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110547A2 -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110547A2
WO2010110547A2 PCT/KR2010/001660 KR2010001660W WO2010110547A2 WO 2010110547 A2 WO2010110547 A2 WO 2010110547A2 KR 2010001660 W KR2010001660 W KR 2010001660W WO 2010110547 A2 WO2010110547 A2 WO 201011054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support member
storage unit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16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110547A3 (ko
Inventor
이옥주
Original Assignee
Lee Ok-Ju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Ok-Ju filed Critical Lee Ok-Ju
Publication of WO201011054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10547A2/ko
Publication of WO201011054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11054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and more particularly, is installed inside the tank, and relates to a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to reduce the contamination of water by filtering foreign matter in the water.
  • the water in the tank is easily deteriorated due to fish droppings and food waste, and these foreign matters are thickly accumulated on the floor to contaminate the water,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filtration devic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continuously.
  •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has a structure in which a pump for circulating water is installed in a filter plate made of a sponge or the like.
  • the conventional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separates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by allowing water to pass through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when the water moves through the filter plat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foreign matter filtration to facilitate the filtration and cleaning by allowing foreign matters to be stored separately without being caught in the filter plate to improve the filtration power, and by supporting heavy foreign matters to store in the storage unit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upper end,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at the lower end, and a storage unit in which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A suction device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housing to move water upward; A filter plate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disposed under the suction device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nd block foreign substances when the water moves upward; A circulation devic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plate and the suction port and configured to rotate by water when the water moves upward to support a lower foreign material upward; It is made, including, foreign matter moved upward by the circulation device is blocked by hitting the filter plate is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 the filter plate is mounted to close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the filter plate is formed with a filtration hole through which water is passed and foreign matter is blocked, and the filtration hol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circulator,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irculator.
  • the storage unit is disposed.
  • the circulation device includes a support member mounted above the suction port in the housing; A blade which is rotatably mounted to the support member and collides with water when the water rises to rotat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water; It is made, including, the support member is formed in the vertical flow path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the rotation center of the blade, the filter hole is disposed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flow path.
  •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are formed with a blocking plat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to move upward, the blocking plat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storage unit from the support member.
  • a chamfer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a neighboring surface
  • the chamfer is composed of a first chamfer and a second chamfer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shortest horizontal length of each of the chamfere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t is equal to the width and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first chamfer and the second chamfer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 the foreign matter moved upward by the circulation device hits the filter plate and is blocked to accumulate in the storage unit,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in the filter plate so that the water can be smoothly circulated and the filtering power is improved. .
  • the filtration hole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circulator, and the storage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irculator, the water of the reservoir is weakened so that foreign matters that do not pas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sink in the reservoir.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from being supported again.
  • Block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from moving upward.
  • the blocking plate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support member toward the storage unit, thereby accumulating in the storage unit.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unit again.
  • a chamfer that forms an obtuse angle with a surface adjacent to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is formed, wherein the chamfer consists of a first chamfer and a second chamfer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shortest horizontal length of each of the chamfered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t is equal to the width, the shortest distance of the first chamfer and the second chamfer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the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is preve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out any guide means inside the housing Inserted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ssemb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one-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ther direction of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state removing the suction device and the filter plate in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assembly structure diagram of a housing and a support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A of FIG.
  • FIG.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B-B of FIG.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one-way of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lan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uction device and the filter plate removed from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assembly structure diagram of a housing and a support member.
  • the foreign matter filtering device for the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suction device 200, a filter plate 300, and a circulation device 400.
  • the housing 1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the shape of an octagonal cylinder, the upper end is open, and the filter plate 300 and the circulation device 400 are installed therein.
  • the housing 100 the suction port 100 through which water from a tank (not shown) is introduced, the storage unit 120 in which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and the housing 1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 Supporting projections 130 to support spaced apart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suction port 100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n a rectangular shape,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opened.
  • partitions 140 protruding upward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storage unit 120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14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ction port 100.
  • the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120, and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gether with the housing 100 to determine the amount of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120 from the outside.
  • the support protrusion 13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100, and is separated into a plurality so that water flows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130, and the suction port 100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Spaced apart.
