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498B1 -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498B1
KR100428498B1 KR1020030041752A KR20030041752A KR100428498B1 KR 100428498 B1 KR100428498 B1 KR 100428498B1 KR 1020030041752 A KR1020030041752 A KR 1020030041752A KR 20030041752 A KR20030041752 A KR 20030041752A KR 100428498 B1 KR100428498 B1 KR 10042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water
discharge
foreign matter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규
Original Assignee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이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이충규 filed Critical 충청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8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us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통으로부터 세척수와 골재만 투입되는 별도의 배출공간에서 세척된 골재를 배출함으로서, 배출되는 골재의 표면에 수조통에 혼합되어 있는 부유물 및 부유미분(이하, 부유 이물질이라 한다.)이 재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으로 하며, 세척수와 폐골재가 채워지며 하부에는 전,후방 경사판을 포함하는 원호형 배출통로가 구비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하부로 배출부가 형성된 원통형 배출통로가 돌출 구비되어 있는 수조통과, 일측의 나사산은 상기 원통형 배출통로의 내면에 둘레가 밀착되게 삽입되고 일측 외의 나사산 부분은 상기 원호형 배출통로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포함되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게 장착된 하부 경사닥트와 이 하부 경사닥트와 연통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부 경사닥트 및 이 상부 경사닥트 내에 장착되어 하부로 유입되는 골재를 상부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버켓 컨베이어로 구성된 골재 배출부, 및 상기 수조통의 일측판 상측에 수면과 상응되게 배출통로가 형성되되 이 배출통로와 수조통의 상부 일측에 부유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장착되고 이송밸트에 다수의 격판이 구비되어 있는 밸트 스크래핑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나사산에는, 골재의 배출 속도를 느리게 하여 골재에 부착된 미분을 재차 부상되게 할 수 있도록 나사산을 다수로 구획하는 부상 간격부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조통 타측의 내부에는, 입자가 큰 부상 이물질을 강제 부상시킬 수 있도록 세척수에 와류를 일으키는 모터와 연결된 팬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조통 타측의 수면 바로 하측에는, 부유 이물질을 상기 밸트 스크래핑부측으로 이송시키고 수조통 내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밸브가 포함되는 물 공급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로의 외측 하부에는, 상부에 구비되어 부유 이물질의 수분을 걸러내어 부유 이물질을 일측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경사망과 시 경사망의 하측에 구비되어 물을 회수하여 폐수처리조로 배출하는 물 회수장치로 구성된 부유 이물질 수분제거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버켓 컨베이어는, 상,하에 위치된 구동, 종동축의 사이에 감겨진 밸트와, 이 밸트에 종방향의 다수로 고정되어 있고 상부만 개방되어 외측은 골재의 인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판으로 되어 있으며 물을 배수하는 배수홀들이 형성된 버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분리장치{A sepa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폐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제적으로는 건축 폐기물을 파쇄하여 얻어진 폐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 및 부유미분 등의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고자 하는 이물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폐기물이라 함은 건물, 교량, 도로 등의 구조물을 철거하면서 생성되는 폐기물로서 건축 폐기물은 골재, 철근, 및 스치로폼, 목재,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이에, 통상적으로 건축 폐기물에서 골재만을 분리하여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폐기물에서 철근을 분리하여 나머지 폐기물을 파쇄장치를 통해 파쇄한다.
그리고 파쇄된 폐기물(이하, 폐골재라 칭함)을 수조에 침전시켜 폐골재를 세척하면서 골재와 부유물을 분리함으로서 폐골재로부터 골재을 얻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종래의 폐골재용 이물질 분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의 폐골재용 이물질 분리장치는, 세척수와 폐골재가 채워지는 수조(100)와, 이 수조(100)의 내부에 경사지게 삽입되어 하부에 침수되어 있는 골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골재 배출 컨베이어(200), 및 상기 배출 컨베이어(200)의 반대편에 구비되어 부상되는 부유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 컨베이어(30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조(100) 내에 채워진 세척수 내로 각종 이물질이 포함된 폐골재를 투입하게 되면 폐골재가 세척되면서 부유 이물질은 수면 위로 부상된다.
