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272B1 -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 Google Patents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272B1
KR102601272B1 KR1020210166512A KR20210166512A KR102601272B1 KR 102601272 B1 KR102601272 B1 KR 102601272B1 KR 1020210166512 A KR1020210166512 A KR 1020210166512A KR 20210166512 A KR20210166512 A KR 20210166512A KR 102601272 B1 KR102601272 B1 KR 10260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bnormal operation
main body
water
scree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9590A (ko
Inventor
정순항
Original Assignee
정순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항 filed Critical 정순항
Priority to KR102021016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272B1/ko
Publication of KR2023007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2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ewag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회전형이 아닌 고정형의 2중 협잡물 제거장치를 추가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오수 및 폐수 필터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모터 이상 등 협잡물 처리 장치의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단계적으로 에어컴프레셔 동작 및 역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이상동작을 자체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역회전 동작 이후에도 이상동작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 관리자에게 이상동작을 리포트 할 수 있다.

Description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A SCREEN DEVICE FOR EASY TRANSPORT OF CONTAMINANTS AND A METHOD FOR COUNTERACTING ABNORMAL OPERATION OF THE SCREEN DEVICE}
본 개시는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협잡물을 이송하는 스크린 장치의 모터 이상을 포함하는 이상동작이 발생한 경우, 이에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계식 스크린(mechanical screen)은 스크린 바에 걸린 협잡물을 인력이 아닌 기계식으로 끌어올려 제거하는 장치이다. 기계식 스크린은 스크린 바에 걸린 협잡물과 찌꺼기를 여러 개의 레이크(rake)를 교대로 이용하면서 끌어올려 제거하는 방식과 와이어로프(wire rope), 체인(chain) 또는 록기어(lock gear)로 단일 레이크를 상하로 움직여 제거하는 방식이 있다. 이외에도 콘베이어식, 벨트주행식, 여과포식, 회전식 등이 있다. 스크린은 막대(bar) 사이의 간격이 15mm 이상으로 바렉(bar racks)으로 불리는 조목 스크린과 막대 사이의 간격이 15mm 이하이며 미세스크린으로 불리는 세목 스크린으로 대별된다. 바렉에 걸리는 물질에는 돌, 나뭇가지 및 조각, 나뭇잎, 종이, 플라스틱, 헝겊조각 등의 조대 고형물이며 스크린에 걸린 총 찌꺼기의 60-70%를 차지하고, 세목스크린에 걸리는 물질에는 15mm 이하의 물질들로 그리스(grease) 덩어리나 스컴(scum), 작은 음식물찌꺼기, 거품 등을 포함한다. 바렉에 걸린 협잡물의 제거는 인력청소식과 기계청소식이 있으며 주기적인 찌꺼기 제거를 실시하여 막힘 현상을 방지해야 한다. 미세스크린은 바렉보다 더 미세한 협잡물과 입자물질, 그리스나 스컴 덩어리 등이 걸리므로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세척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각종 생활하수와 정화조는 물론이고 배수펌프장, 상수도 취수장, 관계용 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이 대형화되고 취수 및 배수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수류와 함께 떠내려 오는 크고 작은 부유물을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후속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케 하는 스크린 사용이 늘고 있다.
