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031Y1 - 종합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종합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031Y1
KR200260031Y1 KR2020010020927U KR20010020927U KR200260031Y1 KR 200260031 Y1 KR200260031 Y1 KR 200260031Y1 KR 2020010020927 U KR2020010020927 U KR 2020010020927U KR 20010020927 U KR20010020927 U KR 20010020927U KR 200260031 Y1 KR200260031 Y1 KR 2002600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creen
water treatment
tank
chains
scraper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인효석
Original Assignee
인효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효석 filed Critical 인효석
Priority to KR2020010020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0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03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관거를 따라 유입되는 상·하수 중에 포함된 모래나 돌 조각 등은 침전시키고 플라스틱 병과 같은 협잡물은 바아스크린으로 걸러내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 사이에 스크레이퍼수단이나 버킷을 병행 설치하여, 체인회전시, 이들 스크레이퍼수단이나 여기에 병행 설치된 버킷이 협잡물과 침사를 모두 제거토록 한 종합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종합수처리장치는, 막대모양의 바아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한 바아스크린과; 상기 바아스크린과 침사조의 바닥부를 모두 경유하도록 무한궤도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상기 바아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인양·제거하면서 상기 바닥부에 침전된 침사를 침사조의 상류측으로 긁어모으는 스크레이퍼수단과; 상기 스크레이퍼수단에 의해 침사호퍼 쪽으로 긁어모아진 침사를 침사조의 바깥으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침사호퍼 내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침사제거수단;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종합수처리장치{SOLID MATERIAL AND GRIT AND GERASY MATTER REMOVER}
본 고안은 모래나 돌 조각 등 비중이 큰 물질은 침전시키고 플라스틱 병이나 나뭇가지와 같은 협잡물은 스크린으로 걸러내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협잡물 제거용의 바아스크린과 침사조의 바닥부를 경유하도록 침사조 내에 스크레이퍼수단을 설치하고 필요한 경우 버킷을 병행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크레이퍼수단에 의해서 침사와 협잡물이 한꺼번에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종합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증가와 더불어서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가정이나 공장에서 사용 후 배출되는 오·폐수의 발생량이 많아지고 있다.
이들 오·폐수는 빗물과 함께 하수(下水)라 불리는데, 이러한 하수에는 많은 양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그대로 방류될 경우 수질이 크게 나빠지게 되므로, 대개는 하수처리장에서 수처리 한 후 하천에 방류하게 된다.
한편, 취수펌프장이나 중계펌프장과 같은 각종 펌프장에서도 유입수와 함께 각종 오염물질이 수처리시설 안으로 유입되고 있는데, 상기 유입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면, 펌프장에 설치된 펌프나 기계류에 고장이 생길 뿐만 아니라 다음 공정으로의 이행도 이루어지지 않아 시설 전체가 무용지물로 전락해 버리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수처리시설에서는 관거(管渠)와 침전지 사이에 침사장치 또는 침사지를 설치하여, 상기 유입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자갈이나 모래처럼 물에 가라앉는 침사(물)와 플라스틱 병이나 나뭇가지처럼 물에 뜨는 협잡물이 물리적인 방법에 의해서 제거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침사장치는, 타공형 스크린 또는 웨지 드럼형 스크린을 이용하여 협잡물을 거른 다음 스크루로 인양·제거하고, 수평형스크루컨베이어로 침사를 수집한 후 경사형스크루컨베이어로 침사를 인양·제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으로 사용하고 상기 스크린의 청소수단으로 브러시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스크린의 구멍(또는 메쉬)에 끼인 