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1668A -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1668A
KR20120111668A KR1020110030301A KR20110030301A KR20120111668A KR 20120111668 A KR20120111668 A KR 20120111668A KR 1020110030301 A KR1020110030301 A KR 1020110030301A KR 20110030301 A KR20110030301 A KR 20110030301A KR 20120111668 A KR20120111668 A KR 20120111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zone
bubble
aquarium
wate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근하
Original Assignee
박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하 filed Critical 박근하
Priority to KR1020110030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1668A/ko
Publication of KR2012011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6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수족관의 수질을 수중생물의 생육에 적합한 수질 환경으로 개선 하기 위한 목적과 이를 위한 정수장비의 성능, 관리의 편리성에 중점을 둔 정수시스템으로서 상자형상의 정수시스템 본체에 3개의 내부구성(거품제거구역, 유량조절구역 정수살균구역,)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거품제거구역과유량조절구역을 구획하는 제1칸막이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유량조절구역과 정수구역으로 구획하는 제2칸막이와 제2칸막이의 상단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유량조절기와 상기 제2칸막이를 통과한 유량이 정수살균기가 설치된 정수살균지역을 통과시키는 케이스의 상면을 폐쇄시키는 천정판과 거품제거구역에 설치되고 물에 포함된 거품과 함께 단백질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장치와
유량조절구역의 상단 또는 측면에 설치되는 유량조절기와 정수살균구역의 상단에 설치되는 외부탈부착형태의 정수살균기와 거품제거구역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설치 되는 거품흡입토출용 수중모터와 거품제거구역 입구에 설치되는 거품흡입기를 포함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를 포함한다.
수족관, 수질, 정화, 여과, 정수, 필터, 부유물질, 이물질, 거품, 소켓, 안정기, 석영관, 기포, 유량, 역류, 수위,

Description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Purifier of Quality of Water for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족관의 부유물질과 이물질 등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동시에 살균기능을 추가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의 수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집, 양식장, 가정이나 사무실, 음식점, 학교나 병원과 같은 공공시설 또는, 관상어 판매점 등에서는 실내환경을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한다거나 수중생물의 생기를 지속시키면서 전시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어항이나 수족관을 설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 수족관은 수중생물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수중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마다 청소를 해야하고, 이러한 청소는 매번 수조 내에 담긴 물을 완전히 갈아야 하므로 불필요한 물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여과를 위한 필터재를 모두 다 들어낸 후 각각의 필터재를 층별로 다시 설정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유발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청의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99호(2007.12.17.)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0453호(2008.06.05.)와 같은 기술들을 들 수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99호는 활어수족관 내부의 각종 어패류에서 발생하는 노폐물 등에 의해 오염된 용수를 뽑아 정화 및 살균시킨 후 수족관 속으로 다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0453호는 모터를 이용하여 모래 속 분비물을 끌어올린 다음 외부의 청소기로 이동시켜 소정의 필터로 걸러 찌꺼기를 제거하고 다시 본래의 수조 속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족관용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99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0453호는 양자 모두 수족관의 수조와는 별도로 구비하여 청소시마다 매번 설치하여 사용한 후 철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 된다.
