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912B1 -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912B1
KR100907912B1 KR1020090024254A KR20090024254A KR100907912B1 KR 100907912 B1 KR100907912 B1 KR 100907912B1 KR 1020090024254 A KR1020090024254 A KR 1020090024254A KR 20090024254 A KR20090024254 A KR 20090024254A KR 100907912 B1 KR100907912 B1 KR 100907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support member
foreign matte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주
Original Assignee
이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옥주 filed Critical 이옥주
Priority to KR102009002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912B1/ko
Priority to PCT/KR2010/001660 priority patent/WO201011054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들이 여과판에 끼지 않고 별도로 저장되어 여과력이 향상되고, 무거운 이물질들을 부양시켜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여과 및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저장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며,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의 이물질을 상방향으로 부양시키는 순환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순환장치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상기 여과판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다.
여과, 수조, 이물질

Description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 Filtration device for aquarium tank }
본 발명은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조 내부에 설치되며, 물속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물의 오염도를 줄이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조의 물은 물고기의 배설물과 먹이 찌꺼기 등에 의해서 쉽게 수질이 나빠지며, 이러한 이물질들이 바닥에 두껍게 쌓여 물을 오염시키므로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여과판에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기 여과판을 통해 물이 이동할 때 물은 통과하고 이물질은 걸러지게 하여 물과 이물질을 분리한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장치의 경우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여과판에 이물질이 끼게 되어 물살이 줄어들고, 여과력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크고 무거운 이물질들은 상기 여과판에 머물지 못하고 수조 바닥에 가라앉는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은 수조에 있는 물과 함께 모두 버려야 하고, 자주 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물질이 여과판에 끼지 않고 별도로 저장되게 하여 여과력을 향상시키고, 무거운 이물질들을 부양시켜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여과 및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저장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며,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의 이물질을 상방향으로 부양시키는 순환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순환장치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상기 여과판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다.
상기 여과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여과판에는 물은 통과되고 이물질은 차단되는 여과홀이 형성되되, 상기 순환장치의 수직상부에는 상기 여과홀이 배치되고, 상기 순환장치의 측방향에는 상기 저장부가 배치된다.
상기 순환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의 상측에 장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되게 장착되며, 물의 상승시 물과 충돌하여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홀은 상기 유동로의 수직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판은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저장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가 형성되되, 상기 면취부는 제1면취부와 제2면취부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면취부의 최단 가로길이는 상기 지지부재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제1면취부와 상기 제2면취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순환장치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이 상기 여과판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에 축적되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여과판에 끼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고, 여과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순환장치의 수직상부에 상기 여과홀을 배치하고, 상기 순환장치의 측방향에 상기 저장부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저장부의 물살을 약하게 하여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들이 상기 저장부에 가라앉게 하고,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들이 다시 부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의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동로를 형성하고, 상기 여과홀을 상기 유동로의 수직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유동로를 통해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는 물살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중심에서 전방에 배치된 상기 블레이드에만 충돌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게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무거운 이물질을 상승시켜 무거운 이물질들도 잘 여과되게 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판은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저장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다시 저장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를 형성하되, 상기 면취부는 제1면취부와 제2면취부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면취부의 최단 가로길이는 상기 지지부재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제1면취부와 상기 제2면취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와 동일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가 별도의 가이드 수단 없이 수평방향으로는 이동이 저지되고 상하방향으로는 이동되게 삽입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서 흡입장치와 여과판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지지부재의 조립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하우징(100), 흡입장치(200), 여과판(300) 및 순환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팔각형통 형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단은 개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판(300) 및 순환장치(4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에는 수조(미도시)의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10)와,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저장부(120)와, 상기 하우징(100)을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지지하는 받침돌기(13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10)는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하단이 개방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구(110)의 양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칸막이(14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칸막이(14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며, 상기 흡입구(1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20)에는 이물질이 축적되며, 상기 하우징(100)과 함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 이물질의 양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받침돌기(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 외주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어 상기 받침돌기(130) 사이로 물이 유동되게 하고, 상기 흡입구(110)가 수조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은 수조의 바닥에 장착되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흡착패드를 장착하여 수조의 내측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상기 흡입장치(200)가 장착된다.
