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701Y1 -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 Google Patents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701Y1
KR200257701Y1 KR2020010027741U KR20010027741U KR200257701Y1 KR 200257701 Y1 KR200257701 Y1 KR 200257701Y1 KR 2020010027741 U KR2020010027741 U KR 2020010027741U KR 20010027741 U KR20010027741 U KR 20010027741U KR 200257701 Y1 KR200257701 Y1 KR 200257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eration
pipe
water
aqua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7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도
강경린
고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바이오
Priority to KR20200100277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701Y1/ko
Priority to JP2002262956A priority patent/JP2003159587A/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의 흐름 속에서 자체적으로 수조내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고, 수조내 폭기를 통해 생물학적 분해과정과 물리적 여과에 의해 오염물질 제거와 물의 용존산소율을 높여 물고기에게 쾌적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갖춘 수족관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물이 담아지는 일정크기의 통체로, 바닥에는 모래 또는 자갈 또는 미세기공의 접촉여재의 혼합물이 깔린 수조와, 상기 수조 내의 오염물질을 폭기처리하여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폭기수단, 수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폭기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기포에서 오염물질을 침전처리하는 침전조와, 침전조의 상등수를 폭기처리하여 오염물질은 침전조로 배출하고 최종적으로 처리수를 수조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폭기조를 포함하는 폭기부, 상기 폭기조 내에 설치되어 오수를 폭기처리하기 위한 폭기수단을 포함하는 오염물질 제거장치를 갖춘 수족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Aquarium with Treatment Equipment of Wastewater}
본 고안은 수족관용 오염물질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질의 오염물질을 생물학적 분해 및 여과제거하고 수질의 용존산소량을 적정수준으로 유지하므로써 수족관 내부의 물을 갈아주지 않고서도 수족관을 관리할 수 있도록 된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생활이 풍요로워 지면서 각종 기관의 대합실 및 가정의 실내에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취미생활로 수족관 또는 어항 등을 설치하여 여러 종류의 물고기를 기르고 있다. 이렇게 인위적인 공간에서 길러지는 물고기는 용존산소량이 많고 유해한 유기물이 적으며, 수질을 맑게 하는 박테리아가 서식하는 물속에서 잘 자라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질에 유익한 박테리아는 호기성으로 물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량이 일정한 수족관이나 어항과 같은 수조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인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분해한다. 이런 박테리아에 의해서 용존산소율이 높고, 부유물질이 적은 수조물의 내부는 물고기들이 생존할 수 있는 유익한 생태환경이 조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족관의 물에는 사료찌꺼기와 물고기들이 배설하는 배설물 및 물속 미생물들의 잔재 또는 먼지와 같은 기타 오염물질들이 상존하게 되며, 자연상태에서와는 달리 수족관 내의 오염물질은 자연적으로 제거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오염물질들은 분해되어 암모니아에서 아질산염 그리고 질산염으로 변하면서 독성물질이 되어 어류들의 생존환경에 위협적인 요소가 되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물고기를 수조에서 잘 키우고 물고기의 양호한 생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관리인이 주기적으로 수조물을 여과시키고 그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안출된 수족관용 오염물질 제거장치들은 수족관에서 사용한 물을 일차 품어올려 필터에 의해 오염물질들을 제거한 다음 다시 유입시켜 순환시키는 물리적구조를 갖는 것으로, 수족관 관리에 있어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수족관 내부에 부유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포를 설치하고, 수조 내의 물을 여과포쪽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수족관 내 오염물질을 걸러내고 물은 다시 수조내로 유입되도록 된 장치도 개발되었으나, 이또한 여과포를 포함하는 본체부가 수조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의 부유물들이 걸러지는 여과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수조물을 완전히 비우거나 수중에서 본체부를 분해 및 조립하여 여과포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물속에서 바닥 여과용 포기장치의 본체부를 분해시켜 여과포를 해체할 경우에는 수조물이 혼탁되거나 여과된 오염물질이 다시 수중에 