또, 복잡한 구성으로부터 제조상의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고, 수조와의 연계구조를 항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더라도 전반적인 수조의 설치상태가 번잡하게 되므로 외형적 미감은 저하되고 관상용 수족관 또는 영업용 활어수족관의 전시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99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40453호의 경우, 양자 모두 수조 속 용수를 밖으로 빼낸 뒤 소정의 처리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역세척의 과정이 없어 필터재의 세척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단백질 등의 부유물질을 여과하여 제거하는 수단과 살균 처리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수질정화장치 관리 사용하는데 쉽고 편리하게 고안되고, 수질정화장치의 소형화와 간단한 설치방법으로 수족관의 수질을 수중생물의 생육에 적합한 수질환경으로 개선하고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를 제공함과 동시에 관리와 비용, 설치조건 등을 향상 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는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3개의 구역(거품제거구역, 유량조절구역 정수살균구역,)으로 구획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거품제거구역과 유량조절구역을 구획하는 제1칸막이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고 유량조절구역과 정수구역으로 구획하는 제2칸막이와
상기 거품제거구역의 상면을 폐쇄하는 거품제거구역천정판과,
상기 거품제거구역천정판에 거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파공하여 설치하는 거품배출장치와
상기 거품제거구역의 내부에 설치되는 거품흡입과 기포발생을 수행하는 수중모터의 설치와 상기 수중모터의 탈,부착을 하기 위한 거품제거구역의 측면 개폐장 치와
상기 거품제거구역의 외부 측면 하단 입구에 설치되는 기액공급장치와 상기 유량조절구역의 상면을 폐쇄하는 유량조절구역천정판과
상기 유량조절구역천정판 또는 외부 측면 상단을 파공하여 설치되는 유량조절장치와
정수살균구역의 상면을 폐쇄하는 정수살균구역천정판과 상기 정수살균구역천정판의 상단을 파공하여 설치하는 정수살균장치와 상기 정수살균구역의 외부측면 상단에 설치되는 수량토출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칸막이는 칸막이 하단부분을 약간만 절단하여 상기 거품제거구역에서 생성된 거품과 기포들이 상기 유량조절구역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 시키고 거품과 분리된 물만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제2칸막이는 상기 정수살균지역을 완전히 차단시켜서 상기 유량조절장치 만을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3개의 구역(거품제거구역, 유량조절구역, 정수살균구역)에 설치되는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거품제거구역천정판 상단에 설치되는 거품배출장치는 거품제거구역과 연결된 거품연결소켓과, 상기 거품연결소켓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거품수집통과 , 상기 거품수집통에 결합 설치되고 부풀어 오르는 거품과 함께 부유물질을 배출하는 거품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지며, 이때 다량의 거품과 함께 물이 역류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역류방지장치가 설계된 역류방지기가 상기 거품수집통과 상기 거품배출관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역류방지기는 L자 형상의 엘보소켓타입에 내부공간에 저항칸을 막아 다량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고안된 장치 이다..
상기 거품제거구역의 외부 측면 하단 입구에 설치되는 기액공급장치는 상기 거품제거구역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중펌프와 연결되며, 탈,부착이 가능한 소켓형태로 구성되며, 수중펌프에 이물질이 흡입되지 않도록 탈,부착과 세척이 가능한 프라스틱그물망인 오물거름망이 기액공급통내부에 설치되며, 수족관으로부터 수면의 물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상기 기액공급기장치 본체가 상기거품제거구역본체의 외부 하단에 탈,부착 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기액공급장치는 고정관과 유통관, 부력기로 구성되며 고정관은 상기 기액공급통 상단에 설치되며, 유동관은 고정관보다 큰 구경으로 사용하며, 상기 유동관의 상단에 탈,부착 조절 가능한 상기 부력기를 설치하면 수족관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기 유동관이 상하로 움직이며 수면의 이물질과 공기를 수중펌프로 인계하게 된다.
이때 고정관과 유동관의 간격은 상하운동이 가능한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수중모터까지 이물질과 수면의 공기를 전달가능 하게 된다.
상기 수중펌프는 상기 기액공급장치를 통해 흡입된 거품, 이물질, 공기들을 혼합하여 기포분배기를 통해 분출시키며, 이때 상기 기포분배기의 역할은 급속히 분출되는 혼합물들이 상기 거품수집통에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수류를 분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포분배기는 수중펌프로 부터 직선으로 올라온 펌프토출관 상단에 뚜껑타입의 캡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분출된 수류가 상기 거품제거구역의 중 앙전체로 골고루 퍼져나가게 하여 생성된 거품들이 안정되게 상기 거품수집통을 통해 상기 거품배출관으로 이송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거품발생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수중펌프의 토출관하단에 벤트리를 부착하여 거품제거구역천청판위로 호스를 연결시켜 밴트리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키게 되며, 호스의 끝에는 공기주입기를 부착하여 공기량을 필요에 따라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중펌프는 상기 거품제거구역의 측면에 설치되는 측면개폐장치를 통해 탈,부착하게 되며, A/S나 교환 시에 편리하게 사용되게 고안된다. 수중모터에 연결된 전원코드는 상기 거품제거구역천정판을 통해 수조 밖으로 나가게 되는데, 이때 전선을 빼내기 위한 파공 부분에 방수탭을 설치하여 물이나 거품이 상기 거품제거구역천정판 밖으로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유량조절구역의 상단 또는 측면 상단에 설치된다. 측면에 설치되는 경우라도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반드시 상기 거품연결소켓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거품제거구역에서 발생하는 거품들이 상기 거품제거구역내부에 잔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 된다.
