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5291A -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5291A
KR20160115291A KR1020150042641A KR20150042641A KR20160115291A KR 20160115291 A KR20160115291 A KR 20160115291A KR 1020150042641 A KR1020150042641 A KR 1020150042641A KR 20150042641 A KR20150042641 A KR 20150042641A KR 20160115291 A KR20160115291 A KR 20160115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urity
water
tank
pipe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인석
Original Assignee
성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인석 filed Critical 성인석
Priority to KR1020150042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5291A/ko
Publication of KR20160115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5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활어수족관의 수조 내 물의 여과 및 정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설치되는 배관의 레이 아웃에 대한 공간 효율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불순물과 이물질 및 이끼 등을 배출하는 배관에 대한 청소를 간단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어수족관 여과장치{FILTERING EQUIPMENT OF AN AQUARIUM}
본 발명은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어수족관의 수중에 포함된 찌꺼기 및 세균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물을 정화할 수 있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어 횟집 등에 설치되는 활어수족관에는 활어수족관 내부의 물을 정수할 수 있는 여과장치가 구비된다.
활어수족관의 활어수조 내의 활어는 일반적으로 많은 분비물을 방출시켜 수질 오염 및 세균 증식을 초래한다.
이러한 오염 및 세균에 의해 활어의 질병 및 나아가 폐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물갈이를 자주 해주고, 활어수조 내부의 배설물 찌꺼기를 적시에 청소하여 활어수족관 내 해수의 청결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활어수조 내의 물을 자주 교체하는 것은 관리비용 문제와 더불어 환경오염의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여과장치를 부설하여 활어수조 내의 물이 여과장치를 순환하면서 정화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공지된 활어수족관은 활어수조의 하부에 여과조를 구비한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다. 하부 박스 공간 내부에 여과조와 냉각장치 등의 기계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박스 상부로 아크릴 수지 등으로 제조되는 활어수조가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활어수족관에서는 여과조에 비해 활어수조의 위치가 높아서 작업 및 관리가 불편하며, 활어수조의 물이 아래의 여과조로 유동하는 구조로서 여과조의 청소를 위해서는 활어수조의 물을 전부 빼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조의 내부가 항상 물에 잠겨진 상태를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여과장치는 거품수집통에 모인 불순물을 불순물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나, 상기 불순물 배출관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배관 레이 아웃(lay-out)에 대한 공간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불순물 배출관을 청소를 하기 위해서는 여과장치를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8492호(2011.8.1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활어수족관의 수조 내 물의 여과 및 정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설치되는 배관의 레이 아웃에 대한 공간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순물과 이물질 및 이끼 등을 배출하는 배관에 대한 청소를 간단하고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 여과장치는, 본체 내부에 기포로 수중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불순물 분리조와, 상기 불순물 분리조에서 분리된 불순물을 수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불순물 수집조를 포함하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분리조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며 물과 공기호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혼합하는 벤츄리를 구비한 연결관과, 바닥면에 마련된 원통컵 내에 연장되어 상기 원통컵의 내주면을 향해 물과 외부 공기의 혼합물을 분사하는 분사관이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 수집조는, 상기 불순물 분리조의 상부로 분리판을 매개로 상기 불순물 분리조와 구분되어 형성되되, 상부 분리판에는 상기 불순물 수집조 내부에서 불순물을 포집한 기포가 모여 상기 불순물 수집조로 이동하게 하는 거품수집통이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 수집조에 모인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불순물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거품수집통의 직상방에는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고 제1캡을 통해 개폐되며 둘레면으로 투명영역을 갖는 투명창이 구비된 불순물 관찰관이 형성되되, 상기 거품수집통은 상단이 상기 투명창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거품수집통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불순물 수집조로 이동하는 기포의 이동이 육안관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유입관은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은 역'U'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관의 입구측에는 상기 벤츄리로 이동하는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공판을 내장하는 필터통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분리판에는 상기 거품수집통의 일측으로 불순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 배출관은 상기 불순물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 분리조 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불순물 