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588Y1 -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 Google Patents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588Y1
KR970003588Y1 KR2019970000253U KR19970000253U KR970003588Y1 KR 970003588 Y1 KR970003588 Y1 KR 970003588Y1 KR 2019970000253 U KR2019970000253 U KR 2019970000253U KR 19970000253 U KR19970000253 U KR 19970000253U KR 970003588 Y1 KR970003588 Y1 KR 9700035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naerobic
contact
sewage
contact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환
Original Assignee
임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환 filed Critical 임종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5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5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8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comprising septic tanks combined with a fil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정화조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협기조에 적용되는 혐기성 컵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접촉 폭기조와 유기조에 적용되는 흡착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접촉 폭기조에 적용되는 섬모 접촉재의 단면도.
제5도는 유기조에 적용되는 섬모 흡착 접촉재의 단면도.
본 고안은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식당, 목욕탕, 수세식 변기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생활계 폐수 등 오염된 물을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오수분뇨 합병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식당, 목욕탕, 화장실 등에서 나오는 생활 하수를 그대로 방류시키면 자연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는 바, 자연 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요즘에는 소규모의 정화조에 급속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소규모 정화장치로는 대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하여 정화시키는 정화장치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 정화장치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를 부패조, 예비여과조, 산화조, 소독조의 단계를 거쳐 정화하여 방류시키는 부패 정화방식과; 유입되는 오수를 폭기실, 침전실, 소독실의 단계를 거쳐 방류시키는 장기 폭기방식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화방식에 있어서는 혐기성 박테리어나 호기성 박테리어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정화 처리하는 방식이고, 침전분리 및 폭기장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정화 능력이 떨어지게 되어 부분 정화 처리수를 다시 모아 깨끗한 물로 정화시키는 별도의 종말 처리장을 만들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정화 처리 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있는데, 그의 일례로서 일본국 특허공고 소화60-171740호가 알려져 있다.
이의 기술은 생활 오수가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면, 혐기조 제1실과 제2실에서 혐기성 박테리어에 의해 분해하여 각종 가스(CH4CO3)를 방출하고, 남은 1차 처리수를 접촉 폭기조로 유입시켜 브로워에 연결된 산기관을 통해 나오는 산소기포와 유상 접촉제에 형성되어 있는 호기성 박테리어에 의한 생물막을 통해 1차 처리수를 분해한다.
그리고 상기의 1차 처리수의 분해에 의하여 생긴 2차 처리수는 침전조를 거쳐 분리하고, 이에 분리된 최종액체를 소독조에서 염소로 살균 처리하여 방류토록 하였다.
또한, 분해가 안된 오니나 유상 접촉제에 달라붙어 있는 폐색오니등은 에어리프트 장치에 의해 다시 혐기조로 반송되어 다시 정화시키도록 되어 있는 오수 정화장치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화장치에 있어서는 혐기조 제1실 및 제2실, 그리고 마이크로 정화조 역할을 하는 바이오 캡의 형상에 사각 지역이 있기 때문에 오수의 유동이 급격히 늦어지는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혐기성 박테리어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미생물의 증식이 나빠지기 때문에 부패 및 폐색오니가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정기간 사용후 정화조내를 별도로 청소를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유입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접촉 폭기조의 분해 처리 효율이 낮아져 안정된 수질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수를 정화시키는 과정에서 오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분의 정화능력이 없기 때문에 정화 효율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입구를 통하여 들어오는 오수를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부패되는 부분이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처리하고, 방류수의 유분까지 완전 정화하여 깨끗한 수질을 유지시키면서, 깨끗한 물로 정화방류 시킬 수 있는 오수 정화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간막이에 의하여 혐기 1실과 혐기 2실로 구분되어 상기 혐기 1실에 유입관을 통하여 오수가 유입되며, 상기 혐기 1실과 혐기 2실 각각에 협기성 컵을 갖는 마이크로 정화조가 배치되어 혐기성 박테리어로 오수를 분해 처리하는 혐기조와; 간막이를 개재하여 혐기 2실의 일측으로 마련되어 상측으로 통공을 갖는 간막이에 의하여 구분되고, 그의 내부에는 섬모 접촉제 조립체가 각각 내장되어 상기 접촉제 조립체의 섬모 접촉제 및 섬모 흡착 접촉재에 달라붙어 증식하는 호기성 박테리어에 의하여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 및 유분을 분해하는 접촉 폭기조 및 유기조와; 상기 섬모 접촉재 조립체를 형성하는 하부체에 연결되어 블로워에서 발생되는 공기와 함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오니 및 폐색오니의 반송시 상기 블로워의 공기를 분출할 수 있도록 상기 섬모 접촉재 조립체의 하부로 배치되는 분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산소 및 공기 공급수단과; 상기 접촉 폭기조와 유기조에서 분해가 안된 오니 및 폐색오니를 상기 혐기 1실로 반송시킬 수 있는 에어리프트 파이프와; 상측으로 통공을 갖는 간막이를 개재시켜 유기조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2차 처리 수 중 분해되지 않은 잉여오니 및 폐색오니가 침전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상측으로 배치되어 침전조를 통과한 정화수를 염소로 살균소독하여 배출시키는 소독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수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정화조에 단면도로서, 부호 1은 혐기조를 지칭한다.