그러므로 상기 세척수에 침수된 골재는 골재 배출컨베이어(200)를 통해 수조(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부유 이물질은 배출 컨베이어(300)를 통해 수조(10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폐골재로부터 세척된 골재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세척수의 내부에 침수되어 있는 골재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골재를 배출함에 있어서, 세척수에 혼합되어 있거나 부상되어 있는 이물질이 골재의 표면에 다시 흡착됨으로서, 완전하게 세척된 골재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부유 이물질을 수조의 일부분에서만 걷어올림에 따라서 부유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수조통으로부터 세척수와 골재만 투입되는 별도의 배출공간에서 세척된 골재를 배출함으로서 배출되는 골재의 표면에 수조통에 혼합되어 있는 부유물 및 부유미분(이하, 부유 이물질이라 한다.)이 재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조 하부에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나사산에는 다수의 부상 간격부가 구비됨으로서 골재의 배출 속도를 느리게 하면서 부상 간격부를 통해 골재에 부착된 미분을 재차 분리하여 부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수조통 내에 팬을 장착하여 세척수를 수조내에서 와류시켜 부유물의 부상효과를 극대화 하고자 하고, 물의 흐름을 통해 부유물을 밸트 스크래핑부 쪽으로 강제 이동시킴에 따라 밸트 스크래핑부을 통해 부유 이물질의 배출효과를 극대화하는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수분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켓 컨베이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켓 컨베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폐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조통
11 : 경사판
12 : 원호형 배출통로
13 : 원통형 배출통로
131 : 배출부
14 : 배출통로
15 : 골재 투입부
2 : 스크류 컨베이어
21 : 회전축
22 : 나사산
23 : 부상 간격부
3 : 골재 배출부
31 : 하부 경사닥트
32 : 상부 경사닥트
33 : 버켓 컨베이어
331 : 밸트, 332 : 버켓, 333 : 경사판, 334 : 배수홀
335 : 체인, 336 : 버켓, 337 : 경사판, 338 : 배수홀
4 : 밸트 스크레핑부
41 : 이송밸트
42 : 격판
5 : 팬
51 : 모터
6 : 물 공급관
61 : 밸브
7 : 부유미분 선별장치
71 : 드레인관
72 : 경사 망회전체
721 : 모터, 722 : 체인
73 : 물 회수장치
74 : 보조 드레인관
8 : 부유물 수분제거장치
81 : 경사망
811 : 컨베이어
82 : 물 회수장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척수와 폐골재가 채워지며 하부에는 전,후방 경사판을 포함하는 원호형 배출통로가 구비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하부로 배출부가 형성된 원통형 배출통로가 돌출 구비되어 있는 수조통과, 일측의 나사산은 상기 원통형 배출통로의 내면에 둘레가 밀착되게 삽입되고 일측 외의 나사산 부분은 상기 원호형 배출통로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포함되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게 장착된 하부 경사닥트와 이 하부 경사닥트와 연통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부 경사닥트 및 이 상부 경사닥트 내에 장착되어 하부로 유입되는 골재를 상부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버켓 컨베이어로 구성된 골재 배출부, 및 상기 수조통의 일측판 상측에 수면과 상응되게 배출통로가 형성되되 이 배출통로와 수조통의 상부 일측에 부유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장착되고 이송밸트에 다수의 격판이 구비되어 있는 밸트 스크래핑부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나사산에는, 골재의 배출 속도를 느리게 하여 골재에 부착된 미분을 재차 부상되게 할 수 있도록 나사산을 다수로 구획하는 부상 간격부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조통 타측의 내부에는, 입자가 큰 부상 이물질을 강제 부상시킬 수 있도록 세척수에 와류를 일으키는 모터와 연결된 팬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조통 타측의 수면 바로 하측에는, 부유 이물질을 상기 밸트 스크래핑부측으로 이송시키고 수조통 내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밸브가 포함되는 물 공급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로의 외측 하부에는, 상부에 구비되어 부유 이물질의 수분을 걸러내어 부유 이물질을 일측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경사망과 시 경사망의 하측에 구비되어 물을 회수하여 폐수처리조로 배출하는 물 회수장치로 구성된 부유 이물질 수분제거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버켓 컨베이어는, 상,하에 위치된 구동, 종동축의 사이에 감겨진 밸트와, 이 밸트에 종방향의 다수로 고정되어 있고 상부만 개방되어 외측은 골재의 인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판으로 되어 있으며 물을 배수하는 배수홀들이 형성된 버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척장치는, 건축 폐기물로부터 얻어낸 폐골재와 세척수가 채워지는 수조통(1)과, 이 수조통(1)의 하부에 장착되어 골재만을 배출부로 선별 배출하는 스크류 컨베이어(2)와, 상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있고 골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골재 배출부(3), 및 상기 수조통(1)의 상부에 구비되어 부상된 부유 이물질을 강제적으로 배출하는 밸트 스크래핑부(4)로 구성된다.