협잡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스크린이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침사조의 바닥부에 침전된 침사(침사물)를 제거할 때, 침사 이송용의 수평스크루컨베이어와 침사인양용의 경사스크루컨베이어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침사지나 침사장치를 운전하는데 동력이 많이 소모되고, 기계류의 전장(길이, 높이, 폭 등)이 커져 시설비나 건축비 및 토목공사비가 증가될 뿐 아니라 각종 기계류와 펌프를 유지·관리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침사장치에는 침사세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침사제거시, 미세한 이토(泥土)성분까지 모조리 제거되어 비효율적이었으며, 기름이나 비누거품과 같은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로 부유물(스컴)제거수단이나 스크레이퍼수단을 채용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수처리장치(특히, 침사장치)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협잡물 제거기능과 침사세정기능과 침사인양기능 등이 모두 갖추어진 종합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침사조의 상류측에 설치된 바아스크린과 침사조의 바닥부 사이에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을 설치하고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스크레이퍼수단과 버킷을 병행 설치함으로써, 유입수 중에 포함된 협잡물과 침사가 이들 스크레이퍼수단과 버킷에 의해 모두 제거될 수 있도록 한 단순한 구조의 종합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면에 떠 있는 기름(막) 등의 미세부유물을 수처리중인 유입수로부터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종합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설비(시공비)와 유지보수비가 저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종합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종합수처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3a는 도2에 도시된 종합수처리장치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3b는 체인과 스크레이퍼수단 및 체인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도2에 도시된 종합수처리장치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8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9는 도8에 도시된 종합수처리장치를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11은 제4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침사조, 2...침사호퍼,
3...침사배출스크루컨베이어, 4...모터,
5...바아스크린, 6...침사세정송풍기,
7...유입구, 8...유출구,
9...침사배출구, 10...협잡물배출구,
11...스크레이퍼수단, 12...침사컨테이너,
13...협잡물컨테이너, 14...침사세정공기노즐,
15...침사세정수노즐, 16...침사이탈방지판,
17...버킷, 18...배수망,
19...부유물제거판, 20...레이크,
21...스프로킷휠, 22...체인,
23...경사판, 24...가이드판,
25...부유물배출부, 26...배출위어,
27...배출탱크, 28...미세목 바아스크린,
29...미세협잡물컨테이너, 30...망사형컨테이너
31...드레인밸브, 50...스크레이퍼,
51...바닥부.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바아스크린이 상류측에 형성된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침사조의 바닥부 및 바아스크린을 경유하도록 무한궤도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체인회전시 일측은 바닥부에 접촉되고 타측은 바아스크린에 접촉되도록 된 스크레이퍼수단과; 상기 바아스크린의 하부에 형성된 침사호퍼와; 상기 침사호퍼에 연결된 침사제거수단;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체인과 함께 무한궤도로 구동되는 스크레이퍼수단의 일측이 침사조의 바닥부를 지나면서 상기 바닥부에 가라앉은 침사를 침사조의 상류측에 형성된 침사호퍼 쪽으로 모으게 되고, 이렇게 모여진 침사는 침사제거수단에 의해서 침사조의 바깥쪽으로 배출되며, 상기 침사조의 바닥부를 벗어난 스크레이퍼수단의 타측이 바아스크린을 경유하면서 상기 바아스크린 사이에 끼인 협잡물을 바아스크린으로부터 분리·인양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에 부가적으로 부유물제거판을 설치하고 침사조의 하류측에 상기 침사조의 수면보다 입구위치가 높게 부유물배출부를 설치하면, 한 쌍의 체인에 양단이 각각 고정된 채 상기 체인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스크레이퍼수단이 바닥부에 가라앉은 침사와 바아스크린 사이에 끼인 협잡물을 제거하는 동안 부유물제거판은 침사조의 수면에 거의 평행하게 이동하면서 상기 수면에 떠 있는 기름 등의 미세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종합수처리장치는, 바아스크린이 상류측에 