상기 혐기조(1)는 간막이(3)에 의하여 혐기 1실(5)과 혐기 2실(7)로 구분되며, 상기 혐기 1실(5)에는 정화처리할 오수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관(9)이 도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혐기 1실(5)과 혐기 2실(7)에는 마이크로 정화조(11)(13)가 배치되고, 이들은 간막이(3)를 넘는 연결관(15)에 의하여 연통되어지며, 상기 연결관(15)의 상측에는 스크린과 같은 2차 여과수단(16)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혐기 1실(5)과 유입관(9) 사이에는 스크린으로 형성되는 1차 여과수단(17)이 배치되어 오수에 포함된 대변등이 거칠게 분리되도록 하였으며, 마이크로 정화조(11)(13)는 그물망(19)(21)의 내부에 제2도와 같이 중간부에 요입부를 가지며 그의 내면으로 다층의 돌기(24)(26)가 형성된 수많은 혐기성 컵(23)(25)이 배치된다.
상기에서 혐기성 컵(23)(25)의 내면에 다층의 돌기를 형성한 것은 산란을 일으키면서 통과하여 혐기성 박테리어에 분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그물망(19)(21)은 모서리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하였다.
부호 27와 29는 접촉 폭기조와 유기조로서, 간막이(31)를 개재하여 혐기 2실(7)의 일측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측으로 통공(34)을 갖는 간막이(33)에 의하여 구분되고, 그의 내부에는 제3도에서와 같은 섬모 접촉제 조립체(35)(37)가 내장된다.
상기 섬모 접촉제 조립체(35)(37)는 중간부에 종,횡 파이프(39)(41)가 격자상으로 배치되는 상, 하부체(43)(45)를 사각 모서리 부분에 지주(47)로서 고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종,횡 파이프(39)(41)의 사이에 제4도 및 제5도와 같은 섬모 접촉제(49)와 섬모 흡착 접촉제(51)를 배치하되, 접촉 폭기조(27)에 내장되는 조립체(35)에는 제4도와 같은 섬모 접촉제(49)를 배치하였으며, 유기조(29)에 내장되는 조립체(37)에는 제5도와 같은 섬모 흡착 접촉제(51)를 배치하였다.
상기에서 섬모 접촉제(39)와 섬모 흡착 접착제(51)는 원생동물의 섬모류를 본 딴 구조로 기본 접촉줄(53)(55)에 타원형의 섬모류의 접촉재(57)(59)를 부착시킨 구조로서, 섬모 흡착 접촉제(51)는 접촉제(59)를 이중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조립체(35)(37)를 형성하는 하부체(45)는 블로워(61)와 관로(63)로 연결되어 접촉 폭기조(27)와 유기조(29)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관로(63)는 적정부분에 3웨이 밸브(65)를 개재시켜, 별도의 관로(67)를 분기시키되, 이의 관로(67)는 섬모 접촉제 조립체(35)(37)의 하측에 배치되는 분출관(69)(71)과 연결하였다.
상기에서 분출관(69)(71)은 접촉 폭기조(27)와 유기조(29)의 오니 및 폐색오니의 반송시 블로워(61)에서 발생된 공기를 분출하도록 한 것이다.