  • the housing 10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tank, and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ank by mounting a suction pa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in some cases.
  • the suction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00.
  • the suction device 200 discharges the water inside the housing 100 to the outside.
  • air is injected into the suction device 200 from the outside, and air bubbles are blown into the housing 100. Equipped with a device for spraying.
  • the suction device 200 includes a cover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and a hose inserted into the cover to inject air bubbles into the housing 100.
  • the suction device 200 has an upper end of the cover open upward and downward to discharge air injected into the housing 100 through the hose to the upper part of the cover together with the water in the housing 100. .
  • water may be moved by mounting a conventional side filter motor instead of the suction device 200.
  • the side filter is mounted in the water, is a device for sucking water to discharge to the side.
  • the filter plate 300 is formed of an octagonal plate, mounted inside the housing 100, and disposed below the suction device 200.
  • the filter plate 30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is disposed to be horizontal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to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 the filter plate 300 is formed with a filter hole 310 through which water passes and foreign substances are blocked.
  • the filtration hole 310 is formed in a small circular shape so as not to escape the foreign matter, made of a plurality.
  • the plurality of the filtering holes 310 are disposed on the vertical portion of the circulation device 400 as described below.
  • the filter hole 310 is disposed in the same rang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tion device 400 in the filter plate (300).
  • the filter 350 for filtering the fine foreign matter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plate (300).
  • the filter 350 is made of sponge, sand, or the like, and again filters out fine foreign mat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ration hole 310.
  • the circulation device 400 is disposed between the filter plate 300 and the suction port 100 to support the foreign matter in the lower portion when the water moves upward.
  • the circulation device 400 includes a support member 410 and a blade 420.
  • the support member 410 has a hexahedron shape, the front of which is open, and the blade 420 is mounted to rotate therein.
  •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10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rear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plate (300).
  •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410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and the partition 140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ction port 100 is inserted betwee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410.
  • the support member 410 has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artition 140, respectively, and the storage portion 12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410.
  • the filter hole 310 is disposed above the circulation device 400, and the storage part 120 is dispo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irculation device 400, thereby causing water to flow through the storage part 120. To weaken the foreign matter that did not pas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310 is moved to the storage unit 120.
  • the support member 410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430 which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ront of the rotation center of the blade 420.
  • the flow path 430 allows the suction port 100 and the filtration hole 31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up and down, and when water rises, passes only in all directions based on the rotation center of the blade 420.
  • the support member 410 is a net 435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low path 430 to prevent small fish such as cultivated in the tank does not enter the flow path 430.
  • the filtering hole 310 is disposed in the vertical upper portion of the flow path 430.
  • the filter hole 310 is disposed only within the upper surface range of the flow path 430 in the filter plate 300.
  • the flow path 430 is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10, and the filtration hole 310 is disposed above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low path 430, thereby allowing the filtration hole to flow through the flow path 430.
  • Water flowing through 310 impinges only on the blade 420 disposed forward 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blade 420, thereby causing the blade 420 to rotate in one direction.
  • the blade 420 is rotated to lift the heavy foreign material sett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so that all is well filtered.
  • blocking plates 41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410 to prevent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storage 120 from moving upward.
  • the blocking plate 415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unit 120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4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housing 10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blocking plate 415 is equally spac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41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e water flowing between the blocking plate 415 and the housing 100. This is done uniformly.
  • the blocking plate 415 inclined downward from the support member 410 toward the storage unit 120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410,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120 It may be isolated between the blocking plate 415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410 to prevent the storage unit 120 from being separated.
  • the blade 420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member 410 is mounted to rotat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water.
  • the blade 420 is composed of a rotating shaft 421 and the rotating plate 422.
  • the rotation shaft 421 is a rotation center of the blade 4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long rod shape, both ends are mounted to rotate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410, respectively.
  • the rotating plate 422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is circularly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421, and when the water rises to collide with the water to generate a rotational force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water.
  • the blade 420 is formed similar to the water wheel shape, and is disposed to be visible to the outside through the housing 100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enhance aesthetic appearance.
  •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s formed with a chamfer 150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the neighboring surface.
  • the chamfer 150 includes a first chamfer 151 and a second chamfer 152 disposed to face each other.
