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963B1 - 보조배플을 갖는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보조배플을 갖는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963B1
KR100970963B1 KR1020080018834A KR20080018834A KR100970963B1 KR 100970963 B1 KR100970963 B1 KR 100970963B1 KR 1020080018834 A KR1020080018834 A KR 1020080018834A KR 20080018834 A KR20080018834 A KR 20080018834A KR 100970963 B1 KR100970963 B1 KR 10097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anel
screen
baffle
foreign matt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357A (ko
Inventor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주)정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봉 filed Critical (주)정봉
Priority to KR102008001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9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스프라켓과, 상기 상부 및 하부스크라켓을 폐루프상으로 순환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오염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패널 및 상기 스크린패널로부터 외향 돌출된 레이크를 갖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저부면과 상기 하부스프라켓 사이의 이격틈을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은 걸러내는 한편, 이물질이 걸러진 오염수는 통과시키는 보조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플은 상기 수로의 저부면에 폭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상부 일 영역이 상기 하부스프라켓을 거친 상기 스크린패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되, 측면 투영시 상기 스크린패널을 향한 탄성력을 갖도록 적어도 일구간이 굴곡되는 브러쉬배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오염수가 유입되는 수로 상에 이물질이 침전되어 부패 및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스크린장치가 제공된다.
스크린, 스프라켓, 체인, 배플판, 침전

