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261B1 -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261B1
KR100343261B1 KR1020000012655A KR20000012655A KR100343261B1 KR 100343261 B1 KR100343261 B1 KR 100343261B1 KR 1020000012655 A KR1020000012655 A KR 1020000012655A KR 20000012655 A KR20000012655 A KR 20000012655A KR 100343261 B1 KR100343261 B1 KR 100343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water
chamber
aquarium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210A (ko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filed Critical 이수연
Priority to KR102000001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2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수족관 내의 물을 연속적으로 여과 및 와류 순환시켜 생태계의 환경조건에 항상 부합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족관 내의 물을 연속적으로 여과 및 와류 순환시켜 생태계의 환경조건에 항상 부합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물순환 여과장치에 있어서 용수실(10)내에는 하단에 유입구(11a)가 형성된 외관(11)과, 상단에 유입구(12a)가 형성되어 외관(11) 내에 이격 설치되는 내관(12)이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벽 일측에는 선단에 기포기(13)를 구비하는 토출관(14)이 설치되며, 토출관에 연결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모터펌프(26)를 포함하는 물순환장치와; 여과실(20)내에는 중앙에 여과필터(21)를 구비하고 일측에 배출구(22a)가 형성된 1차여과실(22)과, 1차여과실(22)을 중심으로 방사선상으로 구획판(23)(23')에 의해 구획되어 여과필터(24)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2차여과실(25)이 형성되는 여과장치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생태계의 환경조건에 항상 부합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항상 깨끗한 물을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른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유지비용이 거의 들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Circulation and filtration device of aquarium}
본 발명은 양어 양식 및 관상용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족관 내의 물을 연속적으로 여과 및 와류 순환시켜 생태계의 환경조건에 항상 부합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어 양식 및 관상용 수족관은 물고기의 배설물이나 먹이 등과 같은 물질의 부패로 인한 물의 오염을 피할 수 없는 관계로 주기적으로 물갈이를 해주거나 복잡한 정화장치를 구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물갈이를 하더라도 그 시점부터는 오염원에 의한 소정함수율에 비례하여 지속적으로 물이 오염된 상태가 되므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벌써 상당히 오염된 환경에서 물고기가 지내는 상태가 되어 물고기의 생육이나 관상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물갈이시에는 온도와 환경변화에 따른 물고기가 수난을 당하게 되고 미생물의 제거로 인한 물고기가 병이 들거나 심하면 죽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다.
또한 용수정화장치로 망상의 여과포나 부직포 등을 바닥면에 설치하고 그 위에 모래나 자갈 등을 일정 두께로 덮어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방식은 용수정화 효율이 낮아 벽면에 오염물질이 착색되고, 수족관 내부에 오염물질을 침전시키는 방식인 까닭에 일정시간 후에는 용수의 오염정도에 따라 수족관 내부를 청소해야 하며, 그럴 경우 어류와 용수 및 내부장식 등을 들어낸 후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족관 내의 물을 연속적으로 여과 및 와류 순환시켜 생태계의 환경조건에 항상 부합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순환 여과장치는, 수족관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하단에 유입구가 형성된 외관과, 상단에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외관 내에 이격 설치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족관 내로 재순환시키도록 하는 모터펌프와, 상기 모터펌프에 연결되고 수족관 일측 벽면을 따라 수직 설치되며 선단에 기포기를 구비하는 토출관을 포함하는 물순환장치와; 수족관의 하부 공간에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에 여과필터를 구비하고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1차여과실과, 상기 1차여과실을 중심으로 방사선상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구획실에 여과필터가 구비되며 구획실의 각각은 하단에 유출공이 형성되는 것과 그 높이가 낮아 상단에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2차여과실을 포함하는 여과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A-A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B-B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의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수실 11: 외관
11a,12a: 유입구 12: 내관
13: 기포기 14: 토출관
15,16: 뚜껑 20: 여과실
21,24: 여과필터 22: 1차여과실
22a: 배출구 23,23': 구획판
23a,23b: 유로 24a: 판재
24b: 연결판재 25,25': 2차여과실
26: 모터펌프 27,28: 연결호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A-A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B-B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여과장치실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는, 용수실(10)과 용수실의 하방에 구성되는 여과실(20)로 대별된다.