  • the shortest length L1 of each of the first chamfer 151 and the second chamfer 152 is equal to the width D1 of the support member 410.
  • the shortest distance L2 between the first chamfer 151 and the second chamfer 152 is equal to the length D2 of the support member 410.
  • the first chamfer 151 and the second chamfer 152 may be formed of two surface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5 (b).
  • the housing 100 may be hexagonal, and as shown in FIG. 5C, a surface adjacent to the chamfer 150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 the chamfer 15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410, the surface adjacent to the chamfer 151 is in contact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member 410 in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410 To stop.
  • the chamfer 151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an adjacent surface inside the housing 100 is formed, and the chamfer 151 and the support member 41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The support member 410 is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oved up and d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out an additional guide means, thereby improving assembly performance.
  • FIG. 6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AA of FIG. 1
  • FIG.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a water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BB of FIG. 1. to be.
  • Water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100 collides with the rotating plate 422 of the blade 420 while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430, and rotates the blade 420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water.
  • the blade 420 rotates to further activate the circulation of water so that heavy debris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00 is moved upward.
  •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430 exit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device 200 through the filtration hole 310.
  • the foreign matter moving together with the water does not pass through the filtration hole 310 and moves to the storage part 120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410.
  • the foreign matter moved upward by the circulation device 400 is blocked by the filter plate 300 to be blocked and accumulated in the storage unit 120, thereby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in the filter plate 300.
  • This allows the circulation to be smooth, and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filtering power.
  • the foreign matter filtration device for the water tan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mit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water bath, so that foreign matters are stored separately without being caught in the filter plate, thereby improving filtration power, and supporting heavy foreign matters and storing them in the storage, thereby facilitating filtration and wa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들이 여과판에 끼지 않고 별도로 저장되어 여과력이 향상되고, 무거운 이물질들을 부양시켜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여과 및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저장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며,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의 이물질을 상방향으로 부양시키는 순환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순환장치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상기 여과판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다.

Description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본 발명은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조 내부에 설치되며, 물속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물의 오염도를 줄이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조의 물은 물고기의 배설물과 먹이 찌꺼기 등에 의해서 쉽게 수질이 나빠지며, 이러한 이물질들이 바닥에 두껍게 쌓여 물을 오염시키므로, 여과장치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해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 여과판에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기 여과판을 통해 물이 이동할 때 물은 통과하고 이물질은 걸러지게 하여 물과 이물질을 분리한다.
그런데 종래의 여과장치의 경우,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여과판에 이물질이 끼게 되어 물살이 줄어들고, 여과력도 감소하게 된다.
또한 크고 무거운 이물질들은 상기 여과판에 머물지 못하고 수조 바닥에 가라앉는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은 수조에 있는 물과 함께 모두 버려야 하고, 자주 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물질이 여과판에 끼지 않고 별도로 저장되게 하여 여과력을 향상시키고, 무거운 이물질들을 부양시켜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여과 및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저장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며,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의 이물질을 상방향으로 부양시키는 순환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순환장치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상기 여과판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다.
상기 여과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여과판에는 물은 통과되고 이물질은 차단되는 여과홀이 형성되되, 상기 순환장치의 수직상부에는 상기 여과홀이 배치되고, 상기 순환장치의 측방향에는 상기 저장부가 배치된다.
