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51U - 수족관용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51U
KR20200000051U KR2020180002965U KR20180002965U KR20200000051U KR 20200000051 U KR20200000051 U KR 20200000051U KR 2020180002965 U KR2020180002965 U KR 2020180002965U KR 20180002965 U KR20180002965 U KR 20180002965U KR 20200000051 U KR20200000051 U KR 202000000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quarium
hollow tube
wat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479Y1 (ko
Inventor
배용근
Original Assignee
배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근 filed Critical 배용근
Priority to KR2020180002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79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물질이 흡착된 필터의 현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필터의 분해 및 결합이 간단하여 필터 교체가 용이한 수족관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는, 기포발생기에 연결되어 수족관의 물을 정화하는 여과장치로서, 개방된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로 상기 기포발생기로부터 발생한 기포에 의해 수족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수족관의 물로부터 이물질을 거르도록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와, 상기 유입부와 여과부를 사이를 연결하여 수족관의 물을 이송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중공관, 및 상면에 상기 여과부를 안착하여 상기 중공관에 연결되며, 상기 여과부가 수족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족관의 측면 상단에 결합되는 여과부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족관용 여과장치 {Filtering Device for Aquarium}
본 고안은 수족관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족관의 이물질이 걸러진 필터의 현재상태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필터의 분해 및 결합이 간단하여 필터 교체가 용이한 수족관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상어에 대한 취미 및 관심이 증가하여 관상어를 기르기 위한 수족관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 다양하게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수족관은 관상어에 제공되는 먹이나 배출하는 배설물에 의해 시간이 경과에 따라 오염되며, 또한 관상어의 호흡에 따라 산소가 고갈됨에 따라 관상어가 수족관에서 장시간 생존할 수 있도록 수족관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수족관에 통상적으로 기포발생기라 불리우는 산소공급기를 이용하여 수족관 내부로 산소를 공급함은 물론, 수족관의 물을 정화하기 위한 여과장치가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들 중 수족관의 여과장치는 크게 수족관의 외부에 설치되는 장치와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로 구분될 수 있는데, 외부에 설치되는 여과장치가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749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수족관의 물을 펌프로 강제로 용기에 흡입하여 이물질을 여과한 후 수족관으로 다시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여과장치는 수족관의 물을 강제 순환하는 펌프,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장치 등의 많은 부속 장치가 소요하고, 또한 수족관 공간 외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수족관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장치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317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여과장치는 수족관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금속에어유입관과, 금속에어유입관에 연결되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배출관, 에어배출관의 하부에 연결되어 수족관의 이물질을 거르는 여과포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 여과장치는 여과포가 수중에 설치됨에 따라 여과포에 흡착된 이물질이 물속으로 다시 유출될 수 있고, 또한 여과포의 오염상태에 대한 육안확인이 곤란하여 교체시기 판단이 어려우며, 여과포 교체시 수중에서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7491호 (2013년 12월 31일 공개) 특허문헌 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0317호 (2013년 12월 02일 공고)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물질이 흡착된 필터의 현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수족관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는, 기포발생기에 연결되어 수족관의 물을 정화하는 여과장치로서, 개방된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로 상기 기포발생기로부터 발생한 기포에 의해 수족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수족관의 물로부터 이물질을 거르도록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와, 상기 유입부와 여과부를 사이를 연결하여 수족관의 물을 이송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중공관, 및 상면에 상기 여과부를 안착하여 상기 중공관에 연결되며, 상기 여과부가 수족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족관의 측면 상단에 결합되는 