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109B1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109B1
KR100693109B1 KR1020060085260A KR20060085260A KR100693109B1 KR 100693109 B1 KR100693109 B1 KR 100693109B1 KR 1020060085260 A KR1020060085260 A KR 1020060085260A KR 20060085260 A KR20060085260 A KR 20060085260A KR 100693109 B1 KR100693109 B1 KR 100693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ludge
foreign matt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기
Original Assignee
대명종합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종합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종합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에서,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비닐, 종이, 천조각, 폐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선별 추출 및 재생골재와 슬러지를 용이하게 분리 처리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를 개시한다.
건설폐기물, 이물질, 재생골재, 회전뜰채, 이송스크류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waste from construction waste matter}
도 1은 종래의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10: 수조
12: 수집조 20: 회전뜰채
21: 중심축 22: 뜰채용 판
24: 걸림편 30: 구동모터
31: 구동스프로킷 32: 종동스프로킷
33: 체인 34: 진동블럭
35: 스프링 36: 진동모터
40: 이송스크류 50: 구동모터
51: 구동스프로킷 52: 종동스프로킷
53: 체인 60: 진동안내판
62: 스프링 64: 진동모터
70: 케이스 72: 제 1분리조
72a: 통공 74: 제 2분리조
74a: 통공 76: 제 3분리조
76a: 배수공 78: 순환파이프
79: 펌프 C1: 이송컨베이어
C2: 이물질 배출컨베이어 C3: 재생골재 배출컨베이어
F: 필터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설폐기물을 유용한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한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에서,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비닐, 종이, 천조각, 폐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선별 추출 및 재생골재와 슬러지를 용이하게 분리 처리 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적 측면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건설 및 건축 구조물의 해체시에 발생하는 폐기물은 매립되지 않고 소정의 장소로 수집된 후 파쇄공정, 이물질 선별공정, 재생골재와 모르타르 분리공정 및 재생골재 표면에 부착된 모르타르 박리공정등 일련의 중간처리과정을 통해 양질의 자원으로 생산되고 있다.
일련의 중간처리과정 중 이물질 선별공정을 좀 더 설명보면, 이물질 중 금속재는 전자석 자선기에 의해 부착 제거되기 때문에 선별 및 제거에 특별한 문제는 없으나, 비닐, 종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비교적 비중이 적은 이물질의 경우에는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선별 제거하여야 했기 때문에 선별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에, 당업계에서는 비닐, 종이 또는 스티로폼과 같은 비교적 비중이 적은 이물질의 선별 및 제거방법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에 풍력을 이용한 선별제거방식과 수조를 이용한 선별제거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여기서, 수조이용 선별제거방식은 수조 내로 건설폐기물을 통과시켜 건설폐기물에 혼재되어 있는 이물질을 물위로 부상하게 한 후 별도의 채집장치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선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된 많은 발명 및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557493호에는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 시스템 중 파쇄와 선별과정을 거친 골재가 투입되어 이물질이 세척되도록 하는 세척수조를 포함하는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조의 일측에 일부분이 잠기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수조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물과 함께 외부로 퍼내어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수차와; 상기 이물질 제거수차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 제거수차에 의해 배출되는 세척수와 이물질을 분류하는 이물질 선별스크린과; 상기 이물질 선별스크린의 배출단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물질 선별스크린에 의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중량별로 선별하는 송풍기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는 제거수차에서 이물질을 물과 함께 퍼내어 제거하기 때문에 후공정으로 물과 이물질을 분리하는 공정이 요구되며, 따라서 후공정으로 위한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는 비용 및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건설페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에서는 세척수조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재생골재에 대해서는 이를 처리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 세척수조의 바닥면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골재를 자연 배출시키거나 바닥에 스크류를 설치하여 골재를 강제 배출시키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재생골재 처리 방식에는 재생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와 순수 재생골재를 확실하게 분류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차 형상을 갖는 회전뜰채의 각각의 판이 망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과 아울러 회전뜰채에 진동을 주도록 설계하여, 수조 상에 부유된 이물질을 퍼올릴 때 물을 자연 배수시키고 이물질만 퍼올려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조 