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341B1 -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341B1
KR101647341B1 KR1020160019661A KR20160019661A KR101647341B1 KR 101647341 B1 KR101647341 B1 KR 101647341B1 KR 1020160019661 A KR1020160019661 A KR 1020160019661A KR 20160019661 A KR20160019661 A KR 20160019661A KR 101647341 B1 KR101647341 B1 KR 10164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action space
reaction
sea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호
Original Assignee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01F3/04248
    • B01F5/0057
    • B01F5/0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01F2215/005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조로 유입되는 해수를 선회시켜 원심력에 의한 고형물질 제거와, 오존 및 공기와의 균일한 혼합을 통한 살균, 수중의 용존성 유기물 제거 및 응집효과의 극대화, 이산화탄소 탈기 등과 같은 처리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는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오존 및 공기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상기 유입관이 하부에 연결되어 오존 및 공기와 혼합된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관이 접선방향으로 연결되어 해수를 내측면 접선방향으로 토출함에 따라 해수가 내부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는 원통형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하측 내면에서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콘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반응조 내부공간을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반응공간과,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반응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2 반응공간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응조의 상기 제1, 2 반응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가이드 배관; 그리고, 상기 제2 반응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반응공간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QUACULTURE TANK}
본 발명은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조로 유입되는 해수를 선회시켜 원심력에 의한 고형물질 제거와, 오존 및 공기와의 균일한 혼합을 통한 살균, 수중의 용존성 유기물 제거 및 응집효과의 극대화, 이산화탄소 탈기 등과 같은 처리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연안어장의 오염과 노화현상 등에 의해 연안수역에서의 양식은 그 생산성이 뚜렷하게 저하되고 있고, 나아가 적조 등의 자연재해의 증가에 따른 양식적지를 확보하기 어려워짐에 따라, 육상에 양식시설을 갖춘 육상수조식 양식장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육상수조식 양식장은 연안오염의 증가에 따른 사육수의 안정적인 확보가 어려워 폐사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육상수조식 양식장에 있어서는 유입수 및 순환수, 배출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재순환하여 사용하는 방법의 개발이 매우 절실하다.
종래 양식수조에 유입되는 유입수, 순환수, 최종배출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중력침전방법과 드럼스크린을 사용하는 방법, 모래여과, 사이클론 시설과 함께 자외선, 전기분해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처리장치는 대부분 담수용 및 소용량으로서 상업용 규모(대용량)에 적용이 어렵고 유지관리상의 어려움과 오염물질 제거 및 살균을 동시 처리가 가능하지 않고 오염물질의 제거효율도 낮아 비경제성 및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오존 및 공기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상기 유입관이 하부에 연결되어 오존 및 공기와 혼합된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관이 접선방향으로 연결되어 해수를 내측면 접선방향으로 토출함에 따라 해수가 내부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는 원통형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하측 내면에서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콘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반응조 내부공간을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반응공간과,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반응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2 반응공간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응조의 상기 제1, 2 반응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가이드 배관; 그리고, 상기 제2 반응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반응공간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배관은 해수가 유입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 내경이 감소하는 제1 배관부와, 상기 제1 배관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해수를 상기 제2 반응공간으로 배출시키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 내경이 증가하는 제2 배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 배관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2 반응공간으로 배출된 해수를 상기 제2 배관부로 재유입시켜 해수를 상기 제2 반응공간과 상기 제2 배관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유입홀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반응공간에는 자동밸브에 의해 주기적으로 개방되어 수면으로 부상하는 유기물 및 부상물질을 해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제거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 제거배관은 부상물질(유기물 등)을 안정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고, 하면은 상기 제2 반응공간의 수면으로 부상하는 유기물 및 고형물질이 부착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반응공간에는 상기 부유물 