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21957A2 -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21957A2
WO2018221957A2 PCT/KR2018/006152 KR2018006152W WO2018221957A2 WO 2018221957 A2 WO2018221957 A2 WO 2018221957A2 KR 2018006152 W KR2018006152 W KR 2018006152W WO 2018221957 A2 WO2018221957 A2 WO 201822195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flow
water
filtration devi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615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8221957A3 (ko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김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경 filed Critical 김보경
Publication of WO201822195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21957A2/ko
Publication of WO201822195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2195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uoyant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 plastic flow carrier contained therein circulates by air bubble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to directly supply oxygen necessary for filtration.
  • the outer surface of the carrier is continuously cleaned and not clogged, and the inner space is protected to provide a stable and efficient filtration function by providing a space for the habitat of bacteria to aid various filtration including aerobic bacteria.
  • a floating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is provided.
  • aquariums with various kinds of fish are installed to decorate the interior of public facilities such as homes, offices, schools or hospitals.
  • the filtration method for water purification is installed on the side, top or bottom of the aquarium or a separate external filtration device to the outside, and the fixed-phase filter medium for filtration in each of them is used inside the filtration device.
  • the fixed-phase filter medium inside and inside the filtration device needs to be cleaned periodically because it is clogged with contaminants over time, and the filtration function does not work or it does not work. In the case of periodic cleaning, the filtration device has to be removed and reinstalled. This happens.
  • Patent Document 0001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055010 "FILTERING MEDIA FOR AQUARIUM"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ile the plastic flow carrier contained therein circulates by the air bubble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to supply oxygen necessary for filtration directly, the outer surface of the carrier is continuously In addition to being cleaned and prevented from clogging, the internal space is protected to provide a space for the incubation of bacteria, including aerobic bacteria, and various filtration. It is abou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erior and efficient filtration function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primary physical filtration by the sponge filter at the bottom and the secondary biological filtration by bacteria in the air floating flow carrier located at the top of the sponge filter.
  •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additional water flow and air through the induction of the horizontal discharge of water discharged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that can facilitate the cyclic movement of the carrier through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filter body, the abundant water flow and air to the carrier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supply, to induce a smooth water circulation of the entire tank to provide aerobic tank conditions.
  • the airline tube inside the filter body, to provide an air-floating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for aesthetically clean.
  • an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device includes a water flow outlet 110, a filter body 120, and a water flow inlet 130 sequentially connected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And an air subculture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which is formed and provides air (gas) to the filter main body 120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40,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flow discharge housing 111 constituting the water flow discharge unit 110.
  • the filter main body 120 from the air (gas) guided by the water flow guide end 113 forme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urface and the water flow inlet 130 by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unit 140,
  • the water (liquid) of the water tank introduced from the inside of the aquarium to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by the entire water flow formed inside the water outlet 110 is returned to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smoothly. And that is characterized.
  •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10, the water flow discharge housing 111 is formed in a tubular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urface is opened in the form inclined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112 formed in a straight hole and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n upper surface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a front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housing 111;
  • a through hole 113a formed in a panel shape and penetrating through the panel, and two induction terminals 113b to the upper part of the panel, and the gas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113a by the induction terminal 113b.
  • the through-hole (113a) is formed in one side from the cen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that can rotate the flow carrier well by inducing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water flow in one direction.
  • the water discharge part 110 is fastened to an inner rim surface and a lower end of the water discharge housing 111 to support the base 113c exte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shaped water flow guide end 113 to the top.
  • the upper fastening groove is formed is formed in the lower body fastening ring 114 is formed with a lower fastening groove for fastening with the upper fastening end 122 of the filter body 120;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 the support 113c exte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flow guide stage 113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near form protruding to reduce the noise hit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carrier.
  • the water flow discharge unit 1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water fastening and the water flow discharged in the desired direction is rotated horizontally in the desired direction and the body fastening ring.
  • the filter main body 120 the housing 121; Upper fastening end 122; And bottom fastening step 123; It includes, is fastened with the main body fastening ring 114 constituting the water flow outlet 110 by the upper fastening end 122, and is fastened with the top of the water flow inlet 130 by the lower fastening end 123 It is characterized by.
  • the housing 12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is a straight through-hole so that the flow carrier can move smoothly.