이는 후술하는 에어 리프트 파이프(77)를 통해 오니 및 폐색오니가 원활하게 흡입 반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 폭기조(27)는 혐기 2실(7)과 간막이(31)를 넘는 연결관(73)에 의하여 연통되며, 이의 연결관(73)의 접촉 폭기조(27)에는 유량 조정조(75)가 배치되어 혐기 2실(7)로부터 유입되는 2차 처리수가 한번에 대량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접촉 폭기조(27)와 유기조(29)에는 분해가 안된 오니 및 폐색오니를 상기 혐기 1실(5)로 반송시킬 수 있는 에어리프트 파이프(77)가 배치된다.
79는 침전조로서, 상측으로 통공(81)을 갖는 간막이(83)를 개재시켜 유기조(29)의 일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81)을 통해 유입되는 2차 처리수를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유도판(85)과, 상기 유도판(85)의 상측으로 소독조(87)가 배치된다.
상기 소독조(87)는 계단 형태로 물이 흐를 수 있는 물막이 판(89) 상측으로 제약통(91)이 배치되어 상기 제약통(91)으로부터 낙하되는 염소로서 살균이 이루어져 배출관(93)을 통해 배출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5와 97은 맨홀과 그의 뚜껑이다.
이와 같은 정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우선 유입관(9)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는 1차 여과수단(17)에 의하여 거칠게 분리가 행하여지면서 이의 1차 분리수가 혐기 1실(5)로 유입된다.
그러면 1차 분리수는 혐기 1실(5)의 혐기성 컵(23)을 통과하면서 혐기성 박테리어에 의하여 분해되어 메탄(CH4)과 탄산가스(CO3) 등을 배출하게 되고, 이에 1차 분해된 1차 처리수는 연결관(15)을 거쳐 혐기 2실(7)로 유입된다.
이때, 1차 처리수는 2차 여과수단(16)에 의하여 2차로 여과되면서 혐기 2실(7)로 유입되어 혐기성 컵(25)을 통과하면서 혐기 1실(5)에서 분해되지 못한 부분이 분해되어 2차 처리수로 변하게 된다.
이의 2차 처리수는 접촉 폭기조(27)로 유입되는데, 이때 유량 조정조(75)에 의하여 일정한 양으로 유입되며, 이의 접촉 폭기조(27)에서는 섬모 접촉제(49)에 달라붙어 증식하는 호기성 박테리어에 의하여 혐기조(1)에서 분해할 수 없는 유기물을 분해하게 된다.
이때, 섬모 접촉제(49)는 블로워(61)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기포에 의하여 유동되면서 오니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분해 처리 능력이 상승되며, 잉여 박테리어 등의 폐색오니가 섬모 접착제(49)에 달라붙지 않아 별도의 역세관 세척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 폭기조(27)에서 분해 처리된 3차 처리수는 간막이(33)의 상측으로 형성된 통공(34)을 통해 유기조(29)로 유입되며, 이의 유기조(29)에서는 섬모 흡착 접촉재(51)에 의하여 3차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기름을 흡착 분해하게 되어 생활 오수를 완전 정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분까지 정화된 4차 처리수는 침전조(79)로 넘어가 잉여오니와 폐색오니등이 침전조 하부로 침전이 이루어지며, 순수한 정화수만이 소독조(87)로 유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다량의 정화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독조(87)의 물막이 판(89)을 계단형으로 형성하였는 바, 정화수는 천천히 흐르게 되며, 이때 제약통(91)의 하측을 통과하는 정화수는 제약통(91)으로부터 공급되는 염소로 살균 처리되어 배출관(93)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접촉 폭기조(27), 유기조(29), 침전조(79)에서 분해되지 못하여 하부로 가라앉은 잉여오니는 에어리프트 파이프(77)를 통해 첫단계로 반송되어 상기의 정화 과정을 다시 거쳐 정화된다.
