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455A -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455A
KR20180131455A KR1020180061559A KR20180061559A KR20180131455A KR 20180131455 A KR20180131455 A KR 20180131455A KR 1020180061559 A KR1020180061559 A KR 1020180061559A KR 20180061559 A KR20180061559 A KR 20180061559A KR 20180131455 A KR20180131455 A KR 20180131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filtration
hous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0372B1 (ko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김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경 filed Critical 김보경
Publication of KR2018013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5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 C02F3/108Immobilising gels, polym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류 배출부(110), 여과기 본체(120), 수류 유입부(130)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여과기 본체(120)에 에어(기체)를 제공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를 구성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 중 하단과 맞닿아 형성되는 수류 유도단(113)에 의해 유도된 에어(기체)와, 에어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로부터, 여과기 본체(120), 수류 배출부(110)까지의 내부에 형성된 전체 수류에 의해 수족관 내부로부터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로 유입된 수조 물(액체)을 다시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내부의 유동 담체가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순환작용을 하여 서로 부딪쳐서 청소되어 외부 표면은 깨끗하게 유지되고 막히지 않아 별도적인 담체의 청소가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담체의 내부 공간은 보호되어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들의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부의 스폰지 필터에 의한 1차적인 물리적 여과와 스폰지 필터 상부단에 위치하는 순환 작용하는 에어 부상식 담체 내부에 서식하는 여과를 위한 박테리아에 의한 2차적인 생물학적 여과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여과 방식에 비해 효율적인 여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Aquarium filtering equipment using moving media with air floating type and moving media}
본 발명은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포함된 플라스틱 유동 담체가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 기포에 의해 순환 작용을 하여 여과에 필수적인 산소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면서, 담체의 외부 표면은 지속적으로 청소되어 막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은 보호되어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들의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학교 또는 병원 등과 같은 공공시설의 내부를 환경친화적으로 장식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물고기를 기르는 수족관을 설치한다.
그러나, 인위적인 공간에서 길러지는 물고기는 제한된 공간에서 서식함에 따라 불충분한 산소 농도 및 사료찌꺼기와 물고기들의 배설물 등의 오염 물질로 인하여 적절하게 청소하여 주지 않거나 관리가 소홀하면 쉽게 폐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인위적인 정수 장비들인 필터(여과 장치), 에어공급장치 등을 설치하고 오염물질들을 일정부분 제거하여, 물고기들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익한 생태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때, 정수용 여과방식은 수족관의 측면, 상단 또는 바닥면에 설치하거나 외부에 별도의 외부여과 장치를 설치하고, 각각에 여과를 위한 고정상 여과재를 여과 장치 내부에 넣어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여과 장치 내부, 그리고 내부에 있는 고정상 여과재는 시간이 흐르면 오염 물질로 막혀 여과기능이 떨어지거나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줘야 하며,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는 경우 여과 장치를 꺼내서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여과 장치 내부의 청소 주기를 줄이고, 여과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055010호 "어항용 여과재(FILTERING MEDIA FOR AQUARIU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포함된 플라스틱 유동 담체가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 기포에 의해 순환 작용을 하여 여과에 필수적인 산소를 직접적으로 공급하면서, 담체의 외부 표면은 지속적으로 청소되어 막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은 보호되어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들의 서식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부의 스폰지 필터에 의한 1차적인 물리적 여과와 스폰지 필터 상부단에 위치하는 에어 부상식 유동 담체 내부의 박테리아에 의한 2차적인 생물학적 여과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보다 우수하고 효율적인 여과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기 몸체의 구조적 설계를 통해 담체의 순환적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구조 외 에 배출되는 물의 수평 방향 출수 유도를 통해 추가적인 수류와 에어를 적용시켜, 담체에 풍부한 수류와 에어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 전체의 원활한 물순환을 유도시켜 호기성 수조조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에어라인 튜브를 여과기 본체 내부로 배치함으로써, 미관상 깔끔하도록 하기 위한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는, 수류 배출부(110), 여과기 본체(120), 수류 유입부(130)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여과기 본체(120)에 에어(기체)를 제공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를 구성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 중 하단과 맞닿아 형성되는 수류 유도단(113)에 의해 유도된 에어(기체)와, 에어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로부터, 여과기 본체(120), 수류 배출부(110)까지의 내부에 형성된 전체 수류에 의해 수족관 내부로부터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로 유입된 수조의 