유입구의 직상방으로 제2캡을 통해 개폐되는 오물청소구가 형성되어, 상기 오물청소구를 통해 상기 불순물 배출관 내부의 청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불순물 분리조의 일측으로 상기 불순물 분리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여과층을 구비한 여과조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조에는 상기 불순물 분리조 내부의 물이 이동되는 이동관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관의 단부에 출구가 상방을 향해 형성된 분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분배관의 출구 둘레면에 상기 여과층 상부로 물을 골고루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 다공판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의하면, 활어수족관 수조 내의 물에 있는 불순물, 이물질이나 이끼 및 세균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활어수족관 수조 내의 수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활어의 생태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불순물 배출관을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내에 배치하여 배관 레이 아웃(lay-out)에 대한 공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거품수집통과 불순물 배출관에 별도의 청소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불순물 배출관을 거품수집통으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간단히 청소할 수 있어 불순물, 이물질 또는 이끼 등을 제거하고, 세균 번식 및 악취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 정수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의 불순물 분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의 여과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의 일 실시예는 하부수조(10), 상부수조(20),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 및 냉각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수조(10)는 활어를 수용하는 곳으로서, 활어를 수용하는 하부수조(10)를 바닥면에 가까운 하부에 배치하여 활어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며, 활어 취급성의 용이성을 훼손함이 없이 하부수조(10)의 높이를 키우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심을 깊게 하여 활어의 생태환경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수조(10)의 하단 측면에는 드레인관(125)이 연통되어 하부수조(10)의 물을 냉각장치(40)로 공급한다.
상기 상부수조(20)는 하부수조(10)의 상부에 하부수조(10)보다 작게 형성되는 데, 상부수조(20)의 물이 오버플로우관(25)에 의해 하부수조(10)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관(25)은 상부수조(2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하부수조(10) 내로 연장되는 데, 상부수조(20)의 물이 오버플로우관(25)에 의해 일정한 수면 높이를 유지하며, 오버플로우관(25)의 상단 보다 높은 수면의 물이 오버플로우관(25) 내로 유입되어 하부수조(10)로 유입된다. 상부수조(20)는 하부수조(10)에 일정한 양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부수조(20)에도 활어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수조(20)의 상부에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가 설치되는데, 후술하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의 여과조(350)의 바이오볼층(375) 하부와 상부수조(20)의 수면이 동일하거나, 바이오볼층(375)의 하부가 더 높은 위치로 배치되도록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를 설치함으로써, 여과조(350) 내부의 수위선이 바이오볼층(375) 아래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 내부의 여과조(350)가 물에 잠겨지지 않는 상태로 물리적 여과 및 생물학적 여과가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는 하부수조(10)에서 배출된 물을 냉각장치(40)를 경유하여 공급받는다. 냉각장치(40)는 하부수조(10)의 물을 받아 냉각하는 장치로서, 물 온도를 활어의 생태환경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의 여과조(350) 수위선은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수용되는 상부수조(20)의 수면과 관계되므로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의 여과조(350)의 수위선이 후술하는 바이오볼층(375) 하부로 형성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상부수조(20) 상부로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상부수조(20)가 생략된 상태라면 하부수조(10)의 수면을 고려하여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의 여과조(350)의 바이오볼층(375) 하부로 수위선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가 하부수조(10)의 하부 위치로 배치되어 물을 공급받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하부수조(10)를 상대적으로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보다 아래에 배치하여 하부수조(10)의 위치를 낮추는 것이 가능하며,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의 내부의 여과조(350)가 물에 잠기지 않는 상태로 여과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활어수족관은 상부수조(20) 및 냉각장치(40)를 포함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수조(20) 및 냉각장치(40) 없이 하부수조(10)의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가 설치된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는 본체(301) 내부에 기포로 수중의 불순물을 분리 제거하는 불순물 분리조(320) 및 불순물 수집조(330)와, 물리적 방법 및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물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조(350)를 구비한다.
상기 활어수족관 여과장치(30)는 상기 냉각장치(4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는데, 이 경우 냉각장치(40)를 경유한 하부수조(10)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305)이 본체(301)의 하부로부터 도입된다. 냉각장치(40)가 없는 경우 하부수조(10)의 물이 펌프(미도시) 등을 통해 유입관(305)으로 직접 유입된다.