내에서 이물질과 분리된 재생골재를 이송스크류를 이용하여 재생골재 이송컨베이어로 이송시킬 때 물을 포함한 슬러지와 순수 재생골재를 분리하여 순수 재생골재만 이송컨베이어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러지에 포함된 물을 분리하여 슬러지를 제외한 물은 다시 수조로 안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구조는 물이 담겨져 있는 수조; 수조 내로 이물질이 혼재된 건설폐기물을 안내하는 이송컨베이어; 수조의 수면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조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며, 다수의 뜰채용 판이 조립된 수차 형상을 갖고, 뜰채용 판은 망 형상을 갖도록 하여 물을 제외한 이물질만 걸려 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단부에는 이물질을 걸어서 거를 수 있도록 걸림편이 더 형성되고, 일부분에 설치된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게 구성된 회전뜰채; 회전뜰채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회전뜰채를 통해 걸려진 이물질을 안내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컨베이어;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 및 재생골재를 강제 이송시켜 수조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스크류; 슬러지 및 재생골재가 배출되는 부분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부분에 설치된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며, 바닥면은 망 형상을 갖도록 하여, 배출되는 슬러지 및 재생골재를 진동에 의해 슬러지는 바닥의 망을 통해 하방향으로 낙하시키고 순수 재생골재만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진동안내판; 및 진동안내판을 따라 안내된 순수 재생골재를 안내 배출하는 재생골재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진동안내판의 하부에는 슬러지에 포함된 물을 분리시켜 수조 내로 회수하기 위한 물분리회수수단이 설치되되, 이 물분리회수수단은 진동안내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 1분리조와; 제 1분리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제 1분리조의 통공보다 직경이 작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 2분리조와; 제 2분리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의 일부분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제 3분리조와; 일단은 상기 제 3분리조의 배수공에 연결되고, 타 단은 수조와 연결되어 배수공으로 배수되는 물을 수조 내로 안내하는 순환파이프와; 순환파이프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수조 내로 강제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는 물이 담겨져 있는 수조(10)가 구비되고, 수조의 일측에는 비닐, 종이, 천조각, 폐플라스틱 또는 스티로폼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혼재된 건설폐기물을 수조 내로 안내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C1)가 설치된다. 그리고 수조(10)의 수면에는 회전뜰채(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뜰채(20)는 다수의 뜰채용 판(22)이 조립되어 이루어진 수차 형상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뜰채용 판(22)은 물은 빠지고 순수 이물질만 걸러질 수 있도록 망 형상을 갖게 제조된다. 그리고 회전뜰채(20)는 수조(10)의 수면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30)의 동력을 전달받아 중심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구동모터(30)의 모터축에 구동스프로킷(31)이 결합되고, 회전뜰채(20)의 중심축(21)에는 종동스프로킷(32)이 결합되며, 구동스프로킷(31)과 종동스프로킷(32)은 서로 체인(33)으로 연결되어 구동스프로킷(31)의 동력이 체인(33)을 통해 종동스프로킷(32)으로 전달됨으로써 회전뜰채(2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모터(30)의 동력이 밸트 방식을 통해 회전뜰채(20)로 전달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회전뜰채(20)는 스프링(35)에 의해 지지되는 진동블럭(34)에 연결되고, 진동블럭(34)에는 진동모터(36)가 연결되어, 진동모터(36)가 작동되면 회전뜰채(20)가 회전과 동시에 진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진동모터(36)의 원리는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회전뜰채(20)는 뜰채용 판(22)의 단부에 이물질을 걸어서 거를 수 있도록 걸림편(24)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회전뜰채(20)를 통해 걷어 올려진 이물질이 회전뜰채(20)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는 부분에는 이물질을 안내하여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컨베이어(C2)가 설치된다. 이때, 이물질 배출컨베이어(C2)는 이송컨베이어(C1) 및 후술하는 재생골재 배출컨베이어(C3)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수조(10)의 바닥면은 양측이 중간부분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중간부분에는 수집조(12)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수집조(12)의 내부에는 이송스크 류(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이송스크류(40)는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 및 재생골재를 강제 이송시켜 수조(1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설치구조는 배출구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송스크류(40)는 구동모터(5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모터(50)의 모터축에 구동스프로킷(51)이 결합되고, 이송스크류(40)의 일단에는 종동스프로킷(52)이 결합되며, 구동스프로킷(51)과 종동스프로킷(52)은 서로 체인(53)으로 연결되어 구동스프로킷(51)의 동력이 체인(53)을 통해 종동스프로킷(52)으로 전달됨으로써 이송스크류(40)가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모터(50)의 동력이 밸트 방식을 통해 이송스크류(40)로 전달되게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회전뜰채(20)와 수조(10) 등의 구성부품들은 프레임(1)을 통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당연하다.
