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384B1 -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384B1
KR102573384B1 KR1020230003673A KR20230003673A KR102573384B1 KR 102573384 B1 KR102573384 B1 KR 102573384B1 KR 1020230003673 A KR1020230003673 A KR 1020230003673A KR 20230003673 A KR20230003673 A KR 20230003673A KR 102573384 B1 KR102573384 B1 KR 10257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sh tank
inlet
coupled
fore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미
류남훈
류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앤텍
Priority to KR1020230003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어항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유닛, 상기 포집유닛과 연통되어 이물질과 물이 상기 포집유닛으로 이동하는 대롱부, 및 상측이 상기 대롱부 하부에 결합하며 하측이 어항 하부에 접촉되어 이물질과 물이 유입되는 유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닛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대롱부를 통해 이동되어 어항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포집유닛에 포집되어 용이하게 어항 내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FISH TANK FOREIGN MATTER DISPOSAL DEVICE}
게시된 내용은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항 속의 물고기들은 먹이를 먹고 배설물을 배출하게 되므로 그 배설물들은 어항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가라앉은 배설물들은 유기물로서 시간이 지나면서 부패하기 시작하고, 그로 인하여 어항 내의 물은 탁해지면서 산소도 부족하게 된다. 이는 물고기의 폐사로 이어질 수 있으며, 어항의 탁해진 물은 미관에도 좋지 않다.
종래 어항 내의 배설물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는 치어가 유입될 경우 치어의 생존 공간이 없어서 죽게 되며, 이물질의 유입구 크기 조절 기능이 없어서 사육하는 소형어가 유입구에 끼어 죽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항청소기 내부에 구성되는 펌프를 이용하여 어항 내의 물을 어항청소기의 본체 내부 용기로 전부 이동시키면서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지게 하고 걸러진 물은 다시 펌프에 의해 어항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는 배설물 청소를 위해 어항 밖으로 뺄 때 수집된 배설물의 상당 부분이 물에 다시 퍼지는 문제가 있으며, 손을 어항 바닥 부분까지 깊게 넣어야만 청소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물질 처리장치로 치어가 유입되더라도 치어가 생존할 수 있고, 유입구의 크기 조절을 통해 소형어가 끼어 죽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집된 배설물이 어항으로 다시 퍼지지 않고, 어항 속에 손을 넣지 않고도 용이하게 어항 내부 물고기의 배설물 등을 수집하여 청소할 수 있는 장치가 요청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48032호(2022.1.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항 내 물고기가 배출하는 배설물 등 이물질을 유입유닛으로 유입하고 대롱부를 통해 수면 근처에 있는 포집유닛으로 이동 포집한 후 포집유닛을 분리하여 신속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는 어항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유닛, 상기 포집유닛과 연통되어 이물질과 물이 상기 포집유닛으로 이동하는 대롱부, 및 상측이 상기 대롱부 하부에 결합하며 하측이 어항 하부에 접촉되어 이물질과 물이 유입되는 유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닛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대롱부를 통해 이동되어 어항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포집유닛에 포집되어 용이하게 어항 내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포집유닛은, 몸체를 이루며 하부에 물이 배수되는 복수 개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이물받이부, 및 상기 이물받이부 내부에 수용되는 스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받이부는 하부에 상기 대롱부가 삽입되는 대롱삽입홀을 포함하여 상기 대롱부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상기 이물받이부 내부와 상기 스펀지부에 수용하고 상기 배수홀을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이물받이부는 상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받이부는 일부가 어항의 수면에 잠기게 위치되어 상기 유입유닛을 통해 상기 포집유닛으로 올라온 소형어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포집유닛은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측에 돌출되어 그립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그립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롱부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 개를 포함하며,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상기 대롱부가 삽입결합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어항의 깊이에 따라 중첩된 상기 대롱부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유입유닛은, 상기 대롱부와 결합하는 대롱결합부, 상측이 상기 대롱결합부와 결합되며 하측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부, 및 상측이 상기 확장부와 결합되고 하측이 어항 하부와 접촉되며, 이물질과 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홀을 포함하는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는 상기 유입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유입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조절유닛은 상기 유입부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측에 상기 유입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돌출된 