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934B1 - 해수 부상 장치 - Google Patents

해수 부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934B1
KR102266934B1 KR1020190146268A KR20190146268A KR102266934B1 KR 102266934 B1 KR102266934 B1 KR 102266934B1 KR 1020190146268 A KR1020190146268 A KR 1020190146268A KR 20190146268 A KR20190146268 A KR 20190146268A KR 102266934 B1 KR102266934 B1 KR 10226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reaction
container
inlet
plas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6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171A (ko
Inventor
한정호
Original Assignee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6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 부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수 부상 장치는, 내부에 해수가 머무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오염 해수, 가스 및 플라즈마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서 오염 해수 및 플라즈마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반응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내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부 및 하부를 관통되는 반응홀이 형성되는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의 위에 상기 내부 용기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게 제공되고, 상기 반응홀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유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반응홀에 상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플라즈마, 가스 및 유입수를 공급한다.

Description

해수 부상 장치{FLOTATION APPARATUS FOR SEAWATER}
본 발명은 해수 중의 유기물질 및 탁도물질 등의 경질 입자를 부상시켜 제거하는 해수 부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활어차나 양식장 등에서 해수 중의 유기물질이나 그 외의 탁도 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프로틴 스키머(Protain skimmer) 등의 해수 부상 장치는 일반적으로 수조 내의 물과 외부 공기로 만들어진 기포를 이용하여 수조 내 불순물을 물리적으로 제거한다.
일반적인 해수 부상 장치는 나노 버블 장치 또는 마이크로 버블 장치를 이용하여 기포를 형성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해수 부상 장치는 장치 내로 해수를 유입시키는 유입 펌프의 가동 초기에 처리가 되지 않은 해수가 배출되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해수 부상 장치는 침전 물질이 누적되는 경우 제거가 어려워 부패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나노 버블 장치 및 마이크로 버블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해수 부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 펌프의 가동 초기에 처리가 되지 않은 해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수 부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적된 침전 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해수 부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해수 부상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수 부상 장치는, 내부에 해수가 머무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오염 해수, 가스 및 플라즈마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서 오염 해수 및 플라즈마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반응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내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부 및 하부를 관통되는 반응홀이 형성되는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의 위에 상기 내부 용기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게 제공되고, 상기 반응홀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유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반응홀에 상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플라즈마, 가스 및 유입수를 공급한다.
상기 반응 부재는 외측 둘레면이 상기 내부 용기의 내측 둘레면과 이격되게 제공되고, 상기 반응홀의 내측면은 상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졌다가 커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반응홀의 내측면의 최소 직경은 상기 외측 둘레면 및 상기 내측 둘레면 간의 간격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체 공급부는, 오염 해수를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이송 압력을 제공하는 유입 펌프와; 상기 유입 펌프로부터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이동되는 오염 해수에 플라즈마 및 공기를 혼합시키는 혼합부와; 상기 유입 펌프로 유입되는 오염 해수가 지나는 유입 라인을 개폐하는 유입 밸브와; 상기 유입 라인의 상기 유입 펌프 및 상기 유입 밸브의 사이와 상기 외부 용기 간에 유체가 이동되도록 제공되는 순환 라인을 개폐하는 순환 밸브와; 상기 유입 펌프가 가동되면 상기 순환 라인를 열고 상기 유입 라인을 닫고, 이 후, 상기 순환 라인을 닫고, 상기 유입 라인를 열도록 상기 유입 밸브 및 상기 순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나노 버블 장치 및 마이크로 버블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 해수 부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 펌프의 가동 초기에 처리가 되지 않은 해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수 부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누적된 침전 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해수 부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수 부상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응부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수 부상 장치(1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수 부상 장치(10)는 활어차나 양식장 등에서 해수 중의 유기물질이나 그 외의 탁도 물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해수 부상 장치(10)는 외부 용기(100), 유체 공급부(200), 반응부(300) 및 수질 측정부(400)를 포함한다.
