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5147A -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5147A
KR20220075147A KR1020200163416A KR20200163416A KR20220075147A KR 20220075147 A KR20220075147 A KR 20220075147A KR 1020200163416 A KR1020200163416 A KR 1020200163416A KR 20200163416 A KR20200163416 A KR 20200163416A KR 20220075147 A KR20220075147 A KR 20220075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sh tank
fishbowl
water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8146B1 (ko
Inventor
김일섭
Original Assignee
김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섭 filed Critical 김일섭
Priority to KR102020016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1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75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되어 하단 유입부(A)와 상단 토출부(B)가 구성되는 흡입관체(8) 구비하되 흡입관체(8)는 상하 전체 길이 대비 하부에 무게중심이 위치되게 하면서도 어항 내 물의 부력에 대하여 음성부력이 적용되게 하여 어항 내에서 바닥까지 원활하게 잠기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흡입관체(8)의 상단 토출부(B)에는 테두리벽체(32)의 하단에 거름망체(34)가 결합된 필터버킷(30)을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흡입관체(8)의 하부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투입관(40)의 하단과 연통되게 구성하여,
필요시 공기투입관(40)의 상단에 기포발생기(50)의 연결관체(52)와 연결되게 하여 흡입관체(8) 내부로 강제 공기주입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공기 주입에 따라 어항 속에 배설물을 비롯한 이물질들이 흡입관체(8)의 하단 유입부(A)로 빨아들여 진 후 관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상단 토출부(B)를 지나 필터버킷(30)에 걸러지도록 하여 물속에 손을 넣지 않고도 쉽게 이물질을 제거 및 사후 처리가 편리하며 제거 작업시 이물질들이 많이 모이는 자리를 확인하여 자유롭게 위치이동이 가능하여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IN FISH TANK}
본 발명은 어항 내에 있는 물고기의 배설물을 비롯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속에 손을 넣지 않고도 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위치 이동이 쉬워 사용자에 의해 어항 내부의 이물질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이물질의 포집작업도 가능토록 하는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항 속의 물고기들은 먹이를 먹고 배설물을 배출하게 되므로 그 배설물들은 어항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가라앉은 배설물들은 유기물로서 시간이 지나면서 부패하기 시작하고, 그로 인하여 어항 내의 물은 탁해지면서 산소도 부족하게 된다. 이는 물고기의 폐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어항의 탁해진 물은 미관에도 좋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어항의 물은 주기적으로 깨끗한 물로 갈아주는 주게 되는데, 만약 어항 바닥에 쌓이는 배설물을 늦지 않게 제거해주면 물의 오염을 늦출 수 있게 되어 물고기의 폐사를 막을 수 있고 어항의 물을 갈아 주는 주기도 늘릴 수 있을 것이다.
어항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808668호“어항청소기”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항 내의 배설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어항청소기 내부에 구성되는 펌프를 이용하여 어항 내의 물을 어항청소기의 본체 내부 용기로 전부 이동시키면서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지게 하고 걸러진 물은 다시 펌프를 가동시켜 어항 내부로 다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기계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고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08668호“어항 청소기”
따라서 본 발명은 어항 내의 물은 빼내지 않으면서도 물속에 손을 넣지 않고 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하로 연장되어 하단 유입부(A)와 상단 토출부(B)가 구성되는 흡입관체(8) 구비하되 흡입관체(8)는 상하 전체 길이 대비 하부에 무게중심이 위치되게 하면서도 어항 내 물의 부력에 대하여 음성부력이 적용되게 하여 어항 내에서 바닥까지 원활하게 잠기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흡입관체(8)의 상단 토출부(B)에는 테두리벽체(32)의 하단에 거름망체(34)가 결합된 필터버킷(30)을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흡입관체(8)의 하부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투입관(40)의 하단과 연통되게 구성하여,
