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153A - 수족관 - Google Patents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153A
KR20130014153A KR1020110076102A KR20110076102A KR20130014153A KR 20130014153 A KR20130014153 A KR 20130014153A KR 1020110076102 A KR1020110076102 A KR 1020110076102A KR 20110076102 A KR20110076102 A KR 20110076102A KR 20130014153 A KR20130014153 A KR 2013001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tank
aquarium
inclin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혜
Original Assignee
안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혜 filed Critical 안지혜
Priority to KR102011007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4153A/ko
Publication of KR2013001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의 수소 내 오염수 표면에 떠 있는 단백질 거품을 간단하게 외부로 배출하고 단백질 거품이 제거된 오염수를 여과조로 공급하여 여과하므로 정화효율을 높이며 정화된 물에 단백질이나 유기화합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청소 주기를 길게 하여 수족관의 활용률을 높이고 담수의 교체비용을 줄이는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거품을 배출하는 거품배출구와, 상기 경사판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경사판의 하방에 상기 수조의 내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수조로부터 물과 거품이 유입되는 장형의 상부유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족관{Aquarium}
본 발명은 활어나 관상어 또는 수산물을 보관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물을 담수 하여 활어나 관상어 또는 수산물을 보관하거나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수족관은 수조 내의 오염수를 여과하는 장치가 필수로 설치된다. 상기 수조 내의 오염수나 이물질을 유입관을 통해 여과조에 공급하여 여과시키고 상기 여과조에 의해 여과된 물을 유출관을 통해 다시 수조로 유입시키는 통상의 여과장치와, 상기 수조의 오염수에 단백질이 포함된 물 표면에 떠 있는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기가 설치된다.
상기 수조의 수질정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유기화합물과 단백질이 포함된 거품을 제거해야 한다. 통상 거품을 제거하고자 상기 수조에 설치되어 부표에 의해 상기 수조의 물 표면에 떠있는 포집부와 상기 포집부로 거품을 포집한 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포집부의 후단에 배출펌프와 배출파이프가 설치된 거품제거기가 널리 사용된다. 상기의 거품제거기는 상기 수조에 고정시키는 거치시설과 거품을 배출하는 배출펌프와 파이프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수족관의 제작비용이 상승되고, 또한 상기 거품제거기가 고장 나지않도록 주기적으로 점검해야한다.
또한 상기 수조 내의 오염수를 여과장치로 여과하는 단계와 거품제거기로 거품을 제거하는 단계가 별도로 진행됨으로 인하여 수질정화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정화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단백질이나 유기화합물의 발생을 억제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상기 거품제거기로 거품을 제거하고 여과장치로 오염수를 여과하더라도 수조의 물에 단백질이 포함된 유기화합물과 이물질이 다량으로 잔존하여 상기 수조에 물때와 이끼가 발생하고, 오염수에 암모니아, 아미노산, 황산화수소 등의 독성가스가 발생하여 수산물의 집단폐사 등 심각한 문제가 초래된다. 또한 오염수에 포함된 단백질로 인하여 상기 수조의 부영양화도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통상 2 ~ 4일 간격으로 수조를 자주 청소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청소는 상기 수조 내 담수된 물을 모두 배출한 후 수조의 내벽과 여과조 등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수조에 깨끗한 물을 담수하여 청소를 완료한다.
여기서 청소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수조 내 담수된 물을 모두 빼내고 청소 후 다시 담수하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짧은 청소주기로 수족관을 사용할 수 없는 시간이 늘어나 활어나 수산물을 보관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족관의 수조 내 오염수 표면에 떠 있는 단백질 거품을 간단하게 외부로 배출하고, 단백질 거품이 제거된 오염수를 여과조로 공급하여 여과하므로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정화된 물에 단백질이나 유기화합물의 발생이 억제되고, 청소 주기를 길게 하여 수족관의 활용률을 높이고 담수의 교체비용을 줄이는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은,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거품을 배출하는 거품배출구와, 상기 경사판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경사판의 하방에 상기 수조의 내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수조로부터 물과 거품이 유입되는 장형의 상부유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조의 바닥에 관통되어 설치된 하부흡입공과, 일단이 상기 하부흡입공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설치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해 물과 함께 흘러가는 이물질이 낙하되어 모이는 집진관과, 상기 집진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한다.
