는 필요할 때마다 물에 용해되어 응집제 수용액으로 되고, 상기 응집제 수용액이 슬러지와 혼합되고 있다.
위와 같이 고액 분리 과정에서 응집제 수용액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분말 형태의 응집제를 물에 용해시켜 응집제 수용액을 만드는 작업이 필요시마다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분말 형태의 응집제를 물에 자동으로 용해시키기 위한 장치가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48590호(응집제 용해 장치) 한국공개특허 특2002-0011810호(응집제 용해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40327호(폴리머 자동 용해 장치)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32581호(응집제 용해 장치)
이에 본 발명은 분말 형태의 응집제를 물에 자동으로 용해시킬 수 있는 응집제 용해 장치, 특히, 용해조의 바닥에 분말 형태의 응집제가 침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용해조에 마련되어 분말 형태의 응집제를 투입받는 부품의 내면에 상기 응집제가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응집제 용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위 유지용 칸막이에 의해 일렬의 구획들로 나뉜 내부공간을 갖는 용해조; 상기 구획들 중 가장 앞선 제1구획의 상면에 마련된 응집제 투입관; 상기 응집제 투입관으로 응집제를 공급하기 위한 응집제 공급기; 상기 응집제가 용해될 물을 상기 제1구획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 상기 제1구획으로 공급된 물 및 응집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 및 상기 제1구획에 위치하여 상기 제1구획의 바닥 쪽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 분사기;를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물 분사기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본관; 상기 본관에 연결된 복수의 지관; 및 상기 지관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상기 지관에 마련된 복수의 하향 물 분사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물 분사기는, 상기 지관의 위쪽을 향하도록 상기 지관에 마련된 복수의 상향 물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 용해 장치는, 상기 제1구획으로부터 이에 이웃하는 제2구획으로 넘어온 응집제 수용액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 및 상기 제2구획에 위치하여 상기 제2구획의 바닥 쪽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산기관;을 포함한다.
상기 산기관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본관; 상기 본관에 연결된 복수의 지관; 및 상기 지관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상기 지관에 마련된 복수의 하향 공기 분사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산기관은, 상기 지관의 위쪽을 향하도록 상기 지관에 마련된 복수의 상향 공기 분사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집제 용해 장치는, 상기 응집제 투입관의 상단을 수용하고, 상기 응집제 투입관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응집제 공급기를 통과시키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응집제 투입관의 상단은 깔때기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된 물은 상기 깔때기의 상단을 넘어 상기 깔때기의 내면을 타고 흐른다.
상기 깔때기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는 나선 형태를 취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깔때기의 상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나선판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 분사기의 하향 물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 및 산기관의 하향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로 인해, 용해조 바닥에 분말 형태의 응집제가 침전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물 분사기의 상향 물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 및 산기관의 상향 공기 분사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로 인해, 응집제의 용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응집제 투입관의 내면을 타고 물이 흘러내리기 때문에 상기 응집제 투입관의 내면에 응집제가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응집제 투입관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이 회오리를 치기 때문에 응집제 투입관의 내면에 응집제가 달라붙는 현상이 더욱 확실히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 용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응집제 용해 장치의 물 분사기 및 산기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응집제 용해 장치의 나선판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 용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응집제 용해 장치(100)는 분말 형태의 응집제를 물에 용해시켜 응집제 수용액으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조(110)와, 응집제 투입관(120)과, 응집제 공급기(130)와, 1차 물 공급관(140)과, 1차 교반기와, 물 분사기를 포함한다. 상기 응집제 용해 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응집제 수용액은 고액 분리 효율의 향상을 위해 고액 분리 과정을 거칠 슬러지와 혼합하게 된다.