외부 용기(100)의 내부에는 불순물 제거 처리 전의 해수가 유입되어 머문다. 외부 용기(100)의 내부의 반응부(300)의 위에는 거름 부재(101)가 제공된다. 거름 부재(101)는 해수에서 부상된 불순물을 거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거름 부재(101)는 반응부(300)의 내부 용기(310)의 개방된 상면에 대응되는 영역이 개방되도록 외부 용기(10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거름 부재(101)의 가장자리 영역은 내측으로 갈수록 위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반응부(300)에서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기포에 의해 부상된 불순물은 거름 부재(101)의 개방된 영역을 통해 외측으로 넘쳐 부유물 배출 라인(102)을 통해 배출된다. 부유물 배출 라인(102)은 외부 용기(100)의 측벽의 거름 부재(101)의 개방된 영역보다 낮은 위치에 연결된다.
외부 용기(100)에는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 라인(103)이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 배출 라인(103)은 외부 용기(100)의 상벽에 연결된다. 외부 용기(100)의 내부에서 플라즈마 및 오염 해수의 반응시 생성되는 가스는 가스 배출 라인(10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외부 용기(100)의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 배출 라인(103)의 외부 용기(100)와 연결된 끝단의 반대측 끝단은 플라즈마 제거 장치(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플라즈마 제거 장치는 배출 가스에 잔류하는 플라즈마를 제거한다.
외부 용기(100)의 내부에서의 반응에 의해 부유물이 제거된 해수는 해수 배출 라인(10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해수 배출 라인(104)은 외부 용기(100)의 내부 용기(310)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연결된다. 예를 들면, 해수 배출 라인(104)은 외부 용기(100)의 저면의 반응부(300)가 위치된 위치보다 외측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해수 배출 라인(104)의 해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는 외부 용기(100) 내의 수위를 적절히 유지시키기 위하여 유체가 유지되어야하는 수위에 대응되는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구는 거름 부재(101)보다 낮고, 내부 용기(310)의 상단보다 높은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유체 공급부(200)는 외부 용기(100)의 내부로 불순물 제거 처리 전의 오염 해수, 가스 및 플라즈마를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체 공급부(200)는 반응 부재(320)의 반응홀(321)에 상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플라즈마, 가스 및 유입수가 혼합된 유체를 공급한다. 유체 공급부(200)는 유입 펌프(210), 혼합부(220), 유입 밸브(230), 순환 밸브(240), 제어부(미도시), 플라즈마 생성부(250), 가스 공급 라인(260) 및 가스 유량계(27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펌프(210)는 오염 해수를 외부 용기(100)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이송 압력을 제공한다.
혼합부(220)는 유입 펌프(210)로부터 외부 용기(100)의 내부로 이동되는 오염 해수에 플라즈마 및 공기를 혼합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혼합부(220)는 유입 펌프(210)로부터 외부 용기(100)의 내부로 이동되는 오염 해수가 지나는 라인에 연결되는 인젝터(Inj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밸브(230)는 유입 라인(231)을 개폐한다. 오염 해수는 유입 라인(231)을 지나 유입 펌프(210)로 유입된다.
순환 밸브(240)는 순환 라인(241)을 개폐한다. 순환 라인(241)은 유입 라인(231)의 유입 펌프(210) 및 유입 밸브(230)의 사이와 외부 용기(100) 간에 유체가 이동되도록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순환 밸브(240)가 열리면 외부 용기(100)의 내부의 유체가 유입 라인(231)의 유입 펌프(210) 및 유입 밸브(230)의 사이로 순환 라인(241)을 통해 이동된다.
제어부는 유입 밸브(230) 및 순환 밸브(240)를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유입 펌프(210)가 가동되면 순환 라인(241)을 열고 유입 라인(231)을 닫고, 이 후, 순환 라인(241)을 닫고 유입 라인(231)을 열도록 유입 밸브(230) 및 순환 밸브(24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는 유입 펌프(210)가 가동되면 순환 라인(241)을 열고 유입 라인(231)을 닫도록 유입 밸브(230) 및 순환 밸브(240)를 제어한 후, 외부 용기(100) 내의 유체의 표면(20)에 기포가 일정량 이상 발생되면 순환 라인(241)을 닫고 유입 라인(231)을 열도록 유입 밸브(230) 및 순환 밸브(240)를 제어한다. 따라서, 유입 펌프(210)의 가동 초기에는 오염 해수가 새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 용기(100)내의 오염 해수, 가스 및 플라즈마의 혼합 유체만이 순환하여 서로 반응함으로써, 처리가 되지 않은 해수가 해수 배출 라인(104)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라즈마 생성부(250)는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플라즈마 생성부(250)에서 생성된 플라즈마는 가스 공급 라인(260)을 흐르는 가스의 유동에 의한 음압에 의해, 가스 공급 라인(260)에 연결되는 라인을 통해 가스 공급 라인(260) 내로 유입되어 가스와 함께 혼합부(220)로 이동된다.
