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6636A - 수족관 - Google Patents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6636A
KR20120116636A KR1020110034192A KR20110034192A KR20120116636A KR 20120116636 A KR20120116636 A KR 20120116636A KR 1020110034192 A KR1020110034192 A KR 1020110034192A KR 20110034192 A KR20110034192 A KR 20110034192A KR 20120116636 A KR20120116636 A KR 2012011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rium
pipe
spac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3747B1 (ko
Inventor
박근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오렌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오렌지
Priority to KR102011003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74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6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Abstract

공간분할을 위한 복수의 격판 분리대가 구비된 저수가능한 통 형태의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분할된 공간 간에 순환시키기 위한 관로부재 및 물속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필터를 포함하여 분할 공간 상호 간의 수위에 따라 물이 순환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격판 분리대는 상기 수조의 내부 공간을 상?하 양편으로 분할하는 수평분리대와, 좌?우 양편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분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분리대는 분할공간의 설정 수위에 따라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잉여유량을 인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수인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관로부재는 상기 수평분리대에 의한 하부 공간상에 구비하되, 상기 수직분리대에 의한 상기 수조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으로 연계되는 흡입배관과, 상기 수직분리대에 의한 상기 수조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으로 연계되는 토출배관 사이에 순환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족관{Aquarium}
본 발명은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조 내부를 복수의 격판 구조물로 분할하고, 분할 공간 간에는 격판의 높이 및 수위에 따라 물이 순환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족관의 활용성을 넓히면서 관상효과를 높임은 물론, 청소 및 유지보수와 같은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음식점, 학교나 병원 등의 공공시설 등에는 내부를 환경친화적으로 장식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물고기를 기르는 어항이나 수족관 등을 설치한다.
이렇게 인위적인 공간에서 길러지는 물고기는 용존산소량이 많고 유해한 유기물이 적으며, 수질을 맑게 하는 박테리아가 서식하는 물속에서 잘 자란다.
그런데 수족관 내부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사료찌꺼기나 물고기들의 배설물 및 물속 미생물들의 잔재 또는 먼지와 같은 기타 오염물질들이 쌓이게 되고,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자연생태계와달리 자연적으로 정화되거나 제거되지 않는다.
오히려 오염물질들이 분해되거나 부식되는 과정에서 독성물질이 유발되어 수족관 내에서 기르는 생물들의 생존을 위협하게 되므로 생물들의 서식에 알맞은 유익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수족관의 물을 여과시키거나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청소 등이 중요하다.
종래 대부분의 수족관은 생물들의 종류에 따른 알맞은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족관 내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여과기), 수족관의 물에 부족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산소공급기 등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필터(여과기)의 경우에는 수족관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족관 바닥 전체에 침전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높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물속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의 정수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정수효과를 반감시키는 것은 물론, 필터 교체를 위해서는 수족관에 담긴 물을 우선 처리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상존한다.
뿐만 아니라, 수족관 내의 산소공급을 위한 산소공급기도 수족관의 바닥면에 배치되므로 산소공급기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수족관 내부 생물들의 배설물 등 오염물질이 침전하지 않고 계속 떠다니게 되어 수족관의 물이 혼탁해지기 쉬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수조 내부를 복수의 격판 구조물로 분할하되, 분할 공간 간의 격판 높이 및 수위에 따라 물이 순환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하여 수족관의 활용 범위와 함께 관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족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수중 생물별 생장환경을 적합하게 맞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중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여과필터 등에 대한 청소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수족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족관은 공간분할을 위한 복수의 격판 분리대가 구비된 저수가능한 통 형태의 수조와, 상기 수조의 물을 분할된 공간 간에 순환시키기 위한 관로부재 및 물속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격판 분리대는 상기 수조의 내부 공간을 상?하 양편으로 분할하는 수평분리대와, 좌?우 양편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분리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분리대는 분할공간의 설정 수위에 따라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잉여유량을 인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수인계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관로부재는 상기 수평분리대에 의한 하부 공간상에 구비되되, 상기 수직분리대에 의한 상기 수조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으로 연계되는 흡입배관과, 상기 수직분리대에의한 상기 수조의 분할공간중 최고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으로 연계되는 토출배관 사이에 순환펌프가 구비된다.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수직분리대로 인한 상기 수조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면 상에 구성된 형태, 또는 상기 수직분리대에 따른 상기 수조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면서, 상기 수평분리대에 의해 분할된 하부 공간상에 별도로 구성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유수인계수단은 상기 수직분리대의 상단 면상에 연통공이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형태, 또는 상기 수직분리대의 상단에 계단식으로 형성된 단차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분리대에 의한 상기 수조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순환펌프와 연계되는 침전물흡입배관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수조의 상단에는 별도의 보조수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수조는 상기 토출배관에서 분기된 보조배관이 연결, 구성된다.