물(액체)을 다시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수류 배출부(110)는, 상부면의 후단이 기울어진 형태로 하부면이 개방된 통 구조로 형성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 직선 성분의 홀로 형성되되,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전면으로는 상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류 배출공(112); 및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되 패널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홀(113a)과, 패널 상부로 2개의 유도 터미널(113b)을 포함하며, 유도 터미널(113b)에 의해 통공홀(113a)로 유입된 기체와 유체를 후방에 비해 전방을 협소하게 하여 기체와 유체의 혼합체가 전방의 수류 배출공(112)을 통해 모여 직선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류 유도단(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공홀(113a)는, 중심에서 편측으로 형성되어 수류의 한쪽 방향 회전움직임을 유도하여 유동 담체를 잘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류 배출부(110)는, 상부로는 패널 형상의 수류 유도단(113)의 하부면에 연장된 받침(113c)을 받치기 위한 내부 테두리면과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하단과 체결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부로는 여과기 본체(120)의 상단 체결단(122)과 체결하기 위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본체 체결링(11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류 유도단(113)의 하부면에 연장된 받침(113c)는 튀어나온 직선 형태로 설치되어 유동 담체가 상부에 부딪히는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류 배출부(110)는, 본체 체결링과 채결되며 원하는 방향으로 수평 회전되어 배출되는 수류를 원하는 방향으로 출수시킬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과기 본체(120)는, 하우징(121); 상단 체결단(122); 및 하단체결단(123); 을 포함하며, 상단 체결단(122)에 의해 수류 배출부(110)를 구성하는 본체 체결링(114)과 체결되며, 하단 체결단(123)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의 상단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121)은 유동 담체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가 직선형으로 통공된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류 유입부(130)는, 상부면이 개방된 원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스폰지 필터(160)가 위치하도록 하는 수류 유입 하우징(131); 및 직선 성분의 홀로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하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류 유입공(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류 유입 하우징(131) 내부에 물리적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스폰지 필터(160)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1차로 정화된 수조 물이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공급된 에어와 함께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수류 제공 기능과 여과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 공급부(140)는, 외부의 에어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에어를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에어라인 튜브(14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라인 튜브(141)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내려가는 여과기 본체(120)의 굴곡형 하우징(121)의 마지막 굴곡단에 형성된 직교 연결관(143)의 입력단과 한 단이 연결되고 나머지 한 단은 에어공급장치의 출력단으로 연결되어, 직교 연결관(143)의 출력단을 통해 여과기 본체(120) 내부에 형성된 에어 디퓨져(144)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라인 튜브(141)는 여과기 본체 내부의 외곽 후면부를 지나가서 직교 연결관(14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 공급부(140)는, 에어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한 단에는 공급되는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량을 조절할 수 있는 추가의 수동식 에어 밸브(142)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에어 디퓨져(144)는 공급되는 에어를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부 안쪽면에 가는 홈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기 본체(120) 내부에 물의 비중과 유사한 (d = 0.9 ~ 1.1) 플라스틱 재질로 스폰지 필터(160)에 의한 1차적 물리적 여과 이후에 연속적인 생물학적 여과를 위해 담체(17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는, 에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에어 기포에 의해 플라스틱 유동 담체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외부 표면을 지속적으로 청소시켜 막히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는, 하단부의 스폰지 필터에 의한 1차적인 물리적 여과를 제공하여 불용성 물질들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담체 여과장치는, 에어 기포를 통해 여과에 필수적인 산소를 직접적으로 여과균 또는 여과균이 존재하는 바이오필름에 공급시켜 2차적인 생물학적 여과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고정상 여과장치들에 비해 효율적인 여과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는, 편측으로 배치된 상부 통공홀 구조 설계를 통하여 수류를 한쪽으로 향하게 하여 유동 담체들의 원활한 상하 회전 움직임을 유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는, 원하는 수평 방향으로의 출수 유도를 통해 추가적인 수류와 에어를 적용시켜, 수조내부의 산소 공급 (가스전환) 효과를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는 여과기 본체 내부의 측면으로 에어라인 튜브를 배치시킴으로써, 미관상 깔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에 대한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담체(17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에 대한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담체(17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는 수류배출부(110), 여과기 본체(120), 수류 유입부(130), 에어 공급부(140), 흡착 고정단(150), 스폰지 필터(160), 담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배출부(110)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 수류 배출공(112), 수류 유도단(113), 본체 체결링(114)을 포함할 수 있다.
