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810Y1 -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 Google Patents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810Y1
KR200405810Y1 KR2020050028874U KR20050028874U KR200405810Y1 KR 200405810 Y1 KR200405810 Y1 KR 200405810Y1 KR 2020050028874 U KR2020050028874 U KR 2020050028874U KR 20050028874 U KR20050028874 U KR 20050028874U KR 200405810 Y1 KR200405810 Y1 KR 2004058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nozzle
pump
expansion pipe
fish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8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신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신양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신양행
Priority to KR20200500288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8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8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8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10Cleaning bottoms or walls of ponds or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항에 담겨진 물을 배수하거나, 모래를 청소할 때 사용하는 펌프에 관한 것으로, 기다란 노즐을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호스에 간단히 연결하여 슬림형 어항의 청소가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작동통(1)의 일단에 호스(2)를 연결하고 작동통의 다른 일단에는 배출관(3)을 연결하며 상기 호스의 다른 일단에는 노즐을 고정하여서 된 어항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연결되는 호스(2)의 일단에 플렉시블한 확관부(4)를 형성하여 상기 확관부의 내부에 걸름망(5)을 삽입하고 확관부(4)에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롱형태의 기다란 노즐(6)을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Pump for Removing an Impurity of Fishing Port}
도 1은 본 고안의 펌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작동통 2 : 호스
2a : 벨로우즈부 2b : 관부
3 : 배출관 4 : 확관부
5 : 걸름망 6 : 노즐
본 고안은 어항에 담겨진 물을 배수하거나, 모래를 청소할 때 사용하는 펌프 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기다란 노즐을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호스에 간단히 연결하여 슬림형 어항의 청소가 용이해지도록 하는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은 투명한 아크릴이나 유리를 사용하여 그 내부가 보이도록 박스의 형태로 만든 것으로, 그 내부 바닥에 모래 및 장식용 물품을 넣은 다음 물을 채워 관상용 물고기를 기르게 된다.
이러한 어항의 내부에 관상용 물고기나 물품을 넣은 상태에서 시간이 경과되면 물고기가 채 먹지 못한 먹이가 가라앉게 됨은 물론 물고기의 배설물이 가라앉아 부패되어 산소량이 부족하게 되므로 어항의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하거나, 오염된 물을 버리고 새로운 물로 교체시켜야만 된다.
그러나 모래사이로 가라앉은 먹이 또는 배설물을 청소하는 과정이 번거로워 어항의 내부에 공기를 주기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여과장치를 구비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산소 공급 장치는 통상 에어 펌프와 에어 펌프로부터 어항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여과 장치까지 길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호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 장치는 어항의 하부 면과 밀착되는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에 이물질들을 거르기 위한 면사 또는 솜 등이 덮여져 있으며, 그 상부로는 모래나 자갈이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쌓여져 있다.
이와 같은 산소 공급 겸용 여과 장치는 에어 펌프의 작동으로 외부의 공기가 호스를 통하여 어항의 하부에 있는 여과 장치로 유입되는데, 여과 장치로 유입된 공기는 상승 작용으로 위로 올라감과 동시에 내부에 있는 일정량의 물을 끌어올리면서 배출되므로 어항 물에 산소를 인위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 때, 여과 장치의 내부에 있는 소량의 물이 모래 위로 배출됨과 동시에 그 배출량 만큼에 해당하는 물이 모래와 면사 또는 솜을 통하여 유입되면서 이물질 등이 걸러지게 되므로 어항 물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여과장치는 인위적으로 어항의 내부를 청소하지 않고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갖으나, 어항을 설치할 때, 고가의 산소 공급 겸용 여과 장치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 장치가 모래에 덮여 있어 외부로 노출이 되더라도 여과 장치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펌프 및 전원 연결 수단이 어항의 외부로 노출되어 지저분하게 되므로 실내를 장식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어항의 전체적인 미관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가의 여과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어항의 내부가 오염될 경우에만 수시로 발생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슬림형으로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 어항에서 비교적 두껍게 채워지는 모래로부터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호스의 일단을 플렉시블하게 형성하게 길이가 길며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노즐을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작동통의 일단에 호스를 연결하고 작동통의 다른 일단에는 배출관을 연결하며 상기 호스의 다른 일단에는 노즐을 고정하여서 된 어항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연결되는 호스의 일단에 플렉시블한 확관부를 형성하여 상기 확관부의 내부에 걸름망을 삽입하고 확관부에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롱형태의 기다란 노즐을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펌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은 펌핑역할을 하는 작동통(1)의 일단에 호스(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통의 다른 일단에는 배출관(3)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호스는 벨로우즈부(2a)와 관부(2b)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호스 (2)가 꼬이거나, 일 측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호스(2)의 벨로우즈부(2a)는 플렉시블(flexible)하여 호스가 자유롭게 구부러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관부(2b)는 사이펀(syphon)원리에 의해 어항 내의 물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손으로 눌러 외경을 축소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호스(2)의 다른 일단에는 플렉시블한 확관부(4)가 구비되어 상기 확관부의 내부에 걸름망(5)을 삽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확관부(4)에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롱형태의 기다란 노즐(6)이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있다.