조절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닛은 상기 조절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조절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수용부는 상기 조절돌출부가 삽입결합되어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유입부 상부에 일측이 결합된 “ㄷ”자 형태로 양단이 개방된 돌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조절유닛은 상기 유입홀에 상응하는 조절홀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조절유닛이 회전하며 상기 유입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는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측에 결합하는 뚜껑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유닛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볼록부, 상기 볼록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이물받이부의 복수 개의 뚜껑삽입홀에 삽입 결합하는 복수 개의 뚜껑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는 상기 유입유닛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치어의 유입을 차단하는 치어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는 상기 대롱부의 하부와 결합하여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어항 하부에 위치한 유입유닛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대롱부를 통해 어항 상부에 위치한 상기 포집유닛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호스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유닛은, 상기 대롱부 하부와 연통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부, 및 상기 대롱부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호스부를 상기 대롱부와 결합시키는 호스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호스부는 상기 호스결합부에 형성된 호스홀을 통해 상기 대롱부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호스유닛은 상기 호스결합부로부터 돌출된 부착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일측이 상기 부착돌출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어항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포집유닛, 대롱부, 및 유입유닛을 어항 측면에 인접하게 고정하는 부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는 상기 대롱부와 결합되며 상부가 절곡되어 어항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는 걸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걸이유닛은 상기 포집유닛, 대롱부, 및 유입유닛을 어항 측면에 인접하게 고정할 수 있다.
유입유닛을 통해 어항 바닥 부근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유입시키고 대롱부를 통해 포집유닛으로 이동 포집하여 손을 어항 속에 담그지 않고도 어항 상부에 위치하는 포집유닛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신속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하면서도 포집된 이물질이 어항으로 다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포집유닛의 일부가 물에 잠기게 설치되어 포집유닛으로 올라온 소형어가 스펀지부 위의 물에서 지낼 수 있도록 하여 소형어의 생존을 보장할 수 있다.
유입조절유닛을 이용하여 유입유닛의 유입홀 크기를 조절하여 소형어가 죽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부착유닛이나 걸이유닛을 통해 포집유닛, 대롱부, 유입유닛 등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대형어 서식 어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포집유닛에 뚜껑유닛을 결합하여 물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튀지 않게 할 수 있다.
에어호스부가 호스결합부에 결합되어 관상어의 활동에 저해되지 않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부착유닛이나 걸이유닛을 이용하여 필요시 용이하게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어항 바닥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이물받이부와 스펀지부의 사시도.
도 4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이물받이부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5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대롱부의 중첩과 신장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B 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7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유입유닛의 사시도.
도 8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유입유닛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9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유입조절유닛의 사시도.
도 10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유입조절유닛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11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유입조절유닛의 유입부 크기조절 사용상태도.
도 12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뚜껑유닛의 평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
도 13은 도 1의 C 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14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상측 호스결합부와 부착유닛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15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하측 호스결합부와 부착유닛의 평면도와 단면도.
도 16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대롱부와 걸이유닛이 결합된 사시도.
도 17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걸이유닛의 사시도.