가스는 가스 공급 라인(260)을 통해 혼합부(220)로 공급된다. 가스는 인젝터 내의 오염 해수의 유동에 의한 음압에 의해 가스 공급 라인(260)을 통해 인젝터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스는 공기로 제공될 수 있다.
가스 공급 라인(260)에는 가스 유량계(270)가 제공될 수 있다. 가스 공급 라인(260)을 통해 혼합부(220)로 전달되는 가스는 가스 유량계(270)를 지난다. 가스 유량계(270)는 가스 공급 라인(260)을 통해 이동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한다. 가스 유량계(270)에 의해 측정된 압력 값은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는 전달된 압력값에 따라 가스 공급 라인(260)에 제공된 밸브를 제어하여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반응부(300)의 일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반응부(300)는 외부 용기(100)의 내부에서 오염 해수 및 플라즈마 간의 반응을 촉진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응부(300)는 내부 용기(310), 반응 부재(320), 유도 플레이트부(330)를 포함한다.
내부 용기(310)는 외부 용기(100)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면이 개방된다. 내부 용기(310)의 상단은 외부 용기(100) 내부의 해수의 수위가 정상 위치인 경우, 유체의 표면(20)보다 낮게 제공된다. 내부 용기(310)의 상단의 높이는 해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부에 부유물이 잘 모일 수 있는 최소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반응 부재(320)는 내부 용기의 내부에 제공된다. 반응 부재(320)에는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반응홀(321)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응 부재(320)는 외측 둘레면이 내부 용기(310)의 내측 둘레면과 이격되게 제공된다.
반응홀(321)의 내측면은 상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졌다가 커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응홀(321)의 상단으로부터 최소 직경을 가지는 위치까지의 길이는 최소 직경을 가지는 위치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반응홀(321)의 내측면의 최소 직경 및 반응 부재(320)의 외측 둘레면 및 내부 용기(310)의 내측 둘레면 간의 간격은 오염 해수, 가스 및 플라즈마의 혼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반응홀(321)의 상부로 최대한 혼합 유체의 반송을 유도할 수 있는 값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반응홀(321)의 내측면의 최소 직경은 반응 부재(320)의 외측 둘레면 및 내부 용기(310)의 내측 둘레면 간의 간격보다 크게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홀(321)의 내측면의 최소 직경은 반응 부재(320)의 외측 둘레면 및 내부 용기(310)의 내측 둘레면 간의 간격의 두배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용기(100) 내에서 플라즈마가 오염 해수 내의 오염 물질의 분자를 저분자화하고, 대전시킴으로써 부유물 응집작용을 촉진하여, 부유물의 부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에 포함된 오존이 해수에 포함된 브롬 음이온(Br-)과 반응하여 산화력이 강한 HOBr이 생성됨으로써, 생성된 HOBr에 의해 유기물이 산화되고, 살균되며, 색도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HOBr은 산화제로서 오염물을 응집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유도 플레이트부(330)는 내부 용기(310)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게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도 플레이트부(330)는 내측으로 갈수록 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유도 플레이트부(330)는 반응 부재(320)의 위에 제공된다. 유도 플레이트부(330)의 반응홀(321)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유도 플레이트부(330)가 형성된다. 반응홀(321)의 상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혼합 유체는 반응 부재(320)의 외측면 및 내부 용기(310)의 내측면의 사이를 따라 위로 상승하고, 유도 플레이트부(330)의 저면에 부딪혀 일부가 다시 반응홀(321)의 상부로 유입된다.