상기 순환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의 상측에 장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되게 장착되며, 물의 상승시 물과 충돌하여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홀은 상기 유동로의 수직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판은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저장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가 형성되되, 상기 면취부는 제1면취부와 제2면취부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면취부의 최단 가로길이는 상기 지지부재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제1면취부와 상기 제2면취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순환장치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이 상기 여과판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에 축적되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여과판에 끼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고, 여과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순환장치의 수직상부에 상기 여과홀을 배치하고, 상기 순환장치의 측방향에 상기 저장부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저장부의 물살을 약하게 하여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들이 상기 저장부에 가라앉게 하고,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들이 다시 부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의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동로를 형성하고, 상기 여과홀을 상기 유동로의 수직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유동로를 통해 상기 여과홀을 통과하는 물살이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중심에서 전방에 배치된 상기 블레이드에만 충돌되어 상기 블레이드가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되게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무거운 이물질을 상승시켜 무거운 이물질들도 잘 여과되게 한다.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판은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저장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다시 저장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를 형성하되, 상기 면취부는 제1면취부와 제2면취부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면취부의 최단 가로길이는 상기 지지부재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제1면취부와 상기 제2면취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와 동일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지지부재가 별도의 가이드 수단 없이 수평방향으로는 이동이 저지되고 상하방향으로는 이동되게 삽입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서 흡입장치와 여과판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지지부재의 조립 구조도이고,
도 6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며,
도 7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에서 흡입장치와 여과판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지지부재의 조립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하우징(100), 흡입장치(200), 여과판(300) 및 순환장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팔각형통 형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단은 개방되며, 내부에는 상기 여과판(300) 및 순환장치(4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에는 수조(미도시)의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00)와,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저장부(120)와, 상기 하우징(100)을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지지하는 받침돌기(13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0)는 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하단이 개방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구(100)의 양측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칸막이(14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칸막이(140)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며, 상기 흡입구(1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20)에는 이물질이 축적되며, 상기 하우징(100)과 함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 이물질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받침돌기(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 외주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다수개로 분리 형성되어 상기 받침돌기(130) 사이로 물이 유동되게 하고, 상기 흡입구(100)가 수조의 바닥면과 이격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은 수조의 바닥에 장착되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흡착패드를 장착하여 수조의 내측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상기 흡입장치(200)가 장착된다.
상기 흡입장치(2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상기 흡입장치(200)에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공기방울을 분사하는 장치를 장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장치(200)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을 감싸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공기방울을 분사하는 호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흡입장치(200)는 상기 커버의 상단이 상하 개방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분사된 공기가 상기 하우징(100)에 있는 물과 함께 상기 커버의 상부로 배출되게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흡입장치(200) 대신에 종래의 측면여과기용 모터를 장착하여 물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측면여과기는 물속에 장착되며, 물을 빨아들여 측면으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 여과판(300)은 팔각형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여과판(300)은 외주면 형상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여과판(300)에는 물은 통과되고 이물질은 차단되는 여과홀(310)이 형성된다.
상기 여과홀(310)은 원형 형상으로 이물질이 빠져나기지 않도록 작게 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수개의 상기 여과홀(31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순환장치(400)의 수직상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여과홀(310)은 상기 여과판(300)에서 상기 순환장치(400)의 상면과 동일한 범위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여과판(300)의 상측에는 미세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350)가 장착된다.
상기 필터(350)는 스폰지 또는 모래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홀(310)을 통과한 미세한 이물질을 다시 걸러낸다.
상기 순환장치(400)는 상기 여과판(300)과 상기 흡입구(100) 사이에 배치되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하부의 이물질을 상방향으로 부양시키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장치(400)는 지지부재(410)와 블레이드(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4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전방이 개방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블레이드(420)가 회전되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부재(410)의 상측면은 후방이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여과판(300)의 하측면과 접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0)는 양측면이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면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10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칸막이(140)가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410)는 내측면이 상기 칸막이(140)의 외측면과 각각 접하고,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12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순환장치(400)의 수직상부에 상기 여과홀(310)을 배치하고, 상기 순환장치(400)의 측방향에 상기 저장부(120)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저장부(120)의 물살을 약하게 하여 상기 여과홀(310)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들이 상기 저장부(120)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의 물살이 약해짐으로써,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 이물질들이 다시 부양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410)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동로(430)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로(430)는 상기 흡입구(100)와 상기 여과홀(310)을 상하 연통되게 하며, 물이 상승할 때 상기 블레이드(420)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향으로만 지나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0)에는 상기 유동로(430)의 하부에 그물망(435)이 장착되어 수조에서 기르는 작은 치어 등이 상기 유동로(430)로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유동로(430)의 수직 상부에는 상기 여과홀(310)이 배치된다.