혼입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산소공급을 위한 산기장치가 폭기조의 저면 또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기포의 확산으로 소용돌이가 일어나므로 수조내에 배설물 등의 부유물이 침전하지 않고 계속 떠다니게 되어 수조물이 혼탁해지기 쉬워 수조물을 자주 갈아주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물의 흐름 속에서 자체적으로 수조내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된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조내 폭기를 통해 기포발생에 의한 오염물질의 흡착 및 제거와 물의 용존산소율을 높여 호기성 박테리아의 성장 및 증식을 통하여 생물학적 분해를 촉진시켜 물고기에게 쾌적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을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염물질 정화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수족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폭기관에 설치되는 공기분산기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폭기관의 부분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조 11 : 모래
20 : 침전조 21,31,41,51 : 처리수유입부
22,32,42,52 : 처리수배출부 30,40,50 : 폭기조
60 : 탱크 61 : 거울
62 : 격벽 63 : 월류관
70 : 폭기관 71 : 공기분산기
72 : 산포공 73 : 거품이송관
74 : 에어공급관 75 : 송풍기
76 : 되돌림관 90 : 격막
91 : 유통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족관은, 물고기를 기르기 위한 수조와, 수조내의 오염물질을 폭기처리하기 위한 폭기수단, 폭기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기포를 오염물질과 처리수로 분리하기 위한 폭기부를 포함하여 수조로부터 폭기부로 유입되는 기포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처리수를 수조로 재 유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폭기수단과 폭기부를 통해 수조내 오염물질은 수조 외부에서 연속적으로 정화되며,
폭기과정에서 충분한 용존산소를 흡수한 처리수는 최종적으로 수조내로 재투입되고, 이와같은 순환과정에서 수조 내의 물은 와류를 형성하지 않고 정치상태에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오염물질 정화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수족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평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고안은 물고기를 기르기 위한 수조(10)와, 수조(10)내의 물을 폭기처리하여 오염물질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폭기수단, 수조(10) 일측에 설치되어 폭기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기포를 처리하여 처리수를 수조(10)로 재투입시키기 위한 폭기부, 폭기부 내에 설치되어 폭기부로 투입되는 오수를 폭기처리하여 오염물질과 처리수로 분리하기 위한 폭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10)는 저면에 모래(11), 자갈 또는 미세기공을 갖는 접촉여재의 혼합물(이하 모래로 통칭한다)이 깔리게 되며, 적당한 위치에 수초가 심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폭기부는 오수에서 분리되는 오염물질이 침전처리되는 침전조(20)와, 침전조(20)의 상등수를 폭기처리하여 오염물질은 침전조(20)로 배출하고 최종적으로 처리수를 수조(10)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폭기조(30,40,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침전조(20)는 하부 일측에 배출관(23)이 설치되어 침적된 오염물질을 배출처리하기 위한 에어리프트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상기 폭기부는 수조(10) 내측 후면에 하나의 탱크(60)를 이루며 설치되는 데, 탱크(60)의 외측면은 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거울(61)을 부착설치하여 수조(10)의 외관미를 해치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60) 내부에는 격벽(62)이 수직설치되어 각 조를 구분시키게 되며, 각 격벽(62)에는 월류관(63)이 설치되어 중력흐름에 의해 오수를 다음 조로 이동시키게 되고, 침전조(20)를 시점으로 오수의 흐름을 따라 제1폭기조(30), 제2폭기조(40), 제3폭기조(50)가 차례로 설치된다.
물론, 폭기조의 설치개수에 관하여는 수조(10)의 크기나 기르는 물고기의 개수 등에 따라 본 실시예보다 적거나 더욱 많은 폭기조가 설치될 수 있으며, 폭기조가 많으면 많을수록 오수의 정화율이 높아지고 처리수의 용존산소율이 높아지겠지만 경제성 등으로 바람직하게는 1~4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3기로써 충분한 정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10)에 설치된 폭기수단을 살펴보면, 상기 폭기수단은 수조(10) 내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단은 수조(10)내 바닥에 깔린 모래(11) 밑으로 삽입되어 수조(10)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이루는 폭기관(70)과, 폭기관(70) 저면에 설치되어 폭기관(70) 내부로 공기를 분산시켜 거품을 발생시켜 기포의 계면에 수조(10) 내부의 고형물을 침전조(20)로 이송하기 위한 공기분산기(71), 폭기관(70) 상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폭기된 피처리액을 수조(10) 내로 산포환원시키기 위한 산포공(72), 폭기관(70) 상단에 연결설치되고 침전조(20) 상부로 연장되어 수조(10)에서 발생된 거품을 침전조(20)로 투입시키기 위한 거품이송관(73)을 포함한다.
