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6413B1 -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 Google Patents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6413B1
KR102646413B1 KR1020200142620A KR20200142620A KR102646413B1 KR 102646413 B1 KR102646413 B1 KR 102646413B1 KR 1020200142620 A KR1020200142620 A KR 1020200142620A KR 20200142620 A KR20200142620 A KR 20200142620A KR 102646413 B1 KR102646413 B1 KR 10264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microbial activation
activation tank
aqua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698A (ko
Inventor
이정호
김형수
송준영
황주애
문지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42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6413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6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어류를 사육할 수 있게 형성되며, 사육수에 공기 및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양식수조; 및 상기 양식수조의 입수측 및 출수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될 사육수를 폐순환시킬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어류의 양식 과정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배설물 및 기타 유기 잔류물을 세균을 활성화시켜 분해하고 상기 어류의 먹이로 전환가능한 바이오플락을 상기 사육수에 공급하고 수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형성된, 미생물활성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INTEGRATED RENEWAL WATER FREE BIOFLOC AQUACULTURE SYSTEM}
본 발명은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산 양식은 어류나 연체동물 등 수생생물을 기르는 것으로,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육 과정에서 정기적인 방양, 급이, 해적생물로부터의 보호 등과 같은 활동이 개입된다. 인구의 증가 및 식량 해결을 위한 수산자원의 남획, 환경의 오염이나 서식지의 파괴 등은 더이상 잡는 어업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기르는 어업이 대안으로서 대두된다. 수산 양식은 식량자원의 공급이라는 기본적인 역할 외에도, 자연환경의 보전, 지역사회의 형성과 유지 및 외부적인 경제적인 효과 등도 얻을 수 있으므로, 그 중요성이 갈수록 부각되고 있다.
양식방법은 대상 생물이나 장소 및 환경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양식기술도 그에 따라 다양하다. 유수식 양식은 물을 못에 흘러 들어가게 하는 양식방법으로 사육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물의 사용량이 다른 방법에 비해 월등히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순환여과식 양식은 수조에 물을 순환시켜 계속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물이 적은 곳에서도 양식할 수 있고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반면 사육수의 여과 및 재사용을 위한 수질처리장치 등 소요 설비가 많고 전력 등 운영경비도 많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순환여과식 양식법은 독성을 갖는 암모니아의 증가, 배설물이나 잔류사료, 사체 등 독성 유기물의 증가에 의하여 수질의 안정적인 관리가 어려워 환수량 및 배출수를 배제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 관련 선행문헌
한국 등록특허 제10-1837549호(2018.03.06 등록)
한국 등록특허 제10-1883172호(2018.07.24 등록)
일본 공개특허 제2020-074761호(2020.05.2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플락을 이용하여 양식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 미생물의 활성 및 안정적인 수질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고밀도의 무환수 양식이 가능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미생물활성조를 설치하고 양식수조의 사육수에 포함된 바이오플락의 세균을 활성화시키고 유기고형분을 제거하여 사육수의 수질을 안정적으로 관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다른 일 목적은, 미생물활성조를 다단으로 구성하되 이들 사이에 유기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수질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어류를 사육할 수 있게 형성되며, 사육수에 공기 및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양식수조; 및 상기 양식수조의 입수측 및 출수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될 사육수를 폐순환시킬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어류의 양식 과정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배설물 및 기타 유기 잔류물을 세균을 활성화시켜 분해하고 상기 어류의 먹이로 전환가능한 바이오플락을 상기 사육수에 공급하고 수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형성된, 미생물활성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미생물활성조는, 상기 양식수조의 출수측에 연결되어 미생물을 일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1미생물활성조; 및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연결되어,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를 경유한 사육수를 