제거배관이 자동밸브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각각 측정하여 상기 부유물 제거배관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2 센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부유물 제거 자동밸브와 연결된 배출관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2 반응공간의 내측면 및 안쪽으로 유도되는 부상물질을 빠른 시간에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반응공간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반응공간에는 흡입관을 통해 해수를 빨아들인 후 분사노즐을 통해 해수를 선회류 방향으로 분사하여 선회류 속도를 증가시키는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반응공간에는 밸브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제1, 2 반응공간에 쌓이는 모래와 같은 침강물질을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형물 제거배관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형물 제거배관의 흡입구는 침강물질을 쉽게 빨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반응공간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는 반응조 내부로 유입되는 해수를 선회시켜 비중이 큰 고형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수에 오존 및 공기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살균, 수중의 용존성 유기물 제거, 오존과 해수가 반응함에 따른 TRO(Total Residual Oxidant: 총 잔류산화물)생성과 부상물질의 응집력 증대를 통하여 유기물 및 기타 부상물질(세균, 기생충 포함)을 효과적으로 부상시켜 신속하게 처리하도록 하며 수중의 이산화탄소의 탈기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는 반응조를 제1, 2 반응공간으로 구획하여 해수에 함유된 이물질이 단계적으로 분리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 반응공간에서 선회류와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체류시간의 극대화를 꾀하여 해수의 처리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관을 통해 반응조 내부로 해수가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이 제2 반응공간에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배관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는 유입관(100)과, 가스공급부(200)와, 반응조(300)와, 격벽(400)과, 가이드 배관(500)과, 배출관(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관(100)은 양식수조 등에 연결되어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면 이를 이하 설명할 반응조(300)로 공급한다. 이러한 유입관(100)에는 개폐밸브(미도시)와, 해수 공급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펌프(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공급부(200)는 유입관(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오존 및 공기를 미세버블(Micro Bubble) 즉, 미세기포 형태로 유입관(100) 내부에 분사하여 해수와 혼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스공급부(200)는 공기를 유입관(100)으로 불어넣는 에어 블로워(210)와, 오존을 발생시켜 에어 블로워(210)에 공급하는 오존발생장치(220)로 구성된다. 가스공급부(200)의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관을 통해 반응조 내부로 해수가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반응조(300)는 원통형으로 제작되며, 유입관(100)이 하부에 연결되어 내부에 오존 및 공기와 혼합된 해수가 유입된다. 이때, 유입관(1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반응조(300)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되어 해수를 반응조(300)의 내측면 접선방향으로 토출함에 따라 해수는 반응조(300) 내부에서 소용돌이 형태의 선회류를 형성한다.
해수가 반응조(300) 내부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면, 해수에 함유된 모래와 같은 하중이 큰 침강물질(A)은 반응조(300) 바닥면에 가라앉아 쌓이고, 고형물질(B)은 원심력에 의해 반응조(300) 내벽으로 밀려나며,(도 3 참조) 또한 미세기포가 해수와 균일하게 혼합되면서 해수에 함유된 단백질, 콜로이드성 물질, 부유성 물질 등은 기체와 반응하면서 반응조(300) 상부로 부상한다. 따라서 반응조(300)로 유입된 해수는 모래와 같은 침강물질(A)과 분리되어 정화되며, 이때 오존 기포에 의한 해수의 살균과 동시에 TRO(Total Residual Oxidant: 총 잔류산화물)를 생성하고 유기물질의 응집효과를 생성시킨다.
상기 격벽(400)은 반응조(300)의 하측 내면에서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콘(Cone)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격벽(400)이 설치되면, 반응조(300) 내부 공간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반응공간(310)과,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반응공간(320)으로 구획되므로 해수는 도 2와 같이 유입관(100)을 통해 반응조(300)의 제1 반응공간(310)으로 토출되어 선회류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배관(500)은 격벽(400)의 중앙부에서 제2 반응공간(320)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반응조(300)의 제1, 2 반응공간(310,320)을 상호 연통시킨다. 따라서, 제1 반응공간(310)에 지속적으로 해수가 공급되면, 해수는 격벽(400)과, 가이드 배관(50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제2 반응공간(320)으로 유입되며, 이때 해수는 단면이 감소하는 콘 형태의 격벽(400)을 통과하며 속도가 빨라져 미세기포와 더욱 활발하게 반응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 배관(500)은 해수가 유입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 내경이 감소하는 제1 배관부(510)와, 제1 배관부(510)의 상측에 연결되어 해수를 제2 반응공간(320)으로 배출시키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 내경이 증가하는 제2 배관부(52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이드 배관(500)을 통과하는 해수는 내경이 감소하는 제1 배관부(510)를 통과할 때 유속이 최대가 되어 미세기포와의 반응이 극대화된 후 제2 배관부(520)를 통과하며 유속이 감소되어져 제2 반응공간(320)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제1, 2 배관부(510,520)의 연결부위에는 유입홀(530)이 관통형성된다. 유입홀(530)은 제2 반응공간(320)으로 배출된 해수를 제2 배관부(520)로 재유입시켜 해수가 제2 반응공간(320)과 제2 배관부(520) 사이를 순환하도록 한다.