도 18과 도 19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이물받이부(110)와 스펀지부(12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이물받이부(110)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18과 도 19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에 관한 것으로, 어항(10) 내에서 생활하는 물고기가 배출하는 배설물 등 이물질을 유입유닛(300)으로 유입하고 대롱부(200)를 통해 포집유닛(100)으로 이동시켜 포집한 후 수면 근처에 위치하는 포집유닛(100)을 분리하여 신속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원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는 포집유닛(100), 대롱부(200), 유입유닛(300), 유입조절유닛(400), 뚜껑유닛(500), 치어망부(600), 호스유닛(700), 부착유닛(800), 및 걸이유닛(9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어항(10)은 수족관 등 물고기 등을 기르기 위해 사용되는 물을 수용하는 모든 용기를 포함하며, 물고기는 거북이 등 수중생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물질은 어항(10)에서 생활하는 생물이 배출하는 물질이나 사체, 외부에서 들어간 불순물, 물질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는 어항(10)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유닛(100), 포집유닛(100)과 연통되어 이물질과 물이 포집유닛(100)으로 이동하는 대롱부(200), 및 상측이 대롱부(200) 하부에 결합하며 하측이 어항(10) 하부에 접촉되어 이물질과 물이 유입되는 유입유닛(300)을 포함하며, 유입유닛(300)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대롱부(200)를 통해 이동되어 어항(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포집유닛(100)에 포집되어 용이하게 어항(10) 내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며, 포집유닛(100)은, 몸체를 이루며 하부에 물이 배수되는 복수 개의 배수홀(111)을 포함하는 이물받이부(110), 및 이물받이부(110) 내부에 수용되는 스펀지부(120)를 포함하며, 이물받이부(110)는 하부에 대롱부(200)가 삽입되는 대롱삽입홀(112)을 포함하여 대롱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이물받이부(110) 내부와 스펀지부(120)에 수용하고 배수홀(111)을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물받이부(110)는 상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홀(113)을 더 포함하며, 이물받이부(110)는 일부가 어항(10)의 수면에 잠기게 위치되어 유입유닛(300)을 통해 포집유닛(100)으로 올라온 소형어를 수용할 수 있고, 포집유닛(100)은 이물받이부(110)의 상측에 돌출되어 그립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그립돌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집유닛(100)은 어항(10)에서 발생하는 배설물 등 이물질을 수집하는 것으로, 어항(10) 내부에 부유하거나 바닥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어항(10)에 사는 물고기 등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물받이부(110), 스펀지부(120), 그립돌출부(130), 가이드부(150), 및 뚜껑지지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물받이부(110)는 포집유닛(100)의 몸체를 이루어 내부에 후술하는 스펀지부(120)를 수용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대롱부(200)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과 소형어 등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배수홀(111), 대롱삽입홀(112), 공기홀(113), 및 뚜껑삽입홀(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이물받이부(110)는 어항(10)의 측면에 인접하는 부분이 평면으로 되고 이와 결합된 부분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수홀(111)은 이물받이부(110)의 하부 바닥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물받이부(110)에 유입된 물이 배수홀(111)을 통해 어항(10) 내부로 다시 돌아 갈 수 있다. 일례로, 이때 이물질은 후술하는 스펀지부(120)에 잡혀 배출되지 않으며, 소형어의 경우 스펀지부(120) 위의 물속에 위치하다가 포집유닛(100) 청소 시 어항(10)으로 보내줄 수 있다.
대롱삽입홀(112)은 이물받이부(110) 하부 바닥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대롱부(200)가 이물받이부(1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150)는 대롱삽입홀(112)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원통 형태로 이물받이부(110) 바닥에서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대롱부(200)가 삽입될 때 대롱부(200)를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뚜껑지지부(160)는 이물받이부(110)의 내측벽에 상하로 연장되어 돌출된 것으로, 복수 개가 돌출되어 후술하는 뚜껑유닛(500)이 뚜껑삽입홀(114)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뚜껑지지부(160)는 이물받이부(110)의 평평한 면에 위치하는 후술하는 뚜껑삽입홀(114) 아래에 2 개가 배치되고 볼록한 면에는 5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뚜껑유닛(500)이 뚜껑삽입홀(114)에 안정적으로 삽입되고 이물받이부(110) 내측벽의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펀지부(120)는 이물받이부(1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포집유닛(1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스펀지부(120)에는 이물질이 스펀지부(120)에 끼이거나 걸리거나 위에 놓이는 등으로 스펀지부(120)와 이물질이 결합되고, 물은 스펀지부(120)를 통과하여 배수홀(111)로 유출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스펀지부(120)는 대롱삽입홀(112)에 상응하는 부분에 스펀지홀(121)이 형성되어 대롱부(200)가 삽입되도록 하거나, 가이드부(150)가 있는 경우 가이드부(15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1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이물받이부(110)의 높이가 4 정도 일 때 스펀지부(120)의 높이는 1 정도이고 후술하는 공기홀(113)의 깊이는 2 정도로 형성될 수 있어, 공기홀(113)과 스펀지부(120) 사이의 유입되어 채워진 물에서 대롱부(200)를 타고 유입된 소형어가 생존할 수 있다.