수류 배출 하우징(111)은 상부면의 후단이 아래로 기울어진 형태로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 구조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통, 오각통, 그 밖의 다각형통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여기서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의 후단이 기울어진 이유는 전방으로 수류를 풍부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수류 배출공(112)은 직선 성분의 홀로,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전면으로는 상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류 유도단(113)은 패널 형상에 관통하여 형성된 통공홀(113a)과, 패널 상부로 후단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2개의 유도 터미널(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유도 터미널(113b)은 패널의 길이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전단으로 향할수록 이격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통공홀(113a)로 유입된 기체와 유체를 후방에 비해 전방을 협소하게 하여 기체와 유체의 혼합체가 한 방향으로 모여 배출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는 수류 배출부(110)의 구성요소에 의한 작용 기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 중 하단과 맞닿아 형성되는 수류 유도단(113)에 의해 유도된 에어(기체)와, 에어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로부터, 여과기 본체(120), 수류 배출부(110)까지의 내부에 형성된 전체 수류에 의해 수족관 내부로부터 에어 부양식 담체 여과 장치(100)로 유입된 수조 물(액체)을 다시 에어 부양식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부로 한 방향으로 모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체 체결링(114)은 상부로는 패널 형상의 수류 유도단(113)의 하부면에 연장된 받침(113c)을 받치기 위한 내부 테두리면과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하단과 체결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어 수류 배출 하우징(111)을 원하는 방향으로 평형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하부로는 여과기 본체(120)의 상단 체결단(122)과 체결하기 위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여과기 본체(120)는 하우징(121), 상단 체결단(122), 하단체결단(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1)은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형상과 매칭되는 통 형상으로 통 형상의 외부면이 수직 방향으로 다단형의 굴곡단이 있으며, 내부는 직선 원통형으로 통공되어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담겨지는 담체(170)가 하우징(121) 내부에서 상하로 전체적으로 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단으로 유동하는 담체(170)에 대해 풍부한 수류와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21)은 직경이 자신보다 작은 상단 체결단(122) 및 하단 체결단(123)을 각각 상·하단에 구비함으로써, 상단 체결단(122)을 이용해서 본체 체결링(114)과 체결되며, 하단 체결단(123)을 이용해서 수류 유입부(130)의 상단과 체결될 수 있다.
수류 유입부(130)는 수류 유입 하우징(131) 및 수류 유입공(132)을 포함할 수 있다. 수류 유입 하우징(131)은 수류 배출 하우징(111) 및 굴곡형 하우징(121)의 형상과 매칭되는 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스폰지 필터(160)가 놓여질 수 있다.
한편, 수류 유입공(132)은 직선 성분의 홀로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하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갖는 수류 유입부(130)에 의한 작동 기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류 유입공(132)을 통해 수족관 내부의 수조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수류 유입 하우징(131) 내부에 물리적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스폰지 필터(160)를 거쳐 불순물이 1차로 제거된 정화된 수조 물이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공급된 에어와 함께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류 제공 기능과 여과기능을 동시에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에어 공급부(140)는 에어라인 튜브(141), 에어 밸브(142), 직교 연결관(143), 에어 디퓨져(144)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라인 