또한, 물을 공급받아 여과하는 여과조와, 하단의 일측에 개구된 출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이 상기 케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직립하면서 상단이 상기 경사판의 하측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공의 차단관과,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차단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차단관의 출입공을 통해 들어온 물이 유입되고, 타단이 상기 여과조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과, 상기 여과조에 의해 여과된 물을 다시 수조로 유입시키는 유출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분할된 하나의 공간에 기포발생기가 배치되며, 또 다른 공간에 차단관이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설치되는 장방형의 칸막이를 더 포함한다.
또한, 하부에 복수의 배수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조의 하부흡입공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돌기 각각의 사이로 상기 수조의 물이 통과하여 상기 하부흡입공으로 배수되는 배수커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부흡입공 외측에 설치되고, 삽입홈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흡입공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키는 물막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은, 수조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된 케이스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경사진 경사판에 거품배출구와 공기공급관과 케이스의 측면에 관통형성된 상부유입공이 함께 설치되어, 수소 내 오염수 표면에 떠있는 단백질 거품을 케이스의 외부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 단백질 거품이 제거된 물만 유입되는 출입공이 형성된 차단관을 설치하고 차단관 내부에 형성된 유입관을 통해 거품이 제거된 물만 여과조로 공급되어 여과되므로, 오염수의 정화효율이 높아지고 수산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수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조의 청소주기를 늘려 수족관의 활용률을 높이며 담수의 교체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족관 전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거품을 제거하는 수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하부흡입공, 흡입관 및 기포발생기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집진관 및 개폐밸브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여과장치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케이스에 칸막이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수조에 수조분리판과 하부흡입공이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 하부흡입공에 배수커버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 배수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의 케이스에 물막이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물막이가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은, 도 1 내지 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10), 케이스(131), 경사판(132), 거품배출구(133), 공기공급관(134) 및 상부유입공(1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하부흡입공(140), 흡입관(141) 및 기포발생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과조(180), 차단관(170), 유입관(190) 및 유출관(200)을 더 포함하고, 장방형의 칸막이(210), 배수커버(220) 및 물막이(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에는 유기화합물이 포함되어 있고, 오염수의 표면에 떠있는 거품에는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수조(110)의 물을 오염시키는 주원인 되므로 반드시 정화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담수 하여 활어나 관상어 및 수산물이 보관되는 수조(110)와, 상기 수조(110)와 분리되어 통상은 상기 수조(110)의 하부인 프레임(120)에 여과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여과장치는 후술할 여과조(180)와 유입관(190) 및 유출관(200)이 설치된다.
상기 수조(110)의 내부 일측면에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131)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131)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전ㆍ후 또는 좌ㆍ우로 높낮이를 가지도록 경사진 경사판(132)이 설치된다. 즉, 상기 경사판(132)은 상기 케이스(131)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케이스(13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에 상기 케이스(131) 내부의 거품을 배출하는 거품배출구(133)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경사판(132)에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3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132)의 하방에 상기 수조(110)의 내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131)의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수조(110)로부터 물과 거품이 유입되는 장형의 상부유입공(135)이 설치된다.
상기 상부유입공(135)으로 상기 수조(110)에 있던 오염수와 거품이 유입되면 상기 케이스(131) 내부에 상기 수조(110)와 동일한 수위로 오염수와 거품이 차게 된다.
그 후 상기 케이스(131)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경사판(132)에 설치된 상기 공기공급관(134)으로 공기가 공급되면, 오염수의 표면에 떠 있는 단백질 거품은 경사진 상기 경사판(132)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밀려나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에 모이게 된다.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으로 모인 거품은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된 거품배출구(13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경사판(132)의 일측과 연결된 거품배출구(133)의 타측에 호스를 연결시키고 호스의 단부를 하수구와 연결하면 상기 거품배출구(133)를 통하여 배출되는 거품을 하수구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 표면에 떠있는 거품이 상기 상부유입공(135)을 통하여 오염수와 거품이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유입되기만 하면 상기 공기공급관(133)으로 압력을 가지는 공기가 공급되므로 자연스레 거품은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으로 밀려나 모이게 되고 상기 거품배출구(134)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131)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의 케이스(131), 경사판(132), 거품배출구(133), 공기공급관(134) 및 상부유입공(135)으로 이루어진 거품제거수단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거품을 배출할 수 있다.