Description

보조배플을 갖는 스크린장치{Screen device of support baffle}
본 발명은,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 하부의 수로 상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 오수나 산업 폐수 등의 오염수를 정화하는 수처리 시스템의 오염수 유입부에는 오염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장치가 설치된다.
스크린장치의 일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스크린장치(101)는 수로(水路)의 상하부 영역에 걸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110)과, 본체프레임(110)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스프라켓(121) 및 하부스프라켓(123)과, 상부스프라켓(121) 및 하부스프라켓(123)에 폐루프 상으로 결합되어 순환 회전하는 체인(125)과, 체인(125)을 순환 회전시키는 모터(128)와, 체인(125)에 결합되어 순환회전하면서 수로를 통과하는 오염수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패널(127) 및 스크린패널(127)로부터 외향 돌출된 레이크(129)를 포함한다.
이러한 스크린장치(101)는 모터(128) 구동에 의해 체인(125)이 폐루프 상으로 순환 회전하면, 체인(125)에 고정된 스크린패널(127) 역시 체인(125)을 따라 순 환 회전한다. 이 스크린패널(127)은 수로의 하부영역을 거치면서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로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스크린패널(127)에 결합된 레이크(129)는 스크린패널(127)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스크린패널(127)에 걸러진 상태로 본체프레임(110) 상부로 끌어올린 다음, 본체프레임(110) 상부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구(110a)로 낙하시킨다. 이에 의해, 오염수내에 함유되는 이물질은 수로에 쌓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 제거된다.
한편, 수로에 잠기는 본체프레임(110)의 하부영역은 수로를 통과하는 오염수가 모두 스크린패널(127)을 거쳐 통과되도록 본체프레임(110)의 양측이 수로의 양측 내벽면에 밀착되고, 본체프레임(110)의 하부와 수로의 내측 저부면이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110)의 하부에는 하부스프라켓(123)과 수로의 저부면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틈을 차단하기 위한 이격틈차단배플(1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격틈차단배플(130)은 수로의 저부면과 하부스프라켓(123)을 지나 상향 이동하는 스크린패널(127)에 접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하부스프라켓(123)과 수로의 저부면 사이에 발생하는 이격틈으로 오염수가 통과되지 못 하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스크린장치(101)에 있어서는, 이격틈차단배플(130)이 단순하게 수로의 저부면과 스크린패널(127)에 접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수 내에 포함된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침전되면, 도 5의 표시부 "C"와 같이, 이격틈차단배플(130)의 높이 만큼 수로의 저부면에 쌓이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렇게 수로의 저부면에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부패 및 악취 등이 발생하게 되며, 관리자가 일일이 주기적으로 수로를 청소해야 하므로 스크린장치(101)의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로 상에 이물질이 침전되어 부패 및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수로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스프라켓과, 상기 상부 및 하부스크라켓을 폐루프상으로 순환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상기 오염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패널 및 상기 스크린패널로부터 외향 돌출된 레이크를 갖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저부면과 상기 하부스프라켓 사이의 이격틈을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은 걸러내는 한편, 이물질이 걸러진 오염수는 통과시키는 보조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플은 상기 수로의 저부면에 폭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상부 일 영역이 상기 하부스프라켓을 거친 상기 스크린패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되, 측면 투영시 상기 스크린패널을 향한 탄성력을 갖도록 적어도 일구간이 굴곡되는 브러쉬배플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브러쉬배플은 상기 수로의 폭방향으로 상호 소정의 이물질 걸름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브러쉬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브러쉬바의 이물질 걸름 간격은 상기 스크린패널의 이물질 걸름 간격에 대응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에 의해, 수로 상에 이물질이 침전되어 부패 및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스크린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1)는 수로(水路)의 상하부 영역에 걸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10)과, 본체프레임(10)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부스프라켓(21) 및 하부스프라켓(23)과, 상부스프라켓(21) 및 하부스프라켓(23)에 폐루프 상으로 결합되어 순환 회전하는 체인(25)과, 체인(25)을 순환 회전시키는 모터(28)와, 체인(25)에 결합되어 순환회전하면서 수로를 통과하는 오염수내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패널(27) 및 스크린패널(27)로부터 외향 돌출된 레이크(29)와, 본체프레임(10) 하부영역에 발생하는 수로의 저부면과 하부스프라켓(23) 사이의 이격틈을 차단하는 보조배플(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린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은 보조배플(30)을 제외한 구성 및 작동과정이 전술한 종래 스크린장치(10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보조배플(30)은 하부스프라켓(23)에 인접한 수로의 저부면과 하부스프라켓(23) 사이의 이격틈을 차단하는 브러쉬배플(31)과, 수로의 저부면에 폭방향으로 고정되어 브러쉬배플(3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3)를 가지고 있다.
브러쉬배플(31)은 수로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이물질 걸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브러쉬바(31a)에 의해 구성되는데, 이때, 각 브러쉬바(31a)는 상부 일 영역이 하부스프라켓(23)을 거친 스크린패널(27)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브러쉬바(31a)의 탄성력은 브러쉬바(31a)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구간이 굴곡되어 있는 구조에 의해서 부여된다. 이에 의해 브러쉬배플(31)은 그 상부 일영역이 하부스프라켓(23)을 거친 스크린패널(27)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여기서, 각 브러쉬바(31a)의 이물질 걸름 간격은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은 브러쉬바(31a)에 걸리면서 각 브러쉬바(31a) 간의 간격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오염수가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을 의미한다. 이 브러쉬바(31a)의 이물질 걸름 간격은 스크린패널(27)의 이물질 걸름 간격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크린장치(1)의 설치 규격에서 걸러내고자 하는 이물질의 크기를 보조배플(30)의 브러쉬배플(31)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기 위함이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브러쉬배플(31)의 이물질 걸름 간격은 스크린패널(27)과 상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1)는 모터(28) 구동에 의해 체인(25)이 폐루프 상으로 순환 회전하면, 체인(25)에 고정된 스크린패널(27)과 스크린패널(27)에 결합된 레이크(29) 역시 체인(25)을 따라 순환 회전한다. 이때, 스크린패널(27)은 수로의 하부영역을 거치면서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수로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스크린패널(27)에 결합된 레이크(29)는 스크린패널(27)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을 스크린패널(27)에 걸러진 상태로 본체프레임(10) 상부로 끌어올린다.
그리고, 이물질을 끌어올린 스크린패널(27)과 레이크(29)가 본체프레임(10) 상부에 형성된 이물질 배출구(10a)에 이르면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 이물질 배출구(10a)로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수로의 저부면과 하부스프라켓(23) 사이의 이격틈을 차단하는 보조배플(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배플(31)이 탄성력에 의해서 "a"와 같이, 상부 영역이 하부스프라켓(23)을 거치는 스크린패널(27)에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이물질이 수로의 저부면과 하부스프라켁(23) 사이의 이격틈으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크린패널(27)과 레이크(29)가 체인(25)을 따라 하부스프라켓(23)을 거쳐 상향이동하는 과정에서 레이크(29)가 브러쉬배플(31)에 접촉하면 가상선 "b"와 같이 브러쉬배플(31)이 스크린패널(27)에서 소폭 이격된다.
그런 다음, 레이크(29)가 상향 이동하여 브러쉬배플(31)의 상부 영역을 지나 치면, 브러쉬배플(31)은 탄성력에 의해 다시 "a"의 위치로 복귀하여 스크린패널(27)에 접촉함으로써, 수로의 저부면과 하부스프라켓(23) 사이의 이격틈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스크린패널(27)에 대한 브러쉬배플(31)의 접촉 및 이격 작용은 스크린패널(27)과 레이크(29)의 순환회전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스크린패널(27)에 대한 브러쉬배플(31)의 접촉 및 이격 작용은 브러쉬배플(31) 후방의 수로 저부 영역을 자극하게 됨으로써, 이 영역에 이물질이 침전되어 쌓이지 못하고 부유하여 결국에는 스크린패널(27)과 레이크(29)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이에 의해서, 스크린패널(27)을 거치기 전에 오염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자중에 의해 수로 저부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부패 및 악취 등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막을 수 있으며, 관리자가 일일이 수로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크린장치(1)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영역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영역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종래 스크린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B"영역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프레임 23 : 하부스프라켓
25 : 체인 27 : 스크린패널
29 : 레이크 30 : 보조배플
31 : 브러쉬배플 33 : 지지부재