튜브(141)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내려가는 여과기 본체(120)의 굴곡형 하우징(121)의 마지막 굴곡단에 형성된 직교 연결관(143)의 입력단과 한 단이 연결되고 나머지 한 단은 에어공급장치(미도시)의 출력단으로 연결됨으로써, 외부의 에어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에어를직교 연결관(143)의 출력단을 통해 에어 디퓨져(144)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에어라인 튜브(141)에 형성되는 에어라인은 여과기 하우징 내부 외곽에 배치됨으로써, 외부에서 에어라인이 감춰져서 미관상 깔끔하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라인 튜브(141)는 외부의 에어공급장치와 연결되는 한 단에는 추가로 수동식 에어 조절 밸브(142)가 부착될 수 있음으로써, 공급되는 에어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유동성 담체(170)는 물과 유사한 비중의 플라스틱 재질로써 (d = 0.9 ~ 1.1) 스폰지 필터(160)에 의한 1차적 물리적 여과 이후에 연속적으로 생물학적 여과를 위해 형성되며, 에어 디퓨져(144)를 통해 공급된 에어에 의한 순환에 따라 상호 간 하우징(121) 내부에서 부딪힘으로써, 자체적으로 청소가 되어 담체(170)의 막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는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가 서식할 수 있는 바이오필름(생물막)이 보호되어 안정적인 여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직접적으로 산소가 담체(170) 내외부의 바이오필름에 골고루 전달되어 기존의 여과방식보다 우수한 여과 효율, 유기물 제거(BOD 및 COD 감소), 그리고 슬러지 생성 감소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담체(170)는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곡면 돌기형 외측부면(171)을 이루며, 담체의 내부 공간은 호기성 박테리아를 비롯한 각종 여과에 도움이 되는 박테리아들의 서식할 수 있는 최대의 공간을 제공하되, 에어의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삭된 홀 형태의 내부면(172)을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성 담체(170)는 대략 6mm(직경, L1)×6mm(길이, W1)로써, 담체(170)의 최장 직경(L1), 최단 직경(L2), 홀의 최장 직경(L3), 홀의 최단 직경(L4)의 길이 비율이 7.6 : 7.2 : 3.3 : 1인 상태에서, 내부면(172)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중 제 1 홀과 제 2 홀 사이의 곡면의 곡률(R1), 내부면(172) 중 제 2 홀과 제 2 홀 사이의 곡면의 곡률(R2), 외부측면부(171)의 곡면 돌기 곡면의 곡률(R3)의 크기 관계가 1.4 내지 1.5 : 1.2 내지 1.3 : 0.9 내지 1.0인 경우 하기의 [표 1]에서와 같이 내부면(172)의 면적은 다른 시험예에 비해 내부면(172)의 총면적이 가장 넓은 임계적 의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면적은 R1 : R2 : R3 이 1 : 1 : 1일 경우(시험예 5 내지 시험예 12)를 기준 면적(v)인 1로 설정한 경우에 각 시험예에 따른 상대적인 면적(v)에 대한 면적 비를 의미한다.
제 1 홀은 제 2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홀의 직경이 큰 것으로, 여섯 개의 홀 중 하나만 제 1 홀로 형성되고 나머지 5개는 제 2 홀로 형성될 수 있다.
구분 R1 : R2 : R3 상대적 수직 면적
실시예1 1.3 : 1.3 : 0.9 1.95
시험예2 1.3 : 1.2 : 0.9 1.78
시험예3 1.4 : 1.1 : 0.9 1.87
시험예4 1.4 : 1.2 : 0.8 1.99
시험예5 1.4 : 1.2 : 0.9 2.27
시험예6 1.4 : 1.3 : 0.9 2.54
시험예7 1.4 : 1.2 : 1.0 2.37
시험예8 1.4 : 1.3 : 0.9 2.46
시험예9 1.5 : 1.2 : 0.9 2.34
시험예10 1.5 : 1.3 : 0.9 2.76
시험예11 1.5 : 1.2 : 1.0 2.65
시험예12 1.5 : 1.3 : 1.0 2.45
시험예13 1.5 : 1.4 : 0.9 1.87
시험예14 1.5 : 1.4 : 1.0 2.12
시험예15 1.6 : 1.2 : 0.9 2.03
시험예16 1.6 : 1.3 : 1.0 2.11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110 : 수류 배출부
111 : 수류 배출 하우징
112 : 수류 배출공
113 : 수류 유도단
114 : 본체 체결링
120 : 여과기 본체
121 : 하우징
122 : 상단 체결단
123 : 하단 체결단
130 : 수류 유입부
131 : 수류 유입 하우징
132 : 수류 유입공
140 : 에어 공급부
141 : 에어라인 튜브
142 : 에어 밸브
143 : 직교 연결관
144 : 에어 디퓨져
150 : 흡착 고정단
160 : 스폰지 필터
170 : 담체
171 : 외측부면
172 : 내부면

Claims (13)

  1. 수류 배출부(110), 여과기 본체(120), 수류 유입부(130)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고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여과기 본체(120)에 에어(기체)를 제공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를 구성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상부면 중 하단과 맞닿아 형성되는 수류 유도단(113)에 의해 유도된 에어(기체)와, 에어 공급부(140)에 의해 공급된 에어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로부터, 여과기 본체(120), 수류 배출부(110)까지의 내부에 형성된 전체 수류에 의해 수족관 내부로부터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로 유입된 수조 물(액체)을 다시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는,
