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3981Y1 - 수족관용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3981Y1
KR910003981Y1 KR2019890012110U KR890012110U KR910003981Y1 KR 910003981 Y1 KR910003981 Y1 KR 910003981Y1 KR 2019890012110 U KR2019890012110 U KR 2019890012110U KR 890012110 U KR890012110 U KR 890012110U KR 910003981 Y1 KR910003981 Y1 KR 910003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rium
discharge
inner cylinder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2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806U (ko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이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우 filed Critical 이광우
Priority to KR2019890012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3981Y1/ko
Publication of KR910003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3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족관용 정수 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출 가이드부 2 : 배출구
3 : 잔여 공기 배출구 4 : 공기 주입구
5 : 물배출 뚜껑체 6 : 유입구멍
7 : 여과포 8 : 내통
9 : 유입구멍 10 : 유입통
11 : 호우스 접속구 12 : 걸쇠
13 : 외통
본 고안은 수족관 또는 어항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족관 또는 어항 내부의 물을 자연 여과시켜 항상 맑은 물을 공급하여 주므로써 관상용 물고기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킬수 있도록한 수족관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종류의 정수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못하므로 해서 관상용 물고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자하여 수족관 내부에 더러워진물을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를 개선코자 하여 기포장치를 이용한 것이 있었으나, 이역시 수족관 내부에 산소를 공급하여 주므로써 물고기의 생명을 다소 연장시켜 주는 이점은 있으나 내부물 자체의 불순물등을 여과할수가 없는 것이어서 항상 맑고 생기가 넘치는 정수 상태를 유지할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수족관 내부에 설치가 매우 용이하면서도 내부물 자체의 불순물을 여과시켜 항상 생기있는 정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관상용 어류의 생명을 보다 연장시켜 줄수 있도록하는 수족관용 정수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고안 장치는, 일측에 배출가이드부(1)가 형성되고 중앙에 배출구(2), 잔여공기배출구(3) 및 공기주입구(4)가 각각 형성된 물배출 뚜껑체(5)를 외주면에 다수개의 유입구멍(6)이 뚫어지고 여과포(7)가 띠로 묶여 형성된 내통(8)과 나사 맞춤 결합하고, 유입구멍(9)이 다수개 뚫어진 유입통(10)이 연결되는 호우스 접속구(11)와 조절가능한 걸쇠(12)가 각각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외통(13)내에 상기 내통(8)을 삽입시킴과 동시에 상부에 물배출 뚜껑체(5)를 얹져서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4는 공기 주입 호우스, 15는 가이편, 16, 16'는 보울트, 17은 고정부재, 18은 연결 호우스, 19는 흡착구, 20은 배출 연결통이다.
이와같이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제 2 도는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고안 장치를 수족관 내부의 적절한 게소인 일측면(22)에 걸어 장착하여 수면의 높이가 유입구(11)와 물 배출 뚜껑체(5)의 밑면 사이에 이르도록하는 위치에 걸쇠(12)를 가이드편(15)내부에 집어넣은후 보울트(16), (16')를 체결한다.
그리고 호우스 접속구(11)에 연결호우스(18)를 개재하여 끝단에 연결된 유입통(10)은 모래 및 자갈(21)속에 매설하거나 모래 및 자갈(21)면 위에 얹어 놓은 상태로 사용하여도 좋다.
여기서 연결호우스(18)의 끝단에 유입통(10)을 형성한 것은 연결 호우스(18)의 내경보다 작은 물고기가 연결 호우스(18)내부로 들어가서 물의 순환로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이 수족관 내부의 수면 높이가 호우스 접속구(11)와 물배출 뚜껑체(5)의 밑면 사이에 이른 상태에서는 유입구멍(9)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연결 호우스(18)와 호우스 접속구(11)를 거쳐 외통(13)내부로 유입된다.
이와같이 유입된 물은 내통(8)의 외주면을 에워싸고 있는 나일론 솜재로된 여과포(7) 및 내통(8)의 외주면에 뚫려져 있는 다수개의 유입구멍(6)을 거쳐 배출 연결통(20)의 저면으로부터 물배출 뚜껑체(5)의 중앙에 형성된 배출구(2)를 향하여 분출된다.