  • the water flow inlet 130 is formed in a circular structure with an open upper surface, the water flow inlet housing 131 to position the sponge filter 160 therein; And a water flow inlet hole 132 which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inflow housing 131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is spaced apart along a side surface of the water inflow housing 13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40 is the primary purified water through which the impurities are removed through the sponge filter 160 to provide a physical filtration function inside the water flow inlet housing 13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a combination of the water flow providing function and the filtration function that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120.
  • the air supply unit 140 an airline tube 141 which serves to supp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ternal air supply device into the filter main body 12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air line tube 141 is an orthogonal connecting pipe 143 formed at the last bent end of the bent housing 121 of the filter main body 120 which descend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f the air floating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air supply device, to supply air to the air diffuser 144 formed inside the filter body 120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f the orthogonal connecting pipe 143 It features.
  • the airline tube 14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orthogonal connecting pipe 143 passing through the outer rear portion inside the filter body.
  • the air supply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an additional manual air valve 142 that may adjust the amount of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to one end connected to the air supply device.
  • the air diffuser 14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roove on the inner inner surface to serve to crush the air supplied.
  • the air floating flow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has an effect of inducing movement of the plastic flow carrier by air bubble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device to continuously clean the outer surface so as not to be blocked.
  • the air 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by providing a primary physical filtration by the sponge filter of the lower end has the effect of removing insoluble substances.
  • the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by supplying the oxygen essential for filtration directly through the air bubbles to the biofilm that the filter bacteria or filter bacteria are present, by performing the second biological filtration simultaneously, Compared to the stationary filt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efficient filtration function.
  • the air buoyancy flow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has the effect of inducing smooth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low carriers by directing the water flow to one side through the upper through-hole structure design arranged on one side.
  • the air buoyancy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by applying additional water flow and air through the induction of water discharge in the desired horizontal direction, has the effect of oxygen supply (gas conversion) in the water tank.
  • the air buoyancy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can provide an aesthetically neat effect by placing the airline tube to the side of the inside of the filter bod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air 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ront view of an air buoyant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top view of an air buoyant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for explaining the interior of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170 used in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arrier 171 outer surfa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ponents of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view showing the side of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air 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front view of an air buoyant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top view of an air buoyant flow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perspective view as viewed from the side for explaining the interior of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170 used in the air-floating fluid carrier filter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buoyancy flow carrier filtration apparatus 100 includes a water flow outlet 110, a filter main body 120, a water flow inlet 130, an air supply 140, and an adsorption fixed end ( 150, a sponge filter 160, and a carrier 170.
  • the water discharge portion 110 may include a water discharge housing 111, a water discharge hole 112, a water flow guide end 113, and a body fastening ring 114.
  • the water flow discharge housing 1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and the lower surface is open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ter discharge housing 111 may be changed into a rectangular cylinder, a pentagonal cylinder, and other polygonal cylinder shapes. The reason why the rea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housing 111 is inclined is to form abundant water flow forward.
  • the plurality of water discharge holes 112 are holes having a linear component, and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to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housing 111.
  • the water flow guide end 113 may include a through hole 113a formed through the panel shape, and two guide terminals 113b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nel.
  • the two induction terminals 113b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nel and are formed to have a narrower distance toward the front end so that the gas and fluid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113a can be moved forward than the rear. By narrowing it, it is possible to play a role that the mixture of gas and fluid can be gathered and discharged in one direction.
  • the water flow guide stage 113 formed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flow discharge housing 111 aquarium is generated by the entire water flow formed from the water inlet 130 to the filter main body 120 and the water outlet 110 by the induced air (gas) and the air supplied by the air supply unit 140.
  • the water tank (liquid) introduced into the air buoy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from the inside can be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air buoy carrier filtration device 100 in one direction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be smoothly discharged.
  • the upper body fastening ring 114 is fastened to the upper edge of the inner rim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water discharge housing 111 for supporting the support 113c exte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anel-shaped water flow guide end 113 to the top
  • a groove is formed to allow the water flow discharge housing 111 to be rotated in a desired direction, and a lower locking groove for fastening with the upper fastening end 122 of the filter main body 120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 the filter main body 120 may include a housing 121, an upper fastening end 122, and a lower fastening end 123.