상기 유입관(305)에는 역'U'자 형상의 연결관(306)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306)의 도중에는 유입관(305)의 물과 외부 공기를 혼합하기 위한 벤츄리(307)가 연결되며, 상기 벤츄리(307)를 통과한 물은 분사관(308)을 통해 불순물 분리조(32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벤츄리(307)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호스(307b)와,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밸브(307a)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벤츄리(307)로 물이 유동하기 전의 상기 연결관(306)의 입구측에 벤츄리(307)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홀이 형성된 다공판(311)을 포함하는 필터통(3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필터통(310)은 활어의 비늘이나 이물질이 벤츄리(307)를 폐쇄시킬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통(310) 내의 이물질은 펌프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물이 역류되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분리조(320)의 바닥에는 원통컵(325)이 설치되고, 분사관(308)은 상기 원통컵(325) 내부로 연장되는데, 분사관(308)의 하단은 원통컵(325) 내부벽, 즉 바닥면 또는 내주면을 향하여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분사관(308)을 통해 배출되는 물과 공기의 혼합물은 원통컵(325) 내주면에 부딪히면서 원통컵(325)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와류 흐름을 만들게 된다. 이때, 분사관(308)의 하단이 원통컵(325) 내주면을 향하여 굽혀져 있고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원통컵(325) 내주면에 부딪히는 물과 공기의 혼합물이 내주면을 따라 회전력을 받게 되어, 보다 활발하게 상승하는 와류가 발생하게 된다. 물과 공기의 혼합물은 원통컵(325) 내부에서 벽과 부딪히면서 혼합되고 원통컵(325) 내주면을 따라 상승흐름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물속에 불순물들이 기포에 의해 포집되거나 상승 와류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불순물 분리조(320)와 불순물 수집조(330)의 경계가 되는 분리판(321)에는 상승한 기포, 즉 물속의 불순물을 포집한 기포가 모이는 거품수집통(331)이 연결된다. 상기 거품수집통(331)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진 둘레면을 갖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거품수집통(331)의 직상방에는 본체(301)의 외부에 위치하며, 제1캡(332a)을 통해 개폐되는 불순물 관찰관(332)이 연결되어 있으며, 불순물 관찰관(332)에는 투명영역을 갖는 투명창(332b)이 구성된다. 거품수집통(331)의 상단은 불순물 관찰관(332)의 투명창(332b)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거품수집통(331) 상단을 통해 불순물을 포집한 기포가 흘러넘치면서 불순물 관찰관(332)의 내주면과 거품수집통(331) 외주면 사이를 통해 거품수집통(331)에서 불순물 수집조(330)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불순물 관찰관(332)의 투명창(332b)을 통해 불순물의 배출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이때, 과다하게 폭기가 되면 물거품이 과다하게 배출되어 활어수족관의 물이 줄어들게 되므로 사용자는 공기조절밸브(307a)의 조절을 통해 공기유입량 등을 조정하여 불순물 배출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활어수족관의 오염상태도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품수집통(331) 일측의 분리판(321)에는 불순물 유입구(333)가 형성되며, 상기 불순물 유입구(333)에는 불순물 배출관(334)이 연결되어 거품수집통(331)에 모인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불순물 배출관(334)은 불순물 분리조(320) 내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어, 상기 거품수집통(331)으로 모인 불순물이 불순물 유입구(333)와 불순물 배출관(334)을 차례로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불순물 배출관(334)이 불순물 분리조(320)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불순물 배출관(334)이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보다는 배관 레이 아웃(lay-out)에 대한 공간 효율성이 증대된다. 이때, 상기 불순물 유입구(333)의 직상방에는 본체(301)의 외부에 위치하며 제2캡(335a)을 통해 개폐되는 오물청소구(33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불순물 배출관(334)의 청소필요여부를 오물청소구(335a)를 통해 확인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청소가 필요한 경우 오물청소구(335a)를 통해 청소도구를 불순물 배출관(334)에 삽입하여 청소가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캡(332a,335a)을 통해 개폐되는 각각의 불순물 관찰관(332)과 오물청소구(335a)를 통해 불순물 수집조(330)를 깨끗이 청소할 수 있다. 즉, 활어수족관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배관의 내측에 생기는 불순물, 이물질 또는 이끼 등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세균 번식 및 악취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 정수된 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불순물 분리조(320)에는 그 내부의 물이 여과조(350)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관(327)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관(327)은 원통컵(325)의 측면에서, 하단이 불순물 분리조(320)의 바닥면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되고 측면으로 굽혀져 불순물 분리조(320)의 일측에 배치된 여과조(350)로 연장된다. 