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906Y1 -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906Y1
KR200433906Y1 KR2020060026566U KR20060026566U KR200433906Y1 KR 200433906 Y1 KR200433906 Y1 KR 200433906Y1 KR 2020060026566 U KR2020060026566 U KR 2020060026566U KR 20060026566 U KR20060026566 U KR 20060026566U KR 200433906 Y1 KR200433906 Y1 KR 2004339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water
aeration tank
filtration cha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6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서
Original Assignee
신중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서 filed Critical 신중서
Priority to KR2020060026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9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9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9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 등에 설치되어 오염된 물을 정화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오염수가 유입되는 여과챔버에서 포말형태로 찌꺼기를 분리배출시키며, 정수된 물은 저수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챔버 내부에 설치되되, 상부는 개구되며 내면에 다수의 포말유도판이 배치되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의 상측에 배치되며 포말이 배출되는 포말배출구를 구비하는 포집후드와; 펌프에 의해서 오염수가 공급되며 상기 폭기조 내부로 오염수를 토출시키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관을 통해서 오염수가 폭기조로 공급될 시에 공기가 함께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포말 형성효율을 높여 고성능의 포말분리식 정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정수장치, 포말분리식, 여과챔버, 저수챔버, 공기, 폭기조, 포말

Description

포말분리식 정수장치{Wate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of bubble separation}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말분리식 정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3은 도2에 따른 정수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의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여과챔버 20 : 저수챔버
30 : 격벽 35 : 유동홀
40 : 폭기조 45 : 포말유도판
50 : 포집후드 60 : 포말배출구
70 : 토출관 80 : 공기유입관
85 : 소음기
본 고안은 수족관 등에 설치되어 오염된 물을 정화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특히 포말형태를 이루도록 오염수를 토출시켜 각종 찌꺼기를 분리 배출되게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관상용이나 식용으로 어류를 양식하는 경우 어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수족관을 사용하게 된다. 물고기가 제한된 수족관 내부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며, 정기적으로 먹이를 투입해야 한다. 이와 함께 수족관 내부의 물을 갈아주거나 정화해야 하는데, 어류가 배설하는 배설물 및 투입된 여분의 먹이가 바닥에 침전되거나 부유되어 수질은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오염된 수족관의 물을 한꺼번에 교체하는 것은 많은 불편함이 있고, 물을 낭비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물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족관 내의 물을 정화하여 순환되게 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과 관련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93675호의 "포말분리식 정수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대한 단면도로서 그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챔버(100)와 저수챔버(200)는 분리판(300)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여과챔버(100)의 저부에 임펠러(120)가 부착된 임펠러축(110)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챔버의 측벽에 다수의 저항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임펠러축(110)이 관통되는 여과챔버 뚜껑(160)이 마련되고, 상기 수조의 저면에 펌프탱크(400)가 형성되고 상기 펌프탱크 내부에는 유입펌프(440)가 내장되며, 상기 유입펌프에 유입파이프(430)가 연결되어 외부 유입류가 공급될 수 있게 하며, 중간파이프(420)를 통해 서 외부 유입류는 여과챔버(100)로 공급된다. 그리고 임펠러의 구동에 의해 형성되는 거품은 여과챔버 뚜껑에 연결되는 거품배출 파이프(150)로 배출되며, 저수챔버(200)로 이동된 정수된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정수배출 파이프(210)를 구비하게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여과챔버의 상부에 모터를 두고 임펠러를 회전시켜 공급된 오염수에 회전력을 주어 거품이 발생되게 하고 있었다. 이런 관계로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단가 지나치게 높게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물과 접촉되므로 고장이 잦은 단점도 있었으며, 상기 임펠러가 여과챔버 전체에 수용된 물을 회전시키므로 거품형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포말분리식 정수장치를 제공하되, 구조가 간단하며 포말형성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포말분리식 정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오염수가 유입되는 여과챔버에서 포말형태로 찌꺼기를 분리배출시키며, 정수된 물은 저수챔버로 이동되도록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챔버 내부에 설치되되, 상부는 개구되며 내면에 다수의 포말유도판이 배치되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의 상측에 배치되며 포말이 배출되는 포말배출구를 구비하는 포집후드와; 펌프에 의해서 오염수가 공급되며 상기 폭기조 내부로 오염수를 토출시키는 토출관과; 상기 토출관의 일측 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관을 통해서 오염수가 폭기조로 공급될 시에 공기가 함께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포말유도판은 다수의 천공홀을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토출관은 여과챔버의 하부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폭기조의 내부 저면에서 물을 토출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관은 공기가 유입되는 단부에 소음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수챔버는 여과챔버와 격벽에 의해 구분되되, 상기 격벽의 하부에 유동홀이 형성되어 정수된 물이 저수챔버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수챔버는 정수된 물을 배출시키는 순환관을 더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출관은 나선형태를 이루어 상기 폭기조 내부로 오염수가 토출될 시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고안에 따른 포말분리식 정수장치는 종래기술과는 차별화되는 독특한 구조를 갖추어 포말을 형성시키는 효율이 매우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상 널리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하며, 첨부되는 도면들은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수단으로 제공되는 하나의 예시에 해당된다. 