  • the housing 121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matches the shape of the water discharge housing 111, and has an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having a multi-stage curved end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carrier 170 may rotate well up and down inside the housing 121.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supplying abundant water flow and oxygen to the carrier 170 flowing up and down.
  • the housing 121 includes upper and lower fastening ends 122 and lower fastening ends 123 each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respectively, thereby fastening the body fastening ring 114 using the upper fastening ends 122. And, it may be fastened with the upper end of the water flow inlet 130 by using the lower fastening end (123).
  • the water flow inlet 130 may include a water flow inlet housing 131 and a water flow inlet 132.
  • the water flow inlet housing 131 may be formed in a tubular structure that matches the shapes of the water flow outlet housing 111 and the curved housing 121, and a sponge filter 160 may be disposed therein.
  • the water flow inlet hole 132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inflow housing 131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a linear hole, each can be formed spaced apart along the side of the water flow inlet housing 131 have.
  • the water tank in the aquarium can be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flow inlet hole 132, the physical inside the water flow inlet housing 131 Water flow providing function to allow the purified tank water from which impurities are first removed through the sponge filter 160 providing filtration to flow into the filter body 120 together with 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unit 140. And filtra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 the air supply unit 140 may include an airline tube 141, an air valve 142, an orthogonal connector 143, and an air diffuser 144.
  • One end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output end of the air supply device (not shown) to supply air discharged from the external air supply device to the air diffuser 144 through the output end of the orthogonal connector 143. Play a role.
  • the air line formed in the air line tube 141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housing, so that the air line is hidden from the outside to look aesthetically clean.
  • the airline tube 141 may be provided with a manual air control valve 142 may be attached to one end connected to an external air supply device, thereby providing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air supplied.
  • d 0.9 to 1.1
  • the oxygen is directly and evenly delivered to the biofilm inside and outside the carrier 170 to provide effects such as better filtration efficiency, organic matter removal (reduction of BOD and COD), and sludge production than conventional filtration methods.
  • the carrier 170 forms a curved protrusion outer side surface 171 so as to rotate smoothly, and the inner space of the carrier is the largest inhabitant of bacteria which helps various filtration including aerobic bacteria.
  • An inner surface 172 in the form of a cut hole may be formed to provide a space but to actively supply air.
  • Positive carrier 170 is approximately 6mm (diameter, L1) ⁇ 6mm (length, W1), the longest diameter (L1), the shortest diameter (L2) of the carrier 170, the longest diameter ( L3) and the curvature R1 of the curved surface between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on the basis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inner surface 172 with the length ratio of the shortest diameter L4 of the hole being 7.6: 7.2: 3.3: 1.
  • the magnitud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vature R2 of the curved surface between the second hole and the second hole of the inner surface 172 and the curvature R3 of the curved protrusion curved surface of the outer side surface portion 171 is 1.4 to 1.5: 1.2 to 1.3: 0.9
  • the area of the inner surface 172 is the largest critical area of the total inn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172 as compared to other test examples. At this time, the area is the relative area (v) according to each test example when R1: R2: R3 is 1: 1: 1 (Test Examples 5 to 12) when the reference area (v) is set to 1. Means the area ratio.
  • the first hole is larger in diameter than the second hole, and only one of the six holes may be formed as the first hole, and the other five holes may be formed as the second ho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류 배출부(110), 여과기 본체(120), 수류 유입부(130)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여과기 본체(120)에 에어(기체)를 제공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를 구성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 중 하단과 맞닿아 형성되는 수류 유도단(113)에 의해 유도된 에어(기체)와, 에어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로부터, 여과기 본체(120), 수류 배출부(110)까지의 내부에 형성된 전체 수류에 의해 수족관 내부로부터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로 유입된 수조 물(액체)을 다시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내부의 유동 담체가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순환작용을 하여 서로 부딪쳐서 청소되어 외부 표면은 깨끗하게 유지되고 막히지 않아 별도적인 담체의 청소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담체의 내부 공간은 보호되어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들의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부의 스폰지 필터에 의한 1차적인 물리적 여과와 스폰지 필터 상부단에 위치하는 순환 작용하는 에어 부상식 담체 내부에 서식하는 여과를 위한 박테리아에 의한 2차적인 생물학적 여과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여과 방식에 비해 효율적인 여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본 발명은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포함된 플라스틱 유동 담체가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 기포에 의해 순환 작용을 하여 여과에 필수적인 산소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면서, 담체의 외부 표면은 지속적으로 청소되어 막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은 보호되어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들의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학교 또는 병원 등과 같은 공공시설의 내부를 환경친화적으로 장식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물고기를 기르는 수족관을 설치한다.