이를 좀더 구제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수조통(1)은, 상부가 개방되어 세척수와 폐골재가 채워지며 하부에는 전,후방 경사판(11)을 포함하는 원호형 배출통로(12)가 구비되어 있고 이 원호형 배출통로(12)의 일측 단부에는 하부에 배출부(131)가 형성되는 원통형 배출통로(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는, 상기 원호, 원통형 배출통로(12,13)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측의 나사산(22)이 상기 수조통(1)과 원통형 배출통로(13)의 사이가 구획되도록 원통형 배출통로(13)의 내면에 둘레가 밀착되게 삽입되어 있고, 상기 일측 외의 타측의 나사산(22)은 상기 원호형 배출통로(13)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고, 골재를 상기 배출부(131)로 이송할 수 있도록 모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측에 상기 나사산(22)이 구비된 회전축(21)을 포함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원호형 배출통로(12)의 내면과 상기 일측 나사산(22)의 둘레가 상호 밀착되면서 일측 나사산(22)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됨 따라서, 원호형 배출통로(12)의 내면과 일측 나사산(22)의 둘레 사이를 통해 수조통(1)에 있는 부유 이물질이 원통형 배출통로(13)의 내로는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골재 배출부(3)는, 상기 수조통(1)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부(131)와 연통되게 장착된 하부 경사닥트(31)와, 이 하부 경사닥트(31)의 하단과 연통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부 경사닥트(32), 및 이 상부 경사닥트(32) 내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 경사닥트(31)으로부터 유입되는 골재의 수분을 제거하면서 골재만을 상부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버켓 컨베이어(33)로 구성된다.
또 상기 밸트 스크래핑부(4)는, 상기 수조통(1)의 일측판 상측에 수면의 높이와 상응되게 배출통로(14)가 형성되어 이 배출통로(14)와 수조통(1)의 상부 일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모터를 통해 이송되는 이송밸트(41)와 이 이송밸트(41)의 표면에 종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격판(42)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밸트 스크래핑부(4)는 수조통(1)의 일측에 편중되게 설치되어 있음으로서, 수조통(1)의 상부 타측에는 컨베이어등을 통해 부유 이물질이 포함된 폐골재가 투입되는 골재 투입부(15)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척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수조통(1)의 내부에 세척수를 채운 상태에서 수조통(1)의 타측에 형성된 골재 투입부(15)로 철근이 제거된 파쇄 폐골재를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수조통(1)의 하부에 수평으로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2)를 모터 구동을 통해 회전시키고, 골재 배출부(3)의 내부에 세워진 버켓 컨베이도(33) 함께 동작시켜 버켓들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게 한다.
더불어 상기 수조통(1)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밸트 스크래핑부(4)의 모터도 동작시켜 격판(42)이 포함된 이송밸트(41)가 수조통(1)의 일측 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골재를 연속 투입하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와 버켓 컨베이어(33) 및 밸트 스크래핑부(4)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되면, 폐 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부유 이물질은 세척수에 수면에 부상되는 한편 골재는 수조통(1)의 하부로 침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로 침전된 골재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의 나사산(2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이동되어 원통형 배출통로(13)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부(131)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다음 상기 배출부(131)를 통과한 골재는 골재 배출부(3)를 구성하는 하부 경사닥트(31)로 유입된 다음 상부 경사닥트(32)의 하부에 도달된다.
다음 상기 상부 경사닥트(32)의 하부에 도달된 골재는 버켓 컨베이어(33)의 버켓의 상부 이동을 통해 수분이 제거되면서 골재가 상부에서 일측으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된 골재는 별도의 컨베이어를 통해 취합 장소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버켓 컨베이어(33)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은 후술한다.