즉 상기 여과홀(310)은 상기 여과판(300)에서 상기 유동로(430)의 상면 범위내에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로(430)를 통과한 물이 상기 여과홀(310)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10)에 상기 유동로(430)를 형성하고, 상기 여과홀(310)을 상기 유동로(430)의 수직상부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유동로(430)를 통해 상기 여과홀(310)을 통과하는 물살이 상기 블레이드(420)의 회전중심에서 전방에 배치된 상기 블레이드(420)에만 충돌되어 상기 블레이드(420)가 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420)는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가라앉은 무거운 이물질을 상승시켜 모두 잘 여과되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판(415)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판(415)은 상기 지지부재(410)의 상단 양측에서 상기 저장부(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과 일정 간격 이격된다.
또한 상기 차단판(415)은 상기 차단판(415)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 사이가 모두 동일하게 이격되어, 상기 차단판(415)과 상기 하우징(100) 사이를 지나는 물살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 상기 지지부재(410)에서 상기 저장부(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상기 차단판(4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기 차단판(415)과 상기 지지부재(410)의 외측면 사이에 고립되어 저장부(120)를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420)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내측에 배치되어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420)는 회전축(421)과 회전판(4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421)은 상기 블레이드(420)의 회전 중심부로써, 원통형의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상기 회전판(422)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21)의 외주면에 원형 배치되고, 물의 상승시 물과 충돌하여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블레이드(420)는 물레방아 형상과 비슷하게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하우징(100)을 통해 외부에 보이도록 배치되어 미관상 보기 좋게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면취부(150)는 상호 마주보게 배치된 제1면취부(151)와 제2면취부(152)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면취부(151)와 상기 제2면취부(152)는 각각의 최단가로길이(L1)가 상기 지지부재(410)의 폭(D1)과 동일하며, 상기 제1면취부(151)와 상기 제2면취부(152) 사이의 최단 거리(L2)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길이(D2)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와 다른 구성으로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취부(151)와 상기 제2면취부(152)가 각각 두개의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이 육각형일 경우에도 가능하며,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면취부(150)와 이웃한 면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면취부(150)는 상기 지지부재(410)의 전후면과 접하고, 상기 면취부(151)와 이웃한 면은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면과 접하여 상기 지지부재(410)의 수평 이동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151)를 형성하되, 상기 면취부(151)와 상기 지지부재(410)을 서로 접하게 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서 상기 지지부재(410)가 별도의 가이드 수단 없이 수평방향으로는 이동이 저지되고 상하방향으로는 이동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위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장치(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 공기방울을 분출시키면, 상기 하우징(100) 상부의 수압이 떨어지면서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하우징(110) 상부의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압 차이에 의해 상기 흡입구(100)로 물이 유입된다.
상기 흡입구(100)로 유입된 물은 상기 유동로(430)를 지나면서 상기 블레이드(420)의 상기 회전판(422)과 충돌하고, 상기 블레이드(420)를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블레이드(420)는 회전하면서 물의 순환을 더욱 활성화시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 있는 무거운 이물질들이 상부로 이동되게 한다.
또한 상기 유동로(4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여과홀(310)을 통해 상기 흡입장치(200)의 상부로 빠져나간다.
한편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함께 이동하던 이물질은 상기 여과홀(310)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지지부재(4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저장부(120)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20)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홀(310)이 없기 때문에 물살이 약하여 이물질들이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순환장치(400)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이 상기 여과판(300)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120)에 축적되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여과판(300)에 끼는 것을 방지하여 물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고, 여과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조에 적용되어, 이물질이 여과판에 끼지 않고 별도로 저장되게 하여 여과력을 향상시키고, 무거운 이물질들을 부양시켜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여과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Claims (5)

  1.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에 물이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내측에 이물질이 축적되는 저장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장착되어 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장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장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은 통과시키고 이물질은 차단하는 여과판과;