형성된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침사조의 바닥부 및 상기 바아스크린을 경유하도록 무한궤도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며, 일측이 상기 바아스크린에 접촉되도록 된 스크레이퍼수단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체인회전시 일측이 상기 바닥부에 접촉되며 침사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된 버킷을 포함하는 침사제거수단;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르면, 체인과 함께 무한궤도로 구동되는 스크레이퍼수단의 일측이 침사조의 바닥부를 지나면서 상기 바닥부에 가라앉은 침사를 침사조의 상류측으로 모으게 되고, 이렇게 모여진 침사는 스크레이퍼수단에 인접·설치된 버킷으로 퍼 올려져 침사조의 바깥으로 배출되며, 상기 스크레이퍼수단의 타측에 형성된 레이크가 상기 바아스크린을 경유하면서 바아스크린 사이에 끼인 협잡물을 분리·인양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인 사이에, 앞서와 마찬가지로 부유물제거판을 설치하고 침사조의 하류측에 침사조의 수면보다 입구위치가 높게 부유물배출부를 설치하면, 침사와 협잡물이 제거되는 동안 상기 부유물제거판이 침사조의 수면에 떠 있는 부유물을 제거함으로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종합수처리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협잡물'은 비중이 가벼워 물에 뜨거나 물 속에 내포되는 오염물질을 일컫고, '침사(침사물)'는 비중이 무거워 물에 가라앉는 오염물질을 일컬으며, 부유물은 상기 협잡물 중 비누거품이나 기름처럼 일정한 형태가 없이 시시각각 형상이 변하는 미세부유물인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스크레이퍼수단'이란 일측이 협잡물제거용의 레이크로 작용하고 타측은 침사를 긁어모으는 스크레이퍼로 작용하는 구성요소인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기능 및 구조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병기함으로써, 설명의 간략화를 도모하였다.
후술하는 각각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한 예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은 모두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1 : 기본형(A-type)
일반적인 처리기능을 갖춘 형태로서, 이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가 도1 내지 도3b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여러가지 오염물질이 포함된 유입수는 침사조(1)의 상류측에 형성된 유입구(7)를 통해서 본 실시예의 종합수처리장치의 안으로 유입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유입구의 후방(하류측)에 비스듬히 설치된 바아스크린(5)에 의하여 상기 유입수에서 협잡물이 걸러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유입수가 침사조의 하류측에 형성된 유출구(8) 쪽으로 유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유입수 중에 포함된 모래나 돌 조각 등이 중력의 작용을 받아서 상기 유입구(7)와 유출구(8) 사이에 있는 침사조의 바닥부(51)에 가라앉게 된다.
이때, 상기 바아스크린에 억류되어 있던 협잡물은, 도3b에 도시한 것처럼, 한 쌍의 체인(22)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스크레이퍼수단(11)의 레이크(20)에 의해 바아스크린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위쪽으로 인양된다. 이때, 상기 레이크에 인접·설치된 스크레이퍼(50)는 분리된 협잡물을 떠받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레이퍼와 레이크가 별개의 몸체로 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한 몸으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한 쌍의 체인(22)은 브래킷과 같은 통상의 고정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침사조의 내부나 바아스크린의 상단부에 설치해 둔 스프로킷휠(2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며, 도2에서와 같이 상기 침사조의 상류측에 설치된 모터(4)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스크레이퍼수단이 침사조의 바닥부(51)와 바아스크린 사이를 무한궤도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특정한 스프로킷휠의 회전축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이들 사이에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통상의 전동수단을 채용할 경우, 상기 침사조의 바닥부와 바아스크린을 모두 경유하고 있는 상기 체인(22)의 이동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상기 레이크에 의해 분리·인양된 협잡물은, 침사조의 상류측에 세워진 덕트 타입의 협잡물배출구(10)를 통해서 침사조의 외측에 위치된 협잡물컨테이너(13) 쪽으로 배출된다.