그러나, 인위적인 공간에서 길러지는 물고기는 제한된 공간에서 서식함에 따라 불충분한 산소 농도 및 사료찌꺼기와 물고기들의 배설물 등의 오염 물질로 인하여 적절하게 청소하여 주지 않거나 관리가 소홀하면 쉽게 폐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인위적인 정수 장비들인 필터(여과 장치), 에어공급장치 등을 설치하고 오염물질들을 일정부분 제거하여, 물고기들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익한 생태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때, 정수용 여과방식은 수족관의 측면, 상단 또는 바닥면에 설치하거나 외부에 별도의 외부여과 장치를 설치하고, 각각에 여과를 위한 고정상 여과재를 여과 장치 내부에 넣어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여과 장치 내부, 그리고 내부에 있는 고정상 여과재는 시간이 흐르면 오염 물질로 막혀 여과기능이 떨어지거나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줘야 하며,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는 경우 여과 장치를 꺼내서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여과 장치 내부의 청소 주기를 줄이고, 여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055010호 "어항용 여과재(FILTERING MEDIA FOR AQUARIU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포함된 플라스틱 유동 담체가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 기포에 의해 순환 작용을 하여 여과에 필수적인 산소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면서, 담체의 외부 표면은 지속적으로 청소되어 막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은 보호되어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들의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부의 스폰지 필터에 의한 1차적인 물리적 여과와 스폰지 필터 상부단에 위치하는 에어 부상식 유동 담체 내부의 박테리아에 의한 2차적인 생물학적 여과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보다 우수하고 효율적인 여과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기 몸체의 구조적 설계를 통해 담체의 순환적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 외 에 배출되는 물의 수평 방향 출수 유도를 통해 추가적인 수류와 에어를 적용시켜, 담체에 풍부한 수류와 에어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 전체의 원활한 물순환을 유도시켜 호기성 수조조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에어라인 튜브를 여과기 본체 내부로 배치함으로써, 미관상 깔끔하도록 하기 위한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는, 수류 배출부(110), 여과기 본체(120), 수류 유입부(130)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여과기 본체(120)에 에어(기체)를 제공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를 구성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 중 하단과 맞닿아 형성되는 수류 유도단(113)에 의해 유도된 에어(기체)와, 에어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로부터, 여과기 본체(120), 수류 배출부(110)까지의 내부에 형성된 전체 수류에 의해 수족관 내부로부터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로 유입된 수조의 물(액체)을 다시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류 배출부(110)는, 상부면의 후단이 기울어진 형태로 하부면이 개방된 통 구조로 형성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 직선 성분의 홀로 형성되되,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전면으로는 상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류 배출공(112); 및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되 패널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홀(113a)과, 패널 상부로 2개의 유도 터미널(113b)을 포함하며, 유도 터미널(113b)에 의해 통공홀(113a)로 유입된 기체와 유체를 후방에 비해 전방을 협소하게 하여 기체와 유체의 혼합체가 전방의 수류 배출공(112)을 통해 모여 직선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류 유도단(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공홀(113a)는, 중심에서 편측으로 형성되어 수류의 한쪽 방향 회전움직임을 유도하여 유동 담체를 잘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류 배출부(110)는, 상부로는 패널 형상의 수류 유도단(113)의 하부면에 연장된 받침(113c)을 받치기 위한 내부 테두리면과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하단과 체결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부로는 여과기 본체(120)의 상단 체결단(122)과 체결하기 위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본체 체결링(11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류 유도단(113)의 하부면에 연장된 받침(113c)는 튀어나온 직선 형태로 설치되어 유동 담체가 상부에 부딪히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류 배출부(110)는, 본체 체결링과 채결되며 원하는 방향으로 수평 회전되어 배출되는 수류를 원하는 방향으로 출수시킬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과기 본체(120)는, 하우징(121); 상단 체결단(122); 및 하단체결단(123); 을 포함하며, 상단 체결단(122)에 의해 수류 배출부(110)를 구성하는 본체 체결링(114)과 체결되며, 하단 체결단(123)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의 상단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121)은 유동 담체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가 직선형으로 통공된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류 유입부(130)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스폰지 필터(160)가 위치하도록 하는 수류 유입 하우징(131); 및 직선 성분의 홀로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하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류 유입공(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류 