상기 보조수조의 바닥에는 상기 수직분리대에 의한 상기 수조의 분할공간중 최고 수위 공간의 실제 수위 및 설정 수위 간의 차이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는 자동수위조절부재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의하면,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판의 높이 및 수위에 따라 물이 순환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해당 공간별로 서로 다른 종류의 수중 생물을 기를 수 있다. 특히, 수중 생물별로 다른 생장환경을 적합하게 조성할 수 있으므로 관상용 수족관의 기능향상은 물론, 수중 생물 관련 과학 교보재 등 활용범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의하면, 여과필터 자체를 수조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면서, 수평분리대에 의해 분할된 하부 공간상에 별도로 구성되므로 청소 및 유지보수와 같은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등의 기술적 효과를 도모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에 의하면, 수조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 공간의 실제 수위 및 설정 수위 간의 차이에 따라 작동이 개시되는 자동수위조절부재가 구비되어 특별한 작업 없이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에 대한 개괄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에 적용된 자동수위조절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에 대한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수족관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수족관은 도 1 내지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하나의 수조(10) 내에 격판 분리대(11)와 관로부재(20) 및 여과 필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10)는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복수의 격판 분리대(11)가 구비된 저수가능한 통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로부재(20)는 상기 수조(10) 내의 물을 분할된 공간 간에 순환시키기 위한 것으로 흡입배관(21)과 토출배관(22)은 물론 순환펌프(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격판 분리대(11)는 상기 수조(10)의 내부 공간을 상?하 양편으로 분할하는 수평분리대(11a)와, 좌?우 양편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분리대(11b)로 나눠 볼 수 있다.
상기 수직분리대(11b)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수조(10) 내에서 상기 수평분리대(11a)의 상?하면 양쪽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의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격벽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분리대(11b)는 분할공간의 설정 수위에 따라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잉여유량을 인계할 수 있는 유수인계수단(12)이 구비된 형태가 좋다.
이때, 상기 유수인계수단(12)은 도 1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상기 수직분리대(11b)의 상단 면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 즉, 연통공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또는 도 2나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분리대(11b)의 상단에 형성된 계단식 단차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어떤 형태로든지 간에 상기 유수인계수단(12)은 상기 수직분리대(11b)로 분할된 공간의 수위 설정 상태와 연계해서 그 높이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각 공간을 분할하는 해당 수직분리대(11b)마다 상기 유수인계수단(12)의 높이는 각각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수인계수단(12)에는 생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 형태의 인계저지대(12a)를 추가로 더 구비한 형태가 좋다.
이러한 인계저지대(12a)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은 상기 수조(10)의 각 분할 공간마다 서로 다른 어종을 나눠 담을 수 있고, 이들 어종 간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태환경별 수중생물의 발육과정에 대한 실험 등의 교보재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로부재(20) 즉, 상기 흡입배관(21)과 토출배관(22) 및 순환펌프(23)는 상기 수평분리대(11a)로부터 나눠진 상기 수조(10)의 하부 공간상에 설치, 구성하는 것이 좋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배관(21)은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가장 낮은 수위로 설정되는 공간 즉,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으로 연계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배관(22)은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가장 높은 수위로 설정되는 공간 즉, 최고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으로 연계되게 구성한다.