아울러 상기 수조통(1)의 상부로 부상되는 부유 이물질은, 수조통(1)의 타측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밸트 스크래핑부(4)를 구성하는 이송밸트(41)의 이동을 통해 수조통(1)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이송밸트(41)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격판(42)들이 수면을 스크래핑하여 수면에 부상된 부유 이물질을 수조통(1)의 외측으로 강제 이송시켜 배출하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의 배출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재를 스크류 컨베이어(2)를 통해 배출하는 과정에서는, 골재가 나사산(22)의 사이에 채워져 이동되고 이동되는 순간에 교반이 이루어지면서 골재에 혼합되어 있는 부유 이물질이 골재로부터 이탈되어 수조통(1)의 상부로 부상되고, 골재만이 배출부(131)쪽으로 이송됨으로서 부유 이물질이 배출부(131)측으로 투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를 구성하는 일측부 나사산(22)을 제외한 나사산(22)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서, 상부가 개방된 부분을 이송하는 과정에서는 골재에 포함된 부유 이물질의 거의 다가 골재의 사이 및 표면으로부터 이탈되어 부상된다.
왜냐하면 상기 나사산(22)을 따라 이동되는 골재는 서로가 충돌되면서 유동 회전됨에 따라서 골재의 사이 및 표면에 잔류한 부유 이물질이 강제적으로 이탈된 후 세척수의 상부로 부상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일측 나사산(22)에 도달되는 골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되면서 부유 이물질의 거의가 이탈되어 있는 순수한 골재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일측 나사산(22)이 부유 이물질의 차단역할을 수행하고 더불어 일측 나사산(22)에 채워진 순수한 골재도 부유 이물질의 차단역할을 함으로서, 상기 수조통(1)에 혼합된 부유 이물질이 원통형 배출통로(13)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배출부(13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상기 수조통에 있는 부유 이물질이 골재 배출부(3)의 하,상부 경사닥트(31,32)의 내로 유입되지 않음으로서, 상부 경사닥트(32) 내에서 버켓 컨베이어(33)로 골재의 배출할 경우에 부유 이물질이 혼합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통(1) 타측의 내부에는, 입자가 큰 부유 이물질을 강제 부상시킬 수 있도록 세척수에 와류를 일으키는 모터(51)와 연결된 팬(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51)를 구동시키게 되면 수조통(1)의 타측에서 팬(5)이 회전됨으로서 세척수가 전체적으로 와류를 일으키게 됨에 따라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입자가 큰 부유 이물질이 상부로 상승된다.
또한, 상기 수조통(1) 타측의 수면 바로 하측에는, 부유 이물질을 상기 밸트 스크래핑부(4)측으로 이송시키고 수조통(1) 내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밸브(61)가 포함되는 물 공급관(6)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 공급관(6)은 수면 전체에 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분기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밸브(61)를 개방하여 물 공급관(6)을 통해 물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분사하게 되면 세척수가 수면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게 됨으로서, 수면의 부유 이물질을 밸트 스크래핑부(4)쪽으로 강제 이동시킴에 따라 밸트 스크래핑부(4)를 통한 부유 이물질의 배출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컨베이어(2)는, 골재의 배출 속도를 느리게 하여 골재에 부착된 미분을 재차 부상되게 할 수 있도록 나사산(22)을 다수로 구획하는 부상 간격부(23)들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나사산(22)이 부상 간격부(23)를 통해 구획됨으로서, 상기 골재의 배출 속도를 느리게 하면서 상기 부상 간격부(23)를 통해 골재에 부착된 미분이 재차 이탈되게 하여 이를 부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골재를 느리게 이송시킴에 따라서 골재에 흡착되어 있는 미분을 장시간 동안 재차 이탈되게 한 후 이를 수면위로 부상시킴에 따라서 미분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통(1)의 후방에는 수조의 상부로 부상된 미분을 걸러내어 선별 배출하는 미분 선별장치(7)가 구비된다.
즉, 상기 미분 선별장치(7)는, 상기 수조통(1)의 수면의 높이와 상응되게 구비된 드레인관(71)과, 이 드레인관(71)으로부터 배출되는 부유 미분이 혼합된 물을 투입 받아 미분을 걸러내며 모터(721)와 체인(722)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경사 망회전체(72), 및 상기 경사 망회전체(72)의 하측에 구비되어 물을 회수하며 회수된 물을 폐수 처리조로 운반하는 물 회수장치(7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관(71)을 통해 수조통(1)의 상부에 부상되어 있는 미분이 포함된 물을 회전되는 경사 망회전체(72)의 내로 유입 받아 미분을 분리 배출한다.
