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615B1 -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 Google Patents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615B1
KR102349615B1 KR1020210091569A KR20210091569A KR102349615B1 KR 102349615 B1 KR102349615 B1 KR 102349615B1 KR 1020210091569 A KR1020210091569 A KR 1020210091569A KR 20210091569 A KR20210091569 A KR 20210091569A KR 102349615 B1 KR102349615 B1 KR 102349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eawater
tube
wat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수
Original Assignee
황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수 filed Critical 황현수
Priority to KR102021009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키머와 여과부를 갖는 수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해수가 공급되는 수조는, 해수를 수용하는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의 바닥 주위를 따라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개구가 형성된 여과관; 상기 여과관과 연결되고 상기 수조 본체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 여과기; 상기 외부 여과기에서 상기 수조 본체 상부로 연결되는 출수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입수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기포를 이송하기 위한 기포 이송관; 상기 기포 이송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드는 단면 축소관;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수용할 수 있는 퇴수통; 상기 기포 이송관의 하부로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기; 상기 퇴수통과 연결되어, 상기 퇴수통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퇴수 저장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 본체 내의 해수는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포기를 통해 공급되는 기포와 함께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상기 퇴수통에 수용되고, 상기 퇴수통에 수용된 해수는 상기 퇴수 저장용기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물이 순환하는 방식으로 된 스키머를 수조에 직접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하부에 여과기를 사각형 형태로 둘러서 설치하는 구조에 의해 수조 바닥의 오염물을 여과하여 수조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Water tank with circulation type skimmer and bottom filtration part integrally}
본 발명은 스키머와 여과부를 갖는 수조에 관한 것이다.
문화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취미의 다양성이 커지고 있다. 관상을 목적으로 20년 전에는 금붕어나 잉어를 키웠지만, 10년 전에는 열대어, 최근에는 해수어를 키우는 것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해수는 담수보다 염류가 많아 세균 번식이 쉽고, 이상 번식에 의해 질병이 발생함과 동시에 산소 부족이 일어난다.
이러한 이유로, 해수어를 키우는 수조의 수질은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일반 여과기로는 해수를 여과하기에 여과력이 부족하다. 또한, 여과기는 대부분 한쪽 구석에 위치하여 수조의 1/3도 여과하지 못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해수를 여과하기 위해서는 일반 여과기가 아닌 섬프수조를 별도로 설치하고, 수조 용량에 따라 스키머도 설치하고 있다. 스키머는 수조에서 발생하는 부유물, 용존 유기물, 그리고 활어의 배설물 등 수질을 악화시키는 요인과, 수중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거품과 함께 외부로 배출시켜 수질을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수조에 별도로 섬프수조와 스키머를 설치하는 것은 공간을 많이 차지할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기존에 있던 수조를 활용하여 섬프수조 없이 본 수조 만으로 해수어를 키우는 방식이 늘어나고 있다.
본 수조 만으로 해수어를 키우는 방식에서는 본 수조에 걸이식 배면섬프 또는 내부 장착형 섬프와, 걸이식 스키머를 장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관상이 중요한 수조의 심미감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해수를 여과시키는 여과력도 충분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639573호는 별도의 섬프수조 없이 본 수조에 걸이식 스키머를 설치하여 해수를 여과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별도의 섬프수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공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입수구 높이가 수조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바닥의 오염물을 끌어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여 바닥청소를 자주 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수조에서 공기방울과 함께 물이 빨려 올라가면 일부는 배출되는 순환구조가 되어야 하는데, 순환구조가 없이 공기방울만 올라가는 형태여서 상대적으로 물을 끌어들이는 힘이 약해질 수밖에 없어 스키머의 효능이 떨어지게 된다.
스키머의 원리는 공기방울이 계속 부딪치고 응집되면서 거품이 형성되고, 해수 중의 단백질이 거품에 엉겨붙게 해서 퇴수구로 보내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응집 여부와 관계없이 상부에 거품이 생기기만 하면 물이 출수구로 배출되므로, 걸러내지 않아도 될 물을 퇴수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물을 보충하면서 염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섬프수조 없이 수조에 직접 스키머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입수구를 바닥에 인접하게 설치하여 수조 바닥의 오염물까지 여과하여 수조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스키머를 갖는 수조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213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별도의 섬프수조 없이 수조에 직접 스키머를 설치하는 구조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하부에 여과기를 사각형 형태로 둘러서 설치하는 구조에 의해 수조 바닥의 오염물을 여과하여 수조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수가 공급되는 수조는, 해수를 수용하는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의 바닥 주위를 따라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개구가 형성된 여과관; 상기 여과관과 연결되고 상기 수조 본체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 여과기; 상기 외부 여과기에서 상기 수조 본체 상부로 연결되는 출수관; 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 본체 내의 해수는 상기 여과관의 개구를 통해 입수되어 상기 외부 여과기에서 여과된 후, 상기 출수관을 통해 상기 수조 본체로 공급된다.