그리고 수조(10)의 크기에 따라 폭기관(70)의 개수를 늘려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폭기관(70)이 수조(10)내에 설치되어 있음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폭기관(70)은 수조(10)의 미관을 위해 투명한 재질의 관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폭기관(70) 주위로 수초(12)를 배치한다.
또한, 폭기관 하단에는 기포의 상승모습을 아름답게 관찰할 수 있도록 폭기관 아래에 조명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조와 폭기관 내에 산포공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수조내 용존산소율이 부족할 때 열어두어 폭기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기관(70)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어 산포공)72)을 막을 수 있도록 된 환형의 링부재(85)를 설치하고, 환형의 링부재(85)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표면에 랙이 형성된 랙바(86)를 설치하며, 폭기관(70)의 외측에는 구동모터(87)를 설치하고 구동모터(87)의 회전축에는 상기 랙바(86)의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88)를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87)를 정역회전시키게 되면 피니언(88)이 회전하면서 랙바(86)을 직선운동시키게 되어 랙바(86)가 설치된 링부재(85)가 상하로 이동하게되고, 이에 따라 링부재(85)에 의해 폭기관(70)에 형성된 산포공(72)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분산기(71)는 에어를 기포로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폭기관(70) 상부를 통해 폭기관(70) 하부로 투입되는 에어공급관(74)과 연결설치되고, 에어공급관(74)은 에어를 발생시키기 위한 송풍기(75)와 연결된다.
상기 에어공급관(74)은 폭기관(70)과 마찬가지로 수조(10)의 미관을 위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폭기조에 설치되는 폭기수단을 살펴보면 수조(10)에 설치되는 폭기부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폭기관(70) 상부에는 해당 폭기조 직전의 폭기조나 수조(10) 상부로 연장되는 되돌림관(76)이 설치되어 폭기된 거품을 직전 조로 송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1폭기조(30)에 설치된 폭기관(70)의 되돌림관(76)은 침전조(20) 상부로 연장되고, 제2폭기조(40)에 설치된 폭기관(70)의 되돌림관(76)은 제1폭기조(30) 상부로 연장되며, 제3폭기조(50)에 설치된 폭기관(70)의 되돌림관(76)은 제2폭기조(40)의 상부로 연장된다.
또한, 각 폭기관(70)은 상단에 별도의 가스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을 연결설치하여 오수 폭기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각 폭기부에 설치되는 공기분산기(71)는 폭기관(70)을 통해 수직하향설치되는 에어공급관(74) 끝에 연결설치되어 공기를 분산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에어공급관(74)이 끼워지도록 된 포러스플럭(80)으로 이루어져, 에어공급관(74) 하단에 형성된 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포러스플럭(80)의 미세기공을 통해 폭기관(70) 내로 분산되면서 오수를 폭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포러스플럭(80)은 상단과 하단에 밀착되는 플레이트(81,82)와 에어공급관(74)에 형성된 수나사에 체결되어 상단 플레이트(81)를 가압하는 너트(83)에 의해 조여져 에어공급관(74)에 연결된다.
따라서 에어공급관(74) 하단의 배출구멍(84)를 통해 나오는 공기는 포러스플럭(80)의 미세기공을 통해 폭기관 내에서 분산되어 오수를 폭기처리하게 된다.
송풍기(75)는 수조(10) 상부에 위치하며, 송풍기(75)에 연결된 에어파이프(77)가 각 폭기관(70)쪽으로 연장되며, 공기분산기(71)와 연결된 각 에어공급관(74)은 폭기관(70) 상부를 통해 에어파이프(77)와 연결된다.
