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6201A - 수족관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6201A
KR20170036201A KR1020150135079A KR20150135079A KR20170036201A KR 20170036201 A KR20170036201 A KR 20170036201A KR 1020150135079 A KR1020150135079 A KR 1020150135079A KR 20150135079 A KR20150135079 A KR 20150135079A KR 20170036201 A KR20170036201 A KR 20170036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ating body
aquarium
discharge port
secr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준
Original Assignee
김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준 filed Critical 김연준
Priority to KR1020150135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6201A/ko
Publication of KR2017003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수족관 정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수족관의 수중을 부유하도록 마련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부유본체부와;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부유본체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공급받아 기포 형태로 배출시켜 물의 상승 흐름 발생을 유도하는 기포발생부와; 수족관의 바닥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부유본체부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유입구와 연결되며, 수족관의 바닥면에 침전된 분비물을 물의 상승 흐름을 이용하여 물과 함께 흡입하는 흡입헤드부; 및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부유본체부에 설치되고,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비물을 포집하는 분비물포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족관 정화장치{PURIFIER FOR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족관에 저장된 분비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족관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담수된 물에 물고기를 수용하여 양식하거나 일정기간 저장하는 용기를 말하며, 해수용이나 관상어용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족관의 내부에 채워진 물은, 각종 물고기가 서식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분비물, 먹이로 투입되는 사료의 부패물 등으로 인한 오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오염이 수시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 수족관 내부에 서식하는 어류가 각종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고, 심한 경우 폐사에 이를 수 있다.
특히 횟집에서 횟감용 물고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해수용 수족관에서는, 물고기가 배출하여 바닥에 가라앉은 분비물이 수시로 제거되지 않는 경우, 그 수족관에 서식하는 물고기들이 이러한 분비물을 다시 먹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물고기가 분비물을 다수 섭취하게 되면, 해당 물고기로부터 나오는 회의 맛과 풍미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세균 오염의 우려가 있게 되므로, 물고기가 분비물을 섭취할 수 없도록 분비물을 수시로 제거해줄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1165호(2005.06.01. 공개, 발명의 명칭: 수조벽면세척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족관 바닥에 침전된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수족관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는: 수족관의 수중을 부유하도록 마련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부유본체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유본체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공급받아 기포 형태로 배출시켜 물의 상승 흐름 발생을 유도하는 기포발생부와; 수족관의 바닥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부유본체부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수족관의 바닥면에 침전된 분비물을 물의 상승 흐름을 이용하여 물과 함께 흡입하는 흡입헤드부; 및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부유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비물을 포집하는 분비물포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헤드부는, 수족관의 바닥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내부에 흡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간이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부유본체부의 하부 측에 결합되는 헤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흡입공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부유본체부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유본체부의 측방향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비물포집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분비물을 포집하고,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가 상기 부유본체부의 측방향으로 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필터부를 상기 배출구에 연결시키는 필터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비물포집부는, 상기 부유본체부의 측방향으로 물을 배출시켜 상기 부유본체부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부유본체부에는, 상기 분비물포집부에 의해 발생된 추진력이 작용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유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의 물의 흐름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본체부는, 원통 형태의 벽면과 상기 벽면의 상부를 덮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상부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 측에 인접될수록 상기 상부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면과 상기 흐름유도부 사이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수족관 정화장치에 따르면, 수중에 공기를 기포 형태로 배출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수족관 바닥에 침전된 분비물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족관의 수중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효과와 수족관 바닥에 침전된 분비물을 제거하여 수족관 내의 물고기의 분비물 섭취를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족관 내부를 이동하면서 수족관 바닥면 전체에 대한 정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족관 전체에 대한 더욱 향상된 분비물 제거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의 부유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100)는 부유본체부(110)와 기포발생부(120)와 흡입헤드부(130) 및 분비물포집부(140)를 포함한다.
부유본체부(110)는, 수족관(1)의 수중을 부유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유본체부(110)는 원통 형태의 벽면(a)과 벽면(a)의 상부를 덮는 상부면(b)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부유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부유본체부(110)의 하부 측에는 유입구(111)가 형성되며, 부유본체부(110)의 상부 측에는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후술할 흡입헤드부(130)를 통해 흡입되는 물과 분비물은, 유입구(111)를 통해 부유본체부(11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물과 분비물은, 배출구(113)를 통해 후술할 분비물포집부(140)로 배출될 수 있다.