즉 거품제거구역에 수족관으로부터 입수된 물이 빈 공간 없이 가득 채워지게 하는 방법으로서 이렇게 하면 순수거품은 상기 거품수집통 에만 채워지게 되어 상기 거품제거구역 내부에 거품 등 이물질들이 부착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거품제거구역을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게 된다. 또한 상기 거품수집통은 탈,부착식으로 고안되어 있으므로 간단히 분리하여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유량조절구역천정판 상단 이나 상기 유량조절구역 측면 상단에 설치 하게 되며, L자 와 Y자 의 파이프를 합한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유량조절구역을 통해서 나오는 물을 상기 유량조절장치의 상단에 설치된 회전개폐방식의 유량조절기를 좌우로 돌려 조절 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기는 파이프형태의 관의 일부를 절개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절하여 상기 유량조절구역을 통과한 물을 상기 정수살균구역으로 보내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의 역활은 상기 거품연결소켓부터 상기 거품수집통의 수위를 조절하게 되는데, 조절에 따라 상기 거품수집통내의 거품배출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된다.
상기 정수살균구역천정판 상단에는 정수살균장치 탈, 부착을 위한 정수살균장치연결소켓이 설치되며, 상기 정수살균장치는 간단하게 탈, 부착이 가능하게 고안된다. 상기 정수살균장치는 수처리용 오존살균등과 안정기가 내장되게 설계되며, 안정성,A/S. 교환, 세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최적화 되게 고안된다. "ㄱ"자 형태의 외형으로 고안되며, 그 내부에 상기 안정기가 상기 오존살균등에 일체형태로 최단거리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류변화에 영향을 적게 주게 되어 안정성과 수명에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수살균장치의 상기 오존살균등 부분만 물속에 입수되기 때문에 고장 및 감전의 위험율도 적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유량조절장치를 통해 내려오는 물이 강하게 상기 오존살균등의 외면인 석영관을 세척해주기 때문에 상기 석영관을 자주 청소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부터 벋어나게 된다.
수량토출관은 정수된 물이 최종적으로 수족관으로 환원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량토출관이 상기 정수살균구역의 측면 상단에 설치되므로 상기 오존살균등이 충 분히 물에 잠겨 살균기능을 수행 하게 해주며, 상기 정수살균장치의 작동여부도 상기 수량토출관을 통과하는 빛의 색상으로 판별이 가능하게 된다.
케이스거치대는 본 수질정화장치를 수조에 입수 할 때 수조의 테두리에 부착하는데 사용된다. "ㄷ" 자 형태로 제작되며, "ㄷ"자의 밑면은 본체 케이스의 천정판에 고정하며, 수족관의 테두리에 "ㄷ"자의 부분의 안쪽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본 수질 정화장치는 수족관 내부에 입수시켜 작동도 가능하며, 수족관 외부에 올려놓아 설치도 가능하다. 단 수족관 외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수중모터부분과 상기 기액공급기를 합하여 수중에 설치하고 수중모터의 토출부분을 배관 또는 호스로 외부에 설치된 본체 케이스에 연결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케이스 안에 단백질 등의 부유물질을 거품과 함께 제거하는 거품제거장치와 수족관의 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정수 살균하는 장치를 배치하여 설치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에 의하면, 거품제거장치의 내부에 필터류 등의 세척 또는 교환해야 하는 부품이 전혀 설치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내부의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청소, 관리가 매우 편리하며, 정수살균장치가 거품 및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그 효율성을 배가 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의 일실 시 예는 도면 1 내지 도면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거품제거구역(20)과, 유량조절구역(30)과 정수살균구역(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도면 1 및 도면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를 3개의 구역으로 구획하여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수족관에 입수하여 사용하며, 수족관 외부에 설치하여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거품제거구역(20)과, 유량조절구역(30)과 을 구획하는 제1칸막이(11)와 유량조절구역(30)과 정수살균구역(40)을 구획하는 제2칸막이(12)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천정판중 거품제거구역천정판(13)과 유량조절구역천정판(14)은 상기 거품배출장치(21)와 상기 유량조절장치(31)및 상기 공기주입기(23e), 상기 방수탭(23f)의 연결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폐쇄하여 사용하며, 상기 정수살균장치천정판(15)은 개방식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천정판은 필요에 따라 거품제거구역(20)과, 유량조절구역(30)과 정수살균구역(40) 까지 