    상기 여과판과 상기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며, 물이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물에 의해 회전하여 하부의 이물질을 상방향으로 부양시키는 순환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순환장치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한 이물질은 상기 여과판에 부딪쳐 차단되어 상기 저장부에 축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판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여과판에는 물은 통과되고 이물질은 차단되는 여과홀이 형성되되,
    상기 순환장치의 수직상부에는 상기 여과홀이 배치되고, 상기 순환장치의 측방향에는 상기 저장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의 상측에 장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되게 장착되며, 물의 상승시 물과 충돌하여 물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홀은 상기 유동로의 수직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저장부에 축적된 이물질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판이 형성되되,
    상기 차단판은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저장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이웃한 면과 둔각을 이루는 면취부가 형성되되,
    상기 면취부는 제1면취부와 제2면취부로 이루어져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면취부의 최단 가로길이는 상기 지지부재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제1면취부와 상기 제2면취부의 최단 거리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PCT/KR2010/001660 2009-03-23 2010-03-18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WO201011054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254 2009-03-23
KR1020090024254A KR100907912B1 (ko) 2009-03-23 2009-03-23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547A2 true WO2010110547A2 (ko) 2010-09-30
WO2010110547A3 WO2010110547A3 (ko) 2011-01-20

Family

ID=4133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1660 WO2010110547A2 (ko) 2009-03-23 2010-03-18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07912B1 (ko)
WO (1) WO201011054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5548A (zh) * 2020-11-23 2021-03-02 德清瓜山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用淡水育苗装置
WO2023038263A1 (ko) * 2021-09-10 2023-03-1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057B1 (ko) 2012-07-18 2013-09-25 윤주민 이물질 여과장치
KR102149691B1 (ko) * 2018-06-15 2020-09-01 김영건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CN111747509B (zh) * 2020-06-12 2022-10-28 广州市天河区林和粤财技术服务中心 一种自动清理活性生物炭的污水处理装置
KR102254551B1 (ko) * 2020-10-12 2021-05-21 조희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2616925B1 (ko) * 2021-08-12 2023-12-21 주식회사 이지엑스 어항바닥재 혼류흡입 및 분리배출 구조 어항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50Y1 (ko) * 1991-07-05 1993-09-28 김시명 상승기포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위차를 이용한 수족관의 용수장치
US5582719A (en) * 1994-02-22 1996-12-10 Nagano; Yohoji Filt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6862A (ja) * 1992-06-12 1993-12-21 Takuma Co Ltd 水質浄化装置
JPH08126449A (ja) * 1994-10-31 1996-05-21 Yoji Nagano 濾過装置
JP3894585B2 (ja) * 1995-07-26 2007-03-22 水作株式会社 水槽用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550Y1 (ko) * 1991-07-05 1993-09-28 김시명 상승기포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위차를 이용한 수족관의 용수장치
US5582719A (en) * 1994-02-22 1996-12-10 Nagano; Yohoji Filtra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25548A (zh) * 2020-11-23 2021-03-02 德清瓜山水产养殖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用淡水育苗装置
WO2023038263A1 (ko) * 2021-09-10 2023-03-1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547A3 (ko) 2011-01-20
KR100907912B1 (ko)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10547A2 (ko)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US5160607A (en) Filter for aquarium
CN109528111A (zh) 基站
WO2013105767A1 (ko) 여과기능을 갖는 수족관
WO2000004974A1 (es) Filtro autolimpiante perfeccionado
CN112539475B (zh) 水洗空气装置及空调柜机
WO2022030728A1 (ko) 여과포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홈형성수단을 포함하는 섬유디스크필터
KR101884783B1 (ko) 엉킴 방지 및 협잡물 제거 효율이 증대된 일체형 무빙스크린
WO2011145821A2 (ko) 휴대용 어항 청소기
CN115173244A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工业电气设备控制柜
WO2015178619A1 (ko) 공기청정기
US11332950B2 (en) Pool skimm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5541013B2 (ja) レンジフード
KR101068911B1 (ko) 활어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CN211158821U (zh) 一种新型污水处理用多孔装置
WO2013162242A1 (ko) 물세척 집진장치
KR101056817B1 (ko) 해파리 및 부유물 제거용 트랙 제진기
WO2013129764A1 (en) Water leakage preventing humidification apparatus
WO2006033294A1 (ja) 可動床プールおよび可動床プールの浄化方法
CN215912772U (zh) 一种市政道路雨水收集灌溉装置
WO2017135694A1 (ko) 습식 공기청정기
WO2020207311A1 (zh) 一种衣物处理设备
JP2000106785A (ja) 水棲生物育成装置
KR100970963B1 (ko) 보조배플을 갖는 스크린장치
WO2011014038A2 (ko) 오염공기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563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7563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