상기 순환펌프(23)는 상기 흡입배관(21)과 토출배관(22) 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관로부재(20)는 상기 수조(10) 내부의 분할 공간마다 설정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분할된 공간의 설정 수위 단계별로 가장 높은 수위 공간에서부터 가장 낮은 수위의 공간으로 해당 수위의 물이 흘러 순환하는 과정 중에 가장 낮은 수위의 설정공간에서 가장 높은 수위의 설정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맡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여과필터(30)는 상기 수조(10)의 물속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부직포와 같은 각종 면직류나 스펀지와 같은 각종 필터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여과필터(30)의 위치 및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예로는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면 상에 형성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여과필터(30)는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 면상 이외에 그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며, 상기 수평분리대(11a)에 의해 분할된 하부 공간상에 별도로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와 같은 여과필터(30)의 배치는 궁극적으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로 설정되는 공간의 수질 상태가 제일 깨끗하게 유지되고 나머지 설정 수위의 단계별로 넘어갈수록 상대적으로 수질을 떨어뜨림으로써, 상기 수조(10)의 각 분할공간별 생태환경을 다소 다르게 조성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순환펌프(23)에는 상기 수직분리대(11b)로 인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 이외의 나머지 공간의 바닥과 연계되어 해당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높은 비중(比重)의 침전물을 수거하기 위한 침전물흡입배관(24)이 더 설치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즉, 상기 순환펌프(23)는 상기 수조(10) 내에서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과 연계되는 흡입배관(21) 외에 나머지 공간의 바닥과 연계되는 침전물흡입배관(24)이 적어도 하나는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침전물흡입배관(24)의 경우, 자체의 비중으로 인해 물의 흐름을 따라 이동되지 않고 바닥으로 가라앉는 각종 오염물에 대해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때 침전물흡입배관(24)의 침전물흡입부(24d)는 수조의 크기에 따라 규격을 맞출 수 있도록 설계하며, 침전물흡입부(24d)의 상면은 침전물만 흡입되고, 생물은 통과할 수 없도록 망사형태의 생물통과방지망(24e)이 설치된다.
상기 침전물흡입배관(24)은 그 흡입구에서부터 상기 순환펌프(23)에 이르는 관로 부위 중 "U"자와 같이 적어도 한번 구부러진 곡관부(24a)를 포함하는 형태가 좋다.
상기 곡관부(24a)는 그 특징적 형상 즉, "U"자 부위를 경유하는 물 중에 포함된 침전물을 자중에 의해 퇴적시켜 걸러주는 역할을 도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침전물흡입배관(24)에는 제1 유량조절밸브(24b)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곡관부(24a)는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운 형태로 적용하여 상기 곡관부(24a) 내에 침전물의 퇴적 정도에 따라 손쉽게 분리 및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곡관부(24a)의 하단에 퇴적물 토출밸브(24c)를 추가로 설치하여 손쉽게 퇴적물을 배출하는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유량조절밸브(24b)는 상기 곡관부(24a)의 분리시 해당 공간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유용한 수단으로도 볼 수 있다.
상기 토출배관(22)의 토출구 끝단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유동방향조절대(22a)가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도 2나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조(10)의 상단에는 별도의 보조수조(10a)가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보조수조(10a)는 상기 토출배관(22)에서 분기된 보조배관(25)이 연결되어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 공간의 설정 상태에 따라 수위를 보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조배관(25)에는 제2 유량조절밸브(25a)가 더 구비하여 용도에 따라 상기 보조수조(10a)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는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수조(10a)의 바닥에는 자동수위조절부재(13)가 구비되고, 상기 자동수위조절부재(13)는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 공간의 실제 수위 및 설정 수위 간의 차이에 따라 작동이 자동으로 개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자동수위조절부재(13)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마찬가지로, 크게 고정배관(13a)과 유동배관(13b) 및 수위조절배관(13c)을 포함하는 형태로 볼 수 있다.