상기 용해조(110)는 내부공간을 갖는데, 이 내부공간은 수위 유지용 칸막이(118a, 118b)에 의해 일렬의 구획들(112, 114, 116)로 나뉘어 있다. 도 1에는 용해조(110)의 내부공간이 제1구획(112)와, 이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2구획(114)과, 제2구획(114)의 후방에 위치하는 제3구획(116)으로 나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위 유지용 칸막이(118a, 118b)는 전방 칸막이(118a)와 후방 칸막이(118b)로 이루어진다. 전방 칸막이(118a)는 후방 칸막이(118b)보다 앞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그 상단은 용해조(11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하단은 용해조(110)의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와 반대로, 후방 칸막이(118b)의 상단은 용해조(110)의 상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그 하단은 용해조(110)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다. 제1구획(112)(또는 제2구획(114))의 응집제 수용액은 전방 칸막이(118a)의 하부 및 후방 칸막이(118b)의 상부를 경유하여 제2구획(114)(또는 제3구획(116))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응집제 투입관(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조(110) 내 구획들 중 가장 앞선 구획, 즉 제1구획(112)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다. 응집제 투입관(120)의 상단(122)은 위쪽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깔때기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응집제 투입관(120)의 하단에는 1차 물 공급관(140)이 연결되어 있다. 1차 물 공급관(140)은 응집제가 용해될 물을 응집제 투입관(120)으로 공급한다. 1차 물공급관(140)에 의해 응집제 투입관(120)으로 공급된 물은 제1구획(112)으로 낙하한다.
상기 응집제 공급기(130)는 분말 형태의 응집제를 응집제 투입관(1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집제 저장탱크(132)와, 모터(134)와, 스크루(136)와, 응집제 이송관(138)을 포함한다.
응집제 저장탱크(132)는 응집제를 저장하고 있고, 응집제 이송관(138)과 연통하고 있다. 응집제 이송관(138)은 응집제 저장탱크(132)의 하단으로부터 응집제 투입관(120)의 상부까지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스크루(136)는 응집제를 응집제 투입관(120) 쪽으로 밀어내도록 응집제 이송관(138)에 내장되어 있고, 모터(134)의 구동축과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응집제 공급기(130)에서 모터(134)가 작동하면 응집제 저장탱크(132)의 응집제는 스크루(136)에 의해 밀리다가 응집제 투입관(120)의 낙하하고, 낙하한 응집제는 제1구획(112)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응집제 공급기(130)는 용해조(110)의 상면에 고정된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1차 교반기는 제1구획(112)으로 유입된 물과 응집제를 교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82a)와, 로드(184a)와, 복수의 날개(186a)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82a)는 용해조(1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1구획(112)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로드(184a)는 모터(182a)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모터(182a)의 작동시 회전한다. 상기 날개들(186a)은 로드(184a)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1차 교반기에서 모터(182a)가 작동하면 날개들(186a)이 회전하면서 제1구획(112)의 물에 와류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응집제는 물에 용해된다. 그런데 이때 분말 형태의 응집제 중 일부는 물에 용해되지 못하고 제1구획(112)의 바닥에 침전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응집제 수용액의 농도가 당초 계획보다 낮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물 분사기가 마련된다.
상기 물 분사기는 제1교반기의 로드(184a) 아래에 놓이도록 제1구획(112)에 위치하여 제1구획(112)의 바닥 쪽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관(162)과, 지관들(164)과, 하향 물 분사 노즐들(166a)을 포함한다.
물 분사기의 본관(162)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관이다. 물 분사기의 지관들(164)은 서로 평행하게 나열되도록 본관(16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관(162)으로 공급된 물은 지관들(16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향 물 분사 노즐들(166a)은 지관(164)의 아래쪽, 다시 말해 제1구획(112)의 바닥쪽을 향하도록 지관(164)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지관들(164)로 이동한 물은 하향 물 분사 노즐들(166a)을 통해 제1구획(112)의 바닥쪽으로 분사된다. 제1구획(112)의 바닥에 대한 하향 물 분사 노즐(166a)의 각도는 75도 정도가 적당하다.
위와 같은 물 분사기에서는 본관(162)으로 공급된 물이 하향 물 분사 노즐(166a)로부터 제1구획(112)의 바닥쪽으로 분사되고, 이때 제1구획(112)의 바닥에 침전된 응집제가 부양하게 된다. 그리고 부양한 응집제는 1차 교반기의 날개들(186a)의 회전에 의해 형성된 와류에 편승하여 물에 용해된다.
