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38263A1 -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 Google Patents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38263A1
WO2023038263A1 PCT/KR2022/010157 KR2022010157W WO2023038263A1 WO 2023038263 A1 WO2023038263 A1 WO 2023038263A1 KR 2022010157 W KR2022010157 W KR 2022010157W WO 2023038263 A1 WO2023038263 A1 WO 20230382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ter
fish tank
inlet pipe
main bod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01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정렬
Original Assignee
박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렬 filed Critical 박정렬
Priority to US18/547,08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38382A1/en
Priority to JP2023550686A priority patent/JP2024509517A/ja
Priority to CN202280020051.3A priority patent/CN117042599A/zh
Publication of WO20230382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382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1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수과정없이 어항 내 잔존하는 물고기의 배설물 및 먹이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필터의 막힘이 발생되지 않고, 필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이 다시금 어항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내부로부터 하방으로 구비된 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거쳐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는 유입관을 감싸면서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필터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필터와 본체의 측면 사이 공간을 통해 본체 내에 쌓이고, 필터를 거친 물은 배출구를 통해 어항 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본 발명은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수없이 어항 내 잔존하는 물고기의 배설물 및 먹이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은 투명한 유리나 아크릴을 사용하여 내부가 보이도록 제작된 것으로, 내부 바닥에 모래 또는/및 장식품을 넣고 물을 채워 물고기를 기르는데 사용된다.
어항에서 사료를 주며 물고기를 기르는 과정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물고기가 먹다 남은 사료나, 물고기의 배설물이 바닥에 쌓이게 되는데, 이들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하는 과정에서 암모니아, 아질산, 질산염 등의 유독물질이 물 속에 녹아들고, 이로 인해 물고기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중독에 의해 폐사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어항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하며, 청소시 주로 스포이드, 사이펀을 이용한다. 스포이드나 수동 사이펀은 사용자가 계속하여 펌프를 눌러가며 작업하여야 하므로 번거로우며, 배출시 물받이가 필요하고 작업시 소량 또는 대량의 물이 함께 배출되므로 작업 후 보충수가 필요하다. 또한, 전동 사이펀은 망 형태로 이루어진 필터를 사용하므로 미세한 이물질을 거르지 못하고, 표면적이 작아 필터가 빠른 시간 내에 막히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1141호(이하, '인용발명' 이라 함)에서 본체에 공기를 채운 후 체크밸브를 열어 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물과 이물질이 본체 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필터를 거쳐 물만 배출구를 통해 본체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어항 바닥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어느 정도 거를 수 있고, 작업시 물이 어항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별도의 보충수가 필요없기는 하나, 이물질을 거르는 필터가 면 형태로 이루어져 필터가 빠른 시간 내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며, 특히 본체 내로 유입된 물이 필터의 상측에서 빠져나가므로 필터를 통해 걸러진 이물질이 부유하게 되어, 인용발명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과정 또는/및 청소를 마친 후 인용발명을 어항에서 빼내는 과정 중 부유한 이물질이 다시 어항으로 들어가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환수과정없이 어항 내 잔존하는 물고기의 배설물 및 먹이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필터의 막힘이 발생되지 않고, 필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이 다시금 어항으로 들어가지 않는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는, 내부로부터 하방으로 구비된 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거쳐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는 유입관을 감싸면서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필터의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는, 하방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를 이루고 유입관이 관통되며, 관통되는 유입관의 외측으로 배출구가 관통형성된 하부체로 구성되되, 상기 필터는 하부체의 곡면에 하단 외측 가장자리가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하부체에서 필터의 내주면과 인접한 지점이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하부체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필터의 하단과 맞닿게끔 배출구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돌부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체는, 관 형태를 이루면서 하단이 배출구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단이 내측에 구비된 유입관의 상단 부근에 위치되며 외측에 필터가 끼워지는 가이드관이 구비되되, 상기 필터는, 스펀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안착돌부에 하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단이 가이드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가이드관의 상측으로 돌출된 필터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가이드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필터고정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관통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유로가 함입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항의 바닥에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상방으로 고정관이 구비되고 어항의 바닥에 놓여지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유입관이 고정관과 연통되게끔 배치되어, 물이 고정관을 통해 유입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항 내 물이 본체 내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필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본체 내에 쌓이게 되고, 필터를 거친 물은 배출구를 통해 어항 내로 배출되는바, 어항 내 