해수의 유속은 제1 배관부(510)를 통과할 때 즉, 제1, 2 배관부(510,520)의 연결부위에서 최대가 되므로 유속과 반비례하는 가이드 배관(500)의 내부 압력은 자연히 제1, 2 배관부(510,520)의 연결부위에서 최저가 된다. 따라서 제1, 2 배관부(510,520)의 연결부위에 유입홀(530)이 형성되면, 제2 반응공간(320)으로 배출된 해수가 압력차에 의해 유입홀(530)로 재유입되므로 해수가 자연적으로 제2 반응공간(320)과 제2 배관부(520) 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반응공간(320)으로 유입된 해수는 선회류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 반응공간(320)과 제2 배관부(520) 사이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며 미세기포와 더욱 균일하게 혼합되므로 함유된 이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되게 된다.
상기 배출관(600)은 제2 반응공간(320)에 연결되어 제2 반응공간(320)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출된 처리수는 고가수조 등으로 보내져 저장되어져 있다가 양식수조로 공급되거나 직접 양식수조로 공급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이 제2 반응공간에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배출관(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심력에 의해 제2 반응공간(320)의 내측면으로 밀려난 고형물질(B)이 처리수와 함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2 반응공간(320)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위치된다.
한편, 제2 반응공간(320)에는 밸브에 의해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개방되어 수면으로 부상하는 유기물을 해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제거배관(700)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수가 제1, 2 반응공간(310,320)에서 선회류를 형성하고, 또한 제2 반응공간(320)과 제2 배관부(520) 사이를 연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미세기포와 균일하게 혼합되면, 해수에 함유된 단백질, 콜로이드성 물질, 부유성 물질 등이 미세기포에 포집되어 제2 반응공간(320) 수면으로 부상하므로 부유물 제거배관(700)을 제2 반응공간(320)에 설치하여 부상된 유기물 및 고형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해줌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배관의 구조를 좀더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부유물 제거배관(7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물을 내부로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또한 제2 반응공간(320)의 수면으로 부상하는 유기물 및 고형물질(B)이 부착하지 않도록 하면(710)이 경사진 구조를 이룬다.
또한, 제2 반응공간(320)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제1, 2 센서(S1,S2)가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된다. 제1, 2 센서(S1,S2)는 부유물 제거배관(700)이 개방됨에 따를 수위변화를 측정하여 부유물 제거배관(700)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부유물 제거배관(700)이 주기적으로 개방되어 부유물과 함께 해수를 배출시키면, 제1, 2 센서(S1,S2)가 감지하는 제2 반응공간(320)의 수위 역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제1, 2 센서(S1,S2)가 측정하는 수위가 일정시간 이상 변화가 없거나 수위가 변화하는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소요되면, 부유물 제거배관(700)의 밸브에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부유물 제거배관(700)이 유기물에 의해 막혔다고 볼 수 있으므로 수리나 점검을 통해 부유물 제거배관(700)을 신속하게 정상작동시킬 수 있다. 미설명부호 S는 제1, 2 센서의 설치를 위해 제2 반응공간에 구비되는 설치 플레이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펌프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제2 반응공간(3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H1)을 통해 해수를 빨아들인 후 분사노즐(H2)을 통해 해수를 선회류 방향으로 분사하는 펌프(P)가 설치된다.
따라서, 해수가 가이드 배관(500)을 통과하며 유속이 저하된 상태로 제2 반응공간(320)으로 유입되더라도 펌프(P)를 동작시켜 도 5와 같이 선회류 방향으로 해수를 토출함으로써 제2 반응공간(320)에서의 선회류 속도를 강제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제1, 2 반응공간(310,320)에는 밸브에 의해 개방되어 제1, 2 반응공간(310,320)의 바닥면에 쌓이는 모래와 같은 침강물질(A)을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형물 제거배관(900)이 각각 설치된다. 고형물 제거배관(900)은 바닥에 쌓인 침강물질(A)을 효과적으로 빠르게 빨아들일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가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2 반응공간(320)의 바닥면은 격벽(400) 상면을 의미하고, 격벽(400)이 콘 형상을 이루므로 제2 반응공간(320)에서 하강하는 침강물질(A)은 격벽(400)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려 격벽(400)의 외곽 상면에 쌓인다. 따라서 제2 반응공간(320)에 설치되는 고형물 제거배관(900)은 흡입구가 격벽(400)의 외곽 상면을 향하게 설치된다.
