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551B1 -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551B1
KR102254551B1 KR1020200130813A KR20200130813A KR102254551B1 KR 102254551 B1 KR102254551 B1 KR 102254551B1 KR 1020200130813 A KR1020200130813 A KR 1020200130813A KR 20200130813 A KR20200130813 A KR 20200130813A KR 102254551 B1 KR102254551 B1 KR 10225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reign
foreign matter
water tan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
Original Assignee
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 filed Critical 조희
Priority to KR1020200130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30Injector mixers
    • B01F25/31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 B01F25/312Injector mixers in conduits or tubes through which the main component flows with Venturi elements; Details thereof
    • B01F5/0057
    • B01F5/0413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내에서 부유되는 이물질을 무동력으로 필터 없이 포집하고, 이물질의 포집 상태를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어 포집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조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물은 통광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이물질차단판;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 상기 본체의 하측공간부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하부로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이물질포집안내면이 형성되어 이물질을 포집하도록 유도하는 이물질포집유도관; 및 상기 이물질포집유도관에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해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설치되어 기포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물이 내부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주변의 수류를 당겨주는 역할을 함으로서 수류가 빨려들어가도록 유도하고, 상측공간부의 물의 이동경로를 통해서도 수류가 배출구로 빨려나가도록 유도하는 벤츄리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Foreign matter collection device for Aquarium}
본 발명은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항과 같은 수조에서 물고기들의 배설물과 같은 이물질을 간편하게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취미생활로 실내에서 수조(어항)을 설치하여 관상어류를 기르는 가정이 많으며, 실내에 수조를 설치하는 것은 취미생활과 더불어 실내 습도 조절을 할 수 있는 좋은 점이 있다.
그러나 수조는 주기적으로 어항 청소와 불순물을 배출시켜 주어야 물고기들이 살아가는데 좋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수조의 관리는 수조내의 어류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과 조건을 만들어주기 위해 필수적이다.
통상의 어항 관리방법으로서, 어항 내의 물을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물갈이와 함께 스포이드나 사이펀 등을 이용하여 바닥에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호수 출수구를 입수구보다 낮게 하여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 물과 같이 불순과 유해물질(암모니아, 질산염, 아질산염, 질소가스 등)을 배출하여 어항 내부 물을 정화하고 있다.
그러나 물갈이와 같은 방식은 사람이 직접 물갈이를 실시하는 것으로 많은 노동력이 들어가므로 사용자의 불편이 많으며, 스포이드나 사이펀을 이용하여 물갈이를 할 경우, 어항 내에 있는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있는 이물질에 스포이드나 사이펀이 닿지않아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또한 스포이드를 이용시에는 스포이드를 일일이 여러 번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과 함께 사이펀을 사용시에는 사이펀의 압력에 의해 생물들이 다치거나 어항 내 구조물들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감소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96-0009015호(1996년10월14일 공고)에는 양측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측 가장자리에는 물이 흡입되도록 다수의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의 상측에 에어 펌프(P)에 의해 에어가 공급되도록 제1 에어 호스(H)로 연결된 에어 정류 파이프가 제공됨과 아울러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상부 마개와, 상기한 본체 케이스의 하측단에 공기 정류 파이프와 제2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에어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 토출 파이프를 보유하는 하부 마개와, 상기한 본체 케이스의 내측에 마련되어 에어 토출 파이프로 부터 공급된 공기에 의해 수조에 채워진 물을 순환시켜 정화시키는 정화수단을 포함하고, 가속 파이프와 공간부에 바이오 휠터가 제공된 수조용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정화장치는 물고기의 배설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일정 기간 교체해야 하므로 필터 교체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필터 교체 시기를 쉽게 알기 어려워 교체 시기를 지나치는 경우에는 배설물이 부패되어 수조내의 물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96-0009015호(1996년10월14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내에서 부유되는 이물질을 무동력으로 필터 없이 포집하고, 이물질의 포집 상태를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어 포집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수조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구되는 내부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부에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부를 상측공간부와 하측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공간부에서 상측공간부로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통기공들이 형성되고, 이물질은 하측공간부에서 상측공간부로 이동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이물질차단판; 상기 이물질차단판에 의해 구획되는 본체의 상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공간부에서 상측공간부로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물질이 함께 부양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공간부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하부로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게 이물질포집안내면이 형성되어 물과 함께 상방향으로 부양되는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차단판에 부딪혀 차단되어 상기 이물질포집안내면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측공간부에 포집되도록 유도하는 이물질포집유도관; 및 상기 이물질포집유도관에 의해 이물질을 포집할 때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기포발생기가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물이 내부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주변의 수류를 당겨주는 역할을 함으로서 수류가 빨려들어가도록 유도하고, 추가적으로 상측공간부의 물의 이동경로를 통해서도 수류가 배출구로 빨려나가도록 유도하는 