공기홀(113)은 이물받이부(110)의 측면에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포집유닛(100)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포집유닛(100)이 후술하는 뚜껑유닛(500)을 포함하여 상측이 폐쇄될 때 공기홀(113)은 대롱부(200)를 거쳐 포집유닛(100)으로 올라온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8 또는 도 1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이물받이부(110)는 일부가 어항(10)의 수면에 잠기게 위치되어 유입유닛(300)을 통해 후술하는 뚜껑유닛(500)으로 닫힌 포집유닛(100)으로 올라온 소형어를 수용하고 공기홀(113)을 통해 대롱부(200)를 거쳐 포집유닛(100)으로 올라온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립돌출부(130)는 이물받이부(110)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청소나 이동을 위해 포집유닛(100)을 그립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그립돌출부(130)는 복수 개가 각각의 사이에 공기홀(113)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대롱부(200)의 중첩과 신장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B 부분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유입유닛(30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유입유닛(300)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대롱부(200)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 개를 포함하며,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대롱부(200)가 삽입결합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어항(10)의 깊이에 따라 중첩된 대롱부(20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유입유닛(300)은, 대롱부(200)와 결합하는 대롱결합부(310), 상측이 대롱결합부(310)와 결합되며 하측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부(320), 및 상측이 확장부(320)와 결합되고 하측이 어항(10) 하부와 접촉되며, 이물질과 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홀(331)을 포함하는 유입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대롱부(200)는 하측이 유입유닛(300)과 결합하고 상측이 포집유닛(100)과 결합되는 것으로, 어항(10)의 이물질과 물을 포집유닛(100)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대롱부(200)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 개의 대롱부(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대롱부(200)가 삽입결합으로 중첩되게 위치되어 어항(10)의 깊이에 따라 직경이 작은 대롱부(200)가 직경이 큰 대롱부(200)의 외부로 나와 대롱부(20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유입유닛(300)은 상측이 대롱부(200) 하부에 결합하며 하측이 어항(10) 하부에 접촉되는 것으로, 이물질과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대롱결합부(310), 확장부(320), 유입부(330), 및 조절수용부(3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유입유닛(300)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대롱부(200)를 통해 이동되어 어항(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포집유닛(100)에 포집되어 용이하게 어항(10) 내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롱결합부(310)는 하부 대롱부(200)와 결합하는 것으로, 유입유닛(300)을 대롱부(200)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확장부(320)는 상측이 대롱결합부(310)와 결합되며 하측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 후술하는 유입부(330)와 결합하는 것으로, 유입부(330)의 직경을 넓게 하여 바닥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 유입유닛(300)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서 있게 하고 유입량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입부(330)는 상측이 확장부(320)와 결합되고 하측이 어항(10) 하부와 접촉되는 것으로, 이물질과 물이 유입되어 대롱부(200)를 거쳐 포집유닛(100)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유입홀(3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유입부(33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유입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대롱결합부(310)와 확장부(3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대롱결합부(310), 확장부(320), 및 유입부(330)가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유입조절유닛(400)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유입조절유닛(400)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며, 도 11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유입조절유닛(400)의 유입부(330) 크기조절 사용상태도이다.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는 유입부(330)의 외측에 결합되어 유입홀(331)의 크기를 조절하는 유입조절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유입조절유닛(400)은 유입부(330)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측에 유입유닛(30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돌출된 조절돌출부(410)를 포함하고, 유입유닛(300)은 조절돌출부(4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조절수용부(340)를 더 포함하며, 조절수용부(340)는 조절돌출부(410)가 삽입결합되어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유입부(330) 상부에 일측이 결합된 “ㄷ”자 형태로 양단이 개방된 돌출 형태로 형성되며, 유입조절유닛(400)은 유입홀(331)에 상응하는 조절홀(420)을 포함하여 유입조절유닛(400)이 회전하며 