상기 이동관(327)의 단부에는 분배관(328)이 연결되어 출구가 상방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출구의 둘레에는 다수의 구멍을 갖는 다공판(329)이 설치되어 있으며, 분배관(328)의 출구를 통해 상방으로 분출되는 물이 다공판(329)의 구멍을 통해 배출되어 여과층(360) 상부로 물을 골고루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분배관(328)은 탈착이 가능하고 불순물 분리조(320)의 수위 조절 기능이 있으며 분배관(328)의 제거시 불순물 분리조(320)의 수위를 낮추게 되어 불순물이 제거되는 속도를 늦추는 동시에 과다하게 물거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분배관(328)의 하부에는 여과층(360)이 형성된다. 상기 여과층(360)은 필터층(370)과, 상기 필터층(370)의 하부에 형성되어 물을 생물학적으로 여과하는 바이오볼층(375)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층(370)은 여과솜 또는 스폰지 등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통과하는 물 속의 불순물, 이물질이나 이끼 등을 걸러내는 물리적 여과 기능을 한다.
상기 바이오볼층(375)은 바이오볼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바이오볼을 그물망 또는 자루 등에 담아서 사용하는데, 제오라이트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오라이트는 수질 정화기능과 함께 암모니아 등을 흡착 제거하여 PH 조절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볼은 질산염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이 번식하여 물을 생물학적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있다.
상기 여과층(360)의 하부에는 불순물이 적층하여 후술하는 물배출관(39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다공지지판(380)이 설치된다.
상기 다공지지판(380)은 상방으로 둘레면에 측벽(381)이 구비되고, 상부면의 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러한 구획에 의해 상기 바이오볼층(375)을 통과한 물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고 전면적을 통해 물이 균일하게 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다공지지판(380)을 통해 물이 배출되면서 물의 낙차 유속을 일정하게 조절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여과조(350)에는 내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배출관(390)이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의하면, 활어수족관 수조 내의 물에 있는 불순물, 이물질이나 이끼 및 세균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활어수족관 수조 내의 수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활어의 생태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불순물 수집조(330)에 연결된 불순물 배출관(334)을 불순물 분리조(320) 내부에 배치하여 외부에 마련된 기존의 불순물 배출관(334) 보다 배관 레이 아웃(lay-out)에 대한 공간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수집조(330)의 거품수집통(331)과 불순물 배출관(334)에 별도의 청소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불순물 배출관(334)을 거품수집통(331)으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청소도구를 이용하여 간단히 청소할 수 있어 불순물, 이물질 또는 이끼 등을 제거하고, 세균 번식 및 악취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 정수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부수조 20 : 상부수조
30 :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40 : 냉각장치
301 : 본체 305 : 유입관
306 : 연결관 307 : 벤츄리
308 : 분사관 320 : 불순물 분리조
321 : 분리판 325 : 원통컵
327 : 이동관 328 : 분배관
329 : 다공판 330 : 불순물 수집조
331 : 거품수집통 332 : 불순물 관찰관
333 : 불순물 유입구 334 : 불순물 배출관
335 : 오물청소구 350 : 여과조
360 : 여과층 370 : 필터층
375 ; 바이오볼층 380 : 다공지지판
381 : 측벽 390 : 물배출관

Claims (4)

  1. 본체 내부에 기포로 수중의 불순물을 분리하는 불순물 분리조와, 상기 불순물 분리조에서 분리된 불순물을 수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불순물 수집조를 포함하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분리조는,
    상기 본체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며 물과 공기호스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혼합하는 벤츄리를 구비한 연결관과, 바닥면에 마련된 원통컵 내에 연장되어 상기 원통컵의 내주면을 향해 물과 외부 공기의 혼합물을 분사하는 분사관이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 수집조는,