그리고 미분이 제거된 물은 상기 경사 망회전체(72)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물 회수장치(73)로 유입 받아 폐수 처리조로 배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미분 선별장치(7)를 통해 수조통(1)의 상부에 부상되는 미분의 처리도 가능함으로서 골재의 세척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경사닥트(32)의 후방에는 상부 경사닥트(32)의 수면의 높이와 상응되는 위치에서 인출되어 상기 경사 망회전체(72)로 부유 미분이 혼합된 물을 투입하는 보조 드레인관(7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상부 경사닥트(32)에는 상기 수조통(1)의 세척수 높이와 상응되게 세척수가 채워지고, 이 세척수의 수면에는 상기 버켓 컨베이어(33)를 통해 배출되는 골재의 표면에 일부 흡착되어 있는 미분이 이탈되어 부상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드레인관(74)을 통해 상부 경사닥트(32)의 상부에 부상되어 있는 일부의 미분이 포함된 물을 회전되는 경사 망회전체(72)의 내로 유입받아 약간의 미분도 분리 배출할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거의 완전히 세척된 골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수분제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배출통로(14)의 외측 하부에는 상기 밸트 스크래핑부(4)로부터 배출되는 부유 이물질의 수분을 걸러내어 부유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부유 이물질 수분제거장치(8)가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유 이물질 수분제거장치(8)는, 상부에 구비되어 부유 이물질의 수분을 걸러낸 후 수분이 제거된 부유 이물질을 일측 컨베이어(811)로 배출하는 경사망(81)과, 이 경사망(81)의 하측에 구비되어 물을 회수하여 폐수처리조로 배출하는 물 회수장치(8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유 이물질에 혼합된 물이 상기 경사망(81)을 통과하여 물 회수장치(82)의 내부로 유입된 후, 폐수 처리조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트 스크래핑부(4)로부터 배출되는 부유 이물질은 상기 경사망(81)의 표면을 타고 전방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켓 컨베이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버켓 컨베이어(33)는, 상,하에 위치된 구동, 종동축의 사이에 감겨진 밸트(331)와, 이 밸트(331)에 종방향의 다수로 고정되어 있고 상부만 개방되어 외측은 골재의 인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판(333)으로 되어 있으며 물을 배수하는 배수홀(334)들이 형성된 버켓(332)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버켓 컨베이어(33)는 밸트(331)의 표면에 다수의 배수홀(334)이 형성된 버켓(332)이 구비됨으로서, 버켓(332)의 상부 이동시 물을 배수되고 골재만이 상승되어 상부 일측으로 배출되는 작동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수분이 제거된 골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켓 컨베이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버켓 컨베이어(33)는, 상,하에 위치된 구동, 종동축의사이의 양측에 감겨진 체인(335)과, 이 체인(335)에 종방향의 다수로 고정되어 있고 상부만 개방되어 외측은 골재의 인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판(337)으로 되어 있으며 물을 배수하는 배수홀(338)들이 형성된 버켓(336)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버켓 컨베이어(33)는 양측 체인(335)에 다수의 배수홀(334)이 형성된 버켓(332)이 구비됨으로서, 버켓(332)의 상부 이동시 물이 배수되고 골재만이 상승되어 상부 일측으로 배출되는 작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체인(335)의 사이에 개방되어 있음에 따라서 버켓(332)을 통해 골재의 상승시 배수가 원활하게 됨으로서, 수분이 거의 제거된 골재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출되는 골재의 표면에 수조통에 잔류되어 있는 부유 이물질의 재 흡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완전히 세척된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수조 하부에 구비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골재의 배출 속도를 느리게 하면서 골재에 부착된 미분을 장시간 동안 재차 분리하여 부상시킴으로서, 골재 표면에 흡착된 미분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고, 세척수 내에 팬을 장착하여 세척수를 수조 내에서 와류시켜 부유 이물질의 부상을 원활하게 함으로서 부유 이물질의 제거효과를 극대화 할 수도 있으며, 물의 흐름을 통해 부유 이물질을 밸트 스크래핑부 쪽으로 강제 이동시킴에 따라 밸트 스크래핑부를 통한 부유 이물질의 배출 효과를 좀더 극대화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9)