연장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천정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거품제거구역(20)을 밀폐된 공 간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1칸막이(11)하단만 물이 통과 가능한 만큼만 절단하여 상기 유량조절구역(30)으로 거품을 제거한 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제2칸막이(12)는 상기 유량조절구역(30)과 상기 정수살균지역을 완전히 밀폐하여 상기 거품제거구역(20) 으로 부터 입수된 물이 상기 유량조절장치(31)을 통해서만 상기 정수살균구역(40)으로 통과 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직육면체의 상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타원형이나 원형, 땅콩형상 등의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는 상자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거품배출장치(21)는 상기 케이스(10)의 거품제거구역(20)의 상단에 설치되고 물에 포함된 거품과 함께 단백질 등의 부유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거품배출장치(21)는 도면 1 내지 도면 2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거품제거구역천정판천정판(13)에 설치되고 하단부가 거품제거구역(20) 상단과 개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거품연결소켓(21a)과, 상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거품수집통(21b)과 상기 거품수집통(21b)와 결합 설치되고 부풀어오르는 거품과 함께 부유물질을 배출하는 거품배출관(21c)와 물이 거품과 함꼐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기(21d)가 상기 거품수집통(21b)과 상기 거품배출관(21c)사이에 결합 설치된다. 상기 역류방지기(21d)는 도면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 형상의 엘보소켓타입에 내부공간에 저항칸막이(21e)로 막아 다량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고안된 장치 이다..
상기 거품배출장치(21)는 도면1에서 나타나듯이 기액공급장치(22)와 수중펌 프(23)를 통하여야 작동된다. 상기 기액공급장치(22)는 기액공급통(22b), 오물거름망(22a), 고정관(22c), 유통관(22d) 마지막으로 부력기(22e)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거품배출장치(21)는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외부 측면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내부에 있는 상기 수중펌프(23)의 펌프흡입구(23a)와 도면1과 같이 결합되는데 탈, 부착이 가능한 소켓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기액공급통(22b)은 상기 수중펌프(23)과 직접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 수중펌프에 오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물거름망(22a)이 부착되며, 상기 오물거름망(22a)는 상기 기액공급통(22b)를 상기 펌프흡입구(23a)와 분리하여 간단하게 청소를 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며, 프라스틱 망사 재질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 하다..
상기 기액공급통(22b)에는 부유물이나 수면거품과 기포발생용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로서 고정관(22c), 유통관(22d), 부력기(22e)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액공급통(22b)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관(22c)가 부착되어 상기 유통관(22d)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대 역할을 하여준다.
상기 부력기(22e)는 도면2에서 나타내듯이 링형상의 양쪽에 부력소재를 부착하고 한쪽면을 절단하여 상기 유통관(22d)테두리에 끼워놓게 고안되어 상기 유동관의 무게에 따라 부력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상기 유통관(22d)을 통하여 흡입되는 물과 공기의 흡입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상기 거품배출장치(21)의 거품 및 불순물 배출량의 1차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기 부력기(22e)가 결합된 상기 유통관(22d)은 상기 고정관(22c) 외부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중관 형태가 되어 수족관의 수위변화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게 되어 전기한 바와 같이 수면의 오물류를 일정하게 흡입 하게 된다. 이때 이때 상기 고정관(22c)과 상기 유동관(22d)의 간격은 상하운동이 가능한 조건에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며, 그 이유로서 간격이 넓으면 그 간격으로 수중의 물이 딸려 들어가서 수면의 공기까지를 상기 수중펌프(23)가 흡입하기 힘들어지며, 이에 따라 강력한 거품생성 효과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상기 수중펌프(23)는 도면 1에서 나타내듯이 수중펌프본체와 상기 펌프흡입구(23a),펌프토출관(23b),기포분배기(23c),벤트리(23d),공기주입기(23e) 및 방수탭(23f)로 구성된다.
상기 수중펌프(23)는 상기 기액공급장치(22)와 상기 거품배출장치(21) 중간에서 흡입과 토출작용을 실시하는 동력원 역할을 한다.