하부흡입공(140), 흡입관(141) 및 기포발생기(150)는 상기 도 1의 구성에 추가로 설치된 상태로서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10)의 바닥을 관통되게 하부흡입공(140)이 설치되고, 상기 하부흡입공(140)의 하부에 일단이 연통되며 타단이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흡입관(141))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입관(141)의 타단에 상기 수조(110)의 물(오염수)을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로 흡입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1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하부흡입공(140)과 흡입관(141)은 상기 수조(110)의 내부와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를 연통되게 한다.
상기 케이스(131) 내부에 돌출되어 설치된 유입관(141)의 단부에 형성된 기포발생기(150)가 작동하면 기포가 발생되고, 기포는 상기 케이스(131) 내부의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31) 내부 상방으로 상승하는 기포의 상승력에 의하여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가 상기 하부흡입공(140)과 흡입관(141)으로 유입되어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기(150)에 의하여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가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기포가 발생되어 제공됨으로 인하여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 암모니아 등의 악성독소와 각종 유기화합물 및 단백질이 분리되어 상기 케이스(131) 내부의 물 표면에 떠있는 거품으로 변한다. 따라서 상기 단백질 거품은 상기 케이스(131)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 내부로 밀리면서 모이게 되고,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 높이까지 쌓이면 자연스레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에 설치된 거품배출구(133)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기(150)를 통해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는 상기 케이스(131) 측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유입공(135)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와 합쳐진다. 이 또한 상기 케이스(131) 상측의 상기 거품배출구(133)를 통해 단백질 거품이 배출되어 오염수에서 각종 유기화합물과 단백질이 거품으로 제거된다.
상기 도 4에 집진관 및 개폐밸브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가 도 6과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흡입관(141)과 연통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입관(141)을 통해 물과 함께 흘러가는 이물질이 낙하되어 모이는 집진관(160)과, 상기 집진관(16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관(16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61)가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흡입관(141)과 연결된 상기 하부흡입공(140)으로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가 흡입되어 상기 흡입관(141)을 통해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로 흐른다. 오염수에는 각종 유기화합물과 단백질 및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입자가 큰 이물질은 상기 흡입관(141)을 흘러가면서 상기 흡입관(141)의 하방으로 일단이 연통형성된 상기 집진관(160)으로 낙하되어 모인다. 상기 집진관(160)의 타단에 상기 집진관(160)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61)가 설치되므로, 상기 개폐밸브(161)를 개방되는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집진관(160)에 모인 이물질은 하방으로 자연 낙하되어 제거된다. 상기 집진관(160)을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유는 입자가 큰 이물질은 거품배출구(133)로도 배출되지 않고 계속 누적되어 상기 수조(110)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물질을 별도로 배출시켜 상기 수조(110)의 수질정화의 효과를 높인다.
상기 집진관(160)에 모인 이물질의 제거가 완료되면 상기 개폐밸브(161)을 닫히는 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집진관(160)의 하부를 닫는다. 평상시 상기 집진관(160)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면 상기 수조(110)의 물이 모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평상시는 상기 개폐밸브(161)로 닫아놓고, 상기 집진관(160)에 이물질이 모인 경우에만 상기 개폐밸브(161)로 개방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닫는다.
상기 도 6에 여과장치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가 도 8과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일측에 개구된 출입공(171)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이 상기 케이스(131)의 바닥으로부터 직립하면서 상단이 상기 경사판(132)의 하측을 관통되는 중공의 차단관(170)이 설치된다. 상기 차단관(17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131)의 바닥을 관통하며 타단이 물을 공급받아 여과하는 여과조(180)에 연결되는 유입관(19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여과조(180)에 의해 여과된 물을 다시 수조로 유입시키는 유출관(200)이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차단관(170)은 중공의 형상으로 상기 케이스(131)의 바닥으로부터 직립하면서 상기 경사판(132)의 하측에 관통되고, 하단 일측에 개구된 출입공(171)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31)의 내의 유입된 오염수 표면의 거품은 상기 차단관(17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기 차단관(170)이 상기 경사판(132)의 하측을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거품은 상기 차단관(17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또한 상기 차단관(170)의 하단 일측에 개구된 출입공(171)으로 상기 케이스(131)의 오염수가 유입되지만, 오염수의 표면에 떠 있는 거품은 유입되지 않는다. 즉, 상기 오염수에 떠있는 거품은 상기 차단관(170) 내부로의 유입이 차단되고, 거품이 제외된 오염수가 상기 차단관(170) 하단 일측에 개구되어 형성된 상기 출입공(171)을 통해 유입된다.