즉,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는 당업자에 의한 단순 용이한 정도의 설계변경이나 등가적인 요소로의 치환 등도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이하, "정수장치" 라 한다)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3은 상기 정수장치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는 기본적으로 여과챔버(10)와 저수챔버(20)가 격벽(30)에 의해 분리되게 형성되며, 상기 격벽(30)의 하부에 여과챔버(10)와 저수챔버(20)를 이어주는 유동홀(35)이 마련된다. 상기 여과챔버(10)에서 여과된 물은 상기 유동홀(35)을 통해서 저수챔버(20)로 유동되어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챔버(20)의 일측에는 정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순환관(25)이 마련되는데, 상기 순환관(25)을 통해서 배출되는 물은 다시 수족관으로 보내어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순환관을 통해서 배출되는 정수된 물은 곧바로 하수도로 방류시킬 수도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여과챔버(10)의 내부에 원통형으로 내부가 빈 폭기조(40)를 두도록 하고 있다. 상기 폭기조(40)는 내부가 비어있으 며 상부는 개구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폭기조(40)의 내면에는 다수의 포말유도판(45)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포말유도판(45)을 세로로 길게 배치시키고 있으며 각 포말유도판에는 많은 천공홀을 두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여과챔버(10)의 상단부(폭기조의 상측)에는 포집후드(50)가 설치되며, 상기 포집후드(50)의 중심부에 포말배출구(60)가 연결되어 여과챔버(10)에서 형성되는 포말이 배출되도록 한다. 여과챔버(10)에 포말이 많이 형성되면 포말은 포말배출구(60)를 따라 이동되어 외부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폭기조(40)는 상기 포집후드(50)의 직하부까지 길게 형성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오염수는 일차적으로 상기 폭기조(40)로 유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폭기조(40) 하부로부터 펌프(p)와 연결된 토출관(70)이 설치되며, 상기 펌프(p)는 수족관의 오염수를 흡입하여 토출관(70)을 통해서 폭기조(40)로 토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토출관(70)의 일측으로 공기유입관(80)이 연결되는데, 상기 공기유입관(80)을 통해서 외부공기가 토출관(70)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펌프(p)가 구동되어 오염수가 토출관(70)을 통해서 폭기조(40)로 토출되면 상기 토출관(70)과 연결되는 공기유입관(80)에 진공이 형성되어 외부공기가 토출관(70)으로 유입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상기 토출관(70)을 통해서 폭기조(40)로 토출되는 오염수는 다량의 공기를 포함하게 되므로 보다 원활하게 폭기조(40) 내에서 포말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관(70)은 폭기조(40)의 하단측에서 토출되며 점차 폭기조의 수위는 상승되고 다수의 포말유도판(45)에 의해서 포말 형성은 더욱 가속될 수 있다. 상기 포말유도판(45)에 천공홀을 둔 것도 포말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다.
폭기조(40) 내부를 채우면서 포말이 형성되며 생성된 포말은 여과챔버(10)의 상부로 모이게 되고, 폭기조(40)의 최대수위를 채운 물은 상기 폭기조(40)가 설치된 여과챔버를 채우게 된다. 종래기술과 달리 본 고안에서는 폭기조(40)의 제한된 영역에서 포말 형성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포말은 자연스럽게 여과챔버 상측에 모이게 되고, 여과된 물은 폭기조를 넘어 여과챔버에 모이게 된다. 물론, 상기 여과챔버와 저수챔버는 유동공에 의해 연통되므로 여과된 물은 저수챔버로 이동되고 어느 수위에 도달되면 순환관을 통해서 배출되어 다시 수족관으로 물을 보내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서 수족관의 오염된 물을 깨끗하게 정화처리 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기유입관(80)의 상단부는 여과챔버(10)의 최대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두도록 하며, 그 말단부에 소음기(85)를 부착하여 공기흡입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에 해당된다. 도4에 보이는 것처럼, 본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관(70)의 형상에 그 특징을 두고 있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일직선형태의 토출관을 갖도록 하였으나, 본 제2실시예에서는 포말 형성을 더욱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토출관을 나선형태로 하여 오염수가 폭기조로 토출될 때 와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정수장치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펌프가 구동되면 수족관의 오염수가 흡입되어 토출관을 통해서 폭기조 내부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토출관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유입관이 연결되므로 오염수가 폭기조로 토출될 때 외부공기도 함께 토출관을 따라 폭기조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폭기조 내부로 토출되는 오염수는 다량의 공기를 포함하므로 포말을 만들게 된다. 한편, 상기 폭기조 내부에는 다수의 포말유도판이 구비되므로 폭기조의 상부로 갈수록 포말은 더욱 많이 형성될 수 있다. 오염수에 포함된 찌꺼기는 포말에 포함되어 여과챔버의 상측에 모이게 되며, 포집후드에 마련되는 포말배출구로 포말은 배출된다. 여과챔버로 유입되는 오염수는 포말은 여과챔버 상부에 모이므로 물과 분리되며, 포말과 분리된 물은 폭기조의 주변의 여과챔버에 모이게 되고, 유동홀을 통해서 저수챔버로 이동된다. 상기 저수챔버에는 순환관이 마련되므로 일정수위에 도달되면 정화된 물은 순환관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어 다시 수족관으로 되돌려 보내도록 한다. 즉, 수족관의 오염수는 반복적인 순환을 거치면서 깨끗하게 정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폭기조 내부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포말을 형성시킬 수 있게되며, 그 구조도 간단하여 오작동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염수에 외부공기를 투입하여 포말을 유도하므로 정화된 후 물의 용존산소도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가진다.