유입홀(33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유입조절유닛(400)은 유입부(33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회전하며 유입홀(331)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조절돌출부(410)와 조절홀(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유입조절유닛(400)은 유입부(330)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유입부(330)의 외측으로 삽입결합된 후 회전하며 유입홀(331)의 크기를 조절하여 어항(10)에 있는 물고기의 크기에 따라 유입홀(331)의 크기를 조절하여 소형어 등이 유입홀(3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조절돌출부(410)는 유입조절유닛(400) 상측에 돌출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조절수용부(34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유입조절유닛(400)을 유입유닛(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 또는 도 1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조절돌출부(410)는 유입조절유닛(400) 상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조절홀(420)은 유입홀(331)에 상응하는 위치와 크기를 갖는 것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유입조절유닛(400)이 회전하며 유입홀(33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조절홀(420)은 유입홀(331)과 다른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조절수용부(340)는 유입유닛(300)에 결합하는 것으로, 조절돌출부(4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유입조절유닛(40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조절수용부(340)는 유입부(330) 상부에 일측이 결합된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조절돌출부(410)가 출입이 가능하도록 양단이 개방된 돌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또는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복수 개의 조절돌출부(410)는 복수 개의 조절수용부(340) 외부에 동시에 모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유입조절유닛(400)을 유입유닛(3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도 12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뚜껑유닛(500)의 평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이다.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는 이물받이부(110)의 상측에 결합하는 뚜껑유닛(500) 및 유입유닛(300)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치어의 유입을 차단하는 치어망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뚜껑유닛(500)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볼록부(510), 볼록부(510)와 소정의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부(520), 및 이물받이부(110)의 복수 개의 뚜껑삽입홀(114)에 삽입 결합하는 복수 개의 뚜껑돌출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유닛(500)은 이물받이부(110) 상측에 결합하는 것으로, 이물받이부(110)를 폐쇄하여 이물받이부(110)에 유입되는 이물질과 물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볼록부(510), 수직부(520), 및 뚜껑돌출부(5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뚜껑유닛(500)은 투명재질을 사용하여 수집된 이물질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하여 청소 가능하고 소형어의 존재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볼록부(510)는 볼록한 곡면 형태로 뚜껑유닛(500)의 상부를 형성하는 것이고, 수직부(520)는 볼록부(510)와 소정의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으로, 이물받이부(110)에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 등이 튀어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1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볼록부(510)는 어항(10)의 평평한 측면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평면으로 절곡되어 수직부(52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수직부(520)를 통해 평평한 어항(10)의 측면에 효과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뚜껑돌출부(530)는 후술하는 뚜껑삽입홀(114)에 분리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볼록부(510)와 수직부(520)를 이물받이부(1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제2 뚜껑돌출부(531, 5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뚜껑삽입홀(114)은 이물받이부(110)에 형성되는 홀로, 뚜껑돌출부(530)가 분리가능하게 삽입결합되어 뚜껑유닛(500)을 이물받이부(11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2 또는 도 1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뚜껑돌출부(531)는 볼록부(5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물받이부(110)의 뚜껑삽입홀(114)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하여 볼록부(510)를 이물받이부(11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뚜껑돌출부(532)는 수직부(5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물받이부(110)의 뚜껑삽입홀(114)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하여 수직부(520)를 이물받이부(110)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1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뚜껑돌출부(532)는 이물받이부(110)의 2 개의 뚜껑삽입홀(114)에 각각 끼움결합하는 2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치어망부(600)는 유입유닛(300)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유입유닛(300)에 유입된 소형어가 대롱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C 부분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상측 호스결합부(720)와 부착유닛(800)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며, 도 15는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하측 호스결합부(720)와 부착유닛(800)의 평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16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대롱부(200)와 걸이유닛(900)이 결합된 사시도이며, 도 17은 게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 걸이유닛(900)의 사시도이다.