이러한 반복 정화는 3웨이 밸브(65)를 블로워(61)의 공기가 분출관(69)(71)을 통하여 분출되도록 작동시키면, 그의 하부로부터 공기가 분출됨으로써, 처리수의 유동에 의하여 폐색오니 및 잉여오니를 효과적으로 에어리프트 파이프(77)로 흡입 반송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정화장치에 있어서는 섬모 접착재(49)와 섬모 흡착 접착재(51)가 산소 기포에 의하여 유동되면서 분해가 이루어지게 되는 바, 역세관 세척의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입구를 통하여 들어오는 오수를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부패되는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 처리하고, 방류수의 유분까지 완전 정화하여 안전수질을 유지시키면서, 깨끗한 물로 정화 방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종말 처리장을 시설할 필요가 없게 되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오수가 유입되는 혐기 1실과 이 혐기 1실과 구분된 혐기 2실을 갖는 장화조가 배치되어 혐기성 박테리어로 오수를 분해하는 혐기조와; 이 혐기조에서 미정화된 오수를 호기성 박테리어를 유기물을 분해하는 접촉 폭기조와; 이 접촉 폭기조에서 미정화된 오수의 기름류를 분해하는 유기조와; 이 유기조에서 분해되지 않은 잉여오니 및 폐색오니를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이 침전조의 정화수를 살균하는 소독조를 포함하는 통상의 오수분뇨 합병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한 혐기 1실 및 2실에 각각 혐기성 컵을 배치하고, 상기한 접촉 폭기조에 섬모 접촉재를 내장함과 아울러 상기한 유기조에 섬모 흡착 접촉재를 내장하여 이들 섬모 접촉재와 섬모 흡착 접촉재를 격자상으로 제작된 파이프에 설치하며, 상기한 섬모 접촉재가 오니와 활발한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블로워에 공기 분출관을 연결하여 접촉 폭기조로 연통시키며, 상기한 혐기 1실 및 2실의 혐기성 컵은 중간부에 요입부가 형성되며 그의 내면으로는 다층의 돌기가 형성되고 혐기 1실의 유입구 측에는 1차 여과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2. 제1항에 있어서, 섬모 접촉재와 섬모 흡착 접촉재는, 원생동물의 섬모류 형상으로, 기본 접촉줄에 타원형으로 섬모류 접촉재를 부착시킨 것이며, 섬모 흡착 접촉재는 접촉재를 이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KR2019970000253U 1994-01-24 1997-01-10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KR9700035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1218A KR950023604A (ko) 1994-01-24 1994-01-24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4001218U Division KR0108636Y1 (en) 1994-01-22 1994-01-22 Input voltage detection and protection device of inverter we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588Y1 true KR970003588Y1 (ko) 1997-04-18

Family

ID=193761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218A KR950023604A (ko) 1994-01-24 1994-01-24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KR2019970000253U KR970003588Y1 (ko) 1994-01-24 1997-01-10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218A KR950023604A (ko) 1994-01-24 1994-01-24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500236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939B1 (ko) * 1999-07-03 2001-09-24 배동엽 맥반석 및 활성탄 함유 입방형 부유 접촉여재를 이용한 연속배 치반응식 에너지 절약형 오수 정화조
KR200250140Y1 (ko) * 2001-06-13 2001-11-16 주식회사 아이이아이 오폐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604A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547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KR101638970B1 (ko)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132978B1 (ko) 여과 장치를 구비한 무급수 무방류 수세식 화장실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KR970003588Y1 (ko)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KR200336701Y1 (ko) 직접 폭기식 오염하천 정화장치
JPH11197685A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JP4019209B2 (ja) 水の浄化システム
KR100469317B1 (ko) 오존을 이용한 오폐수 고도 처리시스템
JP4391006B2 (ja) 流体移送装置を備えた排水処理装置、排水処理方法
JPH09108672A (ja) 並行2段膜分離型浄化槽
KR100305361B1 (ko) 생활오수처리장치
KR930000539B1 (ko) 합병 처리 분뇨 정화조
KR950013317B1 (ko)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JP4346985B2 (ja) 中水装置、排水処理装置
KR100392893B1 (ko) 하천 수질 정화 장치
JP2003181483A (ja) 浄化槽の処理方法及びその浄化槽
JP2002357200A (ja) エアリフトポンプ、それを備える流量調整槽及び汚水浄化槽、並びにエアリフトポンプの運転方法
JP2003200182A (ja) 浄化処理装置および浄化処理方法
KR200287732Y1 (ko) 정화조
JPH0780484A (ja) 浄化槽
JP2002119984A (ja) 汚水浄化槽及び汚水浄化方法
JP2001137874A (ja) 好気濾床槽及び汚水浄化槽並びに好気濾床槽の濾過層の洗浄方法
JPH03232587A (ja) 小型処理浄化槽
JPH0671279A (ja) 膜分離装置を備えた浄化槽及び膜分離装置の逆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