개구(331)의 직경은 오염 해수, 가스 및 플라즈마의 혼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반응홀(321)의 상부로 최대한 혼합 유체의 반송을 유도할 수 있는 값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331)의 직경은 반응홀(321)의 최소 직경과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반응 부재(320) 및 유도 플레이트부(330)는 처리 수량에 따라 복수개가 병렬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응 부재(320) 및 유도 플레이트부(330)가 제공됨으로써, 혼합 유체의 일부가 반응홀을 복수회 순환하면서, 오염 해수, 가스 및 플라즈마 간의 접촉 효율을 증가시키고, 와류가 유도되어 오염 해수, 가스 및 플라즈마의 혼합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플라즈마와 오염 해수 내의 오염 물질 간의 응집 반응을 부유물의 발생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세 버블이 발생되고 외부 용기(100) 내의 유체의 표면(20)에 거품층이 형성된다. 미세 거품에 의해 부상된 부유물은 거름 부재(101)에 의해 걸러져 부유물 배출 라인(102)을 통해 배출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내부 용기(310)의 하부에는 호퍼(Hopper, 340)가 제공될 수 있다. 호퍼(340)는 내부 용기(310)의 내부의 반응에 의해 발생되는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제공된다. 호퍼(340)는 상부가 내부 용기(31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제공된다. 호퍼(340)는 저면이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제공된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호퍼(340)의 저면은 수평 방향에 대해 65°의 경사를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호퍼(340)가 담수에 사용되는 호퍼의 경사도인 45°보다 큰 경사도를 가지도록 제공됨으로써, 담수 침전물에 비해 점성이 강한 해수 침전물을 보다 쉽게 경사를 따라 배출시킬 수 있다. 호퍼(340)에 일정량 이상의 침전물이 쌓이거나, 해수 부상 장치(10)를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한 경우, 침전물 제거를 위해 해수 부상 장치(1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호퍼(340)에 쌓인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
수질 측정부(400)는 외부 용기(100)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후 배출되는 배출 해수의 수질을 측정한다. 제어부는 수질 측정부(400)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유입 밸브(230) 및 순환 밸브(240) 및/또는 플라즈마 생성부(250)를 제어하여 배출 해수의 수질을 유지시키도록 오염 해수 및 플라즈마의 공급량을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질 측정부(400)는 ORP(Oxidation-Reduction Potential) 또는 TRO(Total Residual Oxidant) 값을 측정하는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OBr은 총잔류산화제(TRO)로서 어류에게도 영향을 줌으로써, 제어부는 수질 측정부(400)에서 측정되는 TRO 값이 활어차 또는 양식장 내의 어류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치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유입 밸브(230), 순환 밸브(240) 또는 플라즈마 생성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질 측정부(400)는 해수 배출 라인(104)과 연결된 라인으로부터 배출 해수의 샘플을 추출하여 수질을 측정한다. 해수 배출 라인(104)과 연결된 라인의 해수 배출 라인(104)에 연결되는 높이는 외부 용기(100) 내의 수위를 적절히 유지시키기 위하여 해수 배출 라인(104)의 배출구와 동일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수 부상 장치(10)는 플라즈마 및 가스를 오염 해수와 함께 외부 용기(100)에 공급하여 플라즈마와 오염 물질을 반응시켜 부유물 및 기포를 생성하여 부유물질을 부유시켜 제거함으로써, 별도의 나노 버블 장치 및 마이크로 버블 장치가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해수 부상 장치(10)는 하나의 유입구를 통하여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일반적인 해수 프로틴 스키머에 요구되는 다수의 유입구, 배출구 및 반송펌프라인의 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해수 부상 장치(10)는 가동 초기에는 외부 용기(100) 내의 유체를 자체 순환시켜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유입 펌프의 가동 초기에 처리가 되지 않은 해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해수 부상 장치 100: 외부 용기
101: 거름 부재 102: 부유물 배출 라인
103: 가스 배출 라인 104: 해수 배출 라인
200: 유체 공급부 210: 유입 펌프
220: 혼합부 230: 유입 밸브
240: 순환 밸브 250: 플라즈마 생성부
260: 가스 공급 라인 270: 가스 유량계
300: 반응부 310: 내부 용기
320: 반응 부재 321: 반응홀
330: 유도 플레이트부 331: 개구
340: 호퍼 400: 수질 측정부

Claims (3)

  1. 내부에 해수가 머무는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오염 해수, 가스 및 플라즈마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부와;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서 오염 해수 및 플라즈마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반응부를 포함하되,
    상기 반응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면이 개방되는 내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부 및 하부를 관통되는 반응홀이 형성되는 반응 부재와;
    상기 반응 부재의 위에 상기 내부 용기의 내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게 제공되고, 상기 반응홀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유도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반응홀에 상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플라즈마, 가스 및 유입수를 공급하는 해수 부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부재는 외측 둘레면이 상기 내부 용기의 내측 둘레면과 이격되게 제공되고,
    상기 반응홀의 내측면은 상부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졌다가 커지도록 제공되고,