    상기 불순물 분리조의 상부로 분리판을 매개로 상기 불순물 분리조와 구분되어 형성되되, 상부 분리판에는 상기 불순물 수집조 내부에서 불순물을 포집한 기포가 모여 상기 불순물 수집조로 이동하게 하는 거품수집통이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 수집조에 모인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불순물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거품수집통의 직상방에는 상기 본체 외부에 위치하고 제1캡을 통해 개폐되며 둘레면으로 투명영역을 갖는 투명창이 구비된 불순물 관찰관이 형성되되, 상기 거품수집통은 상단이 상기 투명창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거품수집통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불순물 수집조로 이동하는 기포의 이동이 육안관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본체의 하측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은 역'U'자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관의 입구측에는 상기 벤츄리로 이동하는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공판을 내장하는 필터통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에는 상기 거품수집통의 일측으로 불순물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불순물 배출관은 상기 불순물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불순물 분리조 내부를 통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불순물 유입구의 직상방으로 제2캡을 통해 개폐되는 오물청소구가 형성되어, 상기 오물청소구를 통해 상기 불순물 배출관 내부의 청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불순물 분리조의 일측으로 상기 불순물 분리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여과층을 구비한 여과조가 구비되며,
    상기 여과조에는 상기 불순물 분리조 내부의 물이 이동되는 이동관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관의 단부에 출구가 상방을 향해 형성된 분배관이 설치되며, 상기 분배관의 출구 둘레면에 상기 여과층 상부로 물을 골고루 분사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을 갖는 다공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KR1020150042641A 2015-03-26 2015-03-26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KR20160115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641A KR20160115291A (ko) 2015-03-26 2015-03-26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641A KR20160115291A (ko) 2015-03-26 2015-03-26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5291A true KR20160115291A (ko) 2016-10-06

Family

ID=5716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641A KR20160115291A (ko) 2015-03-26 2015-03-26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52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706A (ko) * 2017-06-15 2018-12-26 주식회사 현성냉열 수족관 냉각장치
KR20200001359U (ko) 2018-12-14 2020-06-24 정계환 수조겸용 테이블
KR102148116B1 (ko) 2020-03-23 2020-08-25 박종연 활어 수족관의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
KR20200104611A (ko) * 2019-02-27 2020-09-04 성인석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6706A (ko) * 2017-06-15 2018-12-26 주식회사 현성냉열 수족관 냉각장치
KR20200001359U (ko) 2018-12-14 2020-06-24 정계환 수조겸용 테이블
KR20200104611A (ko) * 2019-02-27 2020-09-04 성인석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KR102148116B1 (ko) 2020-03-23 2020-08-25 박종연 활어 수족관의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70180U (zh) 一种循环水玻璃钢水族箱系统
KR20160115291A (ko) 활어수족관 여과장치
CN209151999U (zh) 具有快速及时排污功能的保持箱底清洁的新型水族箱
KR101068556B1 (ko) 수족관용 정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족관
KR101058492B1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US7363878B2 (en) Waste extraction system
KR101404144B1 (ko) 작동중인 수족관을 청소하는 시스템
CN106305569B (zh) 自洁净内循环控温型养殖系统
KR100957173B1 (ko)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101782735B1 (ko) 에너지 절감용 순환 여과식 어류 양식시스템
EP232841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water environment of sludge, in particular an aquarium, miniature decorative pond, or oceanarium
KR20090116023A (ko) 수족관의 수질 여과장치
KR101718360B1 (ko)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CN208234677U (zh) 过滤净化装置
CN206629769U (zh) 一种自沉淀鱼缸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KR102149691B1 (ko) 수조용 이물질 포집장치
KR100564147B1 (ko) 해수의 정수 및 살균장치
CN210076364U (zh) 一种斑马鱼养殖自净化系统
KR101169392B1 (ko) 펌프가 내장되는 수족관용 여과기
KR101061439B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CN2882249Y (zh) 水族养殖槽结构
US20110079555A1 (en) Aquarium Filter
KR20120118177A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족관
JPH10337131A (ja) 魚用養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