상기 용수실(10)내에는 하단에 유입구(11a)가 형성된 외관(11)과, 상단에 유입구(12a)가 형성되어 상기 외관(11) 내에 이격 설치되는 내관(12)이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벽 일측에는 선단에 기포기(13)를 구비하는 토출관(14)이 설치된다.
상기 여과실(20)내에는 중앙에 여과필터(21)를 구비하고 일측에 배출구(22a)가 형성된 1차여과실(22)과, 상기 1차여과실(22)을 중심으로 방사선상으로 구획판(23)(23')에 의해 구획되어 여과필터(24)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2차여과실(25)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2차여과실(25')에는 상기 토출관(14)과 연결되는 모터펌프(26)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23)은 하단에 유로(23a)가 형성되고, 또 다른 구획판(23')은 그 높이를 낮게 하여 상단에 유로(23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2차여과실(25)에 각각 구비되는 여과필터(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합성수지재 판재(24a)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되어 연결판재(24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토출관(14)의 토출구인 기포기(13)는 용수실(10)의 내벽 내주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미설명 부호 15는 용수조(10)의 뚜껑이고, 16은 외관(11) 및 내관(12)의 뚜껑이며, 27은 내관(12)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호스이며, 28은 모터펌프(25)와 토출관(14)을 연결시키는 연결호스이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모터펌프(26)를 작동시키게 되면 여과실(20)의 물이 토출관(14)을 통해 용수실(10)에 토출된다.
이 때 토출되는 물은 기포기(13)를 통해 토출되는 까닭에 기포발생에 따른 산소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토출되는 물에 의해 수조내의 물은 와류를 일으키면서 일방향으로 회류되고, 이에 따라 수중에는 원심력 및 약전(정전기)이 발생된다.
그 원심력에 의해 수조 바닥의 오물이나 이물질은 중심으로 몰리면서 외관(11)에 형성된 유입공(11a)을 통해 빨려 들어가 상승되고, 상승된 물은 내관(12)에 형성된 유입공(12a)을 통해 유입되어 하강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내관(12)에서는 마치 폭포수와 같은 물의 흐름이 연출되고, 와류 및 회류되는 것에 의해 물이 정체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물고기의 생태계 환경을 적합하게 조성하게 된다.
하강된 물은 내관(12)의 하단에 연결된 연결호스(27)를 따라 여과실(20)의 중앙에 형성된 1차여과실(22)에 수용되면서 여과필터(21)에 의해 1차여과작용이 개시된다.
그러면서 1차여과실(22)이 여과된 물은 상기 1차여과실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구(22a)을 통해 이에 접한 2차여과실(25)로 배출된다.
상기 각각의 2차여과실(25)에는 여러겹의 여과필터(24)가 설치되어 있어 이제는 상기 여과필터(24)를 통해 2차여과되면서 시계 반대방향으로 흐름이 이어진다.
즉, 구획판(23)에 이르러서는 그 하단에 형성된 유로(23a)를 통해 흐름이 이어지고, 다음의 구획판(23')에 이르러서는 상단에 형성된 유로(23b)를 통해 그 흐름이 이어지면서 각각의 2차여과실에 설치된 여과필터(24)를 통해 2차여과된다.
물에는 약전(정전기) 발생된 상태인 까닭에 여러 오염물질은 여과필터(24)에 달라붙게 되고, 달라붙은 오염물질은 미생물균과의 산화작용에 의해 자연소멸되어져 어디에도 잔류되지 않아 상기 여과필터(24)를 오염시키지 않고 항상 깨끗한 물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인체유효균인 EM균을 첨가할 경우 그러한 산화작용이 활발해져 보다 효율적으로 오염물질을 소멸 제거시킬 수 있다.