상기 고정배관(13a)은 상기 보조수조(10a)의 바닥을 관통하여 고정하는 연결소켓타입으로서 유동배관지지관(13b-1)과수위조절배관(13c)을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되며, 여기에 상기 유동배관(13b)은 상부부력체(13d)가 부착된 부력조절기(13h)에 연결되어 입수량을 적절히 조정하게되며, 상기 유동배관지지관(13b-1)보다는 내경이 2mm정도 크게 제작되어 상기 수조(10)의 전체수위에 따라 왕복으로 움직이며 수위를 조절 하게 된다.
즉, 상기 유동배관(13b)은 상단 부위에 소정의 상부부력체(13d)가 형성되어 상기 보조수조(10a)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동배관지지관(13b-1)의 외형 면상을 긴밀하게 유동 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부력체(13d)는 상기 유동배관(13b) 외면과의 탈착이 간편하면서 위치조절이 가능한 부력조절기(13h)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력조절기(13h)는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상기 유동배관(13b)의 외면 사이즈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도록, 체결시 서로 맞닿는 몸통 부위의 일단이 단절된 파이프 관(管) 형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배관(13c)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배관(13a)에 끼워 탈부착하게되며, 상기 간격조절배관(13c)의 길이가 수조(10)의 전체수위를 결정짓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조절배관(13c)의 일부를 암수나사 형태로 제작하여 수위조절을 간편하게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간격조절배관(13c)의 하단은 끼워 넣는 방식의 탈 부착이 가능한 하부연결판(13f)에 연결되며, 상기 하부연결판(13f)은 상단수량개폐판(13g)에 고정되며, 상기 상단수량개폐판(13g)은 상기 하부연결판(13f)의 내경사이즈 크기의 파공처리를 하여 상기 보조수조(10a)의 수량이 상기 수조(10)에 통과되도록 한다.
하단수량개폐판(13i)은 상기 상단수량개폐판(13g)과 고정하되 상기 하단수량개폐판(13i)에 부착된 하부부력체(13j)의 반대방향에 개폐판연결핀(13e)을 부착하게된다.
상기 개폐판연결핀(13e)은 상기 하단수량개폐판(13i)과 상기 상단수량개폐판(13g)이 상기 하부부력체(13j)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고정해주는 역할을 하게되며, 프라스틱 경첩 또는 연질고무 또는 링 타입의 소재도 체결부재의 역할이 가능하다.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분리대(11b)로부터 분할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상기 유수인계수단(12)과 연계되는 상기 수직분리대(11b)의 상단 부위에는 소정의 낙수연출부재(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낙수연출부재(14)는 상기 유수인계수단(12)으로부터 인계되는 물을 분산 및 정화할 수 있도록 방울연출판(14a)에 소정의 보조필터(14b)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방울연출판(14a)의 경우에는 판상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빗방울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보조필터(14b)는 조밀한 구멍의 망을 복수로 적층한 형태에서부터 직류 필터를 소정의 형태로 구성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의 상기 수조(10) 내에 먹이조절부재(15)를 형성하는 형태로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먹이조절부재(15)는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 설정 공간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먹이조절부재(15)는 윗쪽으로 개구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으로는 먹이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먹이분산망(15a)이 구비된다.
상기 먹이분산망(15a)은 먹이와 물이 섞이면서 서서히 공급될 수 있는 소정 메쉬의 망에 의해 구현가능하다.