유입 하우징(131) 내부에 물리적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스폰지 필터(160)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1차로 정화된 수조 물이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공급된 에어와 함께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수류 제공 기능과 여과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 공급부(140)는, 외부의 에어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에어를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에어라인 튜브(14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라인 튜브(141)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내려가는 여과기 본체(120)의 굴곡형 하우징(121)의 마지막 굴곡단에 형성된 직교 연결관(143)의 입력단과 한 단이 연결되고 나머지 한 단은 에어공급장치의 출력단으로 연결되어, 직교 연결관(143)의 출력단을 통해 여과기 본체(120) 내부에 형성된 에어 디퓨져(144)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라인 튜브(141)는 여과기 본체 내부의 외곽 후면부를 지나가서 직교 연결관(14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 공급부(140)는, 에어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한 단에는 공급되는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추가의 수동식 에어밸브(142)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 디퓨져(144)는 공급되는 에어를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부 안쪽면에 가는 홈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기 본체(120) 내부에 물의 비중과 유사한 (d = 0.9 ~ 1.1) 플라스틱 재질로 스폰지 필터(160)에 의한 1차적 물리적 여과 이후에 연속적인 생물학적 여과를 위해 담체(17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는,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 기포에 의해 플라스틱 유동 담체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외부 표면을 지속적으로 청소시켜 막히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장치는, 하단부의 스폰지 필터에 의한 1차적인 물리적 여과를 제공하여 불용성 물질들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담체 여과장치는, 에어 기포를 통해 여과에 필수적인 산소를 직접적으로 여과균 또는 여과균이 존재하는 바이오필름에 공급시켜 2차적인 생물학적 여과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고정상 여과장치들에 비해 효율적인 여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장치는, 편측으로 배치된 상부 통공홀 구조 설계를 통하여 수류를 한쪽으로 향하게 하여 유동 담체들의 원활한 상하 회전 움직임을 유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장치는, 원하는 수평 방향으로의 출수 유도를 통해 추가적인 수류와 에어를 적용시켜, 수조내부의 산소 공급 (가스전환) 효과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장치는 여과기 본체 내부의 측면으로 에어라인 튜브를 배치시킴으로써, 미관상 깔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에 대한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담체(17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00 :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110 : 수류 배출부
111 : 수류 배출 하우징 112 : 수류 배출공
113 : 수류 유도단 114 : 본체 체결링
120 : 여과기 본체 121 : 하우징
122 : 상단 체결단 123 : 하단 체결단
130 : 수류 유입부 131 : 수류 유입 하우징
132 : 수류 유입공 140 : 에어 공급부
141 : 에어라인 튜브 142 : 에어 밸브
143 : 직교 연결관 144 : 에어 디퓨져
150 : 흡착 고정단 160 : 스폰지 필터
170 : 담체 171 : 외측부면
172 : 내부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에 대한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담체(170)의 구조를 설명하기 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는 수류배출부(110), 여과기 본체(120), 수류 유입부(130), 에어 공급부(140), 흡착 고정단(150), 스폰지 필터(160), 담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배출부(110)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 수류 배출공(112), 수류 유도단(113), 본체 체결링(114)을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배출 하우징(111)은 상부면의 후단이 아래로 기울어진 형태로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 구조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통, 오각통, 그 밖의 다각형통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여기서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의 후단이 기울어진 이유는 전방으로 수류를 풍부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수류 배출공(112)은 직선 성분의 홀로,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전면으로는 상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류 유도단(113)은 패널 형상에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홀(113a)과, 패널 상부로 후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유도 터미널(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유도 터미널(113b)은 패널의 길이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전단으로 향할수록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통공홀(113a)로 유입된 기체와 유체를 후방에 비해 전방을 협소하게 하여 기체와 유체의 혼합체가 한 방향으로 모여 배출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는 수류 배출부(110)의 구성요소에 의한 작용 기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 중 하단과 맞닿아 형성되는 수류 유도단(113)에 의해 유도된 에어(기체)와, 