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511Y1 - 수경재배용 화분 - Google Patents

수경재배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511Y1
KR200482511Y1 KR2020140007700U KR20140007700U KR200482511Y1 KR 200482511 Y1 KR200482511 Y1 KR 200482511Y1 KR 2020140007700 U KR2020140007700 U KR 2020140007700U KR 20140007700 U KR20140007700 U KR 20140007700U KR 200482511 Y1 KR200482511 Y1 KR 200482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receiving unit
virtu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429U (ko
Inventor
여상철
Original Assignee
여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철 filed Critical 여상철
Priority to KR2020140007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511Y1/ko
Priority to PCT/KR2015/009764 priority patent/WO2016064094A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5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경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식물이 안착되는 용기부; 상기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1수조부; 상기 제1수조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수조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용기부가 설치되도록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수조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수조부에 수용된 상기 물 또는 이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제2수조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상기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수조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마감하는 마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조부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적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이 상기 제1수조부와 상기 제2수조부의 연결부분과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의 면적 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수조부는, 상기 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에 상기 제2수조부가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제1꼭지점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에 상기 제2수조부가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제2꼭지점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에 상기 제2수조부가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제3꼭지점에 형성되는 제3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저면은,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펌프부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펌프부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인 제2영역과,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펌프부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인 제3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식물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1수조부의 내부 바닥의 전체공간을 빈틈없이 효율적이며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수경재배용 화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경재배용 화분{FLOWERPOT FOR WATER CULTURE}
본 고안은 수경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제1수조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2수조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이용하여, 제1수조부 내부의 세척,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경재배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수경재배란,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 속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경재배는 상술한 식물의 뿌리 상태와 성장모습을 직접 관찰할 수 있고, 실내에서 손쉽게 재배가 가능하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수경재배는 수염뿌리로 마련되는 외떡잎식물 또는, 페페로미아, 아이비, 행운목 등의 관엽류 식물들을 재배하는데 이용된다.
수경재배는 일반적으로 망 형태의 용기에 식물을 적재한 후, 물이 수용된 수조 또는 화분의 상단에 용기를 안착하여 식물의 뿌리가 물에 접촉되게 함으로써 실시된다.
이러한 수경재배가 실시된 후, 시간이 경과 됨에 따라 수조 또는 화분에 수용된 물은 식물에서 생성 또는 분리되는 이물질 등에 의해 혼탁해 지며, 이에 의해, 화분 또는 수조의 바닥면에 부유물 등이 침전된다.
이러한 부유물 등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화분 또는 수조 내에서 곰팡이 균이 발생되며, 발생된 곰팡이 균은 식물의 뿌리에 기생하여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화분 또는 수조는 투명의 유리재질 등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은 미관상 좋지 못하다. 따라서,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을 화분 또는 수조로부터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술한 수조 또는 화분의 경우, 내부에 관상용 금붕어 등을 투입하여 양식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금붕어 등에 의해 수조 또는 화분의 내부에서 부유물이나 이물질의 생성이 더욱 가속화되며, 이에 따라 수조 또는 화분 내부의 세척 및 유지 보수를 더욱 자주 실시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세척 및 유지 보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먼저, 사용자는 식물이 수용된 망을 수조 또는 화분으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사용자는 수조 또는 화분을 배수가 가능한 지역으로 직접 이동시켜 수조 또는 화분에 수용된 물을 제거한다. 이후, 사용자는 수조 또는 화분의 내부를 세척한 후, 다시 물을 주입한다. 즉, 이러한 일반적인 세척 및 보수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수조 또는 화분을 이동시켜야 한다. 식물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 망 형태의 용기 및 수조 또는 화분도 작은 크기로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수조 또는 화분을 이동시키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식물의 크기가 큰 경우, 망 형태의 용기 및 수조 또는 화분도 큰 크기로 구비되며, 따라서, 수조 또는 화분에 수용되는 물의 양도 비례하여 증대된다. 