상기 먹이조절부재(15)는 도면상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내진 않았지만, 몸체 외면 부위에 걸어서 수족관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소정의 걸이를 형성하거나, 수족관 내부 측면에 부착, 고정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에 의하면, 상기 격판 분리대(11)에 의해 복수로 구획된 서식구역마다 각기 다른 종류의 관상용 동물 예컨데, 육식성과 초식성 어종을 나누어 기르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한 서식구역 내에 자라와 금붕어를 함께 두면, 금붕어가 자라의 먹이가 되는가 하면, 잉어나 금붕어와 함께 열대어를 하나의 공간 내에서 기를 수 없는데,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족관에서는 이러한 어종들에 대해 서로 격리하여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의 실시 형태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범위 안에서 당업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수조 10a: 보조수조
11 : 격판 분리대 11a: 수평분리대
11b: 수직분리대 12 : 유수인계수단
12a: 인계저지대 13 : 자동수위조절부재
13a: 고정배관 13b: 유동배관
13c: 수위조절배관 13d: 상부부력체
13d-1:유동배관지지관 13e: 개폐판연결핀
13f: 하부연결판 13g: 상단수량개폐판
13h: 부력조절기 13i: 하단수량개폐판
13j: 하부부력체 14 : 낙수연출부재
14a: 방울연출판 14b: 보조필터
15 : 먹이조절부재 15a: 먹이분산망
20 : 관로부재 21 : 흡입관
22 : 토출관 22a: 유동방향조절대
23 : 순환펌프 24 : 침전물흡입배관
24a: 곡관부 24b: 제1 유량조절밸브
24c: 토출밸브 24d: 침전물흡입부
24e: 생물통과방지망 25: 보조배관
25a: 제2 유량조절밸브 30 : 여과필터

Claims (18)

  1. 공간분할을 위한 복수의 격판 분리대(11)가 구비된 저수가능한 통 형태의 수조(10)와, 상기 수조(10)의 물을 분할된 공간 간에 순환시키기 위한 관로부재(20) 및 물속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필터(30)를 포함하는 수족관에 있어서,
    상기 격판 분리대(11)는 상기 수조(10)의 내부 공간을 상?하 양편으로 분할하는 수평분리대(11a)와, 좌?우 양편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분리대(11b)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분리대(11b)는 분할공간의 설정 수위에 따라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잉여유량을 인계할 수 있도록 하는 유수인계수단(12)이 구비되며,
    상기 관로부재(20)는 상기 수평분리대(11a)에 의한 하부 공간상에 구비되되,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으로 연계되는 흡입배관(21)과,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으로 연계되는 토출배관(22) 사이에 순환펌프(2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30)는 상기 수직분리대(11b)로 인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면 상에 구성된 형태, 또는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따른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의 바닥면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면서, 상기 수평분리대(11a)에 의해 분할된 하부 공간상에 별도로 구성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인계수단(12)은 상기 수직분리대(11b)의 상단 면상에 연통공이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형태, 또는 상기 수직분리대(11b)의 상단에 계단식으로 형성된 단차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인계수단(12)은 생물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 형태의 인계저지대(12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저 수위 설정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의 바닥에는 상기 순환펌프(23)와 연계되는 침전물흡입배관(24)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흡입배관(24)은 흡입구에서부터 상기 순환펌프(23)에 이르는 관로 부위 중 적어도 한번은 구부러진 곡관부(24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흡입배관(24)에는 제1 유량조절밸브(24b)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곡관부(24a)는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로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곡관부(24a)의 하단 퇴적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토출밸브(24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배관(22)의 토출구 끝단에는 회동가능하게 결합, 설치되는 유동방향조절대(22a)가 더 구비되는 것과 수중저면에서 토출하여 수조상단의 상기 유수인계수단(12) 으로 전체 수량을 이동시켜 수량의 정체현상을 없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의 상단에는 별도의 보조수조(10a)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수조(10a)는 상기 토출배관(22)에서 분기된 보조배관(25)이 연결되어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 공간의 설정에 따른 수위 보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관(25)에는 제2 유량조절밸브(25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조(10a)의 바닥에는 상기 수직분리대(11b)에 의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 공간의 실제 수위 및 설정 수위 간의 차이에 따라 작동이 자동으로 개시되는 자동수위조절부재(1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수위조절부재(13)는,