잔존하는 물고기의 배설물 및 먹이를 제거함에 있어 보충수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환수과정이 없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가져 표면적이 넓은 필터를 물이 지나가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필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이 필터와 본체의 측면 사이 공간을 통해 본체 내에 쌓이게 되므로 필터의 막힘이 발생되지 않으며, 배출되는 물이 필터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본체 내에 쌓인 이물질이 부유하지 않게 되는바, 걸러진 이물질이 다시금 어항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어항을 청소하고자 할 때에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대를 이용하여 어항 내 거치시켜 놓음으로써, 지속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여 항시 어항 내 청결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에 적용되는 필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에 적용되는 하부체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통해 물과 공기가 유출입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에 적용되는 거치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사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환수과정없이 어항 내 잔존하는 물고기의 배설물 및 먹이를 제거할 수 있으면서 필터의 막힘이 발생되지 않고, 필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이 다시금 어항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내부로부터 하방으로 구비된 유입관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내부에 구비된 필터를 거쳐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는 유입관을 감싸면서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는 필터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필터와 본체의 측면 사이 공간을 통해 본체 내에 쌓이고, 필터를 거친 물은 배출구를 통해 어항 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통 형태를 이루는 본체(100)를 포함하며, 본체(100)는 적어도 측면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져 내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100)는, 일 예로, 원통 형태를 이루며 내부가 비고 양단이 개방된 중간체(100b)와, 상방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를 이루며 중간체(100b)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체(100a)와, 하방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를 이루며 중간체(100b)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체(10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로부터 하방으로 관 형태를 이루는 유입관(110)이 구비되고, 내부에 필터(120)가 구비되며, 배출구(130)가 형성되어, 유입관(110)을 통해 어항 내 수용된 물이 본체(100) 내로 유입된 후, 필터(120)를 거쳐 배출구(130)을 통해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유입관(110)은, 견고한 관 형태로 형성되어, 일부가 본체(100)의 내부에 위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본체(1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게끔, 본체(100)의 저면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일 예로, 유입관(110)은 하부체(100c)의 중앙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유입관(110)의 상단은 본체(100)의 길이 절반에 해당되는 지점 또는 그보다 다소 아래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본체(100) 내부의 일부만이 물이 채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필터(1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관(110)이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된 통 형태로 이루어져, 물과 맞닿는 표면이 크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항으로부터 유입된 물에 포함된 물고기의 배설물 및 먹이와 같은 이물질이 필터(120)에 의해 효과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또한, 필터(12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공질이면서 힘을 가할 때 변형이 가능한 스폰지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필터(1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유로(121)가 함입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유로(121)는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121)를 통해 필터(120)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진 물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는바, 필터(120)의 하부에 집중되는 필터의 성능을 필터(120) 전체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필터(12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0)을 감싸면서 측면이 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어, 필터(120)와 본체(100)의 측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필터(120)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 이물질이 필터(120)와 본체(100)의 측면 사이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본체(100) 내에 쌓이게 된다. 또한, 필터(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체(100c)의 곡면에 하단 외측 가장자리가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필터(120)의 측면과 본체(100)의 측면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공간과, 필터(120)의 저면과 하부체(100c)의 하단부 사이 공간이 분리될 수 있다.
배출구(130)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00)의 하측으로 본체(100)에 형성된다. 일 예로, 배출구(130)는 본체(100)의 저면, 즉 하부체(100c)에서 안착된 필터(120)의 하측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하부체(100c)의 중앙을 관통하는 유입관(110)의 인접한 외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구(130)는 하부체(100c)에서 필터(120)의 내주면과 인접한 지점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구(130)의 주변으로 필터(120)가 하부체(100c)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하면서, 이물질의 배출을 이차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이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체(100c)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3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링 형태를 이루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단이 필터(120)의 하단과 맞닿는 안착돌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120)는, 하단 외측 가장자리가 하부체(100c)의 곡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저면 일부가 안착돌부(140)의 상단과 맞닿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120)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가 하부체(100c)의 곡면과 맞닿아 있기는 하나, 입자가 미세한 이물질의 일부가 틈새를 통해 배출구(13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바, 안착돌부(140)는, 이러한 미세 이물질이 배출구(130)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체(100)는, 배출구(130)가 필터(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120)를 거친 물은 본체(100)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어항 내 이물질 제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일부가 물에 잠기도록 한 상태로 수행되며,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된 물은 어항 내로 배출된다. 