따라서 수조(10)의 상부는 폭기관(70) 상단에 연결되는 거품이송관(73)과, 되돌림관(76), 에어파이프(77)와 에어공급관(74)이 어지럽게 배치되어 있게 되나, 이는 수조(10) 상부를 덮는 커버(13)에 의해 간단히 가려지게 된다.
한편, 탱크(60) 내부에 설치되는 침전조(20)와 각 폭기조는 내부에 격막(90)이 설치되어 처리수 유입부(21,31,41,51)와 처리수 배출부(22,32,42,52)로 이분되며, 격막(90) 하단은 처리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각 조의 바닥면과 일정간격의 이격되어 유통로(91)를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폭기관(70)을 통해 침전조(20)로 투입된 수조(10)의 오수는 격막(90) 하단의 유통로(91)를 통해 처리수 유입부로 유입되고 월류관(63)을 거쳐제1폭기조(30)로 넘어가게 되며, 제2폭기조(40)에서도 마찬가지로 처리수를 제1폭기조(30)로 보내게 되며, 제3폭기조(50)를 거친 최종 처리수는 역시 월류관(63)을 통해 수조(10)로 재투입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은 자체적으로 수조(10)내 오염물질을 처리할 수 있도록 된 오염물 정화장치를 갖추어 수조(10) 내 오폐수를 폭기조로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수조(10)와 폭기조(30,40,50)에 설치된 폭기관(70)에서 폭기하여 생성된 유기물을 포함하는 거품을 해당 조의 바로 직전 조로 되돌려 순환처리함으로써, 물을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오염물질만을 제거하여, 물의 교체 없이 수조(10)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수조(10) 내에서 물고기 배설물 등의 오염물질은 수조(10) 바닥의 모래(11)로 천천히 가라앉게 된다.
그리고, 수조(10)의 바닥 모래(11)에 침전된 오염물질은 폭기관(70)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공기분산기(71)의 에어레이션에 의해 폭기관(70) 하단과 수조(10)의 바닥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통해 폭기관(70) 내부로 유입되어 폭기된다.
즉, 송풍기(75)를 구동하게 되면, 에어공급관(74)으로 에어가 공급되고, 에어공급관(74)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공기분산기(71)를 통해 공기가 폭기관(70) 저면에서 분산되게 된다.
따라서 공기는 공기분산기(71)의 포러스플럭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분산되어 나옴으로서 폭기관(70) 내부에는 미세한 기포가 발생하여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미세 기포를 따라 모래(11)에 침적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모래(11) 틈새를 통해 폭기관(70) 하단과 수조(10) 바닥면 사이로 유입되어 기포 표면에 달라붙은 채 폭기관(70) 상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같이 폭기에 의해 생성된 거품은 그 표면에 유기질 오물이 부착되며, 이 거품은 폭기관(70)의 상단으로 올라가 폭기관(70) 상단에 설치된 거품이송관(73)을 통해 침전조(20)로 투입된다. 이때 기체와 액체 혼합액의 일부는 폭기관(70) 상부에 형성된 산포공(72)을 통해 빠져나와 수조(10)로 산포환원된다.
한편, 거품은 폭기관(70)의 거품이송관(73)을 통해 침전조(20)의 처리수유입부(21)로 보내져 침전조(20)에서 머물면서 거품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질이 가라앉게 되고, 침전조(20)의 상등수는 격막(90) 하단의 유통로(91)를 통해 처리수배출부(22)로 이동하여 처리수배출부쪽 격벽(62)에 형성된 월류관(63)을 통해 제1폭기조(30)의 처리수유입부로 유입된다.
즉, 침전조(20)로 유입되는 거품은 격막(90)에 의해 막혀 월류관(63)을 통해 바로 제1폭기조(30)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며 반드시 침전과정을 거친 후 그 상등수만이 월류관(63)을 통해 다음 제1폭기조(30)로 넘어갈 수 있는 것이다.