상기 펌프흡입구(23a)에서 흡입된 공기,거품,이물질들은 상기 수중펌프(23)의 임펠라에서 뒤섞인 상태로 미세기포화 되어 강력하게 토출 되는데, 이때 토출 되는 가볍고 쉽게 분산되는 미세기포들이 상기한 제1칸막이(11) 하단부분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펌프토출관(23b)상단에 상기 기포분배기(23c)를 부착 하게된다. 상기 기포분배기(23c)는 도면2에서 나타내듯이 원형컵을 뒤집어놓은 형상이며, 수직으로 토출되는 공기,거품,이물질들이 컵 천장부분에 부딪혀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하단부분까지 모아 내려오다가 다시 상기 거품수집통(21b)로 떠올라가게 되는데, 이렇게 하면 상기 거품수집통(21b)에 토출된 수류가 영향을 주지 않고 순수한 거품류들이 상기 거품수집통(21b)으로 천천히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토출량을 증감 시키기 위한 보조방법으로서 도면 1에서 나타내듯이 상기 벤트리(23d)를 상기 펌프토출관(23d)하단에 설치하며, 상기 벤트리(23d)에 연결된 에어호스는 상기 거품제거구역천정판(13)을 관통하여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기주입기(23e)를 에어호스에 연결하여 공기를 추가 공급 함으로서 상기 거품배출관(21c)으로 배출되는 거품의 량을 증가시킬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기(23e) 상단에 산소공급용 에어펌프 호스를 직접 연결할 수도 있으며, 이렇게 하면 수족관내에 별도의 산소공급기재를 넣지 않아도 충분한 효과를 가져 올 수 있게 되어 수족관 내부 미관상 효과와, 더불어 상기 공기주입기(23e)를 통해 상기 벤트리(23d)로 흡입 되어지는 공기소음문제도 해결 가능해진다.
상기 수중펌프(23)의 전원연결코드는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내부에서 상기 거품제거구역천정판(13)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방수탭(23f)를 설치하여 상기 거품제거구역의 물이나 거품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측면개폐장치(16)는 상기 수중펌프(23)의 설치 및 A/S가 가능하도록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 즉 연결소켓방식이나 암수나사식의 회전 탈,부착식도 가능하며, 청소나 운반시에 상기 케이스(10)내부의 물을 배출 하기위한 배출관의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상기 유량조절구역(14)은 상기 거품제거구역(20)에서 거품을 제거한 물이 상기 제1칸막이(11)의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간이며, 유입된 물은 상기 유량조절구역천정판(14)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유량조절장치(31)를 통해 상기 정수살균구역(40)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31)는 도면1 및 2에서 나타내듯이 엘보타입과 Y티타입의 배관부품을 결합시킨 형태이며, 엘보타입부분은 상기 유량조절구역천정판(14)과 관통시켜서 상기 유량조절구역(30)내부의 물을 상기 정수살균구역(40)으로 물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Y티타입 부분의 상단에는 도면2에서 나타내듯이 회전개폐식 유량조절기(31a)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기(31a)는 원통형의 파이프타입에 하단부분을 도면2에서 처럼 부분 절단하여 회전조절시에 Y티타입에서 나오는 물의 개폐조절을 가능하게 설계된다. 도면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상기 유량조절기(31a)의 상부는 밀폐된 상태에서 작은 공기구멍을 파공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상기 유량조절기(31a)로부터상기 정수살균구역으로 흘러들어가는 물이 보다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31)의 높이는 반드시 상기 거품연결소켓(21a)보다 약간 높게 설치한다. 그 이유로서 상기 유량조절기(31a)를 최대한 열어놓은 상태에서도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물의 최소수위가 상기 거품연결소켓(21a)까지 유지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렇게 설치하면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내부가 항상 물로 가득 채워져 있게 되므로 상기 수중펌프(23)로 부터 유입된 이물질들이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내부벽면에 부착되거나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며, 청소나 관리 문제를 해결 가능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기(31a)를 폐쇄조절하면 상기 거품수집통(21b)의 수위가 올라가면서 거품이 배출 되는 속도와 량이 늘어나게 되므로 수족관 환경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 해진다. 상기 거품수집통(21b)의 상단부분은 투명한 재질로 제작 되어 육안으로 수위를 보며 상기 유량조절기(31a)를 조절 하는 것이 가능 해진 다.