이에 반해, 상기 침사조(1)의 바닥부에 침전된 침사는, 협잡물제거작업을 수행하고 귀환하는 스크레이퍼수단(11)의 스크레이퍼(50)에 의해서 침사조의 상류측으로 긁어모아지고, 침사조의 상류측 내부에 설치된 침사이탈방지판(16)의 하부공간을 통해서 유입구(7) 근처에 형성된 침사호퍼(2)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침사호퍼 내에 모아진 침사는, 침사호퍼의 내부로 일부분이 돌출된 침사세정수노즐(15)과 침사세정공기노즐(14)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와 세정공기에 의해 세정된다.
이때, 상기 세정수는 외부의 세정수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침사호퍼 내에 공급되며, 상기 세정공기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침사호퍼와의 인접위치에 설치한 침사세정송풍기(6)에 의해 공급된다.
한편, 하부 폭이 상부 폭보다 좁은 'V'자형을 이루고 있는 침사조의 상류측 하부에는 역사다리꼴 형태의 침사이탈방지판(16)을 설치하여, 상기 세정수와 세정공기의 교반작용에 의한 침사세정시 침사호퍼로부터 침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도3a 참조).
이후, 상기 세정수와 세정공기에 의하여 세정된 침사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사호퍼 내에 하단부가 일부 삽입된 침사배출스크루컨베이어(3)로 인양되어 침사배출구(9)를 통해 침사컨테이너(12)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침사배출스크루컨베이어는 지면에 수평한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침사인양시 탈수작용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도2에 도시한 것처럼 비스듬히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각종 오염물질이 제거된 유입수는 침사조의 하류측에 형성된 유출구(8)를 통하여 다음 처리공정으로 배출되며, 침사조를 청소하거나 유지 보수하는 경우에는 도2에 도시된 것처럼 침사호퍼의 바닥 쪽에 설치된 드레인밸브(31)를 열어 침사조 안에 남아 있던 유입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종합수처리장치는, 한 쌍의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스크레이퍼수단이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능뿐 아니라 침사조의 바닥부에 침전된 침사를 침사호퍼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종래의 수처리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던 고가의 침사이송용 스크루컨베이어를 생략할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구조도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침사 표면에 부착된 이토성분이 세정작업을 통해서 말끔히 제거된 후 바깥으로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 단순형(B-type)
협잡물 및 침사의 발생이 비교적 적은 곳에서 사용하기에 알맞은 형태로, 종래 협잡물제거와 침사제거에 이용되던 2대의 장치를 하나의 장치에 기능적으로 통합한 것이 특징이다.
이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가 도4 내지 도6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처리대상인 유입수는 침사조(1)의 상류측에 형성된 유입구(7)를 통하여 유입되며, 이때 유입수 중에 포함된 협잡물은 유입구의 후방에 설치된 바아스크린(5)에 의하여 걸러지고, 모래 등의 침사물은 상기 침사조의 바닥부(51)에 침전된다.
상기 바아스크린(5)에 억류된 협잡물은, 도3b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체인(22)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스크레이퍼수단(11)의 레이크(20)에 의해 위로 긁어 올려지며, 이때 상기 레이크는 바아스크린의 바아 사이에 꽉 끼인 침사물이나 협잡물도 강제로 긁어 올려서 빼내게 된다.
여기서, 바아스크린을 구성하는 바아의 형상을 쐐기형(삼각형 바아)으로 하면, 바아 사이에 끼인 침사물의 분리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다수의 스프로킷휠에 지지된 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은 모터(4)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상기 스프로킷휠과 모터 사이에는 앞에서 언급한 동력전달수단이 개재될 수 있고, 모터 축이 스프로킷휠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레이크에 의해서 분리된 협잡물은, 상기 스크레이퍼수단(11)의 타측에 형성된 스크레이퍼에 얹혀져 바아스크린(5)의 상부로 인양되고, 상기 바아스크린의 최고점위치에 인접·설치된 스프로킷휠을 지나면서 상기 스크레이퍼의 상·하면의 위치가 반전될 때, 스크레이퍼에 얹혀져 인양되던 협잡물이 침사배출구(9)를 통하여 침사와 함께 침사컨테이너(12)로 배출된다.