제1폭기조(30)의 처리수유입부(31)에는 수조(10)와 마찬가지로 폭기관(70)이 설치되어 제1폭기조(30)로 유입된 처리수를 폭기처리하게 되는 데, 제1폭기조(30) 내의 오염물질은 폭기관(70) 내에서 폭기되어 폭기관(70) 상부로 올라온 거품을 폭기관(70) 상부에 설치된 되돌림관(76)을 따라 바로 직전의 침전조(20)로 다시 돌려주게 된다. 이때 거품의 일부는 폭기관(70) 상부에 형성된 산포공(72)을 통해 빠져나와 제1폭기조(30)로 산포환원된다.
이렇게 침전조(20)로 되돌아온 오염물질은 다시 침전과정을 거치게 되며 상등수만이 재차 제1폭기조(30)로 넘어가게 되고, 이런 순환과정은 계속 반복된다.
그리고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제1폭기조(30)에 모아지는 물은 제1폭기조(30)의 격막(90) 저면 유통로(91)를 통해 처리수배출부(32)로 유입되어 오염물질이 가라앉은 상등수만이 월류관(63)을 통해 다음 제2폭기조(40)의 처리수유입부(41)로 보내지게 된다.
제2폭기조(40)와 제3폭기조(50) 또한 제1폭기조(30)와 마찬가지 과정을 거쳐 오수를 폭기처리하게 되며 각 조의 폭기관(70) 상부에 설치된 되돌림관(76)을 통해 바로 직전의 폭기조로 폭기처리된 오수를 순환시키게 된다.
또한, 오수 폭기시 발생되는 가스는 폭기관(70)과 상부에서 연결된 가스배출관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따라 제3폭기조(50)를 거친 최종 처리수는 격막(90) 저면을 통해 처리수배출부로 유입되어 탱크(60) 측면에 형성된 월류관(63)을 통해 수조(10)내로 배출된다.
이렇게 수조(10)로 배출되어 나오는 최종 처리수는 다단계의 폭기조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완전히 제거되며, 또한 충분한 용존산소를 얻게 되어 물고기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해 주게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관리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고안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에 의하면, 어떤 구조의 어항 또는 수족관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 고가의 수중펌프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조 외부에서 물을 정화시킨 다음, 다시 정화된 물을 수족관에 투입하는 과정을 자동반복함으로써, 수족관의 물관리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물에 용해된 매우 미세한 오염물질의 호기성 박테리아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와
신속한 오염물질의 제거가 가능하고, 용존산소율을 높여 물고기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물이 담아지는 일정크기의 통체로, 바닥에는 모래 또는 자갈 또는 미세기공의 접촉여재의 혼합물이 깔린 수조와,
    상기 수조 내의 오염물질을 폭기처리하여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폭기수단,
    수조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폭기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기포에서 오염물질을 침전처리하는 침전조와, 침전조의 상등수를 폭기처리하여 오염물질은 침전조로 배출하고 최종적으로 처리수를 수조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폭기조, 상기 폭기조 내에 설치되어 오수를 폭기처리하기 위한 폭기수단을 포함하는 폭기부
    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가 적어도 둘 이상 구비되어 직렬로 연결설치되고, 각 폭기조와 침전조를 구분하는 격벽에는 월류관이 설치되어 처리수를 수조로 순환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부는 수조 내측에 위치하고, 폭기부의 외측면에는 거울이 부착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설치된 폭기수단은 수조 내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단은 수조내 바닥에 깔린 모래 밑으로 삽입되어 수조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이루는 폭기관과, 폭기관 저면에 설치되어 폭기관 내부로 공기를 분산시켜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분산기, 폭기관 상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폭기된 피처리액을 수조 내로 산포환원시키기 위한 산포공, 폭기관 상단에 연결설치되고 침전조 상부로 연장되어 수조에서 발생된 거품을 침전조로 투입시키기 위한 거품이송관, 폭기관 상부를 통해 공기분산기에 연결되는 에어공급관 및 에어공급관에 연결설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관은 투명한 재질의 관으로 이루어지고, 폭기관 주위로 수초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폭기조에 설치되는 폭기수단은 수조 내부에 수직설치되고 하단은 수조내 바닥에 깔린 모래 밑으로 삽입되어 수조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이루는 폭기관과, 폭기관 저면에 설치되어 폭기관 내부로 공기를 분산시켜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분산기, 폭기관 상단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폭기된 피처리액을 수조 내로 산포환원시키기 위한 산포공, 폭기관 상단에 연결설치되고 직전 단계의 조로 연장되어 폭기조에서 발생된 거품을 침전조 또는 직전의 폭기조로 투입시키기 위한 되돌림관, 폭기관 상부를 통해 공기분산기에 연결되는 에어공급관 및, 에어공급관에 연결설치되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와 각 폭기조는 내부에 격막이 설치되어 처리수 유입부와 처리수 배출부로 