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317B1 -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317B1
KR950013317B1 KR1019930006229A KR930006229A KR950013317B1 KR 950013317 B1 KR950013317 B1 KR 950013317B1 KR 1019930006229 A KR1019930006229 A KR 1019930006229A KR 930006229 A KR930006229 A KR 930006229A KR 950013317 B1 KR950013317 B1 KR 95001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iltration
aeration
contact oxidation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준
Original Assignee
조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준 filed Critical 조현준
Priority to KR1019930006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317B1/ko

Links

Landscapes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일례를 보인 장치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여과조에 여과석 대신 걸름망을 설치한 상태도.
제 3 도는 걸름망의 착탈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
제 4 도는 폭기여과식 침전조의 내통과 연접된 유통관이 편심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폭기구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단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해 오수가 정화 처리되는 공정을 예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접촉산화조 8 : 폭기여과식 침전조
9 : 소포조 10 : 에어레이터
12 : 접촉제 14, 16 : 걸름망
17 : 외통 18 : 내통
19 : 침전실 20 : 여과재
21, 24 : 펌프 23 : 오니농축조
25 : 살수구 26, 27, 28 : 폭기구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 방류되는 분뇨등의 생활하수 또는 각종 산업폐수로 인한 오수(汚水)를 정화하여 정수 처리함에 있어서 여과조와 소포조 사이에 접촉 산화조 및 폭기 여과식 침전조를 설치하여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질의 미생물 세포화를 촉진케 하므로서 오수의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방류되는 분뇨등의 각종 생활하수나 산업폐수 등의 오수에는 각종 협잡물이 섞여서 배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수속에 산소를 싫어하고 공기를 쐬면 죽는 혐기성 생물(세균)이 많을 경우에는 이를 죽은물이라 하고 반대로 산소가 있어야 왕성하게 번식하는 호기성 생물이 많을 경우에는 이를 활수(活水), 즉 살아있는 물이라 하는데 오수처리에는 호기성 생물이 많아야만 오수의 정수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오수를 정화 처리함에 있어서 종래의 오수 처리 장치는 오수가 망판이 설치된 스크린조, 오수를 부패시키는 집수조, 여과석이 설치된 여과조, 에어레이터가 설치된 산화조, 침전조, 소독방류조를 차례로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오수가 상기의 종래 처리장치를 통과하는 동안 스크린조는 망판에 의해 오수속에 섞여있는 큰 협잡물을 걸러주며, 집수조는 오수의 부패 및 혐기성 반응과 시간에 따른 수량 및 수질의 균등화를 이루어주고, 여과조에서는 스크린조에서 걸러지지 않는 작은 협잡물을 여과시켜 주며, 산화조에서는 에어레이터로 여과조에서 여과된 오수에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성장이 원활히 되게 하고, 침전조에서는 부유물과 호기성 미생물군의 자연침강 분리후 소독방류조에서 소독 방류토록 있는바 이러한 종래의 오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첫째 ; 산화조는 여과조에서 여과된 오수가 유입될때마다 단순히 에어레이터에 의한 공기만을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을 양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기물질의 미생물 세포분열 현상이 원활하지 못해 오수의 산화효율이 떨어지고, 둘째 ; 상기와 같이 산화조에서 어렵게 양성된 호기성 미생물군이 오수와 함께 그대로 침전조로 