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199A - 세퍼레이터 - Google Patents

세퍼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199A
KR20190036199A KR1020170125147A KR20170125147A KR20190036199A KR 20190036199 A KR20190036199 A KR 20190036199A KR 1020170125147 A KR1020170125147 A KR 1020170125147A KR 20170125147 A KR20170125147 A KR 20170125147A KR 20190036199 A KR20190036199 A KR 2019003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eparator
pressure water
flui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달
구훈회
민준호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5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199A/ko
Publication of KR2019003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1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세퍼레이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는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수용하고,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는 세퍼레이터본체; 배출구와 연결되어 유체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는 모래수집장치; 및 수평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세퍼레이터본체의 내측에 적층되는 모래를 모래수집장치로 인도하도록 설치되는 경사부; 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는 유체에 포함된 모래를 걸러내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망; 을 더 포함하고, 모래는 메쉬망의 일측에 부딪혀 경사부로 낙하하여 적층되도록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는 메쉬망에 의해 구획되는 모래의 적층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는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수용하고,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는 세퍼레이터본체; 배출구와 연결되어 유체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는 모래수집장치; 수평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세퍼레이터본체의 내측에 적층되는 모래를 배출구로 인도하도록 설치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유체에 포함된 모래를 1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망; 및 경사부에 의해 인도된 모래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배출구를 통해 모래수집장치로 모래가 배출되도록 하는 고압수분사부;를 더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압수분사부는 경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압수파이프; 및 고압수파이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복수로 마련되어 하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세퍼레이터{SEPARATOR}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퍼레이터본체 내부에 모래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퍼레이터에는 자갈, 모래, 진흙 등의 무기질 및 어패류, 갑각류, 플랑크톤 등의 생물체와 유기물질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장치가 구비된다.
제거장치는 선박 등으로 공급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유체로부터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공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거장치가 선박에 설치되는 경우, 제거장치는 평형수(Ballast Water)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선박에 저장되도록 선박에 공급되는 유체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평형수는 선박에 적재된 화물량에 따라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되는 양이 조절됨으로써, 선박의 균형 및 흘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된 평형수의 양을 조절하는 공정은, 밸러스트 탱크에 저장된 평형수를 선박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선박의 외부에 위치된 해수, 담수 등의 유체를 밸러스트 탱크로 공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제거장치는 이물질이 세퍼레이터 내부에 상당 정도 축적될 경우에 비로소 제거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세퍼레이터 내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이물질이 축적된 공간만큼 세퍼레이터 내부에 분리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다.
상당 정도 축적된 모래는 유체 분리 중에 세퍼레이터 본체 내부를 따라서 침착될 것이다. 침착된 모래는 세퍼레이터 의 단면적을 차지할 것이고 분리기의 사용가능한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보유 시간 및 분리 용량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세퍼레이터 내부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장치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노즐이 설치되어야 하고, 이 역시 상술한 공간적인 한계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물질이 세퍼레이터 내부에 오랜 기간 축적되어 있을 경우, 세퍼레이터에 기능 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축적된 이물질은 이에 고압수를 분사하더라도 고체화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거나, 제대로 분해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고체화된 이물질을 제대로 분해하기 위해서 고압수의 분사압을 크게 할 경우에는, 노즐 디자인 등에 제약이 따르게 됨으로써 고압수의 분사압을 높이는데 제한이 따르고, 이로 인해 고체화된 이물질의 제거 효율을 원하는 만큼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체의 분리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체 내 모래의 축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유체로부터 모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는,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수용하고,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는 세퍼레이터본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는 모래수집장치 및 수평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퍼레이터본체의 내측에 적층되는 모래를 상기 모래수집장치로 인도하도록 설치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에 포함된 모래를 걸러내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래는 상기 메쉬망의 일측에 부딪혀 상기 경사부로 낙하하여 상기 세퍼레이터본체의 내측에 적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메쉬망에 의해 구획되는 모래의 적층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는, 상기 경사부에 의해 인도된 모래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모래수집장치로 상기 모래가 배출되도록 하는 고압수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압수분사부는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압수파이프 및 상기 고압수파이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복수로 마련되어 하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는 내부에 분리공정이 가능한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는 경사부를 구성함으로써 모래의 축적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는 고압수 분사로 모래의 제거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상술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퍼레이터에 형성된 경사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100)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100)는, 유입구(111)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수용하고 하부에 배출구(112)가 구비되는 세퍼레이터본체(110), 배출구(112)와 연결되어 유체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는 모래수집장치(130) 및, 수평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세퍼레이터본체(110)의 내측에 적층되는 모래를 배출구(112)로 인도하도록 설치되는 경사부(131)를 포함한다.