상기 정수살균구역(40)은 정수살균장치(41)와 정수살균장치연결소켓(41a), 수량토출관(41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살균구역천정판(15)에 도면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수살균장치연결소켓(41a)에 상기 정수살균장치(41)본체를 끼울 수 있도록 고안된다.
상기 정수살균장치(41)는 도면 2와 같이 오존살군등(41b), 안정기(41c) 및 석영관(41d)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체형태의 구성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정수살균장치연결소켓(41a)에 쉽게 탈, 부착이 가능하여 상기 석영관(41d)청소 및 관리의 용이함이 가능해지며, 상기 오존등(41b)의 전원연결선이 상기 안정기(41c)와 최단거리로 연결되어 있어서 안정된 전류의 공급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상기 오존등(41b)의 안정된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오존살균등(41b)가 손잡이 형태로 설계되어 탈, 부착이 편리 해지고 세척이 용이해지며, 상기 오존살균등(41b)의 석영관 부분만 물이 접촉하고 그 외 다른 부분은 수면 위에 거치되므로 감전 및 고장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오존살균장치들은 대부분 거품제거통내부에 나사 볼트식으로 체결되어 있어서 주기적인 석영관 세척의 어려움은 물론 거품제거통의 거품 및 이물질들이 쉽게 부착하여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유량조절장치(31)에서 이송되어온 물은 오염물질이 1차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기 오존살균등(41b)표면 오염을 줄이게 될 뿐 아니라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상기 오존살균등(41b)의 표면인 상기 석영관(41d)를 자동으로 세척해 주는 효과를 주게 된다.
상기 수량토출관(41e)는 정수를 마친 물이 최종적으로 수족관 내부로 환원되는 부분이다. 상기 정수살균구역(40)의 측면 상단에 파공형태로 설계되며 상기 석영관(41d)의 부분까지만 물에 잠기도록 위치한다.
상기 수량토출관(41e)의 돌출부분을 투명파이프 소재 또는 얇은 파이프소재를 사용하면 상기 오존살균등(41b)에서 나오는 빛으로 그 작동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표시관으로도 겸용된다.
상기 케이스거치대(17)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 도면 2에서 처럼 부착된다. "ㄷ" 자 형태로서 수족관 외부의 태두리나 앵글에 거치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본 수족관용 수질정수장치는 수족관내부 또는 외부에도 설치 가능하다. 내부설치는 상기 케이스거치대(17) 를 부착하여 에서 설치하며, 외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기액공급장치(22)와 상기 수중펌프(23)와 상기 수중펌프(23)의 관련 부품인 상기 펌프흡입구(23a)와 상기 펌프토출관(23b)의 부분만 조립되어 수족관 물속에 입수시키게 되며, 상기 펌프토출관(23b)이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내부에 결합되는 형태로 외부설치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제1칸막이
12 : 제2칸막이 13 : 거품제거구역천정판
14 : 유량조절구역천정판 15 : 정수살균구역천장판
16 : 측면개폐장치 17 : 케이스거치대
20 : 거품제거구역
21 : 거품배출장치
21a : 거품연결소켓 21b : 거품수집통
21c : 거품배출관 21d : 역류방지기
21e : 저항칸막이
22 : 기액공급장치
22a : 오물거름망 22b : 기액공급통
22c : 고정관 22d : 유동관
22e : 부력기
23 : 수중펌프
23a : 펌프흡입구 23b : 펌프토출관
23c : 기포분배기 23d : 벤트리
23e : 공기주입기 23f : 방수탭
30 : 유량조절구역
31 : 유량조절장치 31a : 유량조절기
40 : 정수살균구역
41 : 정수살균장치
41a : 정수살균장치연결소켓 41b : 오존살균등
41c : 안정기 41d : 석영관
41e : 수량토출관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에 대한 개괄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별 분해 사시도 이다.