필요시 공기투입관(40)의 상단에 기포발생기(50)의 연결관체(52)와 연결되게 하여 흡입관체(8) 내부로 강제 공기주입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공기 주입에 따라 어항 속에 배설물을 비롯한 이물질들이 흡입관체(8)의 하단 유입부(A)로 빨아들여 진 후 관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상단 토출부(B)를 지나 필터버킷(30)에 걸러지도록 하여 물속에 손을 넣지 않고도 쉽게 이물질을 제거 및 사후 처리가 편리하며 제거 작업시 이물질들이 많이 모이는 자리를 확인하여 자유롭게 위치이동이 가능하여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어항 내부에 수직으로 상하로 길이 조절되는 흡입관체의 상부에 거름망체를 구비하고, 흡입관체의 하부 측면에는 공기투입관이 연통되게 구성함으로써 공기투입기로 공기를 강제로 투입시킴에 따라 어항의 바닥에 깔린 이물질들이 흡입관체의 하단 유입부로 들어가 상단 토출부를 통하여 배출된 후 거름망체에 포집이 되어 물속에 손을 넣지 않고도 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위치이동이 쉬워 사용자에 의해 어항 내부의 이물질들이 많이 모여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이물질의 포집작업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거름망체가 쉽게 분리되므로 이물질의 사후 처리도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항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2)(일명 ‘집똥기’)는 상하로 연장되는 흡입관체(8)를 구비하는데, 흡입관체(8)는 관 형태로서 물과 이물질(배설물 포함) 들이 하단 유입부(A)를 통하여 들어가서 상단 토출부(B)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흡입관체(8)의 상단 토출부(B)에는 필터버킷(30)을 결합 및 분리 가능토록 결합한다. 필터버킷(30)은 테두리벽체(32)를 구성하고 테두리벽체(32)의 하단에 거름망체(34)를 결함으로써 흡입관체(8)의 상단 토출부(B)로 물과 함께 나오는 이물질들이 거름망체(44) 상부에 걸림되며, 걸림된 이물질들은 테두리벽체(42) 내에 갇혀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흡입관체(8)는 상하 전체 길이 대비, 하부에 무게중심이 위치되게 하면서도 어항 내 물의 부력에 대하여 음성부력이 적용되게 하여 어항 내에서 바닥까지 원활하게 잠기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체(8)는 하부 웨이트관체(10)와 상부 주관체(20)로 구분하여 서로 연결되게 하되, 하부 웨이트관체(10)은 비중이 높은 중량체를 사용하여 무게중심이 흡입관체(8) 상하 전체 길이 대비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어항 내 물의 부력에 대하여 음성부력이 적용되게 하여 어항 내에서 바닥까지 잠기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웨이트관체(10)의 하단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받침목(12)을 다 수개 구성하는데, 이는 웨이트관체(10)가 수직으로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도 하단 유입부(A)의 입구부분이 받침목(12)의 높이에 준하여 어항 바닥과 이격되어 하단 유입부(A) 내부로 물과 이물질들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흡입관체(8)를 구성하는 상부 주관체(20)는 외관(20-1) 내에 내관(20-2)이 삽입된 다단 슬라이드방식으로 구성하여 어항의 깊이에 따라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부 주관체(20)를 다단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성할 경우 외관(20-2)의 상·하단에는 각각 단자관(22)를 결합하여, 하단 단자관(22)은 하부 웨이트(10)의 상부와 원활하게 결합되게 하고 상단 단자관(22)은 내관(20-2)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0-2)의 상단에는 직교관(26)을 결합하여 직교관(26)의 상단부에 상단 토출부(B)가 구성되게 하고 직교관(26)의 수평부에 필터버킷(30)이 결합공(32a)을 통하여 결합되게 하면, 상단 토출부(B)를 통하여 나오는 이물질들이 필터버킷(30)에 포집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지며 필터버킷(30)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므로 포집된 이물질들의 사후 뒷처리도 훨씬 쉬워진다.
한편, 흡입관체(8)의 하부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투입관(40)의 하단과 연통되게 구성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흡입관체(8)를 구성하는 상부 주관체(20)의 하부에 공기투입관(40)의 하단이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기투입관(4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상부 주관체(2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단자관(22)의 측부에는 지지대(22a)를 형성하여 공기투입관(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하단 단자관(22)의 내측에는 연결통로(24)를 형성하여 상부 주관체(20)의 내부와 연결되게 하여 공기투입관(40)으로 들어온 공기가 상부 주관체(2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2)는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가 필요한 언제든지 공기투입관(40)의 상단에 기포발생기(50)의 연결관체(52)와 연결되게 한 다음, 기포발생기(50)를 작동시켜 흡입관체(8) 내부로 강제 공기주입이 되도록 실시한다.