여과부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기포발생기에 연결된 튜브가 결합되는 튜브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은 유입부의 개방된 하면에 연통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에 연결된 중공관과, 상기 여과부에 연결된 중공관이 삽입결합되고, 삽입결합된 중공관 외주에 탄성밴드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필터를 내부에 수납하고 하면에 상기 중공관이 삽입결합되는 필터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중공관의 끝단을 둘러싸는 중공필터와 상기 중공필터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의 측면하부에는 필터에 의해 걸러진 물이 배출되는 여과공과, 측면상부에는 필터케이스의 덮개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 안착부는, 상기 필터케이스가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판, 및 상기 안착판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단턱에 의해 일측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의 타측에는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이 흘러내리는 경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족관의 크기에 상관없이 수족관의 이물질을 거르는 여과부가 수족관의 수면상에 노출되게 설치할 수 있어, 이물질이 흡착된 필터의 현재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의 분해 및 결합이 용이하여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중공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여과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수족관에 장착된 여과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수족관에 장착된 여과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설명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고안은 수족관에 존재하는 관상어의 배설물이나 먹이와 같은 이물질을 여과하는 장치로, 수족관에 설치되어 수족관에 산소를 공급하는 기포발생기에 연결되어 기포 발생에 따라 내부로 유입되는 수족관의 물을 여과하여 장치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용 여과장치는 기포발생기에 연결되어 발생한 기포에 의해 수족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0)와, 유입부(10)에 연결되어 수족관의 물을 이송하는 중공관(20), 유입부(10)를 통해 중공관(20)을 거쳐 유입되는 수족관을 물로부터 이물질을 거르는 여과부(30), 여과부(30)를 안착하여 수족관에 결합되는 여과부 안착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유입부(10)는 개방된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11)으로 이루어져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며, 측벽(11)에 유입공(11a)이 형성되어 내부로 수족관의 물이 유입된다. 수족관의 물을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유입부(10)의 상부에 기포발생기(미도시)에 연결된 튜브(12)가 삽입되는 튜브 결합공(11b)이 형성된다. 튜브(12)에는 기포발생기로부터 산소의 유입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13)가 구비된다. 따라서, 유입부(10)의 내부공간으로 기포가 공급되면 유입부(10)의 상부에 연결된 중공관(20)을 따라 여과부(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기포에 의해 수족관의 물과 함께 이물질도 함께 유입공(11a)을 통해 유입된다. 유입부(10) 주위로부터 물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유입하도록 유입공(11a)은 유입부(10)의 개방된 하면에 연통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관(20)은 유입부(10)의 내부에 연통하도록 연결된 관으로 수족관의 물을 여과부(30)로 이송한다. 중공관(20)의 단면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중공관(20)은 유입부(10)에 연결된 중공관(21)과 여과부(30)에 연결된 중공관(22)이 삽입결합되고, 삽입결합된 중공관(20) 외주에 탄성밴드(23)가 결합된다. 따라서, 탄성밴드(23)에 의해 중공관(21,22)의 결합부가 탄성지지됨에 따라 삽입결합된 중공관(20)의 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공관(20)의 길이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족관의 높이에 따라 중공관(20)의 상부에 안착된 여과부(30)를 수족관의 수면 밖으로 배치할 수 있다.
여과부(30)는 중공부(20)에 결합되어 이송되는 수족관의 물로부터 이물질을 거르는데, 여과부(30)의 단면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여과부(40)는 다수 개 적층된 필터(31)를 내부에 수납한 필터케이스(32)로 이루어져 중공관(20)의 끝단에 결합된다. 필터(31)는 수족관의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거르도록 다수의 공극이 형성된 스폰지로 형성되며, 중공관(20)의 끝단을 둘러싸는 중공필터(33)와, 중공필터(33)의 상부에 적층필터(34)가 다단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족관의 물이 배출되는 중공관(20)의 끝단이 중공필터(33)와 적층필터(34)에 의해 둘러싸여, 배출되는 물과 필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이물질의 여과효율이 높다.
필터케이스(32)는 필터(31)를 수납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하면에는 중공관(22)이 삽입되는 삽입홀(35a)이 형성되는 케이스 몸체(35)와, 수납된 필터(31)의 교체를 위해 케이스 몸체(35)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덮개(36)로 이루어지는데, 육안으로 필터(31)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몸체(35)의 측면하부에 여과공(35b)이 형성되어 필터(31)에 의해 걸리진 물이 배출되고, 케이스 몸체(35)의 측면상부에는 덮개(36)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공(35c)이 형성된다.