에어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로부터, 여과기 본체(120), 수류 배출부(110)까지의 내부에 형성된 전체 수류에 의해 수족관 내부로부터 에어 부양식 담체 여과 장치(100)로 유입된 수조 물(액체)을 다시 에어 부양식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부로 한 방향으로 모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체 체결링(114)은 상부로는 패널 형상의 수류 유도단(113)의 하부면에 연장된 받침(113c)을 받치기 위한 내부 테두리면과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하단과 체결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어 수류 배출 하우징(111)을 원하는 방향으로 평형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하부로는 여과기 본체(120)의 상단 체결단(122)과 체결하기 위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여과기 본체(120)는 하우징(121), 상단 체결단(122), 하단체결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은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형상과 매칭되는 통 형상으로 통 형상의 외부면이 수직 방향으로 다단형의 굴곡단이 있으며, 내부는 직선 원통형으로 통공되어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담겨지는 담체(170)가 하우징(121) 내부에서 상하로 전체적으로 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단으로 유동하는 담체(170)에 대해 풍부한 수류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21)은 직경이 자신보다 작은 상단 체결단(122) 및 하단 체결단(123)을 각각 상·하단에 구비함으로써, 상단 체결단(122)을 이용해서 본체 체결링(114)과 체결되며, 하단 체결단(123)을 이용해서 수류 유입부(130)의 상단과 체결될 수 있다.
수류 유입부(130)는 수류 유입 하우징(131) 및 수류 유입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수류 유입 하우징(131)은 수류 배출 하우징(111) 및 굴곡형 하우징(121)의 형상과 매칭되는 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스폰지 필터(160)가 놓여질 수 있다.
한편, 수류 유입공(132)은 직선 성분의 홀로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하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는 수류 유입부(130)에 의한 작동 기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류 유입공(132)을 통해 수족관 내부의 수조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수류 유입 하우징(131) 내부에 물리적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스폰지 필터(160)를 거쳐 불순물이 1차로 제거된 정화된 수조 물이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공급된 에어와 함께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류 제공 기능과 여과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에어 공급부(140)는 에어라인 튜브(141), 에어 밸브(142), 직교 연결관(143), 에어 디퓨져(144)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라인 튜브(141)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내려가는 여과기 본체(120)의 굴곡형 하우징(121)의 마지막 굴곡단에 형성된 직교 연결관(143)의 입력단과 한 단이 연결되고 나머지 한 단은 에어공급장치(미도시)의 출력단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에어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에어를직교 연결관(143)의 출력단을 통해 에어 디퓨져(144)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에어라인 튜브(141)에 형성되는 에어라인은 여과기 하우징 내부 외곽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에어라인이 감춰져서 미관상 깔끔하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라인 튜브(141)는 외부의 에어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한 단에는 추가로 수동식 에어 조절 밸브(142)가 부착될 수 있음으로써, 공급되는 에어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유동성 담체(170)는 물과 유사한 비중의 플라스틱 재질로써 (d = 0.9 ~ 1.1) 스폰지 필터(160)에 의한 1차적 물리적 여과 이후에 연속적으로 생물학적 여과를 위해 형성되며, 에어 디퓨져(144)를 통해 공급된 에어에 의한 순환에 따라 상호 간 하우징(121) 내부에서 부딪힘으로써, 자체적으로 청소가 되어 담체(170)의 막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는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는 바이오필름(생물막)이 보호되어 안정적인 여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직접적으로 산소가 담체(170) 내외부의 바이오필름에 골고루 전달되어 기존의 여과방식보다 우수한 여과 효율, 유기물 제거(BOD 및 COD 감소), 그리고 슬러지 생성 감소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담체(170)는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곡면 돌기형 외측부면(171)을 이루며, 담체의 내부 공간은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들의 서식할 수 있는 최대의 공간을 제공하되, 에어의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삭된 홀 형태의 내부면(172)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성 담체(170)는 대략 6mm(직경, L1)× 6mm(길이, W1)로써, 담체(170)의 최장 직경(L1), 최단 직경(L2), 홀의 최장 직경(L3), 홀의 최단 직경(L4)의 길이 비율이 7.6 : 7.2 : 3.3 : 1인 상태에서, 내부면(172)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중 제 1 홀과 제 2 홀 사이의 곡면의 곡률(R1), 내부면(172) 중 제 2 홀과 제 2 홀 사이의 곡면의 곡률(R2), 외부측면부(171)의 곡면 돌기 곡면의 곡률(R3)의 크기 관계가 1.4 내지 1.5 : 1.2 내지 1.3 : 0.9 내지 1.0인 경우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내부면(172)의 면적은 다른 시험예에 비해 내부면(172)의 총면적이 가장 넓은 임계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면적은 R1 : R2 : R3 이 1 : 1 : 1일 경우(시험예 5 내지 시험예 12)를 기준 면적(v)인 1로 설정한 경우에 각 시험예에 따른 상대적인 면적(v)에 대한 면적 비를 의미한다.