Claims (7)

  1. 오염수가 유입되는 여과챔버(10)에서 포말형태로 찌꺼기를 분리배출시키며, 정수된 물은 저수챔버(20)로 이동되도록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챔버(10) 내부에 설치되되, 상부는 개구되며 내면에 다수의 포말유도판(45)이 배치되는 폭기조(40)와;
    상기 폭기조(40)의 상측에 배치되며 포말이 배출되는 포말배출구(60)를 구비하는 포집후드(50)와;
    펌프(p)에 의해서 오염수가 공급되며 상기 폭기조(40) 내부로 오염수를 토출시키는 토출관(70)과;
    상기 토출관(7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관을 통해서 오염수가 폭기조(40)로 공급될 시에 공기가 함께 유입되게 하는 공기유입관(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말유도판(45)은,
    다수의 천공홀을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70)은,
    여과챔버(10)의 하부에서부터 연장되어 상기 폭기조(40)의 내부 저면에서 물을 토출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80)은,
    공기가 유입되는 단부에 소음기(8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챔버(20)는,
    여과챔버(10)와 격벽(30)에 의해 구분되되, 상기 격벽의 하부에 유동홀(35)이 형성되어 정수된 물이 저수챔버로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챔버(20)는,
    정수된 물을 배출시키는 순환관(25)을 더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70)은,
    나선형태를 이루어 상기 폭기조 내부로 오염수가 토출될 시에 와류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KR2020060026566U 2006-09-29 2006-09-29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KR2004339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66U KR200433906Y1 (ko) 2006-09-29 2006-09-29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6566U KR200433906Y1 (ko) 2006-09-29 2006-09-29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906Y1 true KR200433906Y1 (ko) 2006-12-13

Family

ID=4178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566U KR200433906Y1 (ko) 2006-09-29 2006-09-29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9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904B1 (ko) * 2007-06-04 2007-12-04 신호근 여과정수장치
KR101466643B1 (ko) * 2013-08-09 2014-12-11 김보훈 활어운반차량용 해수 정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904B1 (ko) * 2007-06-04 2007-12-04 신호근 여과정수장치
KR101466643B1 (ko) * 2013-08-09 2014-12-11 김보훈 활어운반차량용 해수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2821A (en) Foam fractionator
KR101189747B1 (ko) 수조식 양식장용 급배수 정화 시스템
JP2014209899A (ja) 省エネルギー陸上養殖方法及び陸上養殖施設
KR101058492B1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KR200433906Y1 (ko)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KR20120004892A (ko) 수족관 수질정화기의 해수 흡입장치
JP5536399B2 (ja) 外部濾過装置
CN108793466B (zh) 一种厨房污水处理方法
JP3676157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CN209957549U (zh) 一种油田污水过滤装置
CN202857573U (zh) 水族箱蛋白除沫器的出污改良结构
KR20170036201A (ko) 수족관 정화장치
CN201451061U (zh) 可携式水族过滤装置
KR20190127353A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JP2009011191A (ja) 活魚水槽装置
KR102239314B1 (ko) 해수어 수족관용 스키머
JP2533612Y2 (ja) グリーストラップ
KR20120111668A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0945484B1 (ko) 정수 처리장치
KR20090006390A (ko) 수조의 수 처리 장치.
KR101918729B1 (ko) 습식 진공청소기
JP2975933B1 (ja) 泡除去装置
JPH10337131A (ja) 魚用養殖装置
CN211664907U (zh) 一种过滤池与污水处理装置
KR20120118177A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족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