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는 대롱부(200)의 하부와 결합하여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어항(10) 하부에 위치한 유입유닛(300)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어 대롱부(200)를 통해 어항(10) 상부에 위치한 포집유닛(100)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호스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호스유닛(700)은, 대롱부(200) 하부와 연통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부(710), 및 대롱부(200)에 결합되어 에어호스부(710)를 대롱부(200)와 결합시키는 호스결합부(720)를 포함하며, 에어호스부(710)는 호스결합부(720)에 형성된 호스홀(721)을 통해 대롱부(200)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며, 호스유닛(700)은 호스결합부(720)로부터 돌출된 부착돌출부(730)를 더 포함하며,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는 일측이 부착돌출부(730)와 결합되며 타측이 어항(10)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포집유닛(100), 대롱부(200), 및 유입유닛(300)을 어항(10) 측면에 인접하게 고정하는 부착유닛(800)과 대롱부(200)와 결합되며 상부가 절곡되어 어항(10)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는 걸이유닛(9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걸이유닛(900)은 포집유닛(100), 대롱부(200), 및 유입유닛(300)을 어항(10) 측면에 인접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16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스유닛(700)은 대롱부(200)의 하부와 결합하여 에어를 공급하는 것으로, 어항(10) 하부에 위치한 유입유닛(300)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어 대롱부(200)를 통해 어항(10) 상부에 위치한 포집유닛(100)으로 물과 이물질이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에어호스부(710), 호스결합부(720), 부착돌출부(730) 및 호스홀(7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호스부(710)는 대롱부(200) 하부와 연통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에어호스부(710)는 에어호스부(710)에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호스결합부(720)는 대롱부(200)에 결합되어 에어호스부(710)를 대롱부(200)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호스홀(72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스결합부(720)는 대롱부(2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결합하여 에어호스부(7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부착돌출부(730)가 결합되어 부착유닛(800)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3 또는 도 1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롱부(200)의 하측에 결합되는 호스결합부(720)는 내부에 호스홀(721)이 형성되어 에어호스부(710)에서 공급되는 에어가 대롱부(20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에어호스부(710)가 호스결합부(720)에 결합되어 관상어의 활동에 저해되지 않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부착돌출부(730)는 호스결합부(72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부착유닛(800)이 결합되어 부착유닛(8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부착유닛(800)은 일측이 부착돌출부(730)와 결합되며 타측이 어항(10)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으로, 포집유닛(100), 대롱부(200), 유입유닛(300) 및 유입조절유닛(400)을 어항(10) 측면에 인접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도 14, 도 15, 및 도 1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부착유닛(800)은 일측이 홈을 포함하여 대롱부(200)의 상하부에 결합된 호스결합부(720)의 부착돌출부(730)에 각각 결합되고 타측이 어항(10)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어항(10)과 결합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가능함으로 위치를 바꾸어 신속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걸이유닛(900)은 대롱부(200)와 결합되며 상부가 절곡되어 어항(10)의 측면 상단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는 것으로, 포집유닛(100), 대롱부(200), 유입유닛(300), 및 유입조절유닛(400)을 어항(10) 측면에 인접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6, 도 17, 및 도 19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걸이유닛(900)은 일측이 대롱부(200)의 상하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절곡되어 어항(10)의 측면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거치되어 어항(10)에 거치되는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가능함으로 위치를 바꾸어 