벤츄리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하측공간부에는 이물질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배출관에 펌프를 연결하여 작동시킴에 의해 상기 본체를 수조에서 빼내지 않은 상태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차단판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부딪혀 차단되면 하부로 떨어지도록 통기공들이 형성된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차단판에 형성되는 통기공들은 미세공 혹은 미세장공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세장공은 콘 형상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츄리관은 하측과 상측이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입구측 내주면에는 유입되는 물을 와류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나선형 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의하면, 수조내에 배치되어 부유되는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포집되므로 무동력으로 쉽게 물고기 배설물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이물질의 포집상태를 쉽게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어 수조내의 물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배출관을 설치하여 포집장치를 수조에서 빼내지 않은 상태로 포집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갖게 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벤츄리관에 의해 물이 이동 경로 상의 압력 차이를 증가시켜 이물질의 포집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구비되는 이물질차단판에 형성되는 통기공들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구비되는 벤츄리관의 입구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홈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의 제품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구비되는 이물질차단판에 형성되는 통기공들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구비되는 벤츄리관의 입구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형 홈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의 제품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본체(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는 수조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구되는 내부공간부(112)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부에는 유입구(114)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배출구(1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11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10)를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이물질이 포집되는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110a)와 하부몸체(110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몸체(110a)와 하부몸체(110b)의 결합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이물질차단판(1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차단판(120)은 상기 본체(110)의 내부공간부(112)를 상측공간부(112a)와 하측공간부(112b)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공간부(112b)에서 상측공간부(112a)로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통기공(122)들이 형성되고, 이물질은 하측공간부(112b)에서 상측공간부(112a)로 이동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물질차단판(120)은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콘 형상으로 이물질차단판(120)이 형성되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차단판(120)에 부딪혀 차단되면 하부로 용이하게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 형상에 통기공(122)들이 형성되는데, 상기 통기공(122)들은 미세공 혹은 미세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미세장공은 콘 형상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미세장공은 원주방향을 따라 등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기포발생기(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발생기(130)는 이물질차단판(120)에 의해 구획되는 본체(110)의 상측공간부(112a)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10)의 하측공간부(112b)에서 상측공간부(112a)로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기포발생기(130)는 잔기포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스톤(콩롤)과 같은 통상의 구조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발생된 기포에 의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이물질포집유도관(14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포집유도관(140)은 기포발생기(130)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물질이 함께 부양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하측공간부(112b)에 상하부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관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물질포집유도관(140)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하부로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게 이물질포집안내면(142)이 형성되어 물과 함께 상방향으로 부양되는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차단판(120)에 부딪혀 차단되어 떨어질 때 상기 이물질포집안내면(142)에 안내되어 상기 본체(110)의 하측공간부(112b)에 포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벤츄리관(15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츄리관(150)은 기포발생기(130)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물질포집유도관(140)에 의해 이물질을 포집할 때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벤츄리관(150)은 상기 기포발생기(130)가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상측공간부(112a)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기(130)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물이 벤츄리관(15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주변의 수류를 당겨주는 역할을 함으로서 수류가 빨려들어가도록 유도하고, 추가적으로 상측공간부(112a)의 물의 이동경로를 통해서도 수류가 배출구(116)로 빨려나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벤츄리관(150)은 하측과 상측이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입구측 내주면에는 유입되는 물을 와류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나선형 홈부(15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형 홈부(152)는 벤츄리관(150)으로 유입되어 통과되는 물의 와류되면서 통과되게 하여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는 이물질배출관(16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배출관(160)은 본체(110)의 하측공간부(112b)에는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배출관(160)에 펌프를 연결하여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110)를 수조에서 빼내지 않은 상태로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포발생기(130)를 통해 기포가 발생되면 벤츄리관(150)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고, 주변의 수류를 당겨주는 역할을 하여 수류가 중앙 및 주변으로 빨려나와 이물질의 흡입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하부에 이물질배출관을 구비하여 수조에서 장치를 빼내지 않고도 청소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본체 120 - 이물질차단판