즉, 이물질을 거르기 위하여 본체(100) 내로 유입된 어항의 물은 이물질만이 걸러진 채 다시 어항 내로 배출되므로, 별도로 보충수의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아 환수과정이 필요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더불어, 걸러진 이물질과 분리된 상태로 본체(100)의 하방으로 물이 배출되므로, 어항의 청소 과정에서 본체(100) 내에 쌓인 이물질이 부유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어항의 청소를 마치고 본체(100)를 어항으로부터 빼내는 과정에서도 이물질이 부유하지 않게 되는바, 걸러진 이물질이 다시금 어항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이 쌓인 본체(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체(100c)가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청소를 마친 후 하부체(100c)를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이물질이 쌓인 상태대로 하부체(100c)를 분리시켜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100)가 배출구(130)로부터 이격되게 구비되는바, 하부체(100c) 내에서 필터(100)의 하측으로 물이 채워지므로, 배출구(130)를 통한 물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본체(100)는, 본체(100) 내에 위치하는 유입관(110)의 일부가 정위치되도록 하면서, 필터(1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이드관(150)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관(150)은, 일 예로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관 형태를 이루면서 하단이 배출구(130)의 내측인 하부체(100c)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관(150)은, 유입관(1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유입관(110)이 삽입되며, 상단이 내측에 구비된 유입관(110)의 상단 부근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관(150)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삽입되는 유입관(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151)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151)는 복수 개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가이드관(150)의 하단부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유입관(110)의 측면과 맞닿게 된다. 즉, 가이드관(15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입관(110)은 복수 개의 고정돌기(151)에 의해 억지끼워져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입관(110)의 상단이 가이드관(150)과 일치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가이드관(150)보다 낮게끔 하거나, 가이드관(150)보다 높게끔 할 수 있다.
가이드관(150)의 외측에는 필터(120)가 끼워지는데, 가이드관(150)의 외측에 끼워지는 필터(120)는 하부체(100c)에 안착된 상태(즉, 안착돌부(140)에 하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단이 가이드관(1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관(150)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필터(120)는 압축되어 본체(100) 내에 구비된다. 이를 위해,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150)의 상측으로 돌출된 필터(12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가이드관(1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필터고정구(160)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고정구(160)는, 일 예로 상면이 볼록하면서 필터(120)의 상면을 덮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유입관(120)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고정구(160)는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관(150)과 유입관(120)의 사이에 삽입되어 가이드관(150)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120)를 가이드관(150)과 끼운 후, 필터고정구(160)를 필터(120)의 상측에 위치시킨 다음 가이드관(150)과 결합될 때까지 필터(120)를 가압함으로써, 필터(120)가 본체(100) 내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압축된 필터(120)는 보다 작은 입자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는바, 필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 내로 물을 유입시키고 배출하기 위한 물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공기를 이용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0)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70)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공급관(170)은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투명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관(110) 내에 위치되는 공기공급관(170)의 끝단에는, 많은 공기방울을 형성하는 에어스톤(171)을 구비하여,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공급관(170)은 상부체(100a)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설치공을 통해 본체(100) 내로 삽입되어 에어스톤(171)이 유입관(110) 내에 위치되게끔 구비된다. 따라서, 공기공급관(170)을 통해 공급된 공기의 부력으로 인해, 유입관(110) 내에는 상승기류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유입관(110)을 통해 어항 내 물이 유입된다.