상기 차단관(170)의 내부에 일단이 상기 케이스(131)의 바닥을 관통하며 타단이 상기 여과조(180)에 연결되는 유입관(190)이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190)의 상부 높이는 상기 케이스(13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수조(11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유입공(135)과 동일 높이로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190)의 상부는 상기 차단관(170)의 출입공(171)을 통해 들어온 오염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 차단관(170) 내부의 상기 유입관(190) 상부를 통해 유입된 오염수는 상기 유입관(190)을 통해 상기 여과조(180)에 공급되어 여과된다. 또한 상기 여과조(180)에 의해 여과된 물은 상기 유출관(200)을 통해 다시 수조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조(180)는 상기 케이스(131)의 거품배출구(133)로부터 거품이 배출되고 상기 차단관(170)으로부터 거품이 차단되어 유입되는 오염수만 여과시키므로 여과 능력이 높아지고 여과 효율이 상승한다. 즉, 오염수에 포함된 각종 유기화합물과 단백질의 일부는 상기 기포발생기(150)에 의해 오염수와 분리되어 단백질 거품으로 변하고 오염수의 표면에 뜨면서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거품배출구(133)로 배출되어 제거되며, 오염수에 남아 있는 일부 유기화합물과 단백질만 상기 여과조(180)를 통해 여과하면 되므로 여과 효율이 높아지고, 여과된 물의 수질은 수산물을 보관하기에 적합한 물로 정화된다. 또한 이물질이나 유기화합물이 대부분 제거된 상태의 오염수만 상기 여과조(180)에서 여과하므로 상기 여과조(180)에 포함된 여과재의 수명이 길어진다.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에 칸막이(210)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는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하나의 공간에 상기 기포발생기(150)가 배치되고, 또 다른 공간에 상기 차단관(170)이 배치되게 하는 상기 칸막이(210)는 상기 케이스(131) 내부 바닥으로부터 직립되고 상기 케이스(131) 상부의 경사판(132)에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스(131)의 바닥과 양측면은 상기 칸막이(210)로 분리되고, 상기 칸막이(210)의 상부는 뚫려 있는 장방형이다.
상기 칸막이(210)로 분리된 상기 케이스(131)의 하나의 공간에 배치된 상기 기포발생기(150)를 통해서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가 유입되면 발생되는 기포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131)의 상부로 거품과 오염수가 상승하게 되고, 거품은 상기 거품배출구(1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오염수는 상기 칸막이(131)의 상부를 넘어 상기 차단관(170)이 배치된 공간으로 이동된다. 상기 칸막이(210)를 넘어 상기 차단관(170)이 배치된 공간으로 이동된 오염수는 상기 케이스(131) 측면에 형성된 상기 상부유입공(135)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와 합쳐진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210)는 상기 기포발생기(150)를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에 포함된 유기화합물이나 단백질을 확실하게 분리시킨 다음 상기 상부유입공(135)으로 유입되는 오염수와 합쳐지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기포발생기(150)가 배치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염수에 포함된 유기화합물이나 단백질을 상기 기포발생기(150)를 통해 분리할 때 상기 상부유입공(135)으로 유입되는 오염수가 합쳐지면 오염수에서 유기화합물이나 단백질의 분리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케이스(131)의 측면에 관통형성된 상기 상부유입공(135)을 통해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 및 표면에 떠있는 거품이 유입되고, 상기 기포발생기(150)를 통해 상기 수조(110)의 내부 오염수가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흡입되어 합쳐지면, 상기 기포발생기(150)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오염수에 포함된 유기화합물이나 단백질이 분리되는 효과를 발생하므로, 상기 칸막이(210)는 부가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칸막이(210)를 상기 케이스(131)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직선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일측으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칸막이(210)의 상부 높이는 상기 상부유입공(135)과 상기 유입관(190)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하여 동일 수위가 되도록 한다.
상기 칸막이(210), 상부유입공(135) 및 유입관(190)을 동일 수위로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유입관(190)의 상부가 상기 상부유입공(135)이나 상기 칸막이(210)의 상부보다 높게 설치되면 상기 유입관(190)으로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유입관(190)으로 오염수가 유입되지 않으면 상기 여과조(180)로 오염수가 공급되지 못하여 오염수를 여과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유입관(190) 상부를 상기 상부유입공(135)이나 상기 칸막이(210)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10)의 공간을 분리시키는 수조분리판(111)이 구비될 경우 각각의 공간에 상기 하부흡입공(140)을 형성시켜 상기 흡입관(141)을 통해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를 이동시킨다.