Claims (5)

  1. 수로에 설치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스프라켓과, 상기 상부 및 하부스크라켓을 폐루프상으로 순환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오염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패널 및 상기 스크린패널로부터 외향 돌출된 레이크를 갖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로의 저부면과 상기 하부스프라켓 사이의 이격틈을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이물질은 걸러내는 한편, 이물질이 걸러진 오염수는 통과시키는 보조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배플은 상기 수로의 저부면에 폭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상부 일 영역이 상기 하부스프라켓을 거친 상기 스크린패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되, 측면 투영시 상기 스크린패널을 향한 탄성력을 갖도록 적어도 일구간이 굴곡되는 브러쉬배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배플은 상기 수로의 폭방향으로 상호 소정의 이물질 걸름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브러쉬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바의 이물질 걸름 간격은 상기 스크린패널의 이물질 걸름 간격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장치.
KR1020080018834A 2008-02-29 2008-02-29 보조배플을 갖는 스크린장치 KR10097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834A KR100970963B1 (ko) 2008-02-29 2008-02-29 보조배플을 갖는 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8834A KR100970963B1 (ko) 2008-02-29 2008-02-29 보조배플을 갖는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357A KR20090093357A (ko) 2009-09-02
KR100970963B1 true KR100970963B1 (ko) 2010-07-21

Family

ID=4130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8834A KR100970963B1 (ko) 2008-02-29 2008-02-29 보조배플을 갖는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069B1 (ko) * 2014-12-31 2016-01-06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부 협잡물 수거 기능이 향상된 제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527A (ja) * 1993-04-15 1994-10-25 Ebara Corp 塵芥選別装置
JPH0734432A (ja) * 1993-07-23 1995-02-03 Ebara Corp 除塵装置
JPH0742131A (ja) * 1993-07-28 1995-02-10 Endo Koki Kk 除塵機
KR200247793Y1 (ko) * 2001-06-15 2001-10-18 보성환경산업(주) 스크린 제진기
KR20020047793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폭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한 아웃사이드미러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527A (ja) * 1993-04-15 1994-10-25 Ebara Corp 塵芥選別装置
JPH0734432A (ja) * 1993-07-23 1995-02-03 Ebara Corp 除塵装置
JPH0742131A (ja) * 1993-07-28 1995-02-10 Endo Koki Kk 除塵機
KR20020047793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폭방향 위치조절이 가능한 아웃사이드미러 장착구조
KR200247793Y1 (ko) * 2001-06-15 2001-10-18 보성환경산업(주) 스크린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357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974B1 (ko) 브러쉬를 갖는 이중 레이크 구조
KR101964591B1 (ko) 로터리 제진기
JP4041026B2 (ja) 横型バースクリーン装置
KR102009847B1 (ko) 비점오염 저감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331968B1 (ko) 커터장치가 설치된 로타리 제진기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KR100970963B1 (ko) 보조배플을 갖는 스크린장치
KR20090050455A (ko) 폐수처리용 스크린의 세정장치
KR102601272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1822178B1 (ko) 휠스크린 장치
KR100826316B1 (ko) 각형 풀리식 협잡물 제거장치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1931526B1 (ko) 각종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로타리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0539701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325471B1 (ko) 프레임 부착 롤러 타입의 회전망스크린 장치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KR101126198B1 (ko) 폐수정화장치용 무빙스크린기의 스크린판
KR101675524B1 (ko) 수직밴드형 스크린용 협잡물 통과 방지구조
KR200386291Y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365038B1 (ko) 협잡물 처리용 로타리 제진기
KR200466104Y1 (ko) 스컴 제거장치
JP2805740B2 (ja) 除塵設備
JP2008190176A (ja) スクリーン循環式除塵機
KR20100047033A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