한편, 시계 반대방향으로 돌면서 여과된 물은 모터펌프(26)가 설치된 여과실에 이르려 상기 모터펌프(26)를 통해 용수실(10)로 재 공급되는 순환작용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 토출관(14)은 관상용 수족관일 경우 수조 내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영업용 등의 양어 양식용 수족관일 경우 수조 외벽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는, 수족관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외관과 내관 및 모터펌프와 토출관을 포함하는 물순환장치와, 1차여과실과 2차여과실로 이루어지는 여과장치의 구성에 의해, 수족관 내의 물을 연속적으로 여과 및 와류 순환시켜 생태계의 환경조건에 항상 부합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여과필터를 교체하거나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물갈이 역시 거의 필요없게 되며, 항상 깨끗한 물을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른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고 유지비용이 거의 들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양어 양식 및 관상용 수족관에 있어서,
    용수실(10)내에는 하단에 유입구(11a)가 형성된 외관(11)과, 상단에 유입구(12a)가 형성되어 상기 외관(11) 내에 이격 설치되는 내관(12)이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벽 일측에는 선단에 기포기(13)를 구비하는 토출관(14)이 설치되며, 상기 토출관에 연결되어 물을 순환시키는 모터펌프(26)를 포함하는 물순환장치와;
    여과실(20)내에는 중앙에 여과필터(21)를 구비하고 일측에 배출구(22a)가 형성된 1차여과실(22)과, 상기 1차여과실(22)을 중심으로 방사선상으로 구획판(23)(23')에 의해 구획되어 여과필터(24)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2차여과실(25)이 형성되는 여과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23)은 하단에 유로(23a)가 형성되고, 또 다른 구획판(23')은 그 높이를 낮게 하여 상단에 유로(23b)가 형성되어 물이 위아래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여과실(25)에 각각 구비되는 여과필터(24)는 다수의 합성수지재 판재(24a)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되어 연결판재(24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KR1020000012655A 2000-03-14 2000-03-14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KR100343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55A KR100343261B1 (ko) 2000-03-14 2000-03-14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55A KR100343261B1 (ko) 2000-03-14 2000-03-14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10A KR20010091210A (ko) 2001-10-23
KR100343261B1 true KR100343261B1 (ko) 2002-07-15

Family

ID=1965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655A KR100343261B1 (ko) 2000-03-14 2000-03-14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06343B (zh) * 2014-07-02 2016-10-26 江苏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水产养殖育苗生产换水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994123B (zh) * 2016-08-10 2018-09-04 浙江格池园艺用品有限公司 一种水族箱的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210A (ko) 2001-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4424A (en) Aquarium ecosystem
US20060180532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698643B1 (ko) 수조용 올인원 여과 장치
US4272372A (en) Global aquarium with aerator and purifier
JP3484079B2 (ja) クリーンウォ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構造
KR20170056107A (ko)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0343261B1 (ko) 수족관의 물순환 여과장치
KR100841428B1 (ko) 취수성 유해가스 정화기능을 갖는 수족관용 기포필터
KR20100116904A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KR101718360B1 (ko)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KR920005952B1 (ko) 오수정화조의 여과재 순환 정화장치
ZA200502733B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U2005334527A1 (en) Aquarium filter
AU2007229362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120111668A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TW201808093A (zh) 景觀水族過濾系統
JP5311301B2 (ja) 泡沫分離槽付濾過装置
KR200164810Y1 (ko) 수조의 포기겸용 상부여과장치(a bubbly filter for use an aquarium)
JPH10337131A (ja) 魚用養殖装置
KR102349615B1 (ko)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KR102239381B1 (ko) 카트리지필터를 이용한 바이오플락 사육수 자동 여과시스템
KR101871677B1 (ko) 역저면 여과기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0167134B1 (ko) 양어장 물 순환 여과 시스템
JP3816244B2 (ja) 水浄化フィルター装置枠、水浄化フィルター装着用部材及び水浄化フィルター装置
KR910003980Y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