이에 반하여, 침사조의 바닥부(51)에 침전된 침사는, 협잡물제거작업을 수행하고 귀환하는 스크레이퍼수단에 의해, 상기 침사조의 상류측 내부에 설치된 침사이탈방지판(16)의 하부공간을 통해 침사조의 상류측으로 긁어모아지게 된다.
이렇게 모여진 침사는, 상술한 실시예1과 달리, 침사조의 상류측 바닥부에 설치된 침사세정공기노즐(14)과 침사세정수노즐(15)에 의해서 말끔히 세정된다.
상기 과정을 거쳐 세정된 침사는 스크레이퍼수단과 함께 한 쌍의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병행·설치된 버킷(17)에 퍼 담겨져 바아스크린의 상부로 인양되고, 침사조의 상류측에 형성된 침사배출구(9)를 통해 침사컨테이너(12)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버킷의 바닥면을 일부 잘라내고 그 자리에 도5와 같이 배수망(18)을 설치하면, 침사인양 중에 탈수가 진행되어 무게가 가벼워지므로 저출력의 모터를 사용하더라도 침사를 인양·제거할 수 있고 구동에너지도 적게 소모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6은 침사세정송풍기이고, 8은 유출구이며, 31은 드레인밸브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실시예2의 종합수처리장치는 한 대의 구동장치로 협잡물과 침사를 모두 제거하기 때문에, 종래의 수처리장치보다 구조도 간단하지만 시설비도 저렴하고 무엇보다 유지보수에 편리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 3 : 부유물제거형(C-type)
본 실시예에 따른 종합수처리장치는 침사조의 수면에 떠있는 부유성 미세협잡물(부유물)을 걷어내는데 유효한 형태로, 침사조 하류측의 내면 상부에 경사판과 가이드판이 설치되고 상기 경사판의 하류측 말단에 상측 개구가 연결되도록 덕트 타입의 부유물배출부가 설치됨으로써, 스크레이퍼수단과 병행·설치된 부유물제거판이 수면에 평행하게 침사조의 하류측으로 이동하면서 걷어낸 부유물이 상기 부유물배출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침사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부유물배출부보다 더 하류측에 배출탱크 및 배출위어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요소인 경사판과 부유물배출부 등은 그대로 실시예1,2의 종합수처리장치에 채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입수와 함께 흘러들어 온 오염물질 중 침사조(1)의 상류측에 설치된 바아스크린(5)에서 제거되지 않은 부유물은, 스크레이퍼수단(11)과 함께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22)에 설치된 부유물제거판(19)이 수면에 평행하게 이동하는 중에 침사조의 하류측으로 모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침사조의 하류측 수면에 밀집된 부유물은, 상기 체인과 함께 무한궤도로 움직이는 부유물제거판(19)에 의해, 입구단보다 출구단의 위치가 더 높게 설치되어 있는 경사판(23) 쪽으로 밀려들어가게 되고, 이때 하류측으로 갈수록 사이가 좁아지는 경사판 양측의 가이드판(24)에 의하여 상기 경사판 위에 부유물이 더욱 고밀도로 밀집된 상태에서 부유물배출부(25) 쪽으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제거판의 소재로 고무판이나 탄성이 우수한 비금속판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경사판의 표면에 부유물제거판의 하면(또는 하단부)이 밀착된 상태로 움직이게 되어 수면으로부터 부유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유물제거작업 종료 후 상기 부유물제거판의 형상이 원래대로 회복되어 다음 번 작업 시에도 똑같은 작업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배출된 부유물은 상기 부유물배출부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고-액 분리용의 망사형컨테이너(30)에 저장되어 탈수처리 된다.