따라서, 이러한 대형의 식물을 수경재배하는 경우, 수조 또는 화분에 수용된 물을 제거하고 내부를 세척한 후, 다시 물을 주입하는데 많은 노동력이 투여될 뿐만 아니라, 수조 또는 화분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1수조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2수조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이용하여,제1수조부 내부의 세척,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경재배용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식물이 안착되는 용기부; 상기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1수조부; 상기 제1수조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수조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용기부가 설치되도록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수조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수조부에 수용된 상기 물 또는 이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제2수조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상기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수조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마감하는 마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조부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적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이 상기 제1수조부와 상기 제2수조부의 연결부분과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의 면적 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수조부는, 상기 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에 상기 제2수조부가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제1꼭지점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에 상기 제2수조부가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제2꼭지점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에 상기 제2수조부가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제3꼭지점에 형성되는 제3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저면은,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펌프부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펌프부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인 제2영역과,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펌프부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인 제3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펌프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호스;와 상기 제1호스에 연결되며, 외부의 압력에 의해 수축 및 이완됨으로써 상기 제1수조부에 수용된 상기 물을 상기 제1호스로 유입시키는 압력모듈;와 상기 압력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모듈로부터 상기 물을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2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제1수조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2수조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이용하여, 제1수조부 내부의 세척,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을 이용하여, 식물의 뿌리에 공급될 비료를 제1수조부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조부 내부에 관상용 금붕어 등을 양식하는 경우, 관통홀을 이용하여, 관상용 금붕어 등의 먹이를 제1수조부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조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관통홀을 이용함으로써, 제1수조부 내부의 전체공간을 빈틈없이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의 중심점을 지나며 제2수조부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인 가상의 직선이 각각 상호 120도로 이격 되도록 제2수조부의 외면에 형성되는 3개의 관통홀을 이용함으로써, 제1수조부 내부의 전체공간을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에 삽입설치되어 제1수조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펌프부를 이용함으로써, 제1수조부 내부의 공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화분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측면도 이고,
도 4는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측면도에서 도시된 A-A'부분을 절단한 평면도 이고,
도 5는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펌프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펌프부를 관통홀에 삽입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제1수조부의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을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화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화분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측면도 이고, 도 4는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측면도에서 도시된 A-A'부분을 절단한 평면도 이고, 도 5는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펌프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펌프부를 관통홀에 삽입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수경재배용 화분의 제1수조부의 바닥에 침전된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을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화분(100)은 용기부(110)와 제1수조부(120)와 제2수조부(130)와 펌프부(140)를 포함한다.
용기부(110)는 식물(p)이 안착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2수조부(130)의 개구된 단부에 삽입설치된다.
이러한 용기부(110)는 식물(p)의 뿌리가 하측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외면에 다수개의 노출홀을 형성한다. 식물(p)이 용기부(110) 내부에 안착되면, 상술한 노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식물(p)의 뿌리가 노출된다. 또한, 용기부(110)의 내부에는 식물(p)이 지지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자갈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제1수조부(120)는 식물(p)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제2수조부(130)에서 일체적으로 연장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수조부(130)와 연통된다.