여과부 안착부(40)는 여과부(32)가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판(41), 안착판(4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족관의 측면 상단에 결합되는 걸림턱(42), 안착판(41)의 타측에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이 흘러내리는 경사판(43)을 구비하여 상면에 여과부(30)를 안착하여 수족관에 결합된다. 안착판(41)은 관통홀(41a)이 형성되어 중공관(20)에 삽입 결합되고, 상면에 안착된 여과부(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착판(41)의 측면에는 이탈방지턱(44)이 형성된다. 걸림턱(42)은 내측에 다수 단턱(45)이 형성되어 안착판(41)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측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며, 개방된 공간을 통해 수족관의 측면 상부가 결합되는데, 걸림턱(42)의 내측에 다수 단턱(45)이 형성됨에 따라 수족관의 두께에 상관없이 수족관의 측면이 단턱(45)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수족관에 장착된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수족관에 장착된 수족관용 여과장치의 단면도로, 도 5,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설치과정과 여과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기포발생기(미도시)에 연결된 튜브(12)를 유입부(10)의 튜브결합공(11a)에 삽입하여 튜브(12) 끝단을 유입부(10) 내부로 안치시킨다. 그런 다음, 수족관(50)의 높이에 맞춰 수면 위로 여과부(30)가 노출되도록 중공관(20)의 길이를 연장한 후, 여과부 안착부(40)의 걸림턱(42)에 수족관(50)의 상부 측면을 결합하여 여과장치를 수족관에 설치한다. 그리고, 기포발생기(미도시)를 동작시켜 유입부(10)의 내부에 튜브(12)를 통해 기포를 공급하면, 공급된 기포와 함께 유입부(10)를 통해 수족관의 물과 이물질(D)이 유입되어 중공관(20)을 통해 이송되고, 여과부(30)의 필터(31)를 통해 이물질(D)이 제거된 수족관의 물은 여과공(35b)을 통해 배출되어 경사판(43)을 거쳐 수족관(50)의 상면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여과장치는 수족관으로 충분한 산소와 이물질(D)이 제거된 물을 공급하여 깨끗한 수족관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데, 특히 중공관(20)과 여과부 안착부(40)에 의해 여과부(40)가 수족관의 수면 상에 노출 설치됨에 따라 이물질(D)이 흡착된 필터의 현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필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필터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여과부(30)의 케이스 덮개(36)를 개방하여 다단으로 적층된 필터(31)를 인출하고, 새로운 필터(31)를 필터케이스(32) 내부에 수납하여 필터(31)를 교체할 수 있어 교체작업이 용이하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 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유입부 11: 측벽 11a: 유입공
11b: 결합공 12: 튜브 20: 중공관
23: 탄성밴드 30: 여과부 31: 필터
32: 필터케이스 33: 중공필터 34: 적층필터
35: 케이스몸체 36: 케이스덮개 36b: 여과공
36c: 개방공 40: 여과부 안착부 41: 안착판
42: 걸림턱 43: 경사판 44: 이탈방지턱
45: 단턱 50: 수족관 D: 이물질

Claims (8)

  1. 기포발생기에 연결되어 수족관의 물을 정화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개방된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측벽에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로 상기 기포발생기로부터 발생한 기포에 의해 수족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수족관의 물로부터 이물질을 거르도록 필터를 구비하는 여과부;
    상기 유입부와 여과부 사이를 연결하여 수족관의 물을 이송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중공관; 및
    상면에 상기 여과부를 안착하여 상기 중공관에 연결되며, 상기 여과부가 수족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족관의 측면 상단에 결합되는 여과부 안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기포발생기에 연결된 튜브가 삽입되는 튜브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은 유입부의 개방된 하면에 연통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은,
    상기 유입부에 연결된 중공관과, 상기 여과부에 연결된 중공관이 삽입결합되고, 삽입결합된 중공관 외주에 탄성밴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필터를 내부에 수납하고 하면에 상기 중공관이 삽입결합되는 필터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중공관의 끝단을 둘러싸는 중공필터와 상기 중공필터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케이스의 측면하부에는 필터에 의해 걸러진 물이 배출되는 여과공과, 측면상부에는 필터케이스의 덮개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 안착부는,
    상기 여과부가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판; 및
    내측에 다수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일측이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의 타측에는 필터에 의해 여과된 물이 흘러내리는 경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20180002965U 2018-06-28 2018-06-28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0493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65U KR200493479Y1 (ko) 2018-06-28 2018-06-28 수족관용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965U KR200493479Y1 (ko) 2018-06-28 2018-06-28 수족관용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51U true KR20200000051U (ko) 2020-01-07