공기투입관(40)을 통하여 흡입관체(8)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흡입관체(8) 내부로 들어온 공기는 상부로 이동하여 상단 토출부(B)를 통하여 빠져 나가는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타고 흡입관체(8) 내의 물도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흡입관체(8) 내의 물의 흐름에 따라 어항 속에 배설물을 비롯한 이물질들이 흡입관체(8)의 하단 유입부(A)로 빨아들여 진 후 흡입관체(8)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상단 토출부(B)를 지나 필터버킷(30)에 걸러지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따라 본 발명의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2)는 물속에 손을 넣지 않고도 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사후 처리도 편리하게 된다. 또한 이물질 제거 작업시 이물질들이 많이 모이는 자리를 확인하여 자유롭게 위치이동이 가능하여 쉽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2)는 탱트항(수조 내에 바닥재를 깔지 않고 운영하는 수조)에 보다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지만, 그렇다고 모래나 돌멩이 등 바닥재가 깔려져 있는 수조에도 적용은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8)--흡입관체
(10)--하부 웨이트관체 (12)--받침목
(20)--상부 주관체 (20-1)--외관
(20-2)--내관 (22)--단자관
(22a)--지지대 (24)--연결통로
(26)--직교관
(30)--필터버킷 (32)--테두리벽체
(32a)--결합공 (34)--거름망체
(40)--공기투입관
(50)--기포발생기 (52)--연결관
(A)--바닥 유입부 (B)--상부 토출부
(E)--배설물(이물질)

Claims (5)

  1. 상하로 연장되어 하단 유입부(A)와 상단 토출부(B)가 구성되는 흡입관체(8) 구비하되 흡입관체(8)는 상하 전체 길이 대비 하부에 무게중심이 위치되게 하면서도 어항 내 물의 부력에 대하여 음성부력이 적용되게 하여 어항 내에서 바닥까지 원활하게 잠기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흡입관체(8)의 상단 토출부(B)에는 테두리벽체(32)의 하단에 거름망체(34)가 결합된 필터버킷(30)을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흡입관체(8)의 하부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투입관(40)의 하단과 연통되게 구성하여,
    필요시 공기투입관(40)의 상단에 기포발생기(50)의 연결관체(52)와 연결되게 하여 흡입관체(8) 내부로 강제 공기주입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공기 주입에 따라 어항 속에 배설물을 비롯한 이물질들이 흡입관체(8)의 하단 유입부(A)로 빨아들여 진 후 관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상단 토출부(B)를 지나 필터버킷(30)에 걸러지도록 하여 물속에 손을 넣지 않고도 쉽게 이물질을 제거 및 사후 처리가 편리하며 제거 작업시 이물질들이 많이 모이는 자리를 확인하여 자유롭게 위치이동이 가능하여 쉽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흡입관체(8)는 하부 웨이트관체(10)와 상부 주관체(20)로 구분하여 서로 연결되게 하되, 하부 웨이트관체(10)은 비중이 높은 중량체를 사용하여 무게중심이 흡입관체(8) 상하 전체 길이 대비 하부에 위치되게 하면서도 어항 내 물의 부력에 대하여 음성부력이 적용되게 하여 어항 내에서 바닥까지 잠기면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고,
    웨이트관체(10)의 하단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받침목(12)을 구성하여 웨이트관체(10)가 수직으로 바닥에 가라앉은 상태에서도 하단 유입부(A)의 입구부분이 받침목(12)의 높이에 준하여 어항 바닥과 이격되어 하단 유입부(A) 내부로 물과 이물질들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주관체(20)는 외관(20-1) 내에 내관(20-2)이 삽입된 다단 슬라이드방식으로 어항의 깊이에 따라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20-2)의 상·하단에는 각각 단자관(22)를 결합하여, 하단 단자관(22)은 하부 웨이트(10)의 상부와 원활하게 결합되게 하고 상단 단자관(22)은 내관(20-2)이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단 및 하단 단자관(22)의 측부에는 지지대(22a)를 형성하여 공기투입관(4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하단 단자관(22)의 내측에는 연결통로(24)를 형성하여 상부 주관체(20)의 내부와 연결되게 하여 공기투입관(40)으로 들어온 공기가 상부 주관체(2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내관(20-2)의 상단에는 직교관(26)을 결합하여 직교관(26)의 상단부에 상단 토출부(B)가 구성되게 하고, 직교관(26)의 수평부에 필터버킷(30)이 결합공(32a)을 통하여 결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200163416A 2020-11-28 2020-11-28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558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416A KR102558146B1 (ko) 2020-11-28 2020-11-28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416A KR102558146B1 (ko) 2020-11-28 2020-11-28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147A true KR20220075147A (ko) 2022-06-07