또한, 유체에 포함된 모래를 1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망(113)을 더 포함한다.
이 때, 메쉬망(113)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 중 모래에 해당되는 부분은 메쉬망(113)의 일측에 부딪혀 경사부(131)로 낙하함으로써, 세퍼레이터본체(110)의 내측에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모래가 세퍼레이터본체(110) 내부에 적층되는 동시에 모래수집장치(130)에 의해 적층된 모래가 수집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모래수집장치(130)는 세퍼레이터본체(110)의 하부에 직각으로 배향되어 있다. 또한, 모래수집장치(130) 형상은 예를 들어, 원통형 용적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원유 생산을 위한 시추선이나 시추용 해양 플랫폼 등에 설치되어, 유입된 유체로부터 모래 함유량이 상당할 경우 모래 제거 장치를 구비한다.
현대식 심해저 분리 디자인에 있어서, 오일/물 분리기 또는 파이프 분리기는 종종 압력 제한으로 인하여 약 30인치 미만의 직경을 가진다. 이러한 제한된 단면적 하에서 분리를 실행할 때, 세퍼레이터의 용량은 물 분사를 위하여 충분한 분리를 원한다면, 유체 속도가 통상적으로 약 0.3 m/s을 초과할 수 없기 때문에 제한된다. 이 속도는 유체 특성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100, 200)의 디자인 길이는 충분한 상 분리를 위해서 필요한 유체 특성 및 최소 잔류 시간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나아가서 유체로부터 모래뿐만 아니라 오일 및 수분도 분리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일례로 3 페이즈 세퍼레이터(3 Phase Separa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퍼레이터본체(110)는 비중에 의해 유체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도록, 예를 들어 디포머팩(Deformer pack)이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원심력에 의해 유체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도록 사이클론(Cyclone, 미도시)이 세퍼레이터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사이클론(미도시)은 모래 용적부를 유동화시키고 하단 배출구(112)를 통해서 세퍼레이터본체(110)로부터 모래를 제거할 것이다.
이에 따라, 모래는 세퍼레이터본체(110)의 내측에 적층되는 동시에 중단 없이 제거될 수 있다.
후술할 세퍼레이터(100,200)에 의한 분리 프로세스는 유체, 예를 들어, 오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액성 유체 및 고체 모래 입자들의 분리를 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액성 유체의 제거는 비록 소금 또는 기타 혼합성 유체와 같은 기타 오염물을 갖는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이하 수분 제거 내지는 배출로 기재된다.
세퍼레이터본체(110)는 유입구(111)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에 포함된 모래를 분리하고, 분리된 모래의 배출을 위하여 배출구(112)가 마련되는데, 나아가서 모래가 분리된 유체를 배출시키도록 유체배출구(도면부호미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배출구는,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본체(110) 내에서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쉬망(113)을 중심으로 배출구(112)가 위치하는 반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유체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유체는 오일 및 수분 등을 포함한다. 이 때, 유체 배출구 역시 메쉬(132)를 포함함으로써, 상술한 유체 내에 잔류해있는 모래를 후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다.
세퍼레이터본체(110)는 비중에 의해 유체로부터 오일성분을 분리해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쉬망(113)을 중심으로 배출구(112)가 위치하는 반대측의 공간에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오일성분은 수분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오일성분의 오버플로우를 위해 세퍼레이터본체(110) 내부에 위어(114)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오일성분은 위어(114)를 중심으로 유체배출구(도면부호미표시)가 위치하는 반대측의 공간에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오일성분 및 수분은 각각이 위치한 공간의 하부에 마련된 오일배출구(116) 및 수분배출구(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아울러 분리된 가스성분 역시 세퍼레이터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된 가스배출구(1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수분의 제거는 유동 보증문제를 완화시켜 오일성분이 더욱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수분 표면으로 이송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200)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세퍼레이터(200)는, 유입구(111)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수용하고, 하부에 배출구(112)가 구비되는 세퍼레이터본체(110), 배출구(112)와 연결되어 유체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는 모래수집장치(130) 및, 수평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세퍼레이터본체(110)의 내측에 적층되는 모래를 배출구(112)로 인도하도록 설치되는 경사부(1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체에 포함된 모래를 1차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망(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세퍼레이터(200)는 경사부(131)에 의해 인도된 모래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배출구(112)를 통해 모래수집장치(130)로 모래가 배출되도록 하는 고압수분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압수분사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131)의 상측에 설치되되 유입구(111) 하부에 위치하는 고압수파이프(121) 및 고압수파이프(121)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복수로 마련되어 하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2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압수분사부(120)는 고압수공급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수를 고압수파이프(121)에 의해 분사노즐(122) 각각으로 분배함으로써 분사노즐(122) 각각을 통해서 세퍼레이터본체(110) 내, 보다 구체적으로, 경사부(131)에 의해 인도되어 적층되어 있는 모래에 분사되도록 한다.