제 1 홀은 제 2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홀의 직경이 큰 것으로, 여섯개의 홀 중 하나만 제 1 홀로 형성되고 나머지 5개는 제 2 홀로 형성될 수 있다.
Figure PCTKR2018006152-appb-T000001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3)

  1. 수류 배출부(110), 여과기 본체(120), 수류 유입부(130)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여과기 본체(120)에 에어(기체)를 제공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를 구성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 중 하단과 맞닿아 형성되는 수류 유도단(113)에 의해 유도된 에어(기체)와, 에어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로부터, 여과기 본체(120), 수류 배출부(110)까지의 내부에 형성된 전체 수류에 의해 수족관 내부로부터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로 유입된 수조 물(액체)을 다시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는,
    상부면의 후단이 기울어진 형태로 하부면이 개방된 통 구조로 형성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
    직선 성분의 홀로 형성되되,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전면으로는 상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류 배출공(112); 및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되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홀(113a)과, 패널 상부로 2개의 유도 터미널(113b)을 포함하며, 유도 터미널(113b)에 의해 통공홀(113a)로 유입된 기체와 유체를 후방에 비해 전방을 협소하게 하여 기체와 유체의 혼합체가 전방의 수류 배출공(112)을 통해 모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류 유도단(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는,
    상부로는 패널 형상의 수류 유도단(113)의 하부면에 연장된 받침(113c)을 받
    치기 위한 내부 테두리면과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하단과 체결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부로는 여과기 본체(120)의 상단 체결단(122)과 체결하기 위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본체 체결링(11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여과기 본체(120)는,
    하우징(121); 상단 체결단(122); 및 하단 체결단(123); 을 포함하며, 상단 체결단(122)에 의해 수류 배출부(110)를 연결하는 본체 체결링(114)과 체결되며, 하단 체결단(123)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의 상단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하우징(121)은,
    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면은 상하로 통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류 유입부(130)는,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스폰지 필터(160)가 위치하도록 하는 수류 유입 하우징(131); 및
    직선 성분의 홀로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하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류 유입공(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수류 유입 하우징(131) 내부에 물리적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스폰지 필터(160)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1차로 정화된 수조 물이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공급된 에어와 함께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수류 제공 기능과 여과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 공급부(140)는,
    외부의 에어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에어를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에어라인 튜브(14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에어라인 튜브(141)는,
    여과입자 에어 부양식 여과 장치(10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내려가는 여과기 본체(120)의 굴곡형 하우징(121)의 마지막 굴곡단에 형성된 직교 연결관(143)의 입력단과 한 단이 연결되고 나머지 한 단은 에어공급장치의 출력단으로 연결되어, 직교 연결관(143)의 출력단을 통해 여과기 본체(120) 내부에 형성된 에어 디퓨져(144)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에어라인 튜브(141)는 여과기 본체 내부 외곽에 위치하며 2행×2열로 형성되는 4개의 흡착 고정단(150)의 2개의 열 사이를 지나가서 직교 연결관(14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여과기 본체(120) 내부에 밀도 0.9 ~ 1.1사이의 플라스틱 또는 복합 플라스틱 재질로 스폰지 필터(160)에 의한 1차적 물리적 여과 이후에 연속적으로 생물학적 여과를 위해 담체(17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심에서 편측으로 형성되어 수류의 한쪽 방향 회전움직임을 유도하여 유동 담체를 회전시키는 통공홀(11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장치
  13. 소형의 수족관 여과장치에서 사용되는 유동 담체로써, 적은 에너지로도 잘 구동될 수 있는 0.95~0.97 밀도를 가진 HDPE 재질로 제작되며, 전체 크기가 5~7mm로 압출성형되어 5~7mm로 절단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플라스틱 유동 담체로써 중심부는 통공되며 내부는 2mm이하의 6각 형태 돌기 형태를 가지며 외부는 1mm 이하 간격 및 1mm 이하의 높이의 15개 이상의 작은 돌기형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담체.