KR102558146B1 KR102558146B1 (ko) 2023-07-20

Family

ID=81987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416A KR102558146B1 (ko) 2020-11-28 2020-11-28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8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9854A (ko) 2023-01-05 2024-07-12 박민우 어항용 이물질 여과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871A (ja) * 1993-10-28 1995-05-09 Shinnosuke Nomura 水槽用浄化装置
KR200344519Y1 (ko) * 2003-11-13 2004-03-11 이용찬 수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08668B1 (ko) 2007-11-29 2008-02-29 유귀식 어항 청소기
KR101162249B1 (ko) * 2008-10-09 2012-07-05 성준 활어 수족관 바닥 찌꺼기 청소기
KR20200000051U (ko) * 2018-06-28 2020-01-07 배용근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2172841B1 (ko) * 2020-01-30 2020-11-02 주식회사 이진아쿠아 공기구동 다기능 여과기와 담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5871A (ja) * 1993-10-28 1995-05-09 Shinnosuke Nomura 水槽用浄化装置
KR200344519Y1 (ko) * 2003-11-13 2004-03-11 이용찬 수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08668B1 (ko) 2007-11-29 2008-02-29 유귀식 어항 청소기
KR101162249B1 (ko) * 2008-10-09 2012-07-05 성준 활어 수족관 바닥 찌꺼기 청소기
KR20200000051U (ko) * 2018-06-28 2020-01-07 배용근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2172841B1 (ko) * 2020-01-30 2020-11-02 주식회사 이진아쿠아 공기구동 다기능 여과기와 담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09854A (ko) 2023-01-05 2024-07-12 박민우 어항용 이물질 여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8146B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7877B1 (ko)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AU2014338818B2 (en) Pool-cleaning apparatus having a removable filtration device
US4950393A (en) Operatively stationary pool cleaning apparatus
KR20220075147A (ko) 어항 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80076045A (ko) 필터부재를 구비한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US5655245A (en) Apparatus for removing debris from gravel in a fish pond
KR101033272B1 (ko) 크리너
KR101348586B1 (ko) 부유물 스키머
US20130206659A1 (en) Moving and Floating Pool Cleaner Apparatus
CN207854985U (zh) 一种带水处理的农用土豆清洗装置
NL2003415C2 (nl)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organische bestanddelen uit het water van aquaria.
KR101108528B1 (ko) 저수 정화장치 및 그 세정방법
KR101162249B1 (ko) 활어 수족관 바닥 찌꺼기 청소기
KR20120114698A (ko) 수조용 이물질 여과장치
TWI589339B (zh) Set the sewage filter device
KR101271141B1 (ko) 휴대용 어항 청소기
CN215914451U (zh) 一种清洁设备的污水箱及清洁设备
KR200433906Y1 (ko) 포말분리식 정수장치
US10167648B1 (en) Pool skimmer
KR102149691B1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JPH04222532A (ja) 沈澱ゴミ排除機能を具えた魚介飼育水槽
TW201440644A (zh) 水族養殖用排泄物過濾循環裝置
KR102683427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JP6338236B2 (ja) 内部式濾過装置
CN219330376U (zh) 一种便于排污的宠物饮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