신속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2000)에 관한 것으로, 유입유닛(300)을 통해 어항(10) 바닥 부근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유입시키고 대롱부(200)를 통해 어항(10) 상부에 위치하는 포집유닛(100)으로 이동 포집하여 손을 어항(10) 속에 담그지 않고도 포집유닛(100)을 용이하게 분리하여 신속 편리하게 이물질을 제거하면서도 포집된 이물질이 어항(10)으로 다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소형어가 대롱부(200)로 유입되지 않게 치어망부(600)를 구비하고 포집유닛(100)의 일부가 물에 잠기게 설치하여 포집유닛(100)으로 올라온 소형어가 이물받이부(110)의 스펀지부(120) 위의 물에서 지낼 수 있도록 하여 소형어의 생존을 보장하며, 부착유닛(800)이나 걸이유닛(900)을 통해 포집유닛(100), 대롱부(200), 유입유닛(300) 등을 견고하게 고정하고 필요시 용이하게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어항(10) 바닥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유입조절유닛(400)을 이용하여 유입유닛(300)의 유입홀(331) 크기를 조절하여 소형어가 죽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부착유닛(800)이나 걸이유닛(900)을 통해 포집유닛(100), 대롱부(200), 유입유닛(300) 등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대형어 서식 어항(10)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포집유닛(100)에 뚜껑유닛(500)을 결합하여 물이나 이물질이 외부로 튀지 않게 할 수 있다. 에어호스부(710)가 호스결합부(720)에 결합되어 관상어의 활동에 저해되지 않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부착유닛(800)이나 걸이유닛(900)을 이용하여 필요시 용이하게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어항(10) 바닥의 이물질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어항
100 : 포집유닛
110 : 이물받이부
120 : 스펀지부
130 : 그립돌출부
150 : 가이드부
160 : 뚜껑지지부
200 : 대롱부
300 : 유입유닛
310 : 대롱결합부
320 : 확장부
330 : 유입부
340 : 조절수용부
400 : 유입조절유닛
410 : 조절돌출부
500 : 뚜껑유닛
510 : 볼록부
520 : 수직부
530 : 뚜껑돌출부
531 : 제1 뚜껑돌출부
532 : 제2 뚜껑돌출부
600 : 치어망부
700 : 호스유닛
710 : 에어호스부
720 : 호스결합부
730 : 부착돌출부
800 : 부착유닛
900 : 걸이유닛
2000 :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Claims (15)

  1. 어항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유닛;
    상기 포집유닛과 연통되어 이물질과 물이 상기 포집유닛으로 이동하는 대롱부;
    상측이 상기 대롱부 하부에 결합하며 하측이 어항 하부에 접촉되어 이물질과 물이 유입되는 유입유닛;
    상기 대롱부의 하부와 결합하여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어항 하부에 위치한 상기 유입유닛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대롱부를 통해 어항 상부에 위치한 상기 포집유닛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호스유닛; 및
    상기 대롱부와 결합되며 상부가 절곡되어 어항에 탈착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포집유닛, 대롱부, 및 유입유닛을 어항 측면에 인접하게 고정하는 걸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유닛을 통해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대롱부를 통해 이동되어 어항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포집유닛에 포집되어 용이하게 어항 내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상기 유입유닛은 상기 대롱부와 결합하는 대롱결합부와, 상측이 상기 대롱결합부와 결합되며 하측으로 내경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확장부와, 상측이 상기 확장부와 결합되고 하측이 어항 하부와 접촉되며, 이물질과 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홀을 포함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유입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호스유닛은 상기 대롱부 하부와 연통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부와, 상기 대롱부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호스부를 상기 대롱부와 결합시키는 호스결합부와, 상기 호스결합부로부터 돌출된 부착돌출부와, 일측이 상기 부착돌출부와 결합되며 타측이 어항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포집유닛, 대롱부, 및 유입유닛을 어항 측면에 인접하게 고정하는 부착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호스부는 상기 호스결합부에 형성된 호스홀을 통해 상기 대롱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유닛은,
    몸체를 이루며 하부에 물이 배수되는 복수 개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이물받이부; 및
    상기 이물받이부 내부에 수용되는 스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물받이부는 하부에 상기 대롱부가 삽입되는 대롱삽입홀을 포함하여 상기 대롱부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상기 이물받이부 내부와 상기 스펀지부에 수용하고 상기 배수홀을 통해 물을 배출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는 상측에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받이부는 일부가 어항의 수면에 잠기게 위치되어 상기 유입유닛을 통해 상기 포집유닛으로 올라온 소형어를 수용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집유닛은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측에 돌출되어 그립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그립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롱부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 개를 포함하며,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상기 대롱부가 삽입결합으로 중첩되게 배치되어 어항의 깊이에 따라 중첩된 상기 대롱부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조절유닛은 상기 유입부에 상응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측에 