이분되며, 격막 하단은 처리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각 조의 바닥면과 일정간격의 이격되어 유통로를 이루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KR2020010027741U 2001-09-10 2001-09-10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KR200257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41U KR200257701Y1 (ko) 2001-09-10 2001-09-10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JP2002262956A JP2003159587A (ja) 2001-09-10 2002-09-09 水槽等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741U KR200257701Y1 (ko) 2001-09-10 2001-09-10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701Y1 true KR200257701Y1 (ko) 2001-12-24

Family

ID=1970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741U KR200257701Y1 (ko) 2001-09-10 2001-09-10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159587A (ko)
KR (1) KR20025770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778B1 (ko) 2006-08-27 2008-01-03 손영호 육상 어류 양식장치 및 방법
CN107950463A (zh) * 2017-12-13 2018-04-24 贵州省黑冲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渔业养殖长途运送用鱼箱
CN108094300A (zh) * 2018-01-25 2018-06-0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水产实验养殖的水循环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76744A (zh) * 2016-03-28 2016-07-20 舟山光大检测研究院有限公司 船舶修造综合污水生物处理方法
KR101963727B1 (ko) * 2017-07-26 2019-03-29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생물검정 실험장치
KR102646413B1 (ko) * 2020-10-30 2024-03-12 대한민국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CN113060838A (zh) * 2021-03-26 2021-07-02 福建省水产研究所(福建水产病害防治中心) 一种跑道式海水人工湿地净化系统和方法
CN115316334A (zh) * 2022-08-25 2022-11-11 企牛控股(深圳)有限公司 一种具备氧气检测功能自动换水型水族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778B1 (ko) 2006-08-27 2008-01-03 손영호 육상 어류 양식장치 및 방법
CN107950463A (zh) * 2017-12-13 2018-04-24 贵州省黑冲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渔业养殖长途运送用鱼箱
CN108094300A (zh) * 2018-01-25 2018-06-0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水产实验养殖的水循环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59587A (ja) 2003-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7724B1 (en) Air charged backwashing bioclarifier
US20050133423A1 (en) Autotrofic sulfur denitration chamber and calcium reactor
KR20160077233A (ko) 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70022051A (ko)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
KR101627642B1 (ko) 고도수처리장치
KR200257701Y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를 갖춘 수족관
KR101132978B1 (ko) 여과 장치를 구비한 무급수 무방류 수세식 화장실
JP3676157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JP3469797B2 (ja) 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3621859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KR100458764B1 (ko) 침적형 고정층 미생물막법을 이용한 수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9172469A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KR100724806B1 (ko) 해수순환 여과시스템의 유동상 여과조
JP2004276011A (ja) 浮島型水質浄化処理装置
JPH0710384B2 (ja) 汚水類処理装置
KR100887760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
KR100392893B1 (ko) 하천 수질 정화 장치
JP4594245B2 (ja) 有機性汚濁水中の有機物の分解処理装置
KR101180338B1 (ko) 하수처리장치
JP2675261B2 (ja) 浄化処理装置
KR100399466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KR970003588Y1 (ko)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JP2003260479A (ja) 浄化槽および浄化槽の使用方法
JPH03296494A (ja) 有機性汚水の処理装置
KR200320006Y1 (ko) 양식장 및 양어장의 수질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