다음으로, 이송스크류(40)의 출구 부분에는 배출되는 슬러지 및 재생골재를 안내 및 슬러지와 재생골재를 분리하기 위한 진동안내판(60)이 설치된다. 즉, 진동안내판(60)은 이송스크류(40)의 출구 부분에서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스프링(62)에 의해 지지되며, 진동모터(64)와 연결되어 진동모터(64)의 작동에 의해 진동되게 구성되고, 그 바닥면은 전체적으로 또는 일부분이 망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슬러지 및 재생골재가 이송스크류(40)를 통해 안내되어 진동안내판(60)을 떨어지면 진동안내판(60)이 진동하면서 슬러지는 바닥의 망을 통해 하방향으로 낙하되고 순수 재생골재만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송되는 것이다. 여기서, 진동모터(64)의 원리는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 다.
다음으로, 진동안내판(60)을 따라 진동 안내된 순수 재생골재는 진동안내판(60)에 근접하게 설치된 재생골재 배출컨베이어(C3)를 통해 재생골재 수집장으로 안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의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안내판(60)의 하부에는 슬러지에 포함된 물을 분리시켜 수조 내로 회수하기 위한 물분리회수수단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이송스크류(40)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재생골재가 이송될 때 슬러지만 함께 이송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슬러지나 재생골재 사이에 물이 함께 포함되어 이송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며, 따라서 슬러지와 순수 재생골재를 분리한 후 슬러지에서 다시 물을 분리하여 수조 내로 회수하도록 물분리회수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분리회수수단은, 진동안내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72a)이 형성된 제 1분리조(72)와, 제 1분리조(72)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제 1분리조(72)의 통공(72a)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다수의 통공(74a)이 형성된 제 2분리조(74)와, 제 2분리조(74)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의 일부분에는 배수공(76a)이 형성된 제 3분리조(76)를 포함한다. 즉, 물을 포함한 슬러지가 제 1분리조(72) 및 제 2분리조(74)의 통공을 통과하면서 슬러지는 걸러지게 되고 물만 통과되어 제 3분리조(76)의 배수공(76a)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가의 분리조는 케이스(70) 내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슬러지가 많이 채워지게 되면 빼서 버릴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수공(76a)을 배출되는 물은 순환파이프(78)를 통해 수조(10) 내로 안내되게 구성된다. 즉, 순환파이프(78)의 일단은 제 3분리조(76)의 배수공(76a)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조(10)와 연결되게 결합되며, 순환파이프(78)의 일부분에는 배수공(76a)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수조(10) 내로 강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79)가 설치된다. 또한, 제 3분리조(76)의 배수공(76a) 또는 순환파이프(78)의 일부분에는 물을 필터링하기 위핸 공지의 필터(F)를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구조의 작동 관계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이송컨베이어(C1)를 통해 이물질이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을 수조(10) 내로 안내한다. 그리고 수조(10) 내로 안내된 건설폐기물은 수조(10) 내에서 부유 작용에 의해 이물질과 재생골재가 분리된다. 즉, 이물질은 수면에 부유되고 재생골재는 수조(10)으로 침전되어 서로 분리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회전뜰채(20)가 회전하면서 수면에 부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 내어 이물질 배출컨베이어(C2)로 안내하게 된다. 이때, 회전뜰채(20)는 뜰채용 판(22)이 물은 빠질 수 있도록 망 형상을 갖고 있는 것과 아울러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이 부여되기 때문에 물을 제외한 순수 이물질만 걸러지게 되고, 이물질 배출컨베이어(C2)를 통해 배출된다. 다음으로, 수조(10)의 바닥에 침전되어 수집조(12) 내로 모아진 재생골재는 이송스크류(40)가 회전 작동되면서 수조(10) 외부로 안내 배출된다. 그리고 수조(10) 외부로 배출된 재생골재에는 슬러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 에 경사지게 설치된 진동안내판(60)을 통해 재생골재 배출컨베이어(C3)로 안내된다. 즉, 진동안내판(60)의 바닥면은 망 형상을 갖기 때문에 진동안내판(60)이 진동에 의해 재생골재를 재생골재 배출컨베이어(C3)로 안내할 때, 슬러지는 진동안내판(60)의 바닥 망을 통해 하방향으로 낙하 배출되면서 서로 분리되어 재생골재만 재생골재 배출컨베이어(C3)로 안내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진동안내판(60)의 하방향으로 배출된 슬러지에는 통상 물이 포함되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리회수수단을 통해 슬러지와 물을 분리하여 슬러지는 버리고 물은 재사용하게 된다. 즉, 물이 포함된 슬러지가 진동안내판(60)의 하방향으로 낙하 배출되면, 제 1분리조(72), 제 2분리조(74), 제 3분리조(76)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물과 슬러지가 분리되고, 분리된 물은 제 3분리조(76)의 배수공(76a)에 연결된 순환파이프(78)를 통해 배출되며, 순환파이프(78)에 설치된 펌프(79)에 의해 강제적으로 수조(10) 내로 안내되어 재사용하게 된다. 