유입되면 일반적인 자연침강 분리방법에 의해 오수속에 섞여있는 호기성 미생물군과 오니가 자연 침전되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호기성 미생물군의 대부분은 자연 침전되는 량보다 소독 방류조로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량이 더 많게 되어 오수의 정화효율이 상당히 낮게되는 폐단이 있으며, 셋째 ; 산화조에서 에어레이터를 작동시키면 산화조의 수면 위에는 상당한 거품이 발생되는데 종래에는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수도의 깨끗한 물을 살포하거나 또는 소독된 방류조의 물을 펌프로 끌어올려 산화조위에서 살포함에 따라 기동유지비가 많이 드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과 결점을 감안하여 여과조와 소독방류조 사이에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 소포조를 설치한 후 호기성 미생물의 세포분열화 촉진에 의한 오수처리 효율의 극대화와 관리의 편리성, 가동유지비 절감등의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한 오수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망판(2)이 설치된 스크린조(1), 집수조(3), 여과석(5)이 설치된 여과조(4), 소독방류조(6)를 오수가 차례로 통과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여과조(4)와 소독방류조(6)사이에 에어레이터(10)가 설치된 접촉산화조(7)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8), 소포조(9)를 차례로 설치하되 접촉산화조(7)에는 접촉제(12)가 들어있는 망통(11)을 설치하고 폭기여과식 침전조(8)의 내통(18)과 편심되게 연결된 유통관(13) 선단에는 착탈식 걸름망(14)을 설치하며, 이때 여과조(4)에도 여과석(5) 대신 걸름망(16)을 유통관(15) 선단에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폭기여과식 침전조(8)는 외통(17)을 상광하협으로 형성하여 바닥에 침전실(19)이 형성되도록 내통(18)을 설치한 후 외통(17)과의 사이에 활성탄등의 여과재(20)를 충진하며, 침전실(19)에는 펌프(21)를 설치하되 그 배출관(22)의 일단(22a)은 접촉산화조(7)로 유입시키고 타단(22b)은 별도의 오니 농축조(23)에 유입시킨다.
또한 소포조(9)에는 펌프(24)를 설치하여 수압의 힘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는 폭기구(26)(27)(28)와 살수구(25)를 연설하되 접촉산화조(7)에는 폭기구(26)와 살수구(25)를 설치하고, 폭기여과식 침전조(8)와 소포조(9) 상부에는 각각 폭기구(27)(28)만을 설치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0)는 각 폭기구의 공기흡입관, (31)는 혼합통, (32)는 오수배출관(33)의 노즐이고, (34)는 확산관이며, (35)는 오니농축조(23)와 접촉산화조(7)에 연결되어 있는 오버 플로우(Over flow)관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상의 것과 같이 스크린조(1)에서 망판(2)에 의해 오수속에 섞여있는 큰 협잡물이 걸러진 후 오수가 집수조(3)로 유입되면 오수의 부패가 되면서 혐기성 미생물이 많이 생성되고 시간에 따른 수량과 수질의 균등화가 이루어진다.
그후 여과석(5)이 설치된 여과조(4)를 거치는 동안 여과석(5)에 의해 각종 협잡물은 여과되고 오수만이 접촉산화조(7)로 유입되는데, 이때 여과조(4)에서는 제 2 도와 같이 여과석(5) 대신 10메쉬(Mesh) 이하의 서스(SUS)로 된 걸름망(16)에 의해서 오수속의 협잡물을 걸러 보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된 후 접촉산화조(7)로 오수가 유입되면 에어레이터(10)에서 공기가 원활히 공급됨에 따라 오수속의 혐기성 미생물은 죽게되고 호기성 미생물은 성장에 필요한 산소공급을 원활히 받게되는데, 이때 호기성 미생물은 망통(11)속에 내장된 접촉제(Biolette : 12)에 효과적으로 달라붙은 상태에서 폐수속의 유기물질을 먹고 보다 왕성하게 세포 분열하게 되므로 호기성 미생물의 생성이 상당히 빨리 촉진되면서 오수의 정화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그후 호기성 미생물이 다량 함유된 오수가 여과조(4)의 걸름망(16)보다 더 간격이 밀집된 걸름망(14)에 의해 부유물이 걸러진 상태에서 침전조(8)의 내통(18)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유통관(13)은 제 4 도와 같이 내통(18)에 편심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내통(18)속의 오수는 회전하면서 유입되는 원심력에 의해 오니와 호기성 미생물군의 침강속도를 증대시킨다.