한편,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위조절용 배출위어(26)와 배출탱크(27)를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침사조의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종합수처리장치에 따르면, 유입수 중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이 무한궤도로 움직이는 스크레이퍼수단과 부유물제거판에 의해서 한꺼번에 제거될 수 있고, 특히 구동수단을 하나만 채용해도 되기 때문에 시설비가 저렴해지고 유지보수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 4 : 미세목스크린부착형(D-type)
본 실시예의 종합수처리장치는 미세한 협잡물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 또는 협잡물의 발생량이 과다하여 1대의 바아스크린으로는 처리가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연장된 침사조의 하류측에 미세목 바아스크린(28)을 설치하여 완벽하게 협잡물이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미세목 바아스크린(또는 세목 바아스크린)은 바아 사이의 간격이 바아스크린에 비해서 좁다는 점 외에는 구성 및 작용·효과가 동일하고, 도면부호 29는 미세협잡물컨테이너로서 실시예1에 언급된 협잡물컨테이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의 장치를 구성하는 나머지 구성요소들도 실질적으로 도1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특징적 구성요소인 미세목 바아스크린은 실시예1,2,3에서 개시된 종합수처리장치에 그대로 채용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
본 고안의 종합수처리장치는 협잡물제거를 위한 스크린기능과 침사제거기능및 세정기능과, 침사인양기능이 하나의 장치에 집적됨으로써 유입수 중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한꺼번에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크레이퍼수단과 부유물제거판 등이 하나의 체인구동장치에 연계되어 할당된 작업을 수행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고 시설비가 저렴한 특징이 있다.

Claims (3)

  1. 바아스크린이 상류측에 형성된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침사조의 바닥부와 상기 바아스크린을 경유하도록 무한궤도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체인회전시 일측은 상기 바닥부에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바아스크린에 접촉되도록 된 스크레이퍼수단과;
    상기 바아스크린의 하부에 형성된 침사호퍼와;
    상기 침사호퍼에 연결된 침사제거수단;을 갖는 종합수처리장치.
  2. 바아스크린이 상류측에 형성된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침사조의 바닥부와 상기 바아스크린을 경유하도록 무한궤도로 구성된 한 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바아스크린에 접촉되도록 된 스크레이퍼수단과;
    상기 한 쌍의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체인회전시 일측이 상기 바닥부에 접촉되며, 침사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된 버킷을 포함하는 침사제거수단;을 갖는 종합수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은 침사조의 수면과 거의 평행하도록 경유하며;
    상기 스크레이퍼수단에 부착되거나 독립적으로 상기 체인 사이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상기 수면과 접촉되도록 된 부유물제거판과;
    침사조의 하류측에 형성되며, 입구가 상기 수면보다 높게 형성된 부유물배출부;를 갖는 종합수처리장치.
KR2020010020927U 2001-07-11 2001-07-11 종합수처리장치 KR2002600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27U KR200260031Y1 (ko) 2001-07-11 2001-07-11 종합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27U KR200260031Y1 (ko) 2001-07-11 2001-07-11 종합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031Y1 true KR200260031Y1 (ko) 2002-01-10

Family

ID=7310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27U KR200260031Y1 (ko) 2001-07-11 2001-07-11 종합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031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69B1 (ko) 2006-01-16 2006-12-11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유효면적을 증대시킨 회전바 스크린 필터장치
KR100962038B1 (ko) * 2003-06-11 2010-06-08 김승희 원형침사형 종합수처리장치
KR101199266B1 (ko) * 2010-09-06 2012-11-09 (주) 산내들이엔씨 수처리장치
KR101345262B1 (ko) 2012-08-02 2013-12-26 이전웅 V―블록형 경사판 침전장치