이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2미생물활성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미생물활성조는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대하여 낮은 수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와 상기 제2미생물활성조의 사이의 연결부에서 상기 사육수가 월류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서 월류되는 사육수에 포함된 유기 고형물을 거를 수 있게 형성된 바이오스폰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상기 바이오스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와 상기 제2미생물활성조는 구획벽에 의하여 나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구획벽에 평행한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바이오스폰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1/2의 높이로 채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상기 미생물활성조의 출수측에 연결되며, 상기 미생물활성조를 거친 사육수를 공급받아 식물을 재배하고 상기 사육수는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시킬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설치되고,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의 사육수의 산도(pH)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 산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양식수조는, 사육수를 저수할 수 있게 형성된 수조본체; 상기 수조본체 내에서 상기 사육수의 수류를 만들 수 있게 설치된 제1펌프;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게 형성된 산소발생기; 상기 제1펌프의 출수부쪽에 연결되며, 상기 산소발생기에서 공급된 산소를 용해시킬 수 있게 형성된 산소용해부; 및 상기 수조본체의 중앙 하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공기방울을 산기시켜 상기 사육수의 선회류의 속도 저하에 따른 고형물의 침강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된, 에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설치되며, 수류를 만들 수 있게 형성된 제2펌프; 상기 산소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산소를 공급하는 제1산소공급부; 및 상기 산소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미생물활성조에 산소를 공급하는 제2산소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에 의하면, 양식수조와 별도로 미생물활성조를 구비하여 사육수가 미생물활성조와 양식수조 사이를 폐순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환수량이 없이도 미생물이 활성화된 바이오플락을 갖는 사육수에 의해 양식 생물에게 독성이 있는 암모니아 및 아질산 등 질소화합물과 고형물을 제거하여 안정적인 수질관리가 가능하며, 양식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결합부위에 밸브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이동중인 사육수의 강약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미생물활성조를 제1미생물활성조 및 제2미생물활성조로 단계화함으로써 미생물 활성과 안정적인 수질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제2미생물활성조의 수위를 제1미생물활성조의 수위보다 낮게 하고, 월류되는 사육수에 포함된 유기 고형물을 바이오 스폰지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수질을 더욱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의하면, 미생물활성조의 출수측에 식물재배유닛을 설치하고, 미생물활성조를 거쳐 높은 산소량과 질소원을 갖는 사육수를 공급받아 식물을 생장시키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사육수를 정화하고 독성을 경감시킬수 있으며 식물의 재배를 위한 영양비용을 줄여 고효율적으로 어류와 식물을 동시에 생산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산소용해부(352)가 장착된 제1펌프(233)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생물활성조(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의 다른 일 예로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결합한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100)은 양식 대상인 어류 등이 사육되는 양식수조(200)와, 양식수조(200) 내에 담긴 사육수의 수질을 안정화시키는 미생물활성조(300)를 포함한다. 사육수는 양식수조(200)와 미생물활성조(300) 사이를 폐루프 형태로 순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양식수조(200)의 입수측(201)과 출수측(202)은 미생물활성조(300)의 출수측(301)과 입수측(302)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양식수조(200)의 사육수에 투입될 바이오플락의 생성 및 이후 유지를 위하여 사육수가 미생물활성조(300)를 거쳐 미생물이 활성화되고 다시 양식수조(20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미생물활성조(300)를 양식수조(200)에 대하여 별도로 구성하여 순환시키는 방식은 초기에 바이오플락을 생성하여 일회 또는 간헐적으로 수작업에 의해 양식수조에 투입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양식수조(200)는 사육수를 저수할 수 있게 형성된 수조본체(210)를 갖는다. 수조본체(210)는 사육수의 순환이 용이하도록 대략 원형의 형태일 수 있다. 수조본체(210)의 바닥쪽에는 공기방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의 에어스톤(220)이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양식수조(200)의 일측에는 사육수가 수조본체(210)의 내에서 강제 수류를 만들 수 있도록 제1펌프(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육수는 수조본체(210)를 따라 원형의 수류를 형성하게 된다.