상기 흡입장치(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장치(200)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기방울을 분사하는 장치를 장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장치(200)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감싸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공기방울을 분사하는 호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흡입장치(200)는 상기 커버의 상단이 상하 개방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분사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에 있는 물과 함께 상기 커버의 상부로 배출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흡입장치(200) 대신에 종래의 측면여과기용 모터를 장착하여 물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측면여과기는 물속에 장착되며, 물을 빨아들여 측면으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여과판(300)은 팔각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여과판(300)은 외주면 형상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여과판(300)에는 물은 통과되고 이물질은 차단되는 여과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여과홀(310)은 원형 형상으로 이물질이 빠져나기지 않도록 작게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수개의 상기 여과홀(31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순환장치(4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여과홀(310)은 상기 여과판(300)에서 상기 순환장치(400)의 상면과 동일한 범위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여과판(300)의 상측에는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35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350)는 스폰지 또는 모래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홀(310)을 통과한 미세한 이물질을 다시 걸러낸다.
상기 순환장치(400)는 상기 여과판(300)과 상기 흡입구(110) 사이에 배치되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부의 이물질을 상방향으로 부양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장치(400)는 지지부재(410)와 블레이드(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4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전방이 개방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420)가 회전되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재(410)의 상측면은 후방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여과판(300)의 하측면과 접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0)는 양측면이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면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1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칸막이(140)가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410)는 내측면이 상기 칸막이(140)의 외측면과 각각 접하고,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12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순환장치(400)의 수직상부에 상기 여과홀(310)을 배치하고, 상기 순환장치(400)의 측방향에 상기 저장부(120)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저장부(120)의 물살을 약하게 하여 상기 여과홀(310)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들이 상기 저장부(120)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의 물살이 약해짐으로써,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 이물질들이 다시 부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410)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동로(430)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로(430)는 상기 흡입구(110)와 상기 여과홀(310)을 상하 연통되게 하며, 물이 상승할 때 상기 블레이드(4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향으로만 지나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0)에는 상기 유동로(430)의 하부에 그물망(435)이 장착되어 수조에서 기르는 작은 치어 등이 상기 유동로(430)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유동로(430)의 수직 상부에는 상기 여과홀(310)이 배치된다.
즉 상기 여과홀(310)은 상기 여과판(300)에서 상기 유동로(430)의 상면 범위내에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로(430)를 통과한 물이 상기 여과홀(310)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10)에 상기 유동로(430)를 형성하고, 상기 여과홀(310)을 상기 유동로(430)의 수직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유동로(430)를 통해 상기 여과홀(310)을 통과하는 물살이 상기 블레이드(420)의 회전중심에서 전방에 배치된 상기 블레이드(420)에만 충돌되어 상기 블레이드(420)가 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20)는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가라앉은 무거운 이물질을 상승시켜 모두 잘 여과되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판(415)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415)은 상기 지지부재(410)의 상단 양측에서 상기 저장부(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과 일정 간격 이격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415)은 상기 차단판(415)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 사이가 모두 동일하게 이격되어, 상기 차단판(415)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를 지나는 물살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 상기 지지부재(410)에서 상기 저장부(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상기 차단판(4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기 차단판(415)과 상기 지지부재(410)의 외측면 사이에 고립되어 저장부(120)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420)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내측에 배치되어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420)는 회전축(421)과 회전판(4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421)은 상기 블레이드(420)의 회전 중심부로써, 원통형의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판(422)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21)의 외주면에 원형 배치되고, 물의 상승시 물과 충돌하여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블레이드(420)는 물레방아 형상과 비슷하게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하우징(100)을 통해 외부에 보이도록 배치되어 미관상 보기 좋게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면취부(150)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제1면취부(151)와 제2면취부(152)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취부(151)와 상기 제2면취부(152)는 각각의 최단가로길이(L1)가 상기 지지부재(410)의 폭(D1)과 동일하며, 상기 제1면취부(151)와 상기 제2면취부(152) 사이의 최단 거리(L2)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길이(D2)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와 다른 구성으로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취부(151)와 상기 제2면취부(152)가 각각 두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이 육각형일 경우에도 가능하며,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취부(150)와 이웃한 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면취부(150)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전후면과 접하고, 상기 면취부(151)와 이웃한 면은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면과 접하여 상기 지지부재(410)의 수평 이동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151)를 형성하되, 상기 면취부(151)와 상기 지지부재(410)을 서로 접하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부재(410)가 별도의 가이드 수단 없이 수평방향으로는 이동이 저지되고 상하방향으로는 이동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위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장치(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공기방울을 분출시키면, 공기방울의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부상하는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수압이 작아져 수조내의 수압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10)를 통해 물이 유입된다.
삭제
상기 흡입구(11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유동로(430)를 지나면서 상기 블레이드(420)의 상기 회전판(422)과 충돌하고, 상기 블레이드(420)를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블레이드(420)는 회전하면서 물의 순환을 더욱 활성화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있는 무거운 이물질들이 상부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동로(4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여과홀(310)을 통해 상기 흡입장치(200)의 상부로 빠져나간다.
한편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함께 이동하던 이물질은 상기 여과 홀(310)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저장부(12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20)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홀(310)이 없기 때문에 물살이 약하여 이물질들이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순환장치(400)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이 상기 여과판(300)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되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여과판(300)에 끼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고, 여과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상호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저장부(120)에 이물질이 어느 정도 축적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서 흡입장치와 여과판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지지부재의 조립 구조도이고,
도 6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며,
도 7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10 : 흡입구, 120 : 저장부, 200 : 흡입장치, 300 : 여과판, 310 : 여과홀, 400 : 순환장치, 410 : 지지부재, 415 : 차단판, 420 : 블레이드, 430 : 유동로,