130 - 기포발생기 140 - 이물질포집유도관
142 - 이물질포집안내면 150 - 벤츄리관

Claims (6)

  1.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에 있어서,
    수조에 저장된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며, 상하부가 개구되는 내부공간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부에는 유입구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배출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부를 상측공간부와 하측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하측공간부에서 상측공간부로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통기공들이 형성되고, 이물질은 하측공간부에서 상측공간부로 이동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이물질차단판;
    상기 이물질차단판에 의해 구획되는 본체의 상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공간부에서 상측공간부로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물질이 함께 부양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상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하측공간부에 설치되며, 상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하부로 직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게 이물질포집안내면이 형성되어 물과 함께 상방향으로 부양되는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차단판에 부딪혀 차단되어 상기 이물질포집안내면에 의해 상기 본체의 하측공간부에 포집되도록 유도하는 이물질포집유도관; 및
    상기 이물질포집유도관에 의해 이물질을 포집할 때 상방향으로 이동되는 물의 압력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기포발생기가 하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측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포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물이 내부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주변의 수류를 당겨주는 역할을 함으로서 수류가 빨려들어가도록 유도하고, 상측공간부의 물의 이동경로를 통해서도 수류가 배출구로 빨려나가도록 유도하는 벤츄리관;
    을 포함하되,
    상기 벤츄리관은 하측과 상측이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벤츄리관에서 고속으로 토출되어 퍼져서 상승하는 특성을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공간부에는 이물질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배출관에 펌프를 연결하여 작동시킴에 의해 상기 본체를 수조에서 빼내지 않은 상태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판은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물질이 부딪혀 차단되면 하부로 떨어지도록 통기공들이 형성된 콘(cone)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차단판에 형성되는 통기공들은 미세공 혹은 미세장공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세장공은 콘 형상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6. 삭제
KR1020200130813A 2020-10-12 2020-10-12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225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813A KR102254551B1 (ko) 2020-10-12 2020-10-12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813A KR102254551B1 (ko) 2020-10-12 2020-10-12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551B1 true KR102254551B1 (ko) 2021-05-21

Family

ID=7615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813A KR102254551B1 (ko) 2020-10-12 2020-10-12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5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871A (ja) * 1993-10-28 1995-05-09 Shinnosuke Nomura 水槽用浄化装置
JPH089832A (ja) * 1994-06-27 1996-01-16 Yoji Nagano 濾過装置
KR960009015A (ko) 1994-08-24 1996-03-22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907912B1 (ko) * 2009-03-23 2009-07-16 이옥주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20130096408A (ko) *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신영이앤아이 벤츄리관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647341B1 (ko) * 2016-02-19 2016-08-23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871A (ja) * 1993-10-28 1995-05-09 Shinnosuke Nomura 水槽用浄化装置
JPH089832A (ja) * 1994-06-27 1996-01-16 Yoji Nagano 濾過装置
KR960009015A (ko) 1994-08-24 1996-03-22 김주용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907912B1 (ko) * 2009-03-23 2009-07-16 이옥주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20130096408A (ko) *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신영이앤아이 벤츄리관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1647341B1 (ko) * 2016-02-19 2016-08-23 에프엔에스 주식회사 양식수조용 수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0023B1 (en) Adjustable floating weir apparatus
CN201120186Y (zh) 一种纤维束过滤器
KR102254551B1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0957173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20200001819U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CN106196330A (zh) 空气净化器
ES1071207U (es) Aparato para la separacion de particulas solidas en liquidos mediante ciclones multiples.
KR20160115291A (ko)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JP6727494B1 (ja) 水面清掃装置
KR102149691B1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TWI589339B (zh) Set the sewage filter device
CN211847534U (zh) 一种用于排口末端的旋流分离器
KR101507722B1 (ko) 액적분리장치
CN106440079A (zh) 空气净化器
KR20050022499A (ko) 공기청정수단을 구비한 수족관
KR100668420B1 (ko) 수처리 장치
JP2004283707A (ja) 水質浄化装置
ES2288010T3 (es) Separador centrifugo.
JPH10337131A (ja) 魚用養殖装置
KR101918729B1 (ko) 습식 진공청소기
US20080217226A1 (en) Ornamental pond filter apparatus
RU2188696C1 (ru) Способ мокрой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208327569U (zh) 一种新型污水净化器
CN212102103U (zh) 旋流分离装置
TW201313296A (zh) 雨水離心過濾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