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미생물을 증식하여 고밀도, 무환수의 사육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지만, 미생물 활성과 안정적인 수질관리를 위해서 높은 수준의 용존산소량(9mg/ℓ)의 공급과 혐기성 퇴적이 일어나지 않도록 지속적인 수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관건이다. 유기물의 이러한 혐기성 퇴적은 암모니아, 아질산의 농도를 증가시켜 양식 생물을 사육하기 위한 수질 관리를 어렵게 만든다. 양식생물은 암모니아, 아질산 등의 농축에 의해 호흡곤란, 평형 상실, 경련, 삼투 및 이온조절 실패와 과민반응을 유발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링(230), 산소용해부(25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에어링(230)은 제1펌프(240)에 의해 발생되는 순환형 수류의 중심의 저유속 영역에서 유기 고형물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링타입으로 형성된다. 에어링(230)에 지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양식수조(200)의 일측에는 블로어(231)가 구비될 수 있다. 에어링(230)은 미세 공극이 많은 스폰지 형태로서, 발생된 미세 공기방울은 사육수에 산소를 공급하면서도 발생과 동시에 상승하여 상방의 수류를 만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유기물이나 플락은 바닥으로 퇴적되거나 모여 엉겨붙지 않고 다시 수류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어 산소용해부(352)가 장착된 제1펌프(233)의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주로 타가영양 미생물을 이용하여 잔여사료 및 양식생물의 배설물(단백질 및 유기물)을 분해한다. 이때 미생물 활성 및 대량증식을 위해서는 다량의 용존산소(DO)가 필요하므로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에서는 수질의 안정적 유지를 위해서 높은 농도의 용존산소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산소발생기(251)로부터 공급되는 순도 높은 산소에 추가적으로 산소용해기(352)를 이용하여 용존산소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유기물 및 플락은 퇴적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부상되어야 하기에 수류 발생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유입구(236)를 통해 제1펌프(233)로 흡수된 바이오플락 사육수는 산소용해기(352)를 통과하면서 더 높은 순도로 잘게 부서진 산소방울이 물속에 스며들게 되고, 출수구(237)를 통해 수조로 투입되면서 동시에 수류를 발생시켜 지속적으로 바이오플락 사육수는 회전과 부상을 반복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미생물활성조(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미생물활성조(300)는 양식수조(200)에 대하여 파이프(205, 20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바이오플락 양식수조에서 미생물활성조(300)로 유입되는 바이오플락 사육수는 유기물 및 플락으로 이루어진 고형물(총부유물질)이 증가하게 된다. 많은 양의 고형물은 양식생물의 호흡 및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이므로 고형물의 양을 줄임과 동시에 이를 분해해 줄 미생물의 활성화가 중요하다. 이를 위한 미생물활성조(300)는 양식수조(200)의 입수측 및 출수측에 각각 연결되어 양식수조(200)에 공급될 사육수를 폐순환시킬 수 있게 구비되며, 어류의 양식 과정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배설물 및 기타 유기 잔류물을 세균을 활성화시켜 분해하고 어류의 먹이로 전환가능한 바이오플락을 사육수에 공급하고 수질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의하면, 미생물활성조(300)는 다단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미생물활성조(300)는 양식수조(200)의 출수측에 연결되어 미생물을 일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1미생물활성조(310)와, 제1미생물활성조(310)에 연결되어 사육수를 이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2미생물활성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3단계 이상의 미생물활성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1미생물활성조(310)의 내부에는 사육수에 대한 수류를 만들 수 있도록 제2펌프(30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미생물활성조(310)에는 상대적으로 고형물이 많으므로 강한 포기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에어스톤(330) 및 세라믹 산소스톤(341)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미생물활성조(320)에도 포기를 위하여 에어스톤(330) 및 세라믹 산소스톤(342)이 구비될 수 있다.
제1미생물활성조(310)에서 줄어든 고형물을 더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제1미생물활성조(310)에서 제2미생물활성조(320)로 사육수를 수위 차이를 두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미생물활성조(310)와 제2미생물활성조(320)는 구획벽(350)에 의하여 나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미생물활성조(300)와 제2미생물활성조(300) 사이의 연결부(365)에서 사육수가 월류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연결부(365)에는 제1미생물활성조(310)에서 월류되는 사육수에 포함된 유기 고형물을 거르기 위한 바이오스폰지(360)가 구비될 수 있다. 바이오스폰지(360)를 배치하기 위해 별도로 구획벽(350)에 평행한 박스 형태의 수용부(361)가 형성될 수 있다. 바이오스폰지(360)는 수용부(360) 내에서 1/2의 높이로 채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된 바이오플락 사육수는 제2미생물활성조(320) 수중모터를 통하거나 수위차에 의해서 다시 바이오플락 양식수조(200)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순환시스템이 운영된다.