Claims (8)

  1. 상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3개의 구역(거품제거구역, 유량조절구역, 정수살균구역)으로 구획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고 거품제거구역(20)과 유량조절구역(30)을 구획하되 하단부분일부만 절단되는 제1칸막이(11)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고 유량조절구역(30)과 정수살균구역(40)으로 구획하는 제2칸막이(12)와,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상면을 폐쇄하는 거품제거구역천정판(13)과,
    상기 거품제거구역천정판(13) 상단에 설치되고 거품과 함께 부유물질을 배출하는 거품배출장치(21)와,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외부하단에 설치되고 거품과 함께 부유물질을 흡입하는 기액공급장치(22)와,
    상기 기액공급장치(22)와 상기 거품배출장치(21)를 연결하며 작동동력을 전달하는 수중펌프(23)장치와,
    상기 유량조절구역(30)의 유량조절구역천정판(14)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거품제거구역(20)의 수위를 조정하는 유량조절장치(31)와,
    상기 유량조절장치(31)를 통과하며 거품 등 이물질이 제거된 물이 정수살균 되는 상기 정수살균장치천정판(15)의 상단에 설치되는 정수살균장치(41)와,
    상기 수중펌프의 탈, 부착을 하기위한 측면개폐장치(16) 와,
    상기 정수살균구역(40)을 통해 정수 완료된 물이 수족관으로 환원되는 수량토출관(41e) 과,
    상기 수질정화장치를 수족관 내부에 입수하여 거치하는 케이스거치대(17)를 포함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거품배출장치(21)의 상기 거품수집통(21b)과 상기 거품연결소켓(21a)은 상기 거품제거구역천정판(13)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31)는 상기유량조절구역천정판(14)의상단에설치되어 상기 거품제거구역(20)내부에는 항상 물로만 가득 채워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장치(31)의 구조와 회전식 개폐장치를 적용한 상기 유량조절기(31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배출장치(21)에서 물이 역류하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저항칸막이(21e)가 내장된 상기 역류방지기(21d)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살균지역천정판(15)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기 정수 살균장치(41)의 형태와 상기 정수살균장치연결소켓(41a)에 거치하는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공급통(22b)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오물거름망(22a)이 더 구비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펌프(23)의 상기 펌프토출관(23b)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기 기포분배기(23c)를 더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를 수족관 내부에 거치 또는 외부에 설치가 가능한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20110030301A 2011-04-01 2011-04-01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20120111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01A KR20120111668A (ko) 2011-04-01 2011-04-01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01A KR20120111668A (ko) 2011-04-01 2011-04-01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68A true KR20120111668A (ko) 2012-10-10

Family

ID=4728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301A KR20120111668A (ko) 2011-04-01 2011-04-01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16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8090A (zh) * 2014-01-26 2014-04-30 广东海洋大学 一种对虾精养池塘的智能化闸门式自动排污系统及方法
KR102232782B1 (ko) * 2020-09-08 2021-03-25 임현태 수족관용 해수 살균 여과 장치
KR20210001378U (ko) * 2019-12-12 2021-06-22 송영례 양어장용 수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8090A (zh) * 2014-01-26 2014-04-30 广东海洋大学 一种对虾精养池塘的智能化闸门式自动排污系统及方法
CN103758090B (zh) * 2014-01-26 2015-09-02 广东海洋大学 一种对虾精养池塘的智能化闸门式自动排污系统及方法
KR20210001378U (ko) * 2019-12-12 2021-06-22 송영례 양어장용 수차
KR102232782B1 (ko) * 2020-09-08 2021-03-25 임현태 수족관용 해수 살균 여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10042B2 (ja) 水中生物飼育システムおよび水槽用浄化ユニット
US8006646B2 (en) Self cleaning aquarium system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1416489B1 (ko)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US9717220B2 (en) Aquarium filter with water stream diver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0957173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20120111668A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CN213803338U (zh) 一种新型高效油水分离器
KR100928151B1 (ko)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KR101921556B1 (ko) 활어수조용 활어수 정화장치
KR10082862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0445575Y1 (ko)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
KR100983905B1 (ko) 활어수족관
KR101169392B1 (ko) 펌프가 내장되는 수족관용 여과기
AU2007229362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06143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190032025A (ko) 빗물 정화장치
KR101266959B1 (ko) 해수정화장치
KR20130081521A (ko) 활어수족관 정수장치
KR20160142705A (ko) 수족관 정화장치
KR920009962B1 (ko) 활어 수족관
CN2919862Y (zh) 水族箱用一体式杀菌过滤器
CN105126497A (zh) 水滤材空气净化装置
KR20130014153A (ko) 수족관
KR100343261B1 (ko)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