그후 상기와 같이 침강된 오니와 호기성 미생물군은 내통(18)과 외통(17)사이에 채워져 있는 활성탄등의 여과재(20)에 걸러져서 침전실(19)에 원활히 모이게 됨에 따라 호기성 미생물군이 유실됨이 없이 정화된 물만이 소포조(9)로 유입된 다음 소독방류조(6)에서 소독되어 깨끗한 물로서 방류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오수의 정화처리가 되는 과정중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침전조(8)의 침전실(19)에 호기성 미생물군과 오니의 침전량이 많아질 때마다 펌프(21)를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적으로 가동시켜서 배출관(22)의 일단(22a)을 통해 접촉산화조(7)로 다량의 호기성 미생물군을 유입시키기 때문에 접촉산화조(7)에서의 유기물질 제거력을 높여서 보다 빠른 시간내에 높은 정화효율을 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침전조(8)에서 침전된 오니의 일부는 배출관(22)의 타단(22b)을 통해 오니농축조(23)로 보내어 별도로 수거한 후 폐기처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에어레이터(10)를 가동시켜 접촉산화조(7)에서 정화처리를 하는 과정에서는 오수의 수면위로 많은 거품이 발생되는데, 이때에는 소포조(9)의 펌프(24)를 가동시켜서 살수구(25)를 통해 소포조(9)의 정화된 물(소독전의 물)을 접촉산화조(7)의 오수 수면위에서 살포하여 주므로 접촉산화조(7)의 수면위에 생성된 거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살포되는 물은 소독되기 전의 소포조(9)에 있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소독약의 낭비를 최대한 줄일수가 있다.
또한 접촉산화조(7)의 에어레이터(10)가 오수속의 오니등 불순물로 인해 막혀서 고장이 나거나 자체고장으로 인해 가동을 할 수가 없을 경우에는 소포조(9)의 펌프(24)로 가동되는 폭기구(26)를 통해 소포조(9)의 물이 접촉산화조(7)의 오수속에서 배출될때 외부의 공기가 이젝트(Ejector)원리에 의해 즉, 제 5 도에서와 같이 소포조(9)의 물이 오수배출관(33)의 노즐(32)에서 확산관(34)으로 분사될 때 혼합통(31)의 일측에 연설된 공기흡입관(3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빨려들어간 후 함께 확산관(34)을 통해 오수속으로 유입되므로 접촉산화조(7)에서 호기성 미생물의 원활한 양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소포조(9)의 물을 이용하여 폭기시켜 주는 폭기구(26)외에 별도의 폭기구(27)(28)를 침전조(8)와 소포조(9)에도 각각 설치하였으므로 필요에 따라 침전조(8)와 소포조(9)에서 재차 폭기를 시켜서 침전 전체로 인한 혐기성 부패를 방지하고 물속에 호기성 미생물의 생성을 원활히 하여 물의 정화효과를 보다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각조의 상부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어 걸러지는 협잡물등을 수거할 수가 있는 것이고, 여과조(4)나 접촉산화조(7)에 설치되는 걸름망(16)(14)은 유통관(15)(13)에서 착탈되므로 걸름망(16)(14) 표면에 협잡물이나 오니등 부유물이 많이 달라붙어 있거나 파손되었을 경우 수시로 분리하여 세척 또는 새것으로 교체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등 각종 오수를 정화 처리함에 있어서 여과조와 소독방조류 사이에 접촉산화조(7)와 폭기여과식 침전조(8), 소포조(9)를 설치하여 폭기에 의한 호기성 미생물의 세포분열화 촉진 및 부유물 여과효과를 높여 주므로서 기동유지비가 저렴하면서도 보다 빠른 시간내에 오수의 정화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스크린조(1), 집수조(3), 여과조(4), 소독방류조(6)를 오수가 차례로 통과되며 정수처리 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여과조(4)와 소독방류조(6) 사이에 접촉산화조(7), 폭기여과식 침전조(8), 소포조(9)를 거치도록 하되 여과조(4)에서 여과된 오수가 접촉산화조(7)에서 접촉제(Biolette : 12), 에어레이터(10)와 소포조(9)의 물을 이용한 살수구(25), 폭기구(26)에 의해 거품의 소포 및 예비폭기가 행하여지도록 하며, 그후 폭기여과식 침전조(8)에서 주폭기 됨과 동시에 활성탄에 의한 여과침전이 이루어질 때 침전된 호기성 미생물군을 접촉산화조(7)로 유입시켜서 호기성 미생물의 세포 분열화를 촉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정화 처리방법.