상기 물 분사기는 지관(164)의 위쪽을 향하도록 지관(164)에 마련된 상향 물 분사 노즐들(166b)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구획(112)의 바닥으로부터 부양한 응집제가 상향 물 분사 노즐들(166b)로부터 분사된 물에 의해 더욱 높이 부양하게 되는 장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향 물 분사 노즐들(166b)로부터 분사된 물로 인해 제1구획(112) 내 물의 와류가 더욱 복잡해지기 때문에 응집제의 용해가 더 빠르게 이루어지는 장점도 발생한다. 하향 물 분사 노즐(166a)에 대한 상향 물 분사 노즐(166b)의 각도는 120도 정도가 적당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구획(112)의 응집제 수용액은 전방 칸막이(118a)의 하부 및 후방 칸막이(118b)의 상부를 경유하여 제2구획(114)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제1구획(112)에서 미처 용해되지 못한 응집제가 응집제 수용액과 함께 제2구획(11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구획(114)으로 이동한 응집제를 용해하기 위해 제2구획(114)에는 2차 교반기가 마련된다.
2차 교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82b)와, 로드(184b)와, 복수의 날개(186b)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82b)는 용해조(1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제2구획(11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로드(184b)는 모터(182b)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모터(182b)의 작동시 회전한다. 상기 날개들(186b)은 로드(184b)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2차 교반기에서 모터(182b)가 작동하면 날개들(186b)이 회전하면서 제2구획(114)의 물에 와류를 일으키고, 이로 인해 제2구획(114)으로 넘어온 응집제는 응집제 수용액에 용해된다.
제2구획(114)에서도 제1구획(112)에서와 마찬가지로 분말 형태의 응집제 중 일부가 용해되지 못하고 바닥에 침전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바, 침전된 응집제를 부양시키기 위한 산기관이 제2구획(114)에 마련된다.
상기 산기관은 제2교반기의 로드(184b) 아래에 놓이도록 제2구획(114)에 위치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관(172)과, 지관들(174)과, 하향 공기 분사 노즐들(176a)과, 상향 공기 분사 노즐들(176b)을 포함한다. 산기관의 이러한 구성들(172, 174, 176a, 176b)은 물 분사기의 해당 구성들(162, 164, 166a, 166b)과 동일하게 마련된다. 다만, 물 분사기에서와 달리 산기관에서는 본관(172)으로 공기가 공급되는데, 이는 산기관의 본관(172)으로 물이 공급되면 제2구획(114) 내 응집제 수용액의 농도가 제1구획(112) 내 응집제 수용액의 농도와 달라지기 때문이다.
제2구획(114)의 응집제 수용액은 전방 칸막이(118a)의 하부 및 후방 칸막이(118b)의 상부를 경유하여 제3구획(116) 이동한 후, 3차 교반기에 의해 지속적으로 교반된다. 그리고 제3구획(116)으로부터 유출된 응집제 수용액은 고액 분리 과정을 거칠 슬러지와 혼합된다. 상기 3차 교반기는 모터(182c)와, 로드(184c)와, 날개들(186c)을 포함한다.
한편, 응집제는 강한 친수성을 갖기 때문에 수분을 머금으면 덩어리로 쉽게 변한다. 따라서 응집제 공급기(130)의 응집제 이송관(138)으로부터 낙하한 응집제가 응집제 투입관(120)의 내면에 묻으면 이 내면에 붙어 덩어리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응집제 공급기(130)로부터 공급된 응집제 중 일부가 제1구획(112)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응집제 수용액의 농도가 당초 계획보다 낮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심한 경우 응집제 투입관(120)이 막혀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응집제 용해 장치(10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우징(150) 및 2차 물 공급관(14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집제 투입관(120)의 상단을 이루는 깔때기(122)를 수용하고, 응집제 투입관(120)보다 높은 곳에서 응집제 이송관(138)을 통과시킨다. 상기 2차 물 공급관(142)은 하우징(15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급된 물은 하우징(150)의 내부에서 차오르다가 깔때기(122)의 상단을 넘어 깔때기(122)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고, 이로 인해 깔때기(122)의 내면에 묻은 응집제가 상기 물과 함께 흘러내리게 된다.