상기 유입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돌출된 조절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유닛은 상기 조절돌출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조절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용부는 상기 조절돌출부가 삽입결합되어 회전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유입부 상부에 일측이 결합된 “ㄷ”자 형태로 양단이 개방된 돌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조절유닛은 상기 유입홀에 상응하는 조절홀을 포함하여 상기 유입조절유닛이 회전하며 상기 유입홀의 크기를 조절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물받이부의 상측에 결합하는 뚜껑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뚜껑유닛은,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 볼록부;
    상기 볼록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며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이물받이부의 복수 개의 뚜껑삽입홀에 삽입 결합하는 복수 개의 뚜껑돌출부;를 포함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닛 내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치어의 유입을 차단하는 치어망부;를 더 포함하는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30003673A 2023-01-10 2023-01-10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KR102573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673A KR102573384B1 (ko) 2023-01-10 2023-01-10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673A KR102573384B1 (ko) 2023-01-10 2023-01-10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384B1 true KR102573384B1 (ko) 2023-09-04

Family

ID=8801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673A KR102573384B1 (ko) 2023-01-10 2023-01-10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3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317A (ja) * 2003-11-10 2005-06-02 Tsuneo Kondo ビオトープ空間形成装置
KR200405810Y1 (ko) * 2005-10-10 2006-01-11 주식회사 덕신양행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KR20160132211A (ko) * 2015-05-07 2016-11-17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조립식 해상구조물
KR20200000051U (ko) * 2018-06-28 2020-01-07 배용근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2172841B1 (ko) * 2020-01-30 2020-11-02 주식회사 이진아쿠아 공기구동 다기능 여과기와 담체
KR102348032B1 (ko) 2021-09-10 2022-01-0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317A (ja) * 2003-11-10 2005-06-02 Tsuneo Kondo ビオトープ空間形成装置
KR200405810Y1 (ko) * 2005-10-10 2006-01-11 주식회사 덕신양행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KR20160132211A (ko) * 2015-05-07 2016-11-17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조립식 해상구조물
KR20200000051U (ko) * 2018-06-28 2020-01-07 배용근 수족관용 여과장치
KR102172841B1 (ko) * 2020-01-30 2020-11-02 주식회사 이진아쿠아 공기구동 다기능 여과기와 담체
KR102348032B1 (ko) 2021-09-10 2022-01-06 박정렬 어항 내 이물질 추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27401A (en) Sanitary receptacle for pets
US20060102086A1 (en) Aquatic egg collection research system and related devices for implementing the system
KR100979600B1 (ko) 실험동물의 건강상태 체크가 용이한 실험동물 사육용케이지
KR102330905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KR20160076354A (ko) 자동세척과 살균기능을 갖춘 애완견용 화장실
US20060037549A1 (en) Toilet for pet
CA2571858A1 (en) Portable pet waste station
KR101416489B1 (ko)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US10159214B2 (en) Easy clean animal litter box
KR102573384B1 (ko)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US20070119381A1 (en) Fish tank with integrated gravity assisted cleaning apparatus
US5715773A (en) Apparatus for aquaculture
US9173382B1 (en) Water changing and cleaning system and device for bowl, aquarium or pond kept pet fish
US5803016A (en) Cleanable waste depository for small animals and method
KR102349801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KR101176412B1 (ko) 애완동물 배변기용 친환경 청소 장치
KR200463634Y1 (ko) 애완견 소변기
KR200446370Y1 (ko) 야광 기능을 구비한 애완동물용 배변장치
KR101162249B1 (ko) 활어 수족관 바닥 찌꺼기 청소기
US11518003B1 (en) Apparatus for removing a pool deck lid and basket and for collecting a water sample
KR101249524B1 (ko) 애완동물 배변기
JPH05292852A (ja) 養貝用水槽
KR20200065259A (ko) 애완동물 배변판
KR102535854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WO1996010907A1 (en) Device sanitary-hygienic for the collection of the organic feces of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