    상부면의 후단이 기울어진 형태로 하부면이 개방된 통 구조로 형성되는 수류 배출 하우징(111);
    직선 성분의 홀로 형성되되,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전면으로는 상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류 배출공(112); 및
    패널 형상으로 형성되되 패널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공홀(113a)과, 패널 상부로 2개의 유도 터미널(113b)을 포함하며, 유도 터미널(113b)에 의해 통공홀(113a)로 유입된 기체와 유체를 후방에 비해 전방을 협소하게 하여 기체와 유체의 혼합체가 전방의 수류 배출공(112)을 통해 모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수류 유도단(1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류 배출부(110)는,
    상부로는 패널 형상의 수류 유도단(113)의 하부면에 연장된 받침(113c)을 받치기 위한 내부 테두리면과 수류 배출 하우징(111)의 하단과 체결되는 상부 체결홈이 형성되며 하부로는 여과기 본체(120)의 상단 체결단(122)과 체결하기 위한 하부 체결홈이 형성되는 본체 체결링(11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여과기 본체(120)는,
    하우징(121); 상단 체결단(122); 및 하단 체결단(123); 을 포함하며,
    상단 체결단(122)에 의해 수류 배출부(110)를 연결하는 본체 체결링(114)과 체결되며, 하단 체결단(123)에 의해 수류 유입부(130)의 상단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하우징(121)은,
    통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면은 상하로 통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수류 유입부(130)는,
    상부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스폰지 필터(160)가 위치하도록 하는 수류 유입 하우징(131); 및
    직선 성분의 홀로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하부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수류 유입 하우징(131)의 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수류 유입공(13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수류 유입 하우징(131) 내부에 물리적 여과기능을 제공하는 스폰지 필터(160)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1차로 정화된 수조 물이 에어 공급부(140)를 통해 공급된 에어와 함께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수류 제공 기능과 여과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에어 공급부(140)는,
    외부의 에어공급장치로부터 배출된 에어를 여과기 본체(120)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에어라인 튜브(14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에어라인 튜브(141)는,
    여과입자 에어 부양식 여과 장치(10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내려가는 여과기 본체(120)의 굴곡형 하우징(121)의 마지막 굴곡단에 형성된 직교 연결관(143)의 입력단과 한 단이 연결되고 나머지 한 단은 에어공급장치의 출력단으로 연결되어, 직교 연결관(143)의 출력단을 통해 여과기 본체(120) 내부에 형성된 에어 디퓨져(144)로 에어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에어라인 튜브(141)는 여과기 본체 내부 외곽에 위치하며 2행×2열로 형성되는 4개의 흡착 고정단(150)의 2개의 열 사이를 지나가서 직교 연결관(143)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여과기 본체(120) 내부에 밀도 0.9 ~ 1.1사이의 플라스틱 또는 복합 플라스틱 재질로 스폰지 필터(160)에 의한 1차적 물리적 여과 이후에 연속적으로 생물학적 여과를 위해 담체(170)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심에서 편측으로 형성되어 수류의 한쪽 방향 회전움직임을 유도하여 유동 담체를 회전시키는 통공홀(11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장치
  13. 소형의 수족관 여과장치에서 사용되는 유동 담체로써, 적은 에너지로도 잘 구동될 수 있는 0.95~0.97 밀도를 가진 HDPE 재질로 제작되며, 전체 크기가 5~7mm로 압출성형되어 5~7mm로 절단된 원형 파이프 형상의 플라스틱 유동 담체로써 중심부는 통공되며 내부는 2mm이하의 6각 형태 돌기 형태를 가지며 외부는 1mm 이하 간격 및 1mm 이하의 높이의 15개 이상의 작은 돌기형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담체.