이때, 제 1분리조(72), 제 2분리조(74), 제 3분리조(76)는 케이스(70)에 서랍과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리진 슬러지의 양이 많아지면 빼서 버리고 재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본 발명은 각종 이물질이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을 수조 내로 안내하면 회전뜰채와 이송스크류의 작동에 의해 이물질과 재생골재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고, 재생골재 또한 슬러지와 순수 재생골재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회전뜰채가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진동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을 선별할 때 물과 이물질이 함께 걸러지는 것이 아니라 순수 이물질만 걸러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물질과 분리된 재생골재를 배출 안내할 때 망 형상의 바닥면을 갖는 진동안내판을 통해 재생골재에 포함된 슬러지를 분리하여 배출하고 순수 재생골재만 재생골재 수집장으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재생골재에서 슬러지를 분리하여 배출할 때, 슬러지에서 물을 분리함으로써 슬러지와 함께 물이 버리는 것이 아니라 물은 수조 내로 안내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중간 처리할 때, 건설폐기물을 수조 내로 안내하면 수조의 수면 상에 설치된 회전뜰채를 이용하여 재생골재와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 처리할 수 있고, 재생골재는 이송스크류를 통해 안내 배출할 때 진동안내판을 이용하여 재생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용이하게 분리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폐기물에서 순수 재생골재만을 분리 처리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확실하며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골재에서 슬러지를 분리 처리할 때 슬러지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슬러지와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물이 담겨져 있는 수조;
    상기 수조 내로 이물질이 혼재된 건설폐기물을 안내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수조의 수면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설치되고,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조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며, 다수의 뜰채용 판이 조립된 수차 형상을 갖고, 뜰채용 판은 망 형상을 갖도록 하여 물을 제외한 이물질만 걸려 낼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단부에는 이물질을 걸어서 거를 수 있도록 걸림편이 더 형성되고, 일부분에 설치된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게 구성된 회전뜰채;
    상기 회전뜰채와 근접하게 설치되어 회전뜰채를 통해 걸려진 이물질을 안내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컨베이어;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 및 재생골재를 강제 이송시켜 수조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송스크류;
    상기 슬러지 및 재생골재가 배출되는 부분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일부분에 설치된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며, 바닥면은 망 형상을 갖도록 하여, 배출되는 슬러지 및 재생골재를 진동에 의해 슬러지는 바닥의 망을 통해 하방향으로 낙하시키고 순수 재생골재만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진동안내판; 및
    상기 진동안내판을 따라 안내된 순수 재생골재를 안내 배출하는 재생골재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안내판의 하부에는 슬러지에 포함된 물을 분리시켜 수조 내로 회수하기 위한 물분리회수수단이 설치되되, 이 물분리회수수단은
    상기 진동안내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 1분리조와;
    상기 제 1분리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제 1분리조의 통공보다 직경이 작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제 2분리조와;
    상기 제 2분리조의 하부에 설치되고, 바닥면의 일부분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제 3분리조와;
    일단은 상기 제 3분리조의 배수공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조와 연결되어 배수공으로 배수되는 물을 수조 내로 안내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수조 내로 강제 이송시키는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3. 삭제
KR1020060085260A 2006-09-05 2006-09-05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693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60A KR100693109B1 (ko) 2006-09-05 2006-09-05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260A KR100693109B1 (ko) 2006-09-05 2006-09-05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109B1 true KR100693109B1 (ko) 2007-03-12

Family