  1. 세척수와 폐골재가 채워지며 하부에는 전,후방 경사판(11)을 포함하는 원호형 배출통로(12)가 구비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하부로 배출부(131)가 형성된 원통형 배출통로(13)가 돌출 구비되어 있는 수조통(1)과, 일측의 나사산(22)은 상기 원통형 배출통로(13)의 내면에 둘레가 밀착되게 삽입되고 일측 외의 나사산(22) 부분은 상기 원호형 배출통로(12)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를 통해 회전되는 회전축(21)이 포함되는 스크류 컨베이어(2)와, 상기 배출부(131)와 연통되게 장착된 하부 경사닥트(31)와 이 하부 경사닥트(31)와 연통 연결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부 경사닥트(32) 및 이 상부 경사닥트(32) 내에 장착되어 하부로 유입되는 골재를 상부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버켓 컨베이어(33)로 구성된 골재 배출부(3), 및 상기 수조통(1)의 일측판 상측에 수면과 상응되게 배출통로(14)가 형성되되 이 배출통로(14)와 수조통(1)의 상부 일측에 부유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장착되고 이송밸트(41)에 다수의 격판(42)이 구비되어 있는 밸트 스크래핑부(4)로 구성되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2)의 나사산(22)에는, 골재의 배출 속도를 느리게 하여 골재에 부착된 미분을 재차 부상되게 할 수 있도록 나사산(22)을 다수로 구획하는 부상 간격부(23)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조통(1) 타측의 내부에는, 입자가 큰 부상 이물질을 강제 부상시킬 수 있도록 세척수에 와류를 일으키는 모터(51)와 연결된 팬(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조통(1) 타측의 수면 바로 하측에는, 부유 이물질을 상기 밸트 스크래핑부(4)측으로 이송시키고 수조통(1) 내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밸브(61)가 포함되는 물 공급관(6)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통로(14)의 외측 하부에는, 상부에 구비되어 부유 이물질의 수분을 걸러내어 부유 이물질을 일측 컨베이어(811)로 배출하는 경사망(81)과 이 경사망(81)의 하측에 구비되어 물을 회수하여 폐수처리조로 배출하는 물 회수장치(82)로 구성된 부유 이물질 수분제거장치(8)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버켓 컨베이어(33)는, 상,하에 위치된 구동, 종동축의 사이에 감겨진 밸트(331)와, 이 밸트(331)에 종방향의 다수로 고정되어 있고 상부만 개방되어 외측은 골재의 인입과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경사판(333)으로 되어 있으며 물을 배수하는 배수홀(334)들이 형성된 버켓(33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30041752A 2003-06-25 2003-06-25 이물질 분리장치 KR10042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52A KR100428498B1 (ko) 2003-06-25 2003-06-25 이물질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752A KR100428498B1 (ko) 2003-06-25 2003-06-25 이물질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8498B1 true KR100428498B1 (ko) 2004-04-28

Family

ID=3733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752A KR100428498B1 (ko) 2003-06-25 2003-06-25 이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84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006B1 (ko) 2006-08-31 2007-01-24 박재욱 건설폐기물 재생용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CN109527059A (zh) * 2019-01-23 2019-03-29 刘永阁 批量蚬蛤分离清选装置和方法
KR102153230B1 (ko) * 2019-07-16 2020-09-07 이종안 슬러지 세정 이송 컨베이어장치
CN111661851A (zh) * 2020-07-06 2020-09-15 南城县福鸿高纯硅材料有限公司 一种石英砂低温熔盐提纯装置
CN113955835A (zh) * 2021-10-26 2022-01-21 陈成 一种工业重金属污水处理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006B1 (ko) 2006-08-31 2007-01-24 박재욱 건설폐기물 재생용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CN109527059A (zh) * 2019-01-23 2019-03-29 刘永阁 批量蚬蛤分离清选装置和方法
KR102153230B1 (ko) * 2019-07-16 2020-09-07 이종안 슬러지 세정 이송 컨베이어장치
CN111661851A (zh) * 2020-07-06 2020-09-15 南城县福鸿高纯硅材料有限公司 一种石英砂低温熔盐提纯装置
CN113955835A (zh) * 2021-10-26 2022-01-21 陈成 一种工业重金属污水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1219286B1 (ko)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JP4003923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処理装置とその分別処理方法
KR20070000615A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100693109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KR100764136B1 (ko)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KR20050031104A (ko)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JP3811887B2 (ja) 洗浄処理装置
KR100668478B1 (ko)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100533616B1 (ko) 골재 선별 세척장치
JP4141229B2 (ja)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100616525B1 (ko) 골재 세척장치
JP4074927B2 (ja) 洗浄処理装置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KR20230079590A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0728588B1 (ko) 토양 세척기와 진동선별기를 이용한 토양 세척 방법과 그 장치
KR200406313Y1 (ko)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200332864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100400197B1 (ko) 습식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836673B1 (ko) 회전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