KR200493479Y1 KR200493479Y1 (ko) 2021-04-06

Family

ID=6915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965U KR200493479Y1 (ko) 2018-06-28 2018-06-28 수족관용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7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841B1 (ko) * 2020-01-30 2020-11-02 주식회사 이진아쿠아 공기구동 다기능 여과기와 담체
KR102348032B1 (ko) * 2021-09-10 2022-01-0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KR20220075147A (ko) * 2020-11-28 2022-06-07 김일섭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573384B1 (ko) * 2023-01-10 2023-09-04 주식회사 수앤텍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981Y1 (ko) * 1989-08-17 1991-06-10 이광우 수족관용 정수 장치
KR920005548Y1 (ko) * 1990-05-26 1992-08-14 안민준 어항용 물순환장치
KR200223245Y1 (ko) * 1998-12-09 2001-05-15 김상윤 수족관
KR100810996B1 (ko) * 2007-07-19 2008-03-11 이승용 정수장치를 구비한 어항
KR20110005099A (ko) * 2009-07-09 2011-01-17 심규운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20130007491A (ko) 2012-09-03 2013-01-18 표준선 오픈마켓 쿠폰의 회원간 거래 시스템 제공 방법
KR200470317Y1 (ko) 2013-08-24 2013-12-06 이미선 금속에어유입관과 체결부가 구비된 수족관용 스폰지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3981Y1 (ko) * 1989-08-17 1991-06-10 이광우 수족관용 정수 장치
KR920005548Y1 (ko) * 1990-05-26 1992-08-14 안민준 어항용 물순환장치
KR200223245Y1 (ko) * 1998-12-09 2001-05-15 김상윤 수족관
KR100810996B1 (ko) * 2007-07-19 2008-03-11 이승용 정수장치를 구비한 어항
KR20110005099A (ko) * 2009-07-09 2011-01-17 심규운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20130007491A (ko) 2012-09-03 2013-01-18 표준선 오픈마켓 쿠폰의 회원간 거래 시스템 제공 방법
KR200470317Y1 (ko) 2013-08-24 2013-12-06 이미선 금속에어유입관과 체결부가 구비된 수족관용 스폰지여과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841B1 (ko) * 2020-01-30 2020-11-02 주식회사 이진아쿠아 공기구동 다기능 여과기와 담체
KR20220075147A (ko) * 2020-11-28 2022-06-07 김일섭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348032B1 (ko) * 2021-09-10 2022-01-0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WO2023038263A1 (ko) * 2021-09-10 2023-03-1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KR102573384B1 (ko) * 2023-01-10 2023-09-04 주식회사 수앤텍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479Y1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0051U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US9717220B2 (en) Aquarium filter with water stream divers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15506683A (ja) 濾過機能を有する水槽
KR101398653B1 (ko) 수조용 공기 공급 장치
JP2518993B2 (ja) 水槽用濾過装置
JP2006150356A (ja) エアー駆動式フィルタ装置
US4895646A (en) External aquarium filter
KR102348032B1 (ko)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JP5793785B1 (ja) 水棲生物用水槽の水濾過装置
JP3771231B2 (ja) 魚介類用水槽の空気混入装置
KR101039472B1 (ko) 전시용 수족관 사육수 여과장치
KR100928151B1 (ko) 여과장치를 구비한 수족관
KR20220089620A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2149691B1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1070383B1 (ko) 탈착이 가능한 분리막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오염방지형 분리막 모듈유닛
JP3561300B2 (ja) 水中ポンプ兼エアポンプ用濾過装置
KR200164810Y1 (ko) 수조의 포기겸용 상부여과장치(a bubbly filter for use an aquarium)
JP3816244B2 (ja) 水浄化フィルター装置枠、水浄化フィルター装着用部材及び水浄化フィルター装置
KR102517772B1 (ko) 식물 재배가 가능한 어항 장치
US20110079555A1 (en) Aquarium Filter
KR102265428B1 (ko) 수족관용 박스여과기
KR102349615B1 (ko)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KR200485231Y1 (ko) 용수 여과기
CN213187617U (zh) 一种宠物饮水机的上水结构
JP2012040473A (ja) 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