상기 수조(110)가 대형으로 담수된 물이 많을 경우, 상기 수조(110)의 바닥에 복수의 상기 하부흡입공(140)을 설치하고 각각의 상기 하부흡입공(140)에 상기 흡입관(141)을 개별 연결시켜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로 돌출 설치되게 하고, 각각의 상기 흡입관(141) 마다 상기 기포발생기(15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상기 하부흡입공(140)을 하나의 상기 흡입관(141)으로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131) 내부에 돌출형성시키고, 상기 흡입관(141)에 하나의 상기 기포발생기(15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흡입관(140), 흡입관(141) 및 기포발생기(150)는 하나만 설치하더라도 상기 상부유입공(135)을 통해서 함께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가 유입되므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오염수를 정화할 수 있으나, 복수로 설치하여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를 더 빠른 시간에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이동시켜 거품을 제거하고 상기 여과조(180)를 통해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 13과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110)의 하부흡입공(140)의 상부에 배수커버(220)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도이다. 하부에 복수의 배수돌기(22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조(110)의 하부흡입공(140)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돌기(221) 각각의 사이로 상기 수조(110)의 물이 통과하여 상기 하부흡입공(140)으로 배수되는 배수커버(220)가 추가로 설치된다.
넙치, 광어 및 가자미 등 옆으로 서식하는 어류가 상기 하부흡입공(140)의 상부에 안착하면 상기 하부흡입공(140)이 막히게 되어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가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하부흡입공(140)이 막히게 되면 상기 흡입관(141)을 통해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오염수가 공급되지 않아 오염수를 정화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흡입공(140)의 상부에 상기 배수커버(220)를 설치하여 옆으로 서식하는 어류가 상기 하부흡입공(140)의 상부에 안착하더라도 상기 하부흡입공(140)에 직접 안착되지 않고 상부에 설치된 상기 배수커버(220)의 상부에 안착되므로 상기 하부흡입공(140)은 막히지 않게 되며, 오염수는 원활하게 배수된다.
도 15와 16은 본 발명의 케이스(131)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유입공(135)의 외측에 설치되고, 삽입홈(231)이 형성된 가이드(230)와, 상기 가이드(230)의 삽입홈(231)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유입공(135)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키는 물막이(232)가 추가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물막이(132)는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물막이(132)로 상기 상부유입공(135)을 막으면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는 하부흡입공(140), 흡입관(141) 및 기포발생기(150)를 통해서만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흡입되어 여과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31) 내부 상기 경사판(132)의 상측에 모여지는 거품이 상기 거품배출구(133)로 배출되기 전에 상기 상부유입공(135)을 통해 상기 수조(110)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단백질 제거와 거품제거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어 상기 수조의 오염수 표면에 떠있는 단백질 거품을 용이하게 배출 및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단밸질 거품이 제거된 오염수만 상기 여과조(180)에 공급되어 여과하므로 여과 능력이 향상됨은 물론 여과효율도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는 상기 케이스(131) 내부로 이동되어 상기 거품배출구(133)를 통해 거품이 배출되고, 상기 여과조(180)를 통해 여과된 물은 수산물을 보관하는 최적의 수질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조(110)의 청소주기를 늘릴 수 있다. 청소주기가 늘어나면 상기 수조(110)의 활용률이 높아지고, 수산물의 보관이 한층 용이 해지고, 청소시 소요되는 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100)을 일정 기간 사용 후 담수를 교체할 시에 상기 수조(110)의 물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약 30%만 교체하더라도 수산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수질이 유지되므로 담수의 교체비용이 절감된다. 동시에 담수의 교체시간을 줄이 수 있으므로 이 또한 수조(110)의 활용률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여름철에는 상기 수조(110)의 물 온도를 낮추어야 하고, 겨울철에는 상기 수조(110)의 물 온도를 높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족관(100)은 수조(110) 내 담수의 약 30%만 교체하므로 담수 교체 후 물 온도를 낮추거나 높이는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100)은 상기 유출관(200) 통해 여과된 물이 상기 수조(110)의 일측 즉, 상기 케이스(131)가 형성되는 반대편에서 공급되므로 상기 수조(110) 내 물은 항상 상기 케이스(131)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유입공(135)을 통해 상기 수조(110)의 오염수와 오염수의 표면에 떠있는 거품이 상기 케이스(131)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 발명은 상기 수조(110)의 내부 일측면에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13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수조(110)의 외부 일측면에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131)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조(110)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면에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131)가 설치될 수 있다.