    상기 반응홀의 내측면의 최소 직경은 상기 외측 둘레면 및 상기 내측 둘레면 간의 간격보다 크게 제공되는 해수 부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오염 해수를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이동시키는 이송 압력을 제공하는 유입 펌프와;
    상기 유입 펌프로부터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로 이동되는 오염 해수에 플라즈마 및 공기를 혼합시키는 혼합부와;
    상기 유입 펌프로 유입되는 오염 해수가 지나는 유입 라인을 개폐하는 유입 밸브와;
    상기 유입 라인의 상기 유입 펌프 및 상기 유입 밸브의 사이와 상기 외부 용기 간에 유체가 이동되도록 제공되는 순환 라인을 개폐하는 순환 밸브와;
    상기 유입 펌프가 가동되면 상기 순환 라인를 열고 상기 유입 라인을 닫고, 이 후, 상기 순환 라인을 닫고, 상기 유입 라인를 열도록 상기 유입 밸브 및 상기 순환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수 부상 장치.
KR1020190146268A 2019-11-15 2019-11-15 해수 부상 장치 KR102266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268A KR102266934B1 (ko) 2019-11-15 2019-11-15 해수 부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6268A KR102266934B1 (ko) 2019-11-15 2019-11-15 해수 부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171A KR20210059171A (ko) 2021-05-25
KR102266934B1 true KR102266934B1 (ko) 2021-06-18

Family

ID=7614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6268A KR102266934B1 (ko) 2019-11-15 2019-11-15 해수 부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9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910A (ja) 2009-09-04 2011-03-17 Asahi Glass Co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14514964A (ja) 2011-12-01 2014-06-26 ミリョン エ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プラズマ水処理装置
KR101437373B1 (ko) 2014-02-24 2014-09-16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수족관용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KR101977787B1 (ko) 2018-01-03 2019-08-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플라즈마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해수 담수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787B1 (ko) * 2010-08-11 2013-11-11 (주)미리내 수족관 등에 설치되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20150048585A (ko) * 2013-10-28 2015-05-07 주식회사 엔에스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910A (ja) 2009-09-04 2011-03-17 Asahi Glass Co Ltd プラズマ処理装置
JP2014514964A (ja) 2011-12-01 2014-06-26 ミリョン エ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プラズマ水処理装置
KR101437373B1 (ko) 2014-02-24 2014-09-16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수족관용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KR101977787B1 (ko) 2018-01-03 2019-08-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플라즈마 전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해수 담수화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해수 담수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171A (ko)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2099B1 (ko) 미세기포의 안정적 발생구조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수처리장치
KR101779748B1 (ko) 수처리 시스템
KR101835271B1 (ko) 오존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시스템
KR101647341B1 (ko)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KR100931987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상수, 중수,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하는 수처리 장치
KR100978070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KR10227837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한 수처리 장치
JP2011000583A (ja) 廃液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679739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KR101163089B1 (ko)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KR102093758B1 (ko) 와류식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활용한 장방형 고효율 가압고액분리 수처리장치
CN108622997A (zh) 承压式净化装置
KR101554211B1 (ko) 직분사를 이용한 고액 부상 분리 장치
KR101200290B1 (ko)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KR102266934B1 (ko) 해수 부상 장치
KR101774488B1 (ko)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369975B1 (ko) 무동력 플럭응집 장치
KR20140105150A (ko) 다목적 해양오염 방제선
JP2007260614A (ja) 凝集反応装置
JP4930340B2 (ja) 加圧浮上装置
KR101989833B1 (ko) 연속 순환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KR20170084854A (ko) 대기공기를 이용한 용존공기부상 시스템
KR101522386B1 (ko) 고효율 포화기를 구비한 용존공기부상분리장치
KR101761246B1 (ko) 수위조절식 부상분리조가 구비된 선회식 가압부상장치
JP2010058066A (ja) 加圧浮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