상기 노즐(6)은 슬림형 어항(7)에 두껍게 채워지는 모래(8)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기다랗게 형성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노즐(6)을 길이가 각각 다른 여러 개로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노즐의 길이에 대하여는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확관부(4)의 외주면 끝단에 돌출테(4a)가 형성되어 있고 확관부의 중간부위에는 리브(4b)가 형성되어 있어 돌출테와 리브 사이에 흡착구(9)와 일체로 형성된 고리(10)가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어항(7)으로부터 물(11)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흡착구(9)를 이용하여 노즐(6)의 연결부위를 어항의 내부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노즐(6)부위를 잡지 않고도 어항(7) 내의 물(11)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항(7) 내의 모래(8)에 썩여진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노즐(6)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에 잠겨진 상태로 한 다음 작동통(1)을 반복적으로 눌러주면 사이펀원리에 의해 어항(7)내의 물(11)이 배출관(3)을 통해 배출되기 시작하여 용기(12)에 담기게 된다.
이와 같이 어항(7) 내의 물(11)이 배출관(3)을 통해 배출되기 시작하면 확관부(4) 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노즐(6)을 모래(8)의 속으로 집어넣었다가 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래 속에 묻혀져 있던 물고기가 채 먹지 못하였던 먹이 찌꺼기 및 배설물 등이 노즐(6) 및 호스(2)를 통해 배출관(3)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모래(8)가 노즐(6)을 통해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어 걸름망(5)이 막히면 물(11)이 호스(2)를 통해 배출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걸름망(5)을 막고 있던 모래를 제거하여야 된다.
이를 위해, 호스(2)의 관부(2b)를 눌러 외경을 축소하면 배출되는 물의 양이 현저히 줄어들면서 물의 배출압력이 떨어져 걸름망(5)에 의해 배출이 억제되고 있던 모래가 하방으로 자유 낙하되어 제거되므로 계속해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모래(8)에 썩여진 이물질을 걸러내지 않고 오염된 물만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6)이 물에 잠겨지도록 한 다음 흡착구(9)를 어항(7)의 벽면에 부착시킨 후 작동통(1)을 눌러주면 호스(2)의 일단을 파지하지 않고도 어항 내의 물을 간편하게 교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고가의 여과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어항의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게 되므로 어항의 유지 관리비를 대폭 절감하게 된다.
둘째, 플렉시블하게 성형된 확관부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노즐을 결합하게 되므로 필요에 따라 길이가 다른 노즐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호스는 벨로우즈부와 관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호스가 늘어지지 않게 되므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작동통의 일단에 호스를 연결하고 작동통의 다른 일단에는 배출관을 연결하며 상기 호스의 다른 일단에는 노즐을 고정하여서 된 어항용 펌프에 있어서, 상기 노즐이 연결되는 호스의 일단에 플렉시블한 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확관부에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대롱형태의 기다란 노즐을 억지끼움으로 삽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의 외주면 끝단에 돌출테를 형성하고 중간부위에는 리브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흡착구와 일체로 형성된 고리가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변형이 자유로운 벨로우즈부와, 손으로 눌러 물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관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의 내부에 모래의 배출을 억제하는 걸름망을 삽입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KR2020050028874U 2005-10-10 2005-10-10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KR2004058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74U KR200405810Y1 (ko) 2005-10-10 2005-10-10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874U KR200405810Y1 (ko) 2005-10-10 2005-10-10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810Y1 true KR200405810Y1 (ko) 2006-01-11

Family

ID=4175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874U KR200405810Y1 (ko) 2005-10-10 2005-10-10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8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465B1 (ko) 2006-08-10 2007-08-03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수족관용 이물질 흡입 제거장치
WO2016064094A1 (ko) * 2014-10-23 2016-04-28 여상철 수경재배용 화분
KR102573384B1 (ko) * 2023-01-10 2023-09-04 주식회사 수앤텍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465B1 (ko) 2006-08-10 2007-08-03 주식회사환경과생명 수족관용 이물질 흡입 제거장치
WO2016064094A1 (ko) * 2014-10-23 2016-04-28 여상철 수경재배용 화분
KR20160001429U (ko) * 2014-10-23 2016-05-03 여상철 수경재배용 화분
KR200482511Y1 (ko) 2014-10-23 2017-02-02 여상철 수경재배용 화분
KR102573384B1 (ko) * 2023-01-10 2023-09-04 주식회사 수앤텍 어항 이물질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810Y1 (ko)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KR100983352B1 (ko) 휴대용 어항 청소기
JP2518993B2 (ja) 水槽用濾過装置
KR20200000051U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US7553425B2 (en) Screen for swimming pool skimm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S63107714A (ja) 液槽内の浄化装置
US11304411B2 (en) Safety system for a fish-tank siphon
JP4936441B2 (ja) 排水トラップ
JP2009050249A (ja) 底面に傾斜を付け、排水装置を設けた水槽。
KR100808668B1 (ko) 어항 청소기
KR100664495B1 (ko) 액체 저장 탱크의 이동식 다기능 청소기
KR100791056B1 (ko) 수족관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21980B1 (ko) 파이프 내부의 소독 및 청소장치
KR20070101070A (ko) 풀 청소장치
KR100446800B1 (ko) 양어장의 수조바닥 세척장치
KR101162249B1 (ko) 활어 수족관 바닥 찌꺼기 청소기
JP2020141649A (ja) サイフォン式水中掃除器具
KR20150138138A (ko) 생물학적 여과기 자동화 시스템
JP2012196166A (ja) サイホンポンプ
CN210885579U (zh) 一种水质除氟装置
KR102349615B1 (ko) 순환형 스키머 및 하단 여과 일체형 수조
KR200440453Y1 (ko) 수족관용 청소기
KR200404089Y1 (ko) 액체 저장 탱크의 이동식 다기능 청소기
CN218690512U (zh) 离心管自动清洗装置
KR200345019Y1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세면기용 배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