    상기 보조수조(10a)의 바닥에 관통되게 고정, 설치되는 고정배관(13a)과 상기 보조수조(10a)의 바닥 위로 돌출된 상기 고정배관(13a)에 결합되며, 상단 부위의 상부부력체(13d)로부터 상기 보조수조(10a)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동배관지지관(13b-1)의 외면상을 긴밀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유동배관(13b)과 토출구 쪽에 조절가능한 암수나사타입으로 제작된 수위조절배관(13c)이 하부연결판(13f)에 부착된 상단수량개폐판(13g)과 하단수량개폐판(13i)이 하부부력체(13j)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력체(13j)는 부력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수량개폐판(13g)과 하단수량개폐판(13i)의 끝단에는 유동범위를 제한하는 동시에 작동 중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의 상기 개폐판연결핀(13e)의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력체(13d)는 상기 유동배관(13b) 외면과의 탈착이 간편하면서 위치조절이 가능한 부력조절기(13h)을 통해 결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기(13h)는 상기 유동배관(13b)의 외면에 맞닿는 부위 일단이 단절된 파이프 관(管)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분리대(11b)로부터 분할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상기 유수인계수단(12)과 연계되는 상기 수직분리대(11b)의 상단 부위에는 낙수연출부재(1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연출부재(14)는 판상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방울연출판(14a)과,
    상기 방울연출판(14a) 아래 일체로 구비되는 보조필터(14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의 분할공간 중 최고 수위 설정 공간에는 윗쪽으로 개구된 통형상으로, 바닥면으로는 먹이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먹이분산망(15a)이 형성된 먹이조절부재(1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KR1020110034192A 2011-04-13 2011-04-13 수족관 KR10132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92A KR101323747B1 (ko) 2011-04-13 2011-04-13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192A KR101323747B1 (ko) 2011-04-13 2011-04-13 수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6636A true KR20120116636A (ko) 2012-10-23
KR101323747B1 KR101323747B1 (ko) 2013-11-11

Family

ID=4728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192A KR101323747B1 (ko) 2011-04-13 2011-04-13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7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885B1 (ko) * 2013-05-22 2013-11-15 서일권 어항 장치 및 어항 장치를 이용하여 도시어업을 제공하는 어류 성장 복합 시스템
KR20180023203A (ko)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 태우축산 축사용 자동 수위 조절기구
KR20210076784A (ko) * 2019-12-16 2021-06-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탁도조절용 수족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796B1 (ko) * 2021-01-11 2022-09-02 변성문 수족관 정화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246A (ja) * 2005-05-31 2006-12-14 Inax Corp 生ごみの貯溜搬送装置
KR100761415B1 (ko) * 2006-12-16 2007-10-04 이윤자 미생물 서식용 활어수족관
KR101068556B1 (ko) * 2008-12-26 2011-09-28 박근하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885B1 (ko) * 2013-05-22 2013-11-15 서일권 어항 장치 및 어항 장치를 이용하여 도시어업을 제공하는 어류 성장 복합 시스템
KR20180023203A (ko) * 2016-08-25 2018-03-07 주식회사 태우축산 축사용 자동 수위 조절기구
KR20210076784A (ko) * 2019-12-16 2021-06-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유리를 이용한 탁도조절용 수족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747B1 (ko) 2013-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0296B2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US7604734B2 (en) Water filtration system
US9167803B2 (en) Device for farming benthic organisms such as bivalves
KR101782736B1 (ko) 집약적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
US20140318466A1 (en) Aquarium having filtering function
KR101483606B1 (ko)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101178392B1 (ko) 갯지렁이의 인공종묘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23881A (ko) 아쿠아포닉스시스템
KR101682589B1 (ko) 고형물 수집 겸용 쌍방향 회류식 생물여과조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1323747B1 (ko) 수족관
KR101934267B1 (ko) 바이오플락시스템 유기고형물 제거장치
KR20150001800U (ko) 어항용 부유 이물질 정수기
LV15617A (lv) Biofiltra modulis zivju audzēšanas baseinā ar noslēgu ūdensapgādes sistēmu
US10264767B2 (en) Multi-level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KR200487989Y1 (ko) 침전물 제거장치가 장착된 수족관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KR101085597B1 (ko)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20090116023A (ko) 수족관의 수질 여과장치
CN210352765U (zh) 一种水产养殖废水处理装置
CN101107923B (zh) 生化过滤的水族装置免维护方法和采用该方法的水族装置
CN206629769U (zh) 一种自沉淀鱼缸
RU11092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молоди рыб
CN206390042U (zh) 景观水族过滤系统
CN204968994U (zh) 一种海水养殖场循环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