기포발생부(120)는, 수용공간, 즉 물이 채워진 부유본체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부유본체부(110)에 설치된다. 이러한 기포발생부(120)는, 공기를 공급받아 기포 형태로 배출시킴으로써, 물이 채워진 부유본체부(110)의 내부에서 물의 상승 흐름이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포발생부(120)는 부유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수중에 설치되되, 유입구(111)와 배출구(113)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에어 분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포발생부(120)는, 에어호스(125)를 통해 에어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공기를 수중에서 기포 형태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기포발생부(120)에 의해 배출되는 기포 상태의 공기는 물이 채워진 부유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상승하여 배출구(113) 측으로 이동하며, 이와 같이 이동하는 공기를 따라 물이 함께 상승하면서 물의 상승 흐름 발생이 유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발생된 물의 상승 흐름은, 유입구(111)를 통한 물의 유입 흐름 발생을 유도하게 된다.
흡입헤드부(130)는, 수족관(1)의 바닥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부유본체부(110)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유입구(111)와 연결된다. 이러한 흡입헤드부(130)는, 수족관(1)의 바닥면에 침전된 분비물을 물을 상승 흐름을 이용하여 물과 함께 흡입하도록 구비되며, 바닥부(131)와 연장부(133) 및 헤드결합부(135)를 포함한다.
바닥부(131)는 수족관(1)의 바닥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이러한 바닥부(131)에는 복수개의 흡입공(1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부(13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바닥부(131)에는 복수개의 흡입공(132)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개의 흡입공(132)을 통해 바닥면에 침전된 분비물을 물과 함께 흡입할 수 있다.
이때 흡입공(132)을 통해 이루어지는 물과 분비물의 흡입은, 유입구(111) 측에 발생되는 물의 유입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부(133)는, 내부에 흡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133)는 바닥부(13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흡입공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것으로 예시된다.
흡입공(132)을 통해 분비물과 함께 흡입된 물은, 흡입헤드부(130) 내부에서 발생되는 흡입압 및 유입구(111) 측에서 발생되는 물의 유입 흐름에 의해 유입구(111) 측으로 상승되며, 이와 같이 상승되는 물이 연장부(133)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모아지면서 연장부(133)의 내부에서 물의 빠른 상승 흐름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연장부(133)의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빠른 상승 흐름에 의해, 흡입헤드부(130) 내부의 흡입압이 더욱 상승하여 바닥면에 침전된 분비물에 대한 흡입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흡입헤드부(130)를 통해 흡입된 물과 분비물이 빠른 상승 흐름을 형성하며 부유본체부(110) 내부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헤드결합부(135)는, 연장부(133)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연장부(133) 내부의 흡입공간이 유입구(111)와 연결되도록 부유본체부(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일례로서, 유입구(111)는 부유본체부(110)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헤드결합부(135)는 이와 같이 돌출되게 형성된 유입구(11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헤드부(130)는, 부유본체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부유본체부(11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부유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분비물포집부(140)는, 배출구(113)와 연결되도록 부유본체부(110)에 설치된다. 이러한 분비물포집부(140)는,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분비물을 포집하도록 구비되며, 필터부(141)와 필터결합부(143)를 포함한다.
필터부(141)는,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분비물을 포집하고,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킨다.
이러한 필터부(141)는, 배출구(113)의 출측을 둘러싸는 거름망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배출구(113)의 출측에 설치된 필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141)가 설치되는 배출구(113)는 부유본체부(110)의 측부에 형성되며, 이러한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부유본체부(110)의 측방향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배출구(113)의 출측에 설치되는 필터부(141)는,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분비물을 포집하는 한편, 분비물이 제거된 상태의 물을 수족관(1) 내부의 수중으로 부유본체부(110)의 측방향으로 배출시킴으로써, 부유본체부(11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추진력에 의해, 수족관 정화장치(100)는 수중에 부유된 상태로 수족관(1) 내부를 이동하면서 수족관(1) 바닥면 전체에 대한 정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필터결합부(143)는, 필터부(141)가 부유본체부(110)의 측방향으로 물을 배출시키도록 필터부(141)를 배출구(113)에 연결시킨다.