상기 하우징(150)의 내면과 깔때기(122)의 외면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판(152)이 마련된다. 상기 나선판(152)은 깔때기(122)의 외면에 고정되어 있고, 나선 형태를 취하면서 하우징(150)의 바닥으로부터 깔때기(122)의 상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상기 나선판(152)은 2차 물 공급관(14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깔때기(122)의 상단까지 나선 형태로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나선판(152)이 마련되면 물이 회오리를 치며 깔때기(120)의 내면을 타고 흘러내리기 때문에 응집제가 깔때기(122)의 내면으로부터 더욱 잘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응집제 용해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용해조(110)가 비어있을 경우에는, 우선 1차 교반기의 날개들(186a)이 잠길 때까지 1차 물 공급관(140)을 통해 제1구획(112)으로 물을 공급한다. 이후, 1차 교반기의 모터(182a) 및 응집제 공급기(130)의 모터(134)를 작동시키고, 2차 물 공급관(142)을 통해 하우징(150)으로 물을 공급한다.
미리 정해진 양의 응집제가 제1구획(112)로 공급되면, 응집제 공급기(130)의 모터(134)를 정지시키고, 하우징(150)으로의 물 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물 분사기의 본관(162)으로 물을 공급한다. 물 분사기의 본관(166)으로 물이 공급될 때, 1차 물 공급관(140)을 통한 물 공급은 계속 이루어져도 좋고 중단되어도 좋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하면, 응집제가 물에 용해되면서 제1구획(112)의 수위가 상승한다. 그러다가 제1구획(112)의 응집제 수용액은 수위 유지용 칸막이(118a, 118b)를 넘어 제2구획(114)으로 이동한다. 제2구획(114)의 수위가 어느 정도 높아지면, 2차 교반기의 모터(182b)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2차 교반기의 모터(182b)가 작동하는 동안 산기관의 본관(172)으로는 공기가 간헐적으로 공급된다.
응집제 수용액은 제2구획(114)에서 점차 차오르다가 수위 유지용 칸막이(118a, 118b)를 넘어 제3구획(116)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3구획(116)의 수위가 어느 정도 높아지면 3차 교반기의 모터(182c)를 작동시킨다. 제1구획(112)으로의 물 공급은 세 구획(112, 114, 116)의 수위가 모두 동일하게 되었을 때 중단된다.
한편, 제3구획(116)으로부터 응집제 수용액이 인출되면 제3구획(116)의 수위가 낮아진다. 그러면 제3구획(116)의 수위가 타 구획들(112, 114)의 수위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제1구획(112)으로 물이 공급된다(물 분사기만이 이용되거나 물 분사기 및 1차 물 공급관(140)이 모두 이용됨). 이때, 제1구획(112)으로 물만 공급되면 응집제 수용액의 농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제1구획(112)으로 미리 정해진 양의 응집제가 공급될 때까지 응집제 공급기(130)의 모터(134) 작동 및 하우징(150)으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응집제 용해 장치 110 : 용해조
112 : 제1구획 114 : 제2구획
116 : 제3구획 118a, 118b : 수위 유지용 칸막이
120 : 응집제 투입관 122 : 깔때기
130 : 응집제 공급기 140, 142 : 물 공급관
150 : 하우징 152 : 나선판
162, 172 : 본관 164, 174 : 지관
166a, 166b : 물 분사 노즐 176a, 176b : 공기 분사 노즐
182a, 182b, 182c : 모터 184a, 184b, 184c : 로드
186a, 186b, 186c : 날개

Claims (8)

  1. 수위 유지용 칸막이에 의해 일렬의 구획들로 나뉜 내부공간을 갖는 용해조;
    상기 구획들 중 가장 앞선 제1구획의 상면에 마련된 응집제 투입관;
    상기 응집제 투입관으로 응집제를 공급하기 위한 응집제 공급기;
    상기 응집제가 용해될 물을 상기 제1구획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 공급관;
    상기 제1구획으로 공급된 물 및 응집제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 및
    상기 제1구획에 위치하여 상기 제1구획의 바닥 쪽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물 분사기;를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기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본관;
    상기 본관에 연결된 복수의 지관; 및
    상기 지관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상기 지관에 마련된 복수의 하향 물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분사기는,
    상기 지관의 위쪽을 향하도록 상기 지관에 마련된 복수의 상향 물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획으로부터 이에 이웃하는 제2구획으로 넘어온 응집제 수용액을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 및
    상기 제2구획에 위치하여 상기 제2구획의 바닥 쪽으로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산기관;을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외부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본관;
    상기 본관에 연결된 복수의 지관; 및
    상기 지관의 아래쪽을 향하도록 상기 지관에 마련된 복수의 하향 공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은,
    상기 지관의 위쪽을 향하도록 상기 지관에 마련된 복수의 상향 공기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응집제 용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제 투입관의 상단을 수용하고, 상기 응집제 투입관보다 높은 곳에서 상기 응집제 공급기를 통과시키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응집제 투입관의 상단은 깔때기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된 물은 상기 깔때기의 상단을 넘어 상기 깔때기의 내면을 타고 흐르는 응집제 용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깔때기의 외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 사이에는 나선 형태를 취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으로부터 상기 깔때기의 상단까지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나선판이 마련된 응집제 용해 장치.