Claims (5)

  1. 삭제
  2.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저장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며,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의 이물질을 상방향으로 부양시키는 순환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순환장치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상기 여과판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에 축적되고,
    상기 여과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여과판에는 물은 통과되고 이물질은 차단되는 여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순환장치의 수직상부에는 상기 여과홀이 배치되고, 상기 순환장치의 측방향에는 상기 저장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의 상측에 장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되게 장착되며, 물의 상승시 물과 충돌하여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홀은 상기 유동로의 수직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판은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저장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가 형성되되,
    상기 면취부는 제1면취부와 제2면취부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면취부의 최단 가로길이는 상기 지지부재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제1면취부와 상기 제2면취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와 동 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020090024254A 2009-03-23 2009-03-23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00907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254A KR100907912B1 (ko) 2009-03-23 2009-03-23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PCT/KR2010/001660 WO2010110547A2 (ko) 2009-03-23 2010-03-18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254A KR100907912B1 (ko) 2009-03-23 2009-03-23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912B1 true KR100907912B1 (ko) 2009-07-16

Family

ID=4133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254A KR100907912B1 (ko) 2009-03-23 2009-03-23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7912B1 (ko)
WO (1) WO2010110547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057B1 (ko) 2012-07-18 2013-09-25 윤주민 이물질 여과장치
KR20190142175A (ko) * 2018-06-15 2019-12-26 김영건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CN111747509A (zh) * 2020-06-12 2020-10-09 厦门煌柳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活性生物炭的污水处理装置
KR102254551B1 (ko) * 2020-10-12 2021-05-21 조희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WO2023018282A1 (ko) *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이지엑스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5548B (zh) * 2020-11-23 2022-04-12 德清瓜山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用淡水育苗装置
KR102348032B1 (ko) * 2021-09-10 2022-01-0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50Y1 (ko) * 1991-07-05 1993-09-28 김시명 상승기포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위차를 이용한 수족관의 용수장치
JPH05336862A (ja) * 1992-06-12 1993-12-21 Takuma Co Ltd 水質浄化装置
JPH08126449A (ja) * 1994-10-31 1996-05-21 Yoji Nagano 濾過装置
US5582719A (en) * 1994-02-22 1996-12-10 Nagano; Yohoji Filt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4585B2 (ja) * 1995-07-26 2007-03-22 水作株式会社 水槽用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50Y1 (ko) * 1991-07-05 1993-09-28 김시명 상승기포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위차를 이용한 수족관의 용수장치
JPH05336862A (ja) * 1992-06-12 1993-12-21 Takuma Co Ltd 水質浄化装置
US5582719A (en) * 1994-02-22 1996-12-10 Nagano; Yohoji Filtration system
JPH08126449A (ja) * 1994-10-31 1996-05-21 Yoji Nagano 濾過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057B1 (ko) 2012-07-18 2013-09-25 윤주민 이물질 여과장치
KR20190142175A (ko) * 2018-06-15 2019-12-26 김영건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2149691B1 (ko) * 2018-06-15 2020-09-01 김영건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CN111747509A (zh) * 2020-06-12 2020-10-09 厦门煌柳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活性生物炭的污水处理装置
KR102254551B1 (ko) * 2020-10-12 2021-05-21 조희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WO2023018282A1 (ko) * 2021-08-12 2023-02-16 주식회사 이지엑스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KR20230024760A (ko) * 2021-08-12 2023-02-21 주식회사 이지엑스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KR102616925B1 (ko) 2021-08-12 2023-12-21 주식회사 이지엑스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547A2 (ko) 2010-09-30
WO2010110547A3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912B1 (ko)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JP5606804B2 (ja) 食品洗浄装置
KR20150089762A (ko) 식기 세척기
JP6784529B2 (ja) ペット用循環式給水器
CN112842177A (zh) 清洁机器人水箱及清洁机器人
JP5541013B2 (ja) レンジフード
KR100524044B1 (ko) 유체 베어링 용기의 라이너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KR20090130590A (ko) 공기 청정기
KR20070060205A (ko) 농수산물의 이동용 살균 세척기
JP6057201B2 (ja)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KR20160028293A (ko) 에어 워셔
EP0943285B1 (en) Dishwasher
JP5942250B2 (ja)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CN208573692U (zh) 用于水槽洗碗机的过滤器和具有其的水槽洗碗机
JP6052658B2 (ja)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CN106765651B (zh) 空气清洗机
JP5948699B2 (ja)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JP2013230217A (ja) 小型電気機器の洗浄装置
JPH04222532A (ja) 沈澱ゴミ排除機能を具えた魚介飼育水槽
JP4069131B2 (ja) 水槽
JP2006204325A (ja) 食器洗浄機及び吸入口フィルター
KR101960312B1 (ko) 필터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0499933B1 (ko) 유속감속수단이 구비된 어도용 격벽
KR102683427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0344519Y1 (ko) 수조의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