KR101938119B1 (ko) * 2018-09-06 2019-01-14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대용량 하폐수 처리장치
KR102002750B1 (ko) 2019-01-18 2019-07-23 박홍규 종합 수처리 시스템
KR102543741B1 (ko) 2022-12-13 2023-06-16 주식회사 가온텍 침사 및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905A (ja) * 1983-02-01 1984-08-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クリ−ニングおよび揚砂搬出装置
JPS6369512A (ja) * 1986-09-09 1988-03-29 Nippon Kokan Kk <Nkk> 沈砂池設備
JPH04126505A (ja) * 1990-09-14 1992-04-27 Hitachi Kiden Kogyo Ltd 沈砂し渣掻揚機
JPH0919605A (ja) * 1995-07-06 1997-01-21 Hazama Kisetsu Kogyo Kk 下水、汚水水路に於けるし渣、沈砂掻揚装置
JPH0994405A (ja) * 1995-10-02 1997-04-08 Hitachi Kiden Kogyo Ltd 砂ごみ分離搬出装置
KR19990016162U (ko) * 1997-10-23 1999-05-15 이정표 폐수부유물 분리이송장치
KR200171325Y1 (ko) * 1999-09-10 2000-03-15 주식회사제일기전 하·폐수처리장의 협잡물 인양·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905A (ja) * 1983-02-01 1984-08-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スクリ−ニングおよび揚砂搬出装置
JPS6369512A (ja) * 1986-09-09 1988-03-29 Nippon Kokan Kk <Nkk> 沈砂池設備
JPH04126505A (ja) * 1990-09-14 1992-04-27 Hitachi Kiden Kogyo Ltd 沈砂し渣掻揚機
JPH0919605A (ja) * 1995-07-06 1997-01-21 Hazama Kisetsu Kogyo Kk 下水、汚水水路に於けるし渣、沈砂掻揚装置
JPH0994405A (ja) * 1995-10-02 1997-04-08 Hitachi Kiden Kogyo Ltd 砂ごみ分離搬出装置
KR19990016162U (ko) * 1997-10-23 1999-05-15 이정표 폐수부유물 분리이송장치
KR200171325Y1 (ko) * 1999-09-10 2000-03-15 주식회사제일기전 하·폐수처리장의 협잡물 인양·제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038B1 (ko) * 2003-06-11 2010-06-08 김승희 원형침사형 종합수처리장치
KR100655469B1 (ko) 2006-01-16 2006-12-11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유효면적을 증대시킨 회전바 스크린 필터장치
KR101199266B1 (ko) * 2010-09-06 2012-11-09 (주) 산내들이엔씨 수처리장치
KR101345262B1 (ko) 2012-08-02 2013-12-26 이전웅 V―블록형 경사판 침전장치
KR101938119B1 (ko) * 2018-09-06 2019-01-14 주식회사 대양환경기술 대용량 하폐수 처리장치
KR102002750B1 (ko) 2019-01-18 2019-07-23 박홍규 종합 수처리 시스템
KR102543741B1 (ko) 2022-12-13 2023-06-16 주식회사 가온텍 침사 및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553B1 (ko) 합류식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JP4678627B2 (ja) 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洗浄処理装置
KR100530970B1 (ko) 배수처리장치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KR100912058B1 (ko)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KR101199266B1 (ko) 수처리장치
KR101878395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20200031792A (ko) 하·폐수용 침전 탱크 부착형 여과기
KR100920683B1 (ko) 준설물 종합 전처리 장치
KR200417549Y1 (ko) 침사용 타공이송 컨베이어
KR102488107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
JP2004016862A (ja) 油回収装置及び油汚染土壌の洗浄処理装置
KR102601272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JP4141229B2 (ja)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JP3909539B2 (ja) 汚泥掻寄機
KR102038453B1 (ko)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장치를 구비한 준설물 처리장치
KR101609134B1 (ko) 준설물 전처리 장치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10084037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JP2004033983A (ja) 洗浄水自動供給スクリーン
KR200221274Y1 (ko) 경사판과 유동상여재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0384198B1 (ko) 협잡물 및 침사 제거장치
KR200346465Y1 (ko)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KR100962038B1 (ko) 원형침사형 종합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