또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입수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기포를 이송하기 위한 기포 이송관; 상기 기포 이송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드는 단면 축소관;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수용할 수 있는 퇴수통; 상기 기포 이송관의 하부로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기; 상기 퇴수통과 연결되어, 상기 퇴수통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퇴수 저장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 본체 내의 해수는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포기를 통해 공급되는 기포와 함께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상기 퇴수통에 수용되고, 상기 퇴수통에 수용된 해수는 상기 퇴수 저장용기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단면 축소관의 하부는 상기 기포 이송관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기포 이송관과 상기 단면 축소관의 사이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해수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수조 본체 내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에는 해수어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해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다공성 부재가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수를 수용하는 수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수조용 스키머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입수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기포를 이송하기 위한 기포 이송관; 상기 기포 이송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드는 단면 축소관;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수용할 수 있는 퇴수통; 상기 기포 이송관의 하부로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기; 상기 퇴수통과 연결되어, 상기 퇴수통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퇴수 저장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 본체 내의 해수는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포기를 통해 공급되는 기포와 함께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상기 퇴수통에 수용되고, 상기 퇴수통에 수용된 해수는 상기 퇴수 저장용기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이 순환하는 방식으로 된 스키머를 수조에 직접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하부에 여과기를 사각형 형태로 둘러서 설치하는 구조에 의해 수조 바닥의 오염물을 여과하여 수조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조를 위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조를 정면에서 바라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조를 위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조를 정면에서 바라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주요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해수어를 키우기 위해 수조 내의 물을 여과하여 공급하고, 수중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거품과 함께 외부로 배출시켜 수질을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스키머 장치를 갖는 수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조는 수조 본체(101), 여과관(110), 외부 여과기(115), 수조용 스키머 등을 포함한다.
수조 본체(101)는 예를 들어,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해수를 수용한다.
여과관(110)은 수조 본체(101)의 바닥 주위를 따라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개구(111)가 형성된다.
외부 여과기(115)는 여과관(110)과 연결되고 수조 본체(101) 외부에 위치된다. 여과관(110)은 수조 본체(101)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외부 여과기(115)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여과기(115)에는 수조 본체(101)의 상부로 연결되는 출수관(116)이 연결된다.
해수어들이 배출하는 배설물이나 오염물들은 수조 본체(101)의 바닥에 주로 쌓이게 된다. 여과관(110)은 수조 본체(101)의 바닥 주위를 따라 연장되므로, 수조 본체(101)의 바닥에 축적되는 오염물들을 포함하는 해수는 여과관(110)의 개구(111)를 통해 입수되어 외부 여과기(115)에서 여과된 후, 출수관(116)을 통해 수조 본체(101)로 공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수조 본체(101) 내의 해수 중에 포함되어 바닥에 축적되는 오염물들이 여과관(110)을 통해 여과되므로 해수를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수조 청소를 위해 수조 전체를 해체 및 재설치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조 본체(101) 내에 설치되어 수중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거품과 함께 외부로 배출시켜 수질을 안정화시키는 수조용 스키머가 제공된다.
이러한 수조용 스키머는 입수부(120), 기포 이송관(130), 단면 축소관(140), 퇴수통(160), 기포기(150), 퇴수 저장용기(170) 등을 포함한다.