PCT/KR2018/006152 2017-05-30 2018-05-30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WO201822195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583 2017-05-30
KR20170066583 201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1957A2 true WO2018221957A2 (ko) 2018-12-06
WO2018221957A3 WO2018221957A3 (ko) 2019-04-11

Family

ID=6445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6152 WO2018221957A2 (ko) 2017-05-30 2018-05-30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0372B1 (ko)
WO (1) WO201822195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412A (ko) * 2019-08-08 2021-02-17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소형 여과기가 부착된 바이오플락 기반의 아쿠아포닉스 재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122B1 (ko) * 2019-05-13 2021-05-14 김보경 여과기
KR102172841B1 (ko) 2020-01-30 2020-11-02 주식회사 이진아쿠아 공기구동 다기능 여과기와 담체
KR20220083307A (ko) * 2020-12-11 2022-06-20 주식회사 쿠아코리아 여과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75Y1 (ko) * 1990-05-17 1992-08-20 윤영일 수족관용 다단식 기포발생기
JPH07264953A (ja) * 1994-03-31 1995-10-17 Sanyo Electric Works Ltd 観賞魚飼育槽の浄化方法とその装置
JP2005230659A (ja) * 2004-02-18 2005-09-02 Toshiba Corp 排水処理担持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11325A1 (en) * 2004-09-07 2007-01-25 Venezia Alberto J Aquarium filter
KR100927472B1 (ko) * 2009-06-15 2009-11-19 주식회사 이엠 인더스 광촉매 세라믹 담체가 충진된 수족관용 정화장치
US9408374B2 (en) * 2011-12-25 2016-08-09 Bryan H. Farrish Hang on glass upflow algae scrubber embodiments
KR101247990B1 (ko) * 2012-08-23 2013-04-08 대한민국 고형물 제거기능이 겸비된 생물여과조
KR20170036201A (ko) * 2015-09-24 2017-04-03 김연준 수족관 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412A (ko) * 2019-08-08 2021-02-17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소형 여과기가 부착된 바이오플락 기반의 아쿠아포닉스 재배 시스템
KR102334131B1 (ko) 2019-08-08 2021-12-02 대한민국 소형 여과기가 부착된 바이오플락 기반의 아쿠아포닉스 재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55A (ko) 2018-12-10
WO2018221957A3 (ko) 2019-04-11
KR102140372B1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21957A2 (ko)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WO2013105767A1 (ko) 여과기능을 갖는 수족관
CN103408192B (zh) 鱼池过滤系统
CN203419821U (zh) 鱼池过滤系统
WO2016093445A1 (ko) 미세 조류를 이용한 수 정화 장치
CN108739617A (zh) 一种鲟鱼工厂化循环水养殖供水系统
WO2023038263A1 (ko)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CN102897896A (zh) 一种管式膜生物反应器
CN113519438A (zh) 一种低能耗高效原位气提式循环水净化养殖系统
WO2014189181A1 (ko) 물 정화 장치
KR100249422B1 (ko) 수중부유형오수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수의 정화방법
CN202697487U (zh) 可携式水族过滤器改良结构
KR200257701Y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CN201451061U (zh) 可携式水族过滤装置
WO2022250230A1 (ko) 크리너 유닛과 이를 이용한 순환 여과식 고밀도 장어양식 장치
KR20120029743A (ko) 수족관 정수장치
CN210559962U (zh) 一种农村生活污水的处理系统
CN210094382U (zh) 一种水产品循环水培养实验室养殖装置
CN109566523B (zh) 鱼池过滤装置及方法
RU32744U1 (ru) Сигнальный фонарь для пассажирского вагона
CN208022782U (zh) 一种基于生物接触氧化的污水处理设备
CN111333177A (zh) 泥膜生化污水处理系统
CN218810911U (zh) 一种一体化循环水处理装置的箱体
CN213834788U (zh) 一种工厂化循环水水产养殖系统多功能沉淀池
CN205420101U (zh) 一种小型生活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99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099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