한편, 반응조(300)의 상단부에는 제2 반응공간(320)의 수면 위로 부상하는 거품(C)과 부유물을 제거해주는 스컴(Scum) 제거장치(800)가 설치된다.
해수가 미세기포와 혼합될 때 부유물과 함께 많은 거품(C)이 발생하여 제2 반응공간(320)의 수면 위로 부상하며, 특히 거품(C)은 반응조(300)의 내부압력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상술한 부유물 제거배관(700)과 별도로 스컴(Scum) 제거장치(800)를 설치하여 제2 반응공간(320)의 수면 위로 상승하는 거품(C)과 부유물을 신속하게 제거해 줌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거품(C)과 함께 스컴 제거장치(900)로 유입되는 오존이 외부로 배출되면 환경오염을 유발하므로 오존은 별도의 안내배관(810)을 통해 잉여오존파괴장치로 보내져 분해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스컴제거장치(800)는 도 1과 같은 원통형이 아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은 그 범위가 전술된 바에 한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고, 그 균등물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유입관 200: 가스공급부
300: 반응조 310: 제1 반응공간
320: 제2 반응공간 400: 격벽
500: 가이드 배관 510: 제1 배관부
520: 제2 배관부 530: 유입홀
600: 배출관 700: 부유물 제거배관
800: 스컴 제거장치 900: 고형물 제거배관
P: 펌프 H1: 흡입관
H2: 분사노즐 A: 침강물질
B: 고형물질

Claims (7)

  1. 해수가 유입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오존 및 공기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
    상기 유입관이 하부에 연결되어 오존 및 공기와 혼합된 해수가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유입관이 접선방향으로 연결되어 해수를 내측면 접선방향으로 토출함에 따라 해수가 내부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는 원통형 반응조;
    상기 반응조의 하측 내면에서 중앙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는 콘 형상을 이루며, 상기 반응조 내부공간을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반응공간과, 상부에 위치하는 제2 반응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격벽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2 반응공간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반응조의 상기 제1, 2 반응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가이드 배관; 그리고,
    상기 제2 반응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반응공간에서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
    상기 제2 반응공간에 설치되어 수면으로 부상하는 유기물을 해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제거배관; 그리고,
    상기 제2 반응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물 제거배관이 개방됨에 따라 변화하는 수위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각각 측정하여 상기 부유물 제거배관의 정상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2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배관은 해수가 유입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 내경이 감소하는 제1 배관부와, 상기 제1 배관부의 상측에 연결되어 해수를 상기 제2 반응공간으로 배출시키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 내경이 증가하는 제2 배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2 배관부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제2 반응공간으로 배출된 해수를 상기 제2 배관부로 재유입시켜 해수를 상기 제2 반응공간과 상기 제2 배관부 사이에서 순환시키는 유입홀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제거배관의 상면은 유기물을 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하면은 상기 제2 반응공간의 수면으로 부상하는 유기물 및 고형물질이 부착하지 않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2 반응공간의 내측면으로 밀려나는 고형물질이 처리수와 함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제2 반응공간 내부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응공간에는 흡입관을 통해 해수를 빨아들인 후 분사노즐을 통해 해수를 선회류 방향으로 분사하여 선회류 속도를 증가시키는 펌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반응공간에는 밸브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제1, 2 반응공간에 쌓이는 모래와 같은 침강물질을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형물 제거배관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형물 제거배관의 흡입구는 침강물질을 쉽게 빨아들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2 반응공간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KR1020160019661A 2016-02-19 2016-02-19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KR10164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661A KR101647341B1 (ko) 2016-02-19 2016-02-19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661A KR101647341B1 (ko) 2016-02-19 2016-02-19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341B1 true KR101647341B1 (ko) 2016-08-23

Family

ID=5687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661A KR101647341B1 (ko) 2016-02-19 2016-02-19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34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33B1 (ko) * 2017-09-07 2019-02-25 주식회사 누리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200488664Y1 (ko) * 2018-09-18 2019-03-06 임현태 수족관용 해수 살균 정수 장치