입수부(120)는 원통 또는 다각형의 통으로 형성되어, 수조 본체(101)의 하부 바람직하게는, 바닥에 위치된다. 입수부(1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개구(121)가 형성된다. 개구(121)는 수조 본체(101) 내의 해수를 입수부(120) 내로 유입하기 위한 것으로, 해수어 또는 해양 생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로 타공된다. 입수부(120)는 수조 본체(101)의 하부에 위치되어 해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들이 최대한 많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기포 이송관(130)은 기포기(150)를 통해 공급되는 기포를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입수부(120)와 연통되도록 입수부(120)의 상부에 위치된다. 기포기(150)는 기포 이송관(130)의 하부로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기포기(150)에서 발생된 기포는 연결관(151)을 통해 기포 이송관(130)으로 공급된다. 연결관(151)의 단부에는 기포배출부(또는 에어스톤)(152)가 연결되어, 기포배출부(152)를 통해 기포 이송관(130) 내로 기포가 배출될 수 있다.
기포배출부(152)는 기포 이송관(130)에서 최대한 하부에 위치된다. 압력에 의해 기포는 위로 올라갈수록 커지므로, 기포가 커지면서 서로 부딪혀 거품이 생성되고, 이러한 거품에 의해 단백질 및 오염물의 응집이 원활히 일어나게 된다.
단면 축소관(140)은 기포 이송관(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든다. 단면 축소관(140)에서는 좁아진 단부에서 기포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거품이 형성되어 단백질 등의 부유물을 잘 응고시킬 수 있다.
퇴수통(160)은 단면 축소관(140)의 상부와 연결되고, 단면 축소관(140)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거품 및 부유물이 포함된 해수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퇴수통(160)의 바닥은 단면 축소관(140)의 상단부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퇴수 저장용기(170)는 연결관(171)을 통해 퇴수통(160)과 연결되어, 오염물이 포함된 퇴수통(160)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조 본체(101) 내의 해수는 입수부(120)를 통해 유입되어 기포기(150)를 통해 공급되는 기포와 함께 이동되고, 단면 축소관(140)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어 퇴수통(160)에 수용된다. 퇴수통(160)에 수용된 해수는 퇴수 저장용기(170)로 배출된다.
단면 축소관(140)의 하부는 기포 이송관(13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위치되고, 기포 이송관(130)과 단면 축소관(140)의 사이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화살표 방향과 같이 해수의 일부가 유로를 통해 수조 본체(101)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유로에는 해수어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해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스펀지와 같은 다공성 부재(135)가 위치된다.
입수부(120)를 통해 유입된 해수가 기포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수의 일부는 기포가 부딪혀 형성되는 거품과 함께 위로 이동하지만, 거품화되지 않은 물은 유로를 통해 수조 본체(101) 내로 다시 공급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입수부(120)를 통한 해수의 입수가 원활히 이루어져 스키머를 통한 여과력이 상승된다.
이와 같이, 해수가 순환하면서 더 많은 양의 해수에 대한 여과가 가능해지고, 퇴수통(160)에 수용되는 해수의 양도 최소화될 수 있어 퇴수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염도의 저하를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조에 따르면 물이 순환하는 방식으로 된 스키머를 수조에 직접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공간과 비용을 절감하면서 오염물과 함께 퇴수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수조의 하부에 여과기를 사각형 형태로 둘러서 설치하는 구조에 의해 적은 비용으로 수조 바닥의 오염물을 여과하여 수조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조는 해수가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해수가 아닌 일반 물이 공급되는 수조에서도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1 : 수조 본체
110 : 여과관
115 : 외부 여과기
116 : 출수관
120 : 입수부
121 : 개구
130 : 기포 이송관
140 : 단면 축소관
150 : 기포기
151 : 연결관
152 : 기포배출부
160 : 퇴수통
170 : 퇴수 저장용기
171 : 연결관

Claims (5)

  1. 해수가 공급되는 수조에 있어서,
    해수를 수용하는 수조 본체;
    상기 수조 본체의 바닥 주위를 따라 연장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개구가 형성된 여과관;
    상기 여과관과 연결되고 상기 수조 본체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 여과기;
    상기 외부 여과기에서 상기 수조 본체 상부로 연결되는 출수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입수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기포를 이송하기 위한 기포 이송관;
    상기 기포 이송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드는 단면 축소관;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수용할 수 있는 퇴수통;
    상기 기포 이송관의 하부로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기;
    상기 퇴수통과 연결되어, 상기 퇴수통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퇴수 저장용기;
    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 본체 내의 해수는 상기 여과관의 개구를 통해 입수되어 상기 외부 여과기에서 여과된 후, 상기 출수관을 통해 상기 수조 본체로 공급되고,
    상기 수조 본체 내의 해수는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포기를 통해 공급되는 기포와 함께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상기 퇴수통에 수용되고,
    상기 퇴수통에 수용된 해수는 상기 퇴수 저장용기로 배출되는 수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 축소관의 하부는 상기 기포 이송관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위치되고, 상기 기포 이송관과 상기 단면 축소관의 사이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해수가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수조 본체 내로 배출될 수 있는 수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해수어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해수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다공성 부재가 위치되는 수조.