또한, 공기공급관(170) 중 본체(100)의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관(17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조절부재(172)가 구비될 수 있다. 에어조절부재(172)는 일 예로, 나사결합된 조절구를 돌려 공기공급관(170)의 전체를 개방/폐쇄하거나 일부만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체(100a)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 주변으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구(180)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유입관(110)을 따라 물과 함께 상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본체(100)의 상부에서 물과 분리되며, 공기배출구(18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설치공을 관통하는 공기공급관(170)은 억지끼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유입관(110) 또는, 유입관(120)과 후술할 연장유입관(190))의 길이를 비롯하여, 원하는 유속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는 공기공급관(170)을 밀어넣거나 당길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100)에 구비된 유입관(120)만으로 길이가 충분한 경우, 유입관(120)의 하단에 어항 바닥에 깔린 바닥재가 통과되지 않고 이물질이 섞인 물만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이 형성된 유입커버(190)가 유입관(110)의 하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0)만을 이용하여 어항 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체(100)에 구비된 유입관(110)이 어항을 청소하기에 길이가 충분히 않은 경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관 형태를 이루며 본체(100)의 외부에 위치된 유입관(120)의 끝단에 결합되는 연장유입관(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유입관(300)는 유입관(120)의 끝단에 직접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연장조인트(310)를 통해 유입관(110)의 끝단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장유입관(300)이 결합되는 유입관(110)의 끝단은 개방된 상태를 이루어 연장유입관(300)의 일단과 연통되며, 유입관(110)의 타단에는 통공이 형성되거나, 통공이 형성된 유입커버(19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항 내 본체(100)를 위치시킨 후, 본체(100)를 이동시키며 어항 바닥 전체에 잔존하는 물고기의 배설물이나 먹이를 본체(100) 내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어항 내 본체(100)가 거치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어항 내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항의 바닥에 놓여지는 거치대(2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어항의 바닥이란, 어항 자체의 바닥면을 의미할 수 있음은 물론, 어항의 바닥면에 깔린 바닥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거치대(20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통 형태로 형성된 거치본체(200a)와, 거치본체(200a)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어항의 바닥에 놓여지고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게끔 유입홀(220)이 관통형성된 거치받침(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거치본체(200a)는 저면이 거치받침(200b)으로 인해 어항의 바닥에서 이격되며, 어항의 바닥과 이격된 거치본체(200a)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고정관(210)이 구비된다. 고정관(210)은 거치받침(200b)의 내측과 연통되므로, 거치받침(200b)의 유입홀(220)을 통해 유입된 물은 고정관(2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관(210)은, 관 형태로 형성되는데, 유입관(110) 또는 연장유입관(300)이 고정관(2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유입관(110) 또는 연장유입관(30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관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10)과 고정관(210)이 연통되게끔 본체(100)가 거치대(200)와 결합될 수 있는바, 공기공급관(17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상승기류에 의해, 어항 내 물이 유입홀(220), 고정관(210), 유입관(120)을 순차적으로 지나며 유입된다.
그리고 고정관(210)은 거치대(200)의 저면 중앙으로부터 거치본체(200a)의 상단보다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관(210)과 거치본체(200a)의 측벽 사이의 공간에는 바닥재 등이 채워지거나, 수초가 심어질 수 있는바, 거치대(200)는 어항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거치받침(200b)은, 일 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본체(200a)의 저면과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면서 가장자리를 따라 거치본체(200a)의 저면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측벽이 돌출형성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측벽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유입홀(220)이 관통형성되어, 유입홀(220)을 통해 다방향에서 물이 분산유입될 수 있도록 하여, 거치대(200) 내로 바닥재가 빨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거치받침(200b)의 상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유로형성돌기(230)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돌기(230)는 고정관(210)과 대응되는 부분인 거치받침(200b)의 중앙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유입홀(220)과 인접한 양측 지점으로부터 거치받침(200b)의 중앙부를 향해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형성돌기(230)는 유입홀(220)과 거치받침(200b)의 중앙부를 연통하면서 거치받침(200b)의 중앙부를 향해 점차 폭이 줄어드는 유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공기공급관(17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의 상승기류가 발생되면, 어항 내 물은, 유입홀(220)을 통해 거치받침(200b) 내로 진입하고, 유로형성돌기(230)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지나 거치받침(200b)의 중앙에서 고정관(210)으로 유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항을 청소하고자 할 때에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200)를 이용하여 어항 내 거치시켜 놓음으로써, 지속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질 수 있도록 하여 항시 어항 내 청결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0a : 상부체
100b : 중간체 100c : 하부체
110 : 유입관 120 : 필터
121 : 배출유로 130 : 배출구
140 : 안착돌부 150 : 가이드관
151 : 고정돌기 160 : 필터고정구
170 : 공기공급관 171 : 에어스톤
172 : 에어조절부재 180 : 공기배출구
190 : 유입커버
200 : 거치대 200a : 거치본체
200b : 거치받침 210 : 고정관
220 : 유입홀 230 : 유로형성돌기
300 : 연장유입관 310 : 연장조인트

Claims (5)

  1. 내부로부터 하방으로 구비된 유입관(110)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내부에 구비된 필터(120)를 거쳐 배출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본체(10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의 하부는, 하방으로 볼록한 반구 형태를 이루고 유입관(110)이 관통되며, 관통되는 유입관(110)의 외측으로 배출구(130)가 관통형성된 하부체(100c)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120)는 유입관(110)을 감싸면서 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됨과 더불어 하부체(100c)의 곡면에 하단 외측 가장자리가 맞닿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130)는 필터(12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12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필터(120)와 본체(100)의 측면 사이 공간을 통해 본체(100) 내에 쌓이고, 필터(120)를 거친 물은 배출구(130)를 통해 어항 내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130)는, 하부체(100c)에서 필터(120)의 내주면과 인접한 지점이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하부체(100c)는, 링 형태를 이루면서 필터(120)의 하단과 맞닿게끔 배출구(13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안착돌부(14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00c)는, 관 형태를 이루면서 하단이 배출구(130)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단이 내측에 구비된 유입관(110)의 상단 부근에 위치되며 외측에 필터(120)가 끼워지는 가이드관(150)이 구비되되,