일례로서, 배출구(113)는 부유본체부(110)의 측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결합부(143)는 이와 같이 돌출되게 형성된 배출구(1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비물포집부(140)는, 부유본체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필터부(141)의 교체 또는 청소가 필요한 경우 부유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된 후 재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수족관 정화장치(100)는, 방향조절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조절키(150)는, 분비물포집부(140)에 의해 발생된 추진력이 작용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부유본체부(110)의 측부에 키(Rudder)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배출구(113) 및 필터부(141)를 통한 물의 배출에 의해 부유본체부(110) 및 이를 구비하는 수족관 정화장치(100)를 수족관(1)의 수면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추진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추진력에 의해 이동되는 수족관 정화장치(100)의 이동방향이 방향조절키(15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족관 정화장치(100)가 소정 곡률로 곡선을 그리며 이동하도록 방향조절키(150)의 방향을 조절하는 경우, 수족관 정화장치(100)는 수족관(1) 내부에서 원 또는 나선을 그리며 수족관(1) 내부 전체를 이동하면서 족관(1) 바닥면 전체에 대한 정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도 4 및 도 5 참조).
한편 부유본체부(110)는, 부유본체부(110)의 내부, 즉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물의 흐름을 배출구(113) 측으로 유도하는 흐름유도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유도부(115)는, 상부면(b)의 하부에 배치되어 부유본체부(110)의 내부 영역을 상하방향으로 구분하는 구분판(區分板) 형태로 형성되되, 배출구(113)에 인접될수록 상부면(b)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부유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부유본체부(11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물이 상승 흐름을 따라 상부면(b)을 향해 상승되다가 흐름유도부(115)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배출구(113) 측으로 이동되는 흐름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흐름에 의해 배출구(113)로의 물의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수압 및 유속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부유본체부(110) 내부에서의 상승 흐름, 이를 통해 유도되어 발생되는 흡입헤드부(130)에서의 흡입압 증가가 효과적으로 유도될 수 있으므로, 흡입헤드부(130)를 통해 이루어지는 수족관(1) 바닥면에서의 분비물 흡입 작업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부유본체부(110)의 내부에서 흐름유도부(115)에 의해 밀폐된 영역, 즉 상부면(b)과 흐름유도부(115) 사이에 위치된 영역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가 채워지는 의해, 수족관 정화장치(100)는 부유본체부(110)가 수중에 가라앉지 않고 수중을 부유할 수 있는 부력(浮力)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 정화장치의 부유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수족관 정화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족관 정화장치(100)는 수족관(1)의 수중을 부유하도록 수족관(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부유본체부(110)는 상측 일부분이 수면에 노출되도록 수중에 잠긴 상태로 수중을 부유하게 되며, 흡입헤드부(130)는 바닥부(131)가 수족관(1)의 바닥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수족관(1)의 바닥면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포발생부(120)가 공기를 공급받아 수중에서 기포 형태로 배출시키게 되면, 부유본체부(110) 내부에 채워진 물의 상승 흐름이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물의 상승 흐름에 의해 흡입헤드부(130)에 흡입압이 발생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흡입압에 의해 수족관(1)의 바닥면에 침전되어 있던 분비물이 물과 함께 흡입헤드부(130)를 통해 흡입된다.