ID=3810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260A KR100693109B1 (ko) 2006-09-05 2006-09-05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1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51Y1 (ko) 2008-12-31 2009-07-03 (주)모악환경산업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KR101211806B1 (ko) 2012-04-23 2012-12-12 송수니 건설폐기물에서의 이물질 분리 배출장치
KR101321364B1 (ko) 2013-07-09 2013-10-23 합자회사 금강개발 건설폐기물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WO2018110829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시온텍 스크랩 비중분리장치
KR102182215B1 (ko) 2020-09-18 2020-11-24 대운프라스틱(주) 파쇄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CN116900396A (zh) * 2023-09-13 2023-10-20 江苏兴海特钢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的钢管切割下料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788B1 (en) * 2003-02-28 2003-04-14 Nam Hae Environment Private Co Method and device for discriminating construction wastes using water tank for reusing construction wastes
KR200332864Y1 (ko) 2003-08-13 2003-11-10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100467420B1 (ko) 2001-08-31 2005-01-24 주식회사 신텍 건설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0631436B1 (ko) 2004-05-06 2006-10-09 청경그린산업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420B1 (ko) 2001-08-31 2005-01-24 주식회사 신텍 건설 폐기물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0379788B1 (en) * 2003-02-28 2003-04-14 Nam Hae Environment Private Co Method and device for discriminating construction wastes using water tank for reusing construction wastes
KR200332864Y1 (ko) 2003-08-13 2003-11-10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100631436B1 (ko) 2004-05-06 2006-10-09 청경그린산업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151Y1 (ko) 2008-12-31 2009-07-03 (주)모악환경산업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파분쇄된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제거장치
KR101211806B1 (ko) 2012-04-23 2012-12-12 송수니 건설폐기물에서의 이물질 분리 배출장치
KR101321364B1 (ko) 2013-07-09 2013-10-23 합자회사 금강개발 건설폐기물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WO2018110829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시온텍 스크랩 비중분리장치
KR20180067879A (ko) * 2016-12-13 2018-06-21 (주) 시온텍 스크랩 비중분리장치
KR101903392B1 (ko) * 2016-12-13 2018-10-29 (주)시온텍 스크랩 비중분리장치
KR102182215B1 (ko) 2020-09-18 2020-11-24 대운프라스틱(주) 파쇄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CN116900396A (zh) * 2023-09-13 2023-10-20 江苏兴海特钢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的钢管切割下料机
CN116900396B (zh) * 2023-09-13 2023-11-14 江苏兴海特钢有限公司 一种便于收集的钢管切割下料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CN108855587B (zh)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KR100968793B1 (ko) 이물질처리 및 집진 기능을 갖는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693109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JP4003923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分別処理装置とその分別処理方法
KR20100138730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100545927B1 (ko)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KR100881454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53932B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JP2004337747A (ja) 分級装置
KR102601272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0631436B1 (ko) 이물질 제거장치
KR100557493B1 (ko)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KR100616525B1 (ko) 골재 세척장치
JP4074927B2 (ja) 洗浄処理装置
KR100456716B1 (ko)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JP2951928B2 (ja) セメント分又は泥分と砂及び砂利を含んだ混合廃材の処理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処理装置
JP4557604B2 (ja) 沈砂分級機
KR200276762Y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20050018935A (ko) 건설폐기물 세척 및 선별장치
JP3396684B2 (ja) 洗浄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