이때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등은 여과포(7)에 의하여 여과된후 그의 표면에 부착되므로 내통(8)의 내부에는 침입되지 못한다.
이와같이해서 깨끗하게 여과된 물은 상기한 배출구(2)를 통하여 마치 분수대에서 분출되는 형상과 같이 분출됨과 동시에 배출 가이드부(1)를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같이 공기의 부력과 수족관 내부 물 자체의 압력에 의한 자연순환을 계속해서 행함으로써 수족관 내부에 물을 항상 맑고 깨끗하게 정수할수가 있다.
여기서 잔여 공기 배출구(3)는 내통(8)으로 유입되는 공기중 배출연결통(20)의 주위로 새어나가는 잔여공기를 물 배출뚜껑체(5) 밖으로 배출하여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함으로써 물의 순환을 보다 촉진시키기 위한 것이고, 공기 주입구(4)는 기존의 기포 장치로 부터의 호우스를 연결사용하여 내통(8)내부에 공기를 공급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또한 공기 주입 호우스(14)는 배출 연결통(20)내부로 빠져 나가는 공기의 부력과 함께 물을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 장치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추구함은 물론 자연순환에 따라 수족관 내의 물을 항상 맑고 깨끗하게 정수할수가 있는 것이어서 관상용 물고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여과포에 부착된 불순물만을 1개월에 한번 정도 제거하면 재사용 할수가 있어 물을 빈번히 갈아 주어야하는 종래의 사용상 번거로움을 해소할수가 있는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배출가이드부(1)가 형성되고 중앙에 배출구(2), 잔여공기 배출구(3) 및 공기 주입구(4)가 각각 형성된 물배출 뚜껑체(5)를 외주면에 다수개의 유입구멍(6)이 뚫어지고, 여과포(7)가 띠로 묶여 형성된 내통(8)과 나사맞춤 결함하고, 유입구멍(9)이 다수개 뚫어진 유입통(10)이 연결되는 호우스 접속구(11)와 조절 가능한 걸쇠(12)가 각각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외통(13)내에 상기 내통(8)을 삽입 시킴과 동시에 상부에 물배출 뚜껑체(5)를 얹져서된 수족관용 정수 장치.
KR2019890012110U 1989-08-17 1989-08-17 수족관용 정수 장치 KR910003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110U KR910003981Y1 (ko) 1989-08-17 1989-08-17 수족관용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2110U KR910003981Y1 (ko) 1989-08-17 1989-08-17 수족관용 정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806U KR910003806U (ko) 1991-03-18
KR910003981Y1 true KR910003981Y1 (ko) 1991-06-10

Family

ID=19289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2110U KR910003981Y1 (ko) 1989-08-17 1989-08-17 수족관용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39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51U (ko) * 2018-06-28 2020-01-07 배용근 수족관용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51U (ko) * 2018-06-28 2020-01-07 배용근 수족관용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806U (ko) 199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3858A (en)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EP0151852B1 (en) Filter
KR200141729Y1 (ko) 관상어용여과장치
BR8807804A (pt) Cabeca de limpeza alongada e alojamento interno separavel
US4894151A (en) Filter cartridge for an undergravel aquarium filter
KR910003981Y1 (ko) 수족관용 정수 장치
JPH0338883B2 (ko)
EP0523498A1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KR100973773B1 (ko) 수족관 정수장치
KR950002022Y1 (ko) 일회용 정수기
KR910002904Y1 (ko) 어항용 정수통
KR940005157Y1 (ko) 정수기용 물통
JP2928054B2 (ja) 気液混合装置
JPS6335839Y2 (ko)
SU121075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возки живой рыбы
KR100392296B1 (ko) 물탱크용 정화장치
SU793532A1 (ru) Установка дл выращивани МОлОди Рыб
KR940003864A (ko) 자화/연수처리기
KR950006693Y1 (ko) 폐수처리를 위한 폭기용 산기관
KR900004406Y1 (ko) 정수기
KR890006703Y1 (ko) 식수용 케틀(Kettle)
KR100284972B1 (ko) 청정 해수기
KR940005576Y1 (ko) 연료탱크의 연료여과장치
JP3935576B2 (ja) 観賞魚水槽用濾過装置
JPS59206020A (ja) 液体の濾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