    상기 필터(120)는, 스펀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안착돌부(140)에 하단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단이 가이드관(1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는, 상기 가이드관(150)의 상측으로 돌출된 필터(12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가이드관(150)의 상단에 결합되는 필터고정구(1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관통형성된 통 형태로 형성되며,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출유로(121)가 함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항의 바닥에서 이격된 지점으로부터 상방으로 고정관(210)이 구비되고 어항의 바닥에 놓여지는 거치대(2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유입관(110)이 고정관(210)과 연통되게끔 배치되어, 물이 고정관(210)을 통해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PCT/KR2022/010157 2021-09-10 2022-07-12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WO2023038263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47,080 US20240138382A1 (en) 2021-09-10 2022-07-12 Device for extracting foreign matter in fish tank
JP2023550686A JP2024509517A (ja) 2021-09-10 2022-07-12 魚水槽内異物抽出器
CN202280020051.3A CN117042599A (zh) 2021-09-10 2022-07-12 鱼缸内异物提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101 2021-09-10
KR1020210121101A KR102348032B1 (ko) 2021-09-10 2021-09-10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263A1 true WO2023038263A1 (ko) 2023-03-16

Family

ID=7934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0157 WO2023038263A1 (ko) 2021-09-10 2022-07-12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38382A1 (ko)
JP (1) JP2024509517A (ko)
KR (1) KR102348032B1 (ko)
CN (1) CN117042599A (ko)
WO (1) WO20230382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032B1 (ko) * 2021-09-10 2022-01-0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KR102573384B1 (ko) 2023-01-10 2023-09-04 주식회사 수앤텍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2719A (en) * 1994-02-22 1996-12-10 Nagano; Yohoji Filtration system
WO2010110547A2 (ko) * 2009-03-23 2010-09-30 Lee Ok-Ju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01271141B1 (ko) * 2012-11-19 2013-06-04 유귀식 휴대용 어항 청소기
KR20200000051U (ko) * 2018-06-28 2020-01-07 배용근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2149691B1 (ko) * 2018-06-15 2020-09-01 김영건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2348032B1 (ko) * 2021-09-10 2022-01-0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996B1 (ko) * 2007-07-19 2008-03-11 이승용 정수장치를 구비한 어항
JP2009183160A (ja) * 2008-02-04 2009-08-20 Marukan:Kk 水中フィルタ用濾過材
KR100983352B1 (ko) * 2010-05-17 2010-09-20 유귀식 휴대용 어항 청소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2719A (en) * 1994-02-22 1996-12-10 Nagano; Yohoji Filtration system
WO2010110547A2 (ko) * 2009-03-23 2010-09-30 Lee Ok-Ju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KR101271141B1 (ko) * 2012-11-19 2013-06-04 유귀식 휴대용 어항 청소기
KR102149691B1 (ko) * 2018-06-15 2020-09-01 김영건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20200000051U (ko) * 2018-06-28 2020-01-07 배용근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2348032B1 (ko) * 2021-09-10 2022-01-0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032B1 (ko) 2022-01-06
US20240138382A1 (en) 2024-05-02
JP2024509517A (ja) 2024-03-04
CN117042599A (zh)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3038263A1 (ko)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US4481905A (en) Aquarium with improved aerator and purifier
US4921614A (en) Aquarium cleaning and filtering system and method
EP1997370A1 (en) Filter device for water tank
KR200493479Y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1404144B1 (ko)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WO2018221957A2 (ko)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EP0770327B1 (en) Filtration device
KR101058492B1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EP23284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KR20160115291A (ko)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KR101718360B1 (ko)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JPH07256236A (ja) 水に含まれる有機成分の除去装置
KR102149691B1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1572822B1 (ko) 어류의 인공 부화 장치
CN211746312U (zh) 一种用于水族箱水质净化的过滤系统
KR101953792B1 (ko) 어류 보호장치
KR20220120273A (ko)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KR101162249B1 (ko) 활어 수족관 바닥 찌꺼기 청소기
KR20120111668A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JP3379011B2 (ja) 中間育成飼育用多重水槽装置
WO2022163970A1 (ko) 관상어를 키울 수 있는 화분
CN218354132U (zh) 育苗池
WO2022010005A1 (ko) 식물 재배가 가능한 어항 장치
CN211863983U (zh) 一种前置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753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547080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f document number: 2023550686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20051.3

Country of ref document: 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