KR1020180061559A 2017-05-30 2018-05-30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KR102140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6583 2017-05-30
KR1020170066583 2017-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55A true KR20180131455A (ko) 2018-12-10
KR102140372B1 KR102140372B1 (ko) 2020-08-03

Family

ID=6445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559A KR102140372B1 (ko) 2017-05-30 2018-05-30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0372B1 (ko)
WO (1) WO2018221957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841B1 (ko) 2020-01-30 2020-11-02 주식회사 이진아쿠아 공기구동 다기능 여과기와 담체
KR20200131067A (ko) * 2019-05-13 2020-11-23 대한민국(해양수산부장관) 여과기
WO2022124484A1 (ko) * 2020-12-11 2022-06-16 주식회사 쿠아코리아 여과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131B1 (ko) * 2019-08-08 2021-12-02 대한민국 소형 여과기가 부착된 바이오플락 기반의 아쿠아포닉스 재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75Y1 (ko) * 1990-05-17 1992-08-20 윤영일 수족관용 다단식 기포발생기
JPH07264953A (ja) * 1994-03-31 1995-10-17 Sanyo Electric Works Ltd 観賞魚飼育槽の浄化方法とその装置
KR101247990B1 (ko) * 2012-08-23 2013-04-08 대한민국 고형물 제거기능이 겸비된 생물여과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0659A (ja) * 2004-02-18 2005-09-02 Toshiba Corp 排水処理担持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05334527A1 (en) * 2004-09-07 2007-01-25 Alberto J. Venezia Aquarium filter
KR100927472B1 (ko) * 2009-06-15 2009-11-19 주식회사 이엠 인더스 광촉매 세라믹 담체가 충진된 수족관용 정화장치
WO2013101775A1 (en) * 2011-12-25 2013-07-04 Farrish Bryan Harold Hang on glass upflow algae scrubber embodiments
KR20170036201A (ko) * 2015-09-24 2017-04-03 김연준 수족관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675Y1 (ko) * 1990-05-17 1992-08-20 윤영일 수족관용 다단식 기포발생기
JPH07264953A (ja) * 1994-03-31 1995-10-17 Sanyo Electric Works Ltd 観賞魚飼育槽の浄化方法とその装置
KR101247990B1 (ko) * 2012-08-23 2013-04-08 대한민국 고형물 제거기능이 겸비된 생물여과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2-0055010호 "어항용 여과재(FILTERING MEDIA FOR AQUARIU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067A (ko) * 2019-05-13 2020-11-23 대한민국(해양수산부장관) 여과기
KR102172841B1 (ko) 2020-01-30 2020-11-02 주식회사 이진아쿠아 공기구동 다기능 여과기와 담체
WO2022124484A1 (ko) * 2020-12-11 2022-06-16 주식회사 쿠아코리아 여과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1957A2 (ko) 2018-12-06
KR102140372B1 (ko) 2020-08-03
WO2018221957A3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1455A (ko)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KR930002425Y1 (ko) 관상물고기용 어항
US6065430A (en) Fish culturing system
CN108739617A (zh) 一种鲟鱼工厂化循环水养殖供水系统
KR101551748B1 (ko) 식물재배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085597B1 (ko)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20100116904A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US20060102537A1 (en) Aquarium
CN213463479U (zh) 一种智能化水产养殖池
KR20120116636A (ko) 수족관
KR100791056B1 (ko) 수족관용 이물질 제거장치
RU2728469C1 (ru) Система замкнутого водоснабжения для промышленного выращива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CN211861518U (zh) 鱼池过滤装置
CN212138943U (zh) 一种仿生态无腥鱼的养鱼设备
CN109566523B (zh) 鱼池过滤装置及方法
KR20160130681A (ko) 수질정화장치
TWM583194U (zh) 水產養殖槽水質處理裝置
JPH10244290A (ja) 水槽水の濾過方法及び濾過装置
CN212852209U (zh) 一种新型的观赏用水产养殖池
LV15092A (lv) Zivju audzēšanas komplekss un ūdens reģenerēšanas paņēmiens tajā
CN214571367U (zh) 一种多态生物滤站
CN214781045U (zh) 一种能够产生纳米气泡的太阳能涌泉曝气机
KR20080035229A (ko) 테라리움이 있는 공기정화 이단수족관
CN214167535U (zh) 水产暂养设备的循环水过滤装置和净化装置
CN219088167U (zh) 景观鱼池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