이로써, 고압수의 분사압과 흐름에 의해 모래가 분해 내지 분산되어 배출구(112)를 통해서 모래수집장치(130)로 보다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고압수파이프(121)는 세퍼레이터본체(11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세퍼레이터본체(110) 내에 적정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고, 고압수가 분사되지 아니하는 데드존(Dead zone)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고압수파이프(121)는 다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압수분사부(120)는 고압수파이프(121)가 다수로 이루어지는 경우, 고압수공급시스템으로부터 고압수파이프(121) 각각에 고압수를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고압수가 공급되는 분배파이프(미도시)에 고압수파이프(121) 각각이 연결되게 마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100,200)에 형성된 경사부(131)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사부(131)는 모래수집장치(130)로 배출되지 못한 모래가 세퍼레이터본체(110) 내부에 축적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치된다.
경사부(131)는, 예를 들어 세퍼레이터본체(110)의 내측 하면에 설치되는 메쉬망(113)에 의해 구획되는 모래의 적층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모래 적층 영역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설치되는 형태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경사부(131)가 배출구(112)를 중심으로 경사를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적층된 모래는, 세퍼레이터(100,200)의 진동 내지는 유체의 유동으로 인해 하부 모래수집장치(130)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
모래수집장치(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래가 세퍼레이터본체(110) 내부에 적층되는 동시에 모래수집장치(130)에 의해 적층된 모래가 수집 및 배출될 수 있도록, 세퍼레이터본체(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세퍼레이터본체(110)와 별도의 구성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세퍼레이터(100,2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세퍼레이터본체(110)로 유체가 공급시, 비중이나 원심력에 의해 유체로부터 모래를 분리하게 되는데, 유체로부터 분리된 모래는 메쉬망(113)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바닥, 즉 경사부(131)에 적층된다.
경사부(131)에 적층되는 모래는 배출구(112)를 통해서 배출되는데, 세퍼레이터본체(110)의 바닥에 장시간 위치하게 됨으로써 고체화된 모래는 경사부(131)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배출구(112)로 흘러갈 수 있다.
아울러, 경사부(131)에 적층되는 모래는 고압수분사부(12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 분해 내지 분산되어 경사부(131)를 타고, 보다 용이하게 배출구(112)를 통해서 모래수집장치(130)로 공급될 수 있다.
종래의 세퍼레이터 내 존재하는 모래가 제거되기까지는 본체 내부에 상당한 축적이 이루어질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존재하며, 특히 모래수집장치가 세퍼레이터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 하에서는, 그 시간 동안 분리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든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상당한 정도로 축적된 모래는 유체 분리 중에 세퍼레이터 본체 내부를 따라서 침착될 것이다. 침착된 모래는 세퍼레이터 의 단면적을 차지할 것이고 분리기의 사용 가능한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보유 시간 및 분리 용량을 감소시킨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세퍼레이터 내부에 축적된 모래를 모래수집장치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노즐이 설치되어야 하는 데 이 역시 상술한 공간적인 한계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아울러, 모래가 세퍼레이터 내부에 오랜 기간 축적되어 있을 경우 세퍼레이터에 기능 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오랜 기간 축적되어 고체화된 분해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등 분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하고, 세퍼레이터 내부의 고체화된 모래를 제대로 분해하기 위해서 고압수의 분사압을 크게 할 경우, 노즐 디자인 등에 제약이 따르게 됨으로써 고압수의 분사압을 높이는데 제한이 따르고, 이로 인해 고체화된 모래의 제거 효율을 원하는 만큼 높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세퍼레이터(100, 200)는 모래수집장치(130)를 세퍼레이터본체(110) 내부가 아닌 외측에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분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적 효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유체 내부에 존재하는 모래를 모래수집장치(130)에 수집될 수 있도록 하여 세퍼레이터 본체(110) 내 모래 축적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12)를 중심으로 형성된 경사부(131)를 형성함으로써 유체 내부에 존재하는 모래가 모래수집장치(130)로 용이하게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전술한 세퍼레이터(100, 200)에 의한 분리 프로세스는 또한 유동 라인 인프라구조를 감소시키고, 모래 제거를 위한 설비들의 수를 감소시키고, 전력 및 펌핑 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설비의 병목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세퍼레이터(100, 200)는 고압수분사부(120)를 구비함에 따라 분사부로부터 배출되는 고압수의 분사압과 흐름에 의해 모래가 분해 내지 분산되게 함으로써 모래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제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또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세퍼레이터(100, 200)는 세퍼레이터의 유지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되는 유체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200: 세퍼레이터