양식생물을 사육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물속에 수소이온 농도가 높아지게 되어 산도(pH)는 낮아지게 된다. 낮은 pH는 바이오플락에서 매우 중요한 미생물의 활성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pH 7 ~ 8 범위를 유지시켜 줄 필요가 있다. pH 의 상승을 위해서는 주로 중조(중탄산나트륨)를 사용할 수 있는데 중조를 넣을 경우 수질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에 제1미생물활성조(310)에 중조를 넣어 주면 제2미생물활성조(320) 수질의 안정화가 더욱 양호해질 수 있다. 이렇게 산도의 감지 및 조절을 위하여 제1미생물활성조(310)에는 사육수의 산도(pH)를 조절하기 위한 산도조절부(38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의 다른 일 예(100')로서,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결합한 것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본 예에서는 미생물활성조(300)의 출수측(301)에 연결되며, 미생물활성조(300)를 거친 사육수를 공급받아 식물을 재배하고 사육수는 회수관(406)을 통하여 양식수조(200)에 공급시킬 수 있게 형성된, 식물재배유닛(400)이 구비됨으로써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구현한 것을 보인다. 식물재배유닛(400)은 미생물활성조(300)의 출수측(301)과 연결된 유입관으로부터 바이오플락 사육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 재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재배대의 내부에는 산소공급장치(420)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사육수 파이프(205) 및 회수관(406)에는 유입량 및 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재배대에는 통상적인 수경재배 시 재배분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재배분은 충전재로 충전한 후 재배식물이나 식물종묘, 씨앗이 식재된다. 충전재는 일반적으로 수경재배에 사용되는 암면, 코코피트, 펄라이트 등의 인공 토양이나, 스펀지 또는 스티로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공토양의 경우 재배식물의 뿌리를 지지시키기에 용이하고 재배수가 되는 사육수의 공형분을 일부 여과할 수 있다. 재배분은 재배수가 재배식물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도록 투과성이 좋은 망지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에서 사육수를 이용한 수경재배의 경우, 직접적으로 사육수를 재배수로서 공급이 불가능하고 양액농도를 조절한 후 제공되었으나 본 발명의 재배수로서 공급되는 사육수는 미생물활성조(300)를 통해 발효 및 높은 용존산소량, 식물재배에 필요한 영양분이 포함된 사육수로서 일련의 액비화(양액화)과정이 필요가 없다.
또한, 식물재배유닛(400)으로 유입되는 사육수에는 슬러지로 발생한 암모니아와 같은 유기물은 식물재배에 필요한 영양소인 질소를 제공함으로써 식물이 유기물질들을 흡수하는 과정을 통해 사육수로 사용하기 전에 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미생물활성조(300)를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미생물의 활성화, 고형물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며, 유기물을 바이오플락으로 재활용하여 슬러지 및 유기물 제거, BFT 사육수 발효, 식물재배가 가능한 시스템이다. 폐쇄회로의 사육수 순환으로 외부로부터의 질병 위험성 감소, 지하수 유입 최소화를 통한 가온비용 절감, 배출수가 발생하지 않아 환경문제 예방이 가능하다. 어류사육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및 아질산성 질소의 식물재배를 통한 제거로 어류사육시 발생하는 독성 위험성 감소, 어류사육수를 이용하여 발생하기 유기물 공급을 통한 식물 영양비용 절감, 어류와 식물을 동시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0: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200: 양식수조 201: 입수측
202: 출수측 205, 206: 사육수 파이프
210: 수조본체 220: 에어스톤
230: 에어링 231: 블로어
233: 공기연결관 240: 제1펌프
251: 산소발생기 252: 산소용해부
253: 산소연결관 300: 미생물활성조
301: 출수측 302: 입수측
305: 제2펌프 310: 제1미생물활성조
320: 제2미생물활성조 330: 에어스톤
341, 342: 산소스톤 350: 구획벽
360: 바이오스폰지 361: 수용부
365: 연결부 380: 산도조절부
400: 식물재배유닛

Claims (11)

  1. 어류를 사육할 수 있게 형성되며, 사육수에 공기 및 산소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양식수조; 및
    상기 양식수조의 입수측 및 출수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될 사육수를 폐순환시킬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어류의 양식 과정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배설물 및 기타 유기 잔류물을 세균을 활성화시켜 분해하고 상기 어류의 먹이로 전환가능한 바이오플락을 상기 사육수에 공급하고 수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게 형성된, 미생물활성조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활성조는,
    상기 양식수조의 출수측에 연결되어 미생물을 일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1미생물활성조; 및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연결되어,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를 경유한 사육수를 이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게 형성된 제2미생물활성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2미생물활성조는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대하여 낮은 수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와 상기 제2미생물활성조의 사이의 연결부에서 상기 사육수가 월류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서 월류되는 사육수에 포함된 유기 고형물을 거를 수 있게 형성된 바이오스폰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와 상기 제2미생물활성조는 구획벽에 의하여 나뉘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획벽에 평행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바이오스폰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포함되며,