물은 상술한 용기부(110)의 하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제1수조부(120)에 채워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식물(p)에 물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식물(p)의 뿌리에 물이 접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식물(p)의 뿌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출홀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용기부(110)의 하측면으로 연장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술한 제1수조부(120)는 투명의 유리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수조부(120)에는 관상용 금붕어 등이 수용되어 양식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관상용 금붕어 등이 관찰될 수 있도록, 제1수조부(120)는 투명의 유리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수조부(120)의 재질은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식물(p)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 및 형태로 구비되더라도 무방하다.
제2수조부(130)는 제1수조부(120)와 연통되도록 제1수조부(120)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써, 상술한 용기부(110)가 설치되도록 단부가 개구되며, 제1수조부(120)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관통홀(v)이 외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2수조부(130)의 개구된 단부에는 용기부(110)가 설치되어 용기부(110)에 수용된 식물(p)의 뿌리에 제2수조부(130)에 수용된 물이 공급될 수 있고, 용기부(110)를 개구된 단부에서 제거하면, 외부에서 개구된 단부를 통해 제2수조부(130)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관통홀(v)에는 후술하는 펌프부(140)가 삽입된다. 이때, 제1호스(141)의 단부가 제1수조부(120)의 바닥면에 근접되도록 깊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사용자가 펌프부(140)의 압력모듈(142)을 가압하면 제1수조부(120)의 바닥면에 근접한 물과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이 제1호스(141)부로 유입된 다음, 압력모듈(142), 제2호스(143)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제1수조부(120)의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제1수조부(120)의 바닥면의 면적도 넓어진다. 관통홀(v)을 통해 제1수조부(120)의 바닥면에 근접한 제1호스(141)의 단부의 이동범위는 제한적이므로, 제1호스(141)의 단부는 제1수조부(120)의 바닥 전체면에 근접될 수 없다. 따라서, 상술한 관통홀(v)은 제2수조부(130)의 외면에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통홀(v)은 관통홀(v)의 중심점을 지나며 제2수조부(130)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인 가상의 직선이 각각 상호 120도로 이격 되도록 제2수조부(13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두개의 관통홀(v)이 120도 미만의 각도로 이격되는 경우, 다른 하나의 관통홀(v)에 삽입되는 제1호스(141)가 근접되어야 할 제1수조부(120)의 바닥면이 상대적으로 넓어져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관통홀(v)이 각각 제2수조부(130)의 중심점으로 부터 각각 120도 이격되어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관통홀(v)로 제1호스(141)를 삽입함으로써, 제2수조부(130)의 전체 바닥면에 대해 제1호스(141)의 단부를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 형성된 관통홀(v)로 제1호스(141)를 삽입하는 경우, 제1면(s1)에 침전된 이물질 및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고, 좌측에 형성된 관통홀(v)로 제1호스(141)를 삽입하는 경우, 제2면(s2)에 침전된 이물질 및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고,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v)로 제1호스(141)를 삽입하는 경우, 제3면(s3)에 침전된 이물질 및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수조부(130)의 중심점으로부터 각각 120도로 이격형성되는 3개의 관통홀(v)에 의하면, 제2수조부(130)의 바닥 전체면(제1면(s1), 제2면(s2), 제3면(s3))에 대해 침전된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관통홀(v)에 제1호스(141)를 삽입하지 않는 경우, 즉, 세척 및 유지 보수의 필요가 없는 경우, 상술한 관통홀(v)에 마감부(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부에 의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제1수조부(120)에 수용된 물이 관통홀(v)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또한, 상술한 제2수조부(130)는 투명의 유리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수조부(120)에는 관상용 금붕어 등이 수용되어 양식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관상용 금붕어 등이 관찰될 수 있도록, 제2수조부(130)는 제1수조부(120)와 마찬가지로 투명의 유리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마감부(미도시)도 제2수조부(130)와 마찬가지로 투명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미관상 도움이 된다.
따라서, 관통홀(v)을 형성하는 제2수조부(130)에 의하면, 제1수조부(120) 내부의 세척,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v)을 이용하여, 식물(p)의 뿌리에 공급될 비료를 제1수조부(120)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고, 제1수조부(120) 내부에 관상용 금붕어 등을 양식하는 경우, 관통홀(v)을 이용하여, 관상용 금붕어 등의 먹이를 제1수조부(120) 내부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펌프부(140)는 관통홀(v)에 삽입설치되어 제1수조부(120)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것으로써, 제1호스(141)와 압력모듈(142)과 제2호스(143)를 포함한다.
제1호스(141)는 상술한 관통홀(v)에 삽입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압력모듈(142)과 연결된다. 압력모듈(142)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수축 및 이완됨으로써, 제1수조부(120)에 수용된 물을 제1호스(141)부로 유입시키는 것으로써, 일단부가 상술한 제1호스(141)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후술하는 제2호스(143)에 연결된다. 제2호스(143)는 상술한 압력모듈(142)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써, 일단부는 상술한 압력모듈(142)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배수가능한 지역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압력모듈(142)을 가압하여 압력을 발생시키면, 발생된 압력에 의해 제1호스(141)의 단부로 제1수조부(120)에 수용된 물과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이 흡수된다. 이후, 유입된 물과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은 발생된 기 발생된 압력에 의해, 압력모듈(142)로 유동되며, 이후, 제2호스(143)를 통해 외부(배수가 가능한 지역)로 배출된다.