  5. 해수를 수용하는 수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수조용 스키머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고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 본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입수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기포를 이송하기 위한 기포 이송관;
    상기 기포 이송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부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드는 단면 축소관;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수용할 수 있는 퇴수통;
    상기 기포 이송관의 하부로 기포를 공급하기 위한 기포기;
    상기 퇴수통과 연결되어, 상기 퇴수통의 해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퇴수 저장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 본체 내의 해수는 상기 입수부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기포기를 통해 공급되는 기포와 함께 상기 단면 축소관의 상부를 통해 상기 퇴수통에 수용되고,
    상기 퇴수통에 수용된 해수는 상기 퇴수 저장용기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수조용 스키머.
KR1020210091569A 2021-07-13 2021-07-13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KR102349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569A KR102349615B1 (ko) 2021-07-13 2021-07-13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569A KR102349615B1 (ko) 2021-07-13 2021-07-13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615B1 true KR102349615B1 (ko) 2022-01-10

Family

ID=7934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569A KR102349615B1 (ko) 2021-07-13 2021-07-13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6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674U (ko) * 2006-12-06 2008-06-11 최경엽 수족관용 수처리 장치
KR100849648B1 (ko) * 2007-02-05 2008-07-31 카라에프엔 주식회사 정화기능을 갖는 수족관
KR20140055662A (ko) * 2012-11-01 2014-05-09 박상원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200487989Y1 (ko) * 2017-10-02 2018-11-29 주용범 침전물 제거장치가 장착된 수족관
KR101992133B1 (ko) 2018-09-20 2019-06-24 이장용 수조 시스템
KR20200101654A (ko) * 2019-02-20 2020-08-28 아쿠아셀 주식회사 양식장의 수조 바닥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674U (ko) * 2006-12-06 2008-06-11 최경엽 수족관용 수처리 장치
KR100849648B1 (ko) * 2007-02-05 2008-07-31 카라에프엔 주식회사 정화기능을 갖는 수족관
KR20140055662A (ko) * 2012-11-01 2014-05-09 박상원 해수의 살균 및 정수장치
KR200487989Y1 (ko) * 2017-10-02 2018-11-29 주용범 침전물 제거장치가 장착된 수족관
KR101992133B1 (ko) 2018-09-20 2019-06-24 이장용 수조 시스템
KR20200101654A (ko) * 2019-02-20 2020-08-28 아쿠아셀 주식회사 양식장의 수조 바닥 청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2775B2 (en) Fish culturing system
JP2009278894A (ja) 水中生物飼育システムおよび水槽用浄化ユニット
US6299765B1 (en) Surface feed filter pump box for aquariums
KR100513904B1 (ko) 외부식 여과장치
CN212545144U (zh) 水生生物养殖系统
US7311822B2 (en) Aquarium
KR102349615B1 (ko)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KR101021911B1 (ko) 전시용 해수어 수조 순환여과시스템
CN112889741A (zh) 水生生物养殖系统
WO2010021558A1 (en) Method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and a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KR20150001964U (ko) 배수 및 순환 장치를 구비한 어항
KR102239314B1 (ko) 해수어 수족관용 스키머
JP2009011192A (ja) 活魚水槽装置および活魚水槽装置用のフィルター
KR101466643B1 (ko) 활어운반차량용 해수 정수장치
JPH04360636A (ja) 生きたイカの輸送装置
JP2003145187A (ja) 水の浄化装置
US7311819B2 (en) Aquarium filter
JP2008012408A (ja) 貯水池のろ過装置
US20110079555A1 (en) Aquarium Filter
JP4069131B2 (ja) 水槽
CN201015362Y (zh) 水槽用溢出装置
JPH10244290A (ja) 水槽水の濾過方法及び濾過装置
KR20160041249A (ko) 수족관용 스키머
KR200327120Y1 (ko) 순환여과식 수족관
KR100987740B1 (ko) 정수 및 산소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