  2. 스크린조(1), 집수조(3), 여과조(4), 소독방류조(6)를 오수가 차례로 통과되도록 설치한 것에 있어서 여과조(4)와 소독방류조(6) 사이에 접촉제(12)와 에어레이터(10)가 설치된 접촉산화조(7), 상광하협의 외통(17)과 내통(18) 사이에 여과재(20)를 충진하고 내부바닥의 침전실(19)에 펌프(21)가 설치된 폭기여과식 침전조(8), 펌프(24)가 설치된 소포조(9)를 차례로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정화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폭기여과식 침전조(8)의 펌프(21)에 연설된 배출관(22)의 일단(22a)은 접촉산화조(7)로 유입시키고 타단(22b)은 오니농축조(23)에 유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정화 처리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소포조(9)의 펌프(24)와 연결된 살수구(25)와 폭기구(26)는 접촉산화조(7)에 설치하고, 폭기구(27)는 폭기여과식 침전조(8)에, 폭기구(28)는 소포조(9)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정화 처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여과조(4)와 접촉산화조(7)의 유통관(15)(13)에 10메쉬(Mesh) 이하의 걸름망(16)(14)을 착탈식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정화 처리장치.
KR1019930006229A 1993-04-14 1993-04-14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KR95001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229A KR950013317B1 (ko) 1993-04-14 1993-04-14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229A KR950013317B1 (ko) 1993-04-14 1993-04-14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317B1 true KR950013317B1 (ko) 1995-11-02

Family

ID=1935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229A KR950013317B1 (ko) 1993-04-14 1993-04-14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3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78B1 (ko) * 2014-02-10 2014-07-25 (주)에스엠엔지니어링 부유물질 감지기와 스컴 감지기를 이용한 스컴 제거장치 및 스컴 제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78B1 (ko) * 2014-02-10 2014-07-25 (주)에스엠엔지니어링 부유물질 감지기와 스컴 감지기를 이용한 스컴 제거장치 및 스컴 제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G109181A (bg)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дълбоко биологично пречистване на отпадни води
CN108609814A (zh) 卫生间粪尿资源化处理设备
CN107555600A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14693687U (zh) 一种鱼粪水处理系统
CN211394202U (zh) Mbr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09522730U (zh) 一种多级化污水处理设备
CN209065651U (zh) 卫生间粪尿资源化处理设备
CN201338976Y (zh) 医疗机构污水处理一体化设备
CN208038266U (zh) 一种一体化医院污水处理装置
CN109502902A (zh) 一种多极化污水处理装置
KR950013317B1 (ko)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CN205528266U (zh) 一种中水回用污水处理设备
CN107721082A (zh) 一种污水净化设备
KR101284213B1 (ko) 자연 발효소멸식 화장실의 분뇨처리장치
CN207330494U (zh) 一种曝气生物滤池
CN205892999U (zh) 一种一体化集成污水处理装置
CN211644977U (zh) 一种应用于工业污水处理用膜生物反应池
CN108929003A (zh) 一种城市废水处理系统及方法
CN209065679U (zh) 一体化生物滤塔处理设备
CN215403655U (zh) 公共厕所污水处理装置
CN219556020U (zh) 养殖设备
KR970003588Y1 (ko) 오수 분뇨 합병 정화조
JP4391006B2 (ja) 流体移送装置を備えた排水処理装置、排水処理方法
CN214612055U (zh) 一种工业废水零排放系统
KR100274168B1 (ko) 합병처리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