KR20190027800A (ko) * 2019-02-01 2019-03-15 주식회사 누리 개선된 토양미생물 활성화 장치를 갖는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20190027799A (ko) * 2019-02-01 2019-03-15 주식회사 누리 개선된 반송 구조를 갖는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20200028264A (ko) * 2018-09-06 2020-03-16 (주)유니텍솔루션 해수 정화장치
CN112121522A (zh) * 2020-09-21 2020-12-25 潢川县鹏升畜产品有限公司 一种用于肝素钠提取树脂的收集清洗装置
KR102254551B1 (ko) * 2020-10-12 2021-05-21 조희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CN114314933A (zh) * 2022-01-11 2022-04-12 深圳同道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圆形罐体的污水深度处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675A (ja) * 2000-03-27 2001-10-02 Ngk Insulators Ltd 汚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140141164A (ko) * 2013-05-31 2014-12-10 한국과학기술원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해수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처리 방법
KR101507052B1 (ko) * 2014-09-26 2015-03-30 대한민국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KR101577348B1 (ko) * 2015-06-02 2015-12-14 수생태복원(주) 스크린, 와류, 여과 및 응집기능 복합형 종합 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675A (ja) * 2000-03-27 2001-10-02 Ngk Insulators Ltd 汚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20140141164A (ko) * 2013-05-31 2014-12-10 한국과학기술원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해수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수처리 방법
KR101507052B1 (ko) * 2014-09-26 2015-03-30 대한민국 와류 형성을 위한 사육수 분사용 노즐
KR101577348B1 (ko) * 2015-06-02 2015-12-14 수생태복원(주) 스크린, 와류, 여과 및 응집기능 복합형 종합 수처리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33B1 (ko) * 2017-09-07 2019-02-25 주식회사 누리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20200028264A (ko) * 2018-09-06 2020-03-16 (주)유니텍솔루션 해수 정화장치
KR102190367B1 (ko) * 2018-09-06 2020-12-11 (주)제이와이씨 해수 정화장치
KR200488664Y1 (ko) * 2018-09-18 2019-03-06 임현태 수족관용 해수 살균 정수 장치
KR20190027800A (ko) * 2019-02-01 2019-03-15 주식회사 누리 개선된 토양미생물 활성화 장치를 갖는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20190027799A (ko) * 2019-02-01 2019-03-15 주식회사 누리 개선된 반송 구조를 갖는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101964759B1 (ko) 2019-02-01 2019-04-02 주식회사 누리 개선된 토양미생물 활성화 장치를 갖는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KR101964756B1 (ko) 2019-02-01 2019-04-02 주식회사 누리 개선된 반송 구조를 갖는 악취제거 미생물을 이용한 고농도 유기폐수의 처리장치
CN112121522A (zh) * 2020-09-21 2020-12-25 潢川县鹏升畜产品有限公司 一种用于肝素钠提取树脂的收集清洗装置
CN112121522B (zh) * 2020-09-21 2022-03-22 潢川县鹏升畜产品有限公司 一种用于肝素钠提取树脂的收集清洗装置
KR102254551B1 (ko) * 2020-10-12 2021-05-21 조희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CN114314933A (zh) * 2022-01-11 2022-04-12 深圳同道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圆形罐体的污水深度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341B1 (ko)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KR101722099B1 (ko) 미세기포의 안정적 발생구조를 가진 부상분리식 하수처리장치
KR100251826B1 (ko) 하수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2179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KR100919367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KR101679739B1 (ko) 고효율 기체용해탱크를 이용한 부상분리장치
US20080041773A1 (en) Bio tank/oxygen replenishment system
KR100978070B1 (ko) 초고속 여과기능 및 역세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US7833410B2 (en) Bio tank/gas replenishment system
KR10227837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한 수처리 장치
JP6170552B2 (ja) 海水淡水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602289B1 (ko)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JP2018001147A (ja) 汚水処理装置
JP2009154156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KR101964828B1 (ko) 부상분리 수처리장치
JP2004154690A (ja) 懸濁水の沈殿浮上分離構造及び、懸濁水分離処理システム、懸濁水分離処理システムの沈殿物収集ブロック
KR20150029938A (ko) 수처리 장치
KR101774488B1 (ko) 침강 및 부유하는 슬러지 제거설비 및 이의 운전방법
JP7423414B2 (ja) 担体分離装置、担体分離装置の運転方法、多段担体分離装置、および嫌気性処理装置
JP2006297239A (ja) 廃水処理における加圧浮上分離装置、汚泥濃縮システム及び加圧浮上分離方法
KR101058165B1 (ko) 미세기포발생 및 제어 장치
JP2010094568A (ja) 沈砂洗浄装置
JP4930340B2 (ja) 加圧浮上装置
KR101163971B1 (ko) 수질 개선용 미세기포 발생장치
KR101270236B1 (ko) 기포를 이용한 유분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