    상기 바이오스폰지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1/2의 높이로 채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미생물활성조의 출수측에 연결되며, 상기 미생물활성조를 거친 사육수를 공급받아 식물을 재배하고 상기 사육수는 상기 양식수조에 공급시킬 수 있게 형성된, 식물재배유닛이 포함된,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설치되고,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의 사육수의 산도(pH)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 산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수조는,
    사육수를 저수할 수 있게 형성된 수조본체;
    상기 수조본체 내에서 상기 사육수의 수류를 만들 수 있게 설치된 제1펌프;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게 형성된 산소발생기;
    상기 제1펌프의 출수부쪽에 연결되며, 상기 산소발생기에서 공급된 산소를 용해시킬 수 있게 형성된 산소용해부; 및
    상기 수조본체의 중앙 하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공기방울을 산기시켜 상기 사육수의 선회류의 속도 저하에 따른 고형물의 침강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된, 에어링을 포함하는,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설치되며, 수류를 만들 수 있게 형성된 제2펌프;
    상기 산소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1미생물활성조에 산소를 공급하는 제1산소공급부; 및
    상기 산소발생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미생물활성조에 산소를 공급하는 제2산소공급부를 포함하는,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KR1020200142620A 2020-10-30 2020-10-30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KR10264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20A KR102646413B1 (ko) 2020-10-30 2020-10-30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20A KR102646413B1 (ko) 2020-10-30 2020-10-30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698A KR20220057698A (ko) 2022-05-09
KR102646413B1 true KR102646413B1 (ko) 2024-03-12

Family

ID=8158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620A KR102646413B1 (ko) 2020-10-30 2020-10-30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64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08B1 (ko) * 2022-12-05 2023-07-31 대한민국 수온과 용존산소 및 유속조절이 가능한 사육수조 정향류 조성장치
KR102632307B1 (ko) 2022-12-13 2024-02-05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남원시농업기술센터장) 바이오플락 양식수조용 수중관찰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587A (ja) * 2001-09-10 2003-06-03 Enbaio:Kk 水槽等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KR102118634B1 (ko) * 2018-12-14 2020-06-04 경기도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이용한 저 pH 조건에서 수산생물 양식 및 식물 재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691A (ko) * 2018-09-11 2020-03-19 한성훈 고밀도 순환 여과식 양식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9587A (ja) * 2001-09-10 2003-06-03 Enbaio:Kk 水槽等の浄化方法および浄化装置
KR102118634B1 (ko) * 2018-12-14 2020-06-04 경기도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이용한 저 pH 조건에서 수산생물 양식 및 식물 재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698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631B1 (ko) 바이오 플락을 이용한 빌딩양식용 복합양식수조
US20220312747A1 (e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using biofloc fermenter and aquaponics
KR101549217B1 (ko) 다변형 바이오플락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시스템
KR20180011533A (ko) 관상생물 양식용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JPH06105633A (ja) 魚の養殖方法
CN108439711A (zh) 一种工厂化海水养殖废水一体化处理净化系统及方法
KR101479840B1 (ko) 사육수 분사 파이프가 형성된 바이오플락 시스템용 양식수조
JP2017148007A (ja) 魚類種苗の育成システム
JP2000245297A (ja) 魚介類飼育装置
KR101330704B1 (ko) 에어리프트를 이용한 순환식 양식 시스템
KR102646413B1 (ko) 무환수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CN105638525B (zh) 一种大泷六线鱼的封闭式循环水养殖方法
KR101754541B1 (ko) 바이오플락용 슬러지 연속분리제거장치
JP6150996B2 (ja) 陸上養殖システム
KR20220026459A (ko) 복수의 연속 여과부를 갖는 순환 여과식 정화장치
JP2002010723A (ja) 魚介類養殖装置
MXPA03011026A (es) Sistema de suministro de oxigeno descentralizado para acuacultura.
KR100722228B1 (ko) 새우종묘용 육상수조식육성시스템 및 새우종묘용 육상수조식육성방법
KR100722226B1 (ko) 육상수조식육성시스템
KR102143415B1 (ko) 고순도 순환여과시스템을 이용한 아쿠아포닉스장치
CN213756281U (zh) 一种分散式循环水高密度工厂化淡水养殖的装置
JP2016208890A (ja) アワビの養殖方法とそのシステム
CN213848275U (zh) 一种淡水的分散式工厂化养殖装置
JP2016086800A (ja) アクアリウム水槽
KR101948995B1 (ko) 바이오플락을 이용한 갯지렁이 종묘생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