이와 같이 흡입된 물과 분비물은 부유본체부(110) 내부의 상승 흐름을 타고 상승하여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된 물과 분비물 중 분비물은 분비물포집부(140)의 필터부(141)에 의해 포집되고, 분비물이 제거된 물은 부유본체부(110)의 측방향으로 그대로 배출되며, 이처럼 배출된 물에 의해 부유본체부(110)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추진력에 의해, 수족관 정화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부유된 상태로 수족관(1) 내부를 이동하면서 수족관(1) 바닥면 전체에 대한 정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수족관 정화장치(100)는, 수중에 공기를 기포 형태로 배출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수족관(1) 바닥에 침전된 분비물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족관(1) 수중의 용존 산소량을 증가시키는 효과와 수족관 바닥에 침전된 분비물을 제거하여 수족관(1) 내의 물고기의 분비물 섭취를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족관 정화장치(100)는, 수족관(1) 내부를 이동하면서 수족관(1) 바닥면 전체에 대한 정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수족관(1) 전체에 대한 더욱 향상된 분비물 제거 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수족관 정화장치
110 : 부유본체부
111 : 유입구
113 : 배출구
115 : 흐름유도부
120 : 기포발생부
125 : 에어호스
130 : 흡입헤드부
131 : 바닥부
132 : 흡입공
133 : 연장부
135 : 헤드결합부
140 : 분비물포집부
141 : 필터부
143 : 필터결합부
150 : 방향조절키

Claims (10)

  1. 수족관의 수중을 부유하도록 마련되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 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부 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부유본체부;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상기 부유본체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공급받아 기포 형태로 배출시켜 물의 상승 흐름 발생을 유도하는 기포발생부;
    수족관의 바닥면에 인접되게 위치되도록 상기 부유본체부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며, 수족관의 바닥면에 침전된 분비물을 물의 상승 흐름을 이용하여 물과 함께 흡입하는 흡입헤드부; 및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부유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분비물을 포집하는 분비물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헤드부는,
    수족관의 바닥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되는 바닥부;
    내부에 흡입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간이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상기 부유본체부의 하부 측에 결합되는 헤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흡입공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부유본체부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부유본체부의 측방향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물포집부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필터링하여 분비물을 포집하고, 필터링된 물을 배출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가 상기 부유본체부의 측방향으로 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필터부를 상기 배출구에 연결시키는 필터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비물포집부는, 상기 부유본체부의 측방향으로 물을 배출시켜 상기 부유본체부를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부유본체부에는, 상기 분비물포집부에 의해 발생된 추진력이 작용되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의 물의 흐름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유도하는 흐름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본체부는, 원통 형태의 벽면과 상기 벽면의 상부를 덮는 상부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부는, 상기 상부면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출구 측에 인접될수록 상기 상부면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면과 상기 흐름유도부 사이에는,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정화장치.
KR1020150135079A 2015-09-24 2015-09-24 수족관 정화장치 KR20170036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079A KR20170036201A (ko) 2015-09-24 2015-09-24 수족관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079A KR20170036201A (ko) 2015-09-24 2015-09-24 수족관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201A true KR20170036201A (ko) 2017-04-03

Family

ID=5858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079A KR20170036201A (ko) 2015-09-24 2015-09-24 수족관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62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457B1 (ko) * 2018-01-26 2018-06-26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이동식 여과기를 구비하는 수족관
WO2018221957A3 (ko) * 2017-05-30 2019-04-11 김보경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KR102179050B1 (ko) * 2020-02-17 2020-11-16 주식회사 프라뱅크 플라즈마 혼합 기체 기포발생 보조수조를 구비한 수족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957A3 (ko) * 2017-05-30 2019-04-11 김보경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및 유동 담체
KR101871457B1 (ko) * 2018-01-26 2018-06-26 주식회사 파워리퍼블릭 이동식 여과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102179050B1 (ko) * 2020-02-17 2020-11-16 주식회사 프라뱅크 플라즈마 혼합 기체 기포발생 보조수조를 구비한 수족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424B1 (ko) 진공 흡입식 해양생물 포집장치
KR102068772B1 (ko) 다슬기 양식 수조의 바닥 찌꺼기 제거 장치
KR20170036201A (ko) 수족관 정화장치
KR101280011B1 (ko) 물 정화 장치
KR20120004892A (ko) 수족관 수질정화기의 해수 흡입장치
JP2003235391A (ja) エビの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
KR101887882B1 (ko) 수족관용 복합여과장치
KR101798901B1 (ko) 수족관 정화장치
KR100220270B1 (ko) 공기양수관을 이용한 담수호의 폭기 및 침전물제거장치
JP2022530270A (ja) 液体の移送および処理のための装置
KR20180128595A (ko) 수조용 여과 장치
JP4909194B2 (ja) 活魚水槽装置
JP5961851B2 (ja) グリーストラップ掃除機
KR20150001964U (ko) 배수 및 순환 장치를 구비한 어항
JP2008512116A (ja) 水槽フィルタ(aquariumfilter)
JP5595777B2 (ja) 泡沫分離装置
JP5546330B2 (ja) 泡沫分離装置
KR100973773B1 (ko) 수족관 정수장치
KR102135956B1 (ko) 수조순환장치
US20140070429A1 (en) Dirt disposal structure of aquarium protein skimmer
TWM613107U (zh) 濾淨增氧系統
KR102239314B1 (ko) 해수어 수족관용 스키머
KR20130081521A (ko) 활어수족관 정수장치
CN201995464U (zh) 大型观赏鱼缸
KR200433906Y1 (ko)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