또한, 상술한 압력모듈(142)은 인력이 아닌, 전기력으로 구동되는 모터(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호스(141)로 물과 이물질 및 부유물 등을 유입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제1호스(141)와 압력모듈(142)과 제2호스(143)를 포함하는 펌프부(140)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조를 배수가 가능한 지역으로 직접 이동시킬 필요없이, 관통홀(v)에 펌프부(140)를 삽입설치하고, 압력모듈(142)을 가압함으로써, 제1수조부(120) 내부의 공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용기부(110)와 제1수조부(120)와 제2수조부(130)와 펌프부(140)를 포함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화분(100)에 의하면, 식물(p)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1수조부(120)의 내부 바닥의 전체공간을 빈틈없이 효율적이며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경재배용 화분
110 : 용기부 120 : 제1수조부
130 : 제2수조부 140 : 펌프부
141 : 제1호스 142 : 압력모듈
143 : 제2호스
p : 식물 v : 관통홀
s1 : 제1면 s2 : 제2면
s3 : 제3면

Claims (5)

  1. 식물이 안착되는 용기부;
    상기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제1수조부;
    상기 제1수조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1수조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용기부가 설치되도록 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외면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수조부;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제1수조부에 수용된 상기 물 또는 이물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로 유출시키는 펌프부; 및
    상기 관통홀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제2수조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상기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2수조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관통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관통홀을 마감하는 마감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수조부는,
    원형으로 마련되는 저면과, 상기 저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적으로 연장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이 상기 제1수조부와 상기 제2수조부의 연결부분과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의 면적 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수조부는,
    상기 측면에서 연장형성되되 상기 개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에 상기 제2수조부가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제1꼭지점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에 상기 제2수조부가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제2꼭지점의 위치에 형성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저면에 평행하는 가상의 평면에 상기 제2수조부가 교차됨으로써 형성되는 가상의 원주에 내접하는 가상의 정삼각형의 제3꼭지점에 형성되는 제3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저면은,
    상기 제1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펌프부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인 제1영역과, 상기 제2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펌프부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인 제2영역과, 상기 제3관통홀에 삽입되는 상기 펌프부의 단부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인 제3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호스;와 상기 제1호스에 연결되며, 외부의 압력에 의해 수축 및 이완됨으로써 상기 제1수조부에 수용된 상기 물을 상기 제1호스로 유입시키는 압력모듈;와 상기 압력모듈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모듈로부터 상기 물을 전달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2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용 화분.
KR2020140007700U 2014-10-23 2014-10-23 수경재배용 화분 KR200482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00U KR200482511Y1 (ko) 2014-10-23 2014-10-23 수경재배용 화분
PCT/KR2015/009764 WO2016064094A1 (ko) 2014-10-23 2015-09-17 수경재배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700U KR200482511Y1 (ko) 2014-10-23 2014-10-23 수경재배용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29U KR20160001429U (ko) 2016-05-03
KR200482511Y1 true KR200482511Y1 (ko) 2017-02-02

Family

ID=5576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700U KR200482511Y1 (ko) 2014-10-23 2014-10-23 수경재배용 화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2511Y1 (ko)
WO (1) WO2016064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139A1 (ko) * 2018-06-18 2019-12-26 주식회사 뉴텍정공 스텐화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556A (ja) 2004-03-30 2005-10-13 Chiba Hiroko プランター
KR200405810Y1 (ko) 2005-10-10 2006-01-11 주식회사 덕신양행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484U (ko) * 1996-09-19 1998-07-06 이종휘 관상식물의 수경재배용 화분
KR200389646Y1 (ko) * 2005-04-28 2005-07-14 명순민 수경재배용 화분
KR200411165Y1 (ko) * 2005-12-15 2006-03-10 조성진 수경 화초 재배용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556A (ja) 2004-03-30 2005-10-13 Chiba Hiroko プランター
KR200405810Y1 (ko) 2005-10-10 2006-01-11 주식회사 덕신양행 어항용 이물질 제거용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4094A1 (ko) 2016-04-28
KR20160001429U (ko)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9917C (en) Aeroponic system
US8505238B2 (en)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US201501733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eroponic growth
KR101585754B1 (ko) 수경재배 화분
TWI663908B (zh) 水栽托盤和水栽系統
US20130247462A1 (en) Watering and Drainage Arrangement for a Multi-Layer Horticultural Structure
KR101961291B1 (ko) 개량된 급수구조를 갖는 다단식 식물 재배장치
WO20121543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flow algae scrubber, macroalgal photobioreactor and seaweed cultivator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20160111766A (ko) 공기정화 및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식생 구조물
KR101466179B1 (ko) 수족관 겸용 식물재배장치
KR101433088B1 (ko) 양액 재배기
WO2009050548A3 (en) Equipment for the cleaning of filters in water distribution plants
KR200482511Y1 (ko) 수경재배용 화분
CN115460909B (zh) 用于植物栽培的水培系统及合成生长介质
KR20160053399A (ko) 난 재배장치
US20120090235A1 (en) Apparatus for a Plant Growth Medium
KR101414557B1 (ko) 에브 앤드 플로우용 슬림형 재배 포트 어셈블리
RU138445U1 (ru)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на вертикальных поверхностях
JP2001128588A (ja) プランター付水槽
CN105613094A (zh) 一种利于花卉生长的花卉种植用花盆
JP2019536481A (ja) 植物栽培装置
JP2004154084A (ja) 植物栽培方法と植物栽培装置と植物展示装置
CN208480352U (zh) 一种盆栽用的组合型花盆
JP7043693B2 (ja) 水耕栽培装置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