100. 수족관 110. 수조
111. 수조분리판 120. 프레임
131. 케이스 132. 경사판
133. 거품배출구 134. 공기공급관
135. 상부유입공
140. 하부흡입공 141. 흡입관
150. 기포발생기
160. 집진관 161. 개폐밸브
170. 차단관 171. 출입공
180. 여과조 190. 유입관
200. 유출관 210. 칸막이
220. 배수커버 221. 배수돌기
230. 가이드 231. 삽입홈
232. 물막이

Claims (7)

  1.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밀폐하도록 일측으로부터 타측까지 경사지게 설치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거품을 배출하는 거품배출구와,
    상기 경사판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경사판의 하방에 상기 수조의 내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수조로부터 물과 거품이 유입되는 장형의 상부유입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족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바닥에 관통되어 설치된 하부흡입공과,
    일단이 상기 하부흡입공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설치된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면서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3. 제2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입관을 통해 물과 함께 흘러가는 이물질이 낙하되어 모이는 집진관과,
    상기 집진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4. 제2항에 있어서,
    물을 공급받아 여과하는 여과조와,
    하단의 일측에 개구된 출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이 상기 케이스의 바닥으로부터 직립하면서 상단이 상기 경사판의 하측을 관통하여 설치된 중공의 차단관과,
    일단이 상기 케이스의 바닥을 관통하여 상기 차단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차단관의 출입공을 통해 들어온 물이 유입되고, 타단이 상기 여과조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유입관과,
    상기 여과조에 의해 여과된 물을 다시 수조로 유입시키는 유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5. 제4항에 있어서,
    분할된 하나의 공간에 기포발생기가 배치되며, 또 다른 공간에 차단관이 배치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설치되는 장방형의 칸막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6. 제2항에 있어서,
    하부에 복수의 배수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조의 하부흡입공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돌기 각각의 사이로 상기 수조의 물이 통과하여 상기 하부흡입공으로 배수되는 배수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흡입공 외측에 설치되고, 삽입홈이 형성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흡입공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키는 물막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KR1020110076102A 2011-07-29 2011-07-29 수족관 KR20130014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02A KR20130014153A (ko) 2011-07-29 2011-07-29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102A KR20130014153A (ko) 2011-07-29 2011-07-29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53A true KR20130014153A (ko) 2013-02-07

Family

ID=4789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102A KR20130014153A (ko) 2011-07-29 2011-07-29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41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6084A (zh) * 2017-06-05 2017-10-27 柳州市聚湖饮品有限责任公司 一种除杂灌装水设备
KR102265487B1 (ko) * 2020-12-24 2021-06-16 신명섭 수조의 슬러지 제거를 위한 여과용 배면섬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96084A (zh) * 2017-06-05 2017-10-27 柳州市聚湖饮品有限责任公司 一种除杂灌装水设备
KR102265487B1 (ko) * 2020-12-24 2021-06-16 신명섭 수조의 슬러지 제거를 위한 여과용 배면섬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2807B (zh) 一种双层恒温循环过滤鱼缸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CN201762140U (zh) 一种工业清洗机油水分离器
KR100957173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1102979B1 (ko) 침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여과장치
KR20130014153A (ko) 수족관
KR20150001964U (ko) 배수 및 순환 장치를 구비한 어항
KR20100047777A (ko) 활어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CN217895337U (zh) 一种溶气气浮排渣设备
CN113893589B (zh) 一种冷却液过滤系统
KR101370423B1 (ko) 수족관
TWI751914B (zh) 水產類之養殖裝置及方法
KR0119390B1 (ko) 이피에스(eps) 유수분리기
KR100687698B1 (ko) 그리스트랩 및 그리스트랩 청소장치
KR20120111668A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20130081521A (ko) 활어수족관 정수장치
CN109292990B (zh) 一种负压式污水生态处理池
KR10106143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CN208726944U (zh) 一种用于水质过滤的循环冲洗式过滤设备
CN202078772U (zh) 一种阻油及油水分离装置
CN204742229U (zh) 一种双层恒温循环过滤鱼缸
CN215224078U (zh) 一种鱼缸外置鱼便分离过滤装置
KR101318801B1 (ko) 부양식 악취 정화 배출 장치
CN212166597U (zh) 一种基于连通原理的油水自动分离装置
KR102683427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