110: 세퍼레이터본체
111: 유입구
112: 배출구
113: 메쉬망
114: 위어
115: 수분배출구
116: 오일배출구
117: 가스 배출구
120: 고압수분사부
121: 고압수파이프
122: 분사노즐
130: 모래수집장치
131: 경사부
132: 메쉬

Claims (5)

  1. 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체를 수용하고, 하부에 배출구가 구비되는 세퍼레이터본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로부터 모래를 분리하는 모래수집장치; 및
    수평에 대해 경사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퍼레이터본체의 내측에 적층되는 모래를 상기 모래수집장치로 인도하도록 설치되는 경사부; 를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에 포함된 모래를 걸러내도록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망;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래는 상기 메쉬망의 일측에 부딪혀 상기 경사부로 낙하하여 상기 세퍼레이터본체의 내측에 적층되도록 마련되는
    세퍼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메쉬망에 의해 구획되는 모래의 적층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세퍼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 의해 인도된 모래에 고압수를 분사하여, 상기 모래수집장치로 상기 모래가 배출되도록 하는 고압수분사부; 를 더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분사부는
    상기 경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고압수파이프; 및
    상기 고압수파이프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서 복수로 마련되어 하방으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





KR1020170125147A 2017-09-27 2017-09-27 세퍼레이터 KR201900361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147A KR20190036199A (ko) 2017-09-27 2017-09-27 세퍼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5147A KR20190036199A (ko) 2017-09-27 2017-09-27 세퍼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199A true KR20190036199A (ko) 2019-04-04

Family

ID=6610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147A KR20190036199A (ko) 2017-09-27 2017-09-27 세퍼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1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39A (ko) * 2020-06-25 2022-01-03 이근식 기능성 제트 펌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139A (ko) * 2020-06-25 2022-01-03 이근식 기능성 제트 펌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0955B (zh) 用于分离包括水、油以及气体的流体的分离罐、该分离罐的应用以及用于分离包括水、油以及气体的流体的方法
CN101330953B (zh) 用于分离井产流体的分离罐及分离方法
KR100326678B1 (ko) 액체/고체분리방법
US6315837B1 (en) Oil-sand separation
CA2669710C (en) Sand separation vessel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CN111629803B (zh) 具有用于清除积砂的冲洗系统的多相分离器及使用该分离器的方法
SK286611B6 (sk) Kombinovaná odplyňovacia a flotačná nádrž a jej použitie
RU2008132148A (ru) Способ и реактор для анаэроб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101918674A (zh) 一种防止排水暂存箱中淤泥硬化的装置
WO2013040002A1 (en) Enhanced separation of nuisance materials from wastewater
CN101182080A (zh) 一种水处理分离器装置
US77044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particulate matter
KR20190036199A (ko) 세퍼레이터
KR101807776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가압부상분리장치
US20070227561A1 (en) Reactor for washing particulate matter
KR20180132481A (ko) 선박 폐유수 이동식 처리 시스템
KR20180132480A (ko) 이동식 선박 폐유수 처리 시스템
CN106669280A (zh) 一种螺旋导流旋流分离沉淀装置
JP2010000459A (ja) 固液分離洗浄システム
KR101465718B1 (ko) 밸러스트수 공급 시스템 및 밸러스트수 공급 방법
CN209039197U (zh) 煤制烯烃含油废水的液相聚结双锥多通道油水分离装置
RU2714347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епромысл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для закачки в пласт
RU2082674C1 (ru) Способ осветления промышлен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660875C2 (ru) Фильт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