KR1020140043127A 2014-04-10 2014-04-10 응집제 용해 장치 KR10140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127A KR101409735B1 (ko) 2014-04-10 2014-04-10 응집제 용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127A KR101409735B1 (ko) 2014-04-10 2014-04-10 응집제 용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735B1 true KR101409735B1 (ko) 2014-06-20

Family

ID=5113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127A KR101409735B1 (ko) 2014-04-10 2014-04-10 응집제 용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7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07B1 (ko) * 2014-10-08 2016-03-08 (주)하늘엔지니어링 폭기 장치
KR101675025B1 (ko) 2016-09-21 2016-11-1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응집제 용해 시스템
RU192732U1 (ru) * 2019-07-15 2019-09-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Химпродукт"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раствора коагулянта
KR102305738B1 (ko) 2020-07-09 2021-09-3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경사진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365B1 (ko) * 1996-11-19 1999-02-01 정용 부유식 조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0250030Y1 (ko) 1999-06-23 2001-11-15 윤자성 고분자 응집제의 용해장치
KR20080032581A (ko) * 2006-10-10 2008-04-15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응집제 용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4365B1 (ko) * 1996-11-19 1999-02-01 정용 부유식 조류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0250030Y1 (ko) 1999-06-23 2001-11-15 윤자성 고분자 응집제의 용해장치
KR20080032581A (ko) * 2006-10-10 2008-04-15 가부시키가이샤 요시카와 응집제 용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807B1 (ko) * 2014-10-08 2016-03-08 (주)하늘엔지니어링 폭기 장치
KR101675025B1 (ko) 2016-09-21 2016-11-1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응집제 용해 시스템
RU192732U1 (ru) * 2019-07-15 2019-09-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Химпродукт"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раствора коагулянта
KR102305738B1 (ko) 2020-07-09 2021-09-3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경사진 교반 날개를 구비한 교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3554B2 (en) Multibubble injection type dissolved air flot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409735B1 (ko) 응집제 용해 장치
US7341670B2 (en)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KR101362858B1 (ko) 미세버블을 이용한 다단 격벽식 부상분리장치
EP240618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solving solid substances in water
KR101602289B1 (ko)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JP6534003B2 (ja) 水又は排水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41191B1 (ko) 하,폐수의 부유물처리용 가압부상분리기
JP6078036B2 (ja) 臭気抑制システム
WO20090041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cipitation of phosphorus from waste water
JP2007260615A (ja) 凝集反応装置
JP6470117B2 (ja) 塗料汚水処理システム
CN110124572A (zh) 防堵防结垢石灰溶液配置装置、其自动配液供液方法及其除垢方法
CA26049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lime slurry for grit removal
KR20150029938A (ko) 수처리 장치
KR101774488B1 (ko)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JP2007260614A (ja) 凝集反応装置
CN206127016U (zh) 移动式藻水分离站及其车载式藻水分离装置
CN109715780B (zh) 容器和生物气设备
KR101278957B1 (ko) 폐수처리용 침전부상장치
CN102040324A (zh) 污泥混合设备
JP6391350B2 (ja) スカム除去装置及びスカム除去方法
KR20170038452A (ko) 복합형 가압부상 여과처리 장치
US3881700A (en) Water treatment plant
CN205035238U (zh) 污泥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