스크린 장치는 협잡물 처리기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지만, 종래에는 스크린에 설치된 브러싱 롤러의 브러쉬의 마모도가 심해 주기적으로 브러쉬를 교체해야 하고 추가적으로 동력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협잡물 처리기의 모터 등이 이상 작동할 경우, 관리자가 이를 알기 어렵고, 협잡물 처리기 자체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1.한국등록특허 제10-0893400호 (2009.04.07) 2.한국등록특허 제10-2004507호 (2019.07.22)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회전형이 아닌 고정형의 2중 협잡물 제거장치를 추가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오수 및 폐수 필터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모터 이상 등 협잡물 처리 장치의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단계적으로 에어컴프레셔 동작 및 역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이상동작을 자체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역회전 동작 이후에도 이상동작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 관리자에게 이상동작을 리포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는 수처리장의 수로(W) 내부에 설치되어 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된 후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어 흘러가게 하는 본체(100); 본체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컨베이어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고, 협잡물이 걸러진 여과수가 본체의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구조물(200); 롤러체인(304)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구조물을 순환 구동 시키는 구동부(300); 스크린 구조물을 공기 또는 물로 세척하는 에어컴프레셔(246); 및 협잡물 배출구를 공기 또는 물로 세척하는 에어컴프레셔(247)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은 (A) 이상감지모듈에서 모터이상을 포함하는 이상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제어모듈에서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키는 단계; (C) 제어모듈에서 이상동작 유무를 다시 확인하고, 이상동작이 유지되는 경우 롤러체인의 역회전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제어모듈에서 역회전 수행 이후 이상동작 유무를 다시 확인하고, 이상동작이 유지되는 경우 통신모듈에서 이상동작 발생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은 스크린을 통해 걸러진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협잡물박스로 털어 내기 위해 스크린 후면에 협잡물 제거 장치를 추가 설치하여 협잡물 끼임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인 오수와 폐수 필터링 효과를 창출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 제어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협잡물 처리기 (Apparatus for treating adulteration)는 유입 하수에 포함된 고형물, 협잡물, 침사를 분리 제거하는 설비이다.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장치를 통과한 협잡물은 협잡물 처리기에 의하여 스크리닝, 이송, 압착, 탈수되며, 침사는 중력식 침강을 이용하여, 침전부에서 침전 제거한 후 수평식 및 경사식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수거될 수 있는 일체형 구조로 모든 공정이 단일 탱크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협잡물 처리기는 오수 및 폐수 처리장 전처리, 분뇨 처리장 전처리, 피혁 공장의 협잡물 처리, 마을 하수 전처리, 중계 펌프장 전처리, 슬러지의 협잡물 제거 모래 분리 등에 사용된다. 협잡물 처리기에 설치되는 스크린은 하수 중에 함유된 미세 협잡물을 제거하여 하수 처리의 효율 증가를 위한 기기로 웨지바(WEDGE BAR), 스크린 레이크(SCREEN, RAKE), 체인(CHAIN,) 스프로켓(SPROCKET), 샤프트(SHAFT), 케이싱(CASING), 구동장치, 세척(WASHING) 장치, 자동제어 패널(AUTO CONTROL PANEL) 등으로 구성된다. 유입 수로 또는 별도의 관로를 통해 들어온 유입수는 웨지바 형태로 제작된 원형 형태를 갖는 스크린판의 여과면을 설치하고 협잡물이 포함된 물은 여과면 안쪽으로 들어와서 좌, 우 및 바닥의 스크린에 나뉘어 통과함으로써, 넓은 여과면적을 확보하여 우수한 통수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스크린판의 간극사이에서 레이크 드럼이 회전하여 레이크가 스크린 간극에서 이탈하 지 않은 상태로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린 하부의 슈트로 반출시킨 다음 스크린 간극에서 이탈하지 않은 상태로 원형 드럼의 운전을 한다. 샤워 장치는 스크린의 끝단에서 레이크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를 슈트로 탈리 시키는 역할을 한다. 레이크의 구동은 원수가 유입되면 원수펌프에 연동되어 작동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수처리장의 수로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고, 협잡물이 걸러진 여과수는 상기 본체의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구조물(200)과, 스크린구조물을 순환 구동 시키는 구동부(300)와, 스크린 구조물을 공기 또는 물로 세척하는 에어컴프레셔(246); 및 협잡물 배출구를 공기 또는 물로 세척하는 에어컴프레셔(247)을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는 스크린장치의 이상동작을 감지하고, 에어컴프레셔 및 롤러체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도면 미도시)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수처리장의 수로 내부에 설치되어 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된 후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어 흘러가도록 수로 양측 내면에 밀착 고정되어 본체(100) 중앙으로 유입수의 유입을 유도하는 측면가림벽(101)과,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을 통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수구(102a)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스크린구조물(200)의 양측 단부를 덮어서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틈막이브러시(102b)를 구비한 측면벽(102)과, 상기 스크린구조물(200) 후방에 위치하여 양방향 스크린 역할을 위한 후면 가림벽(103)과,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후면 가림벽(103)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04)를 구비한다.
측면가림벽(101)은 상기 본체(100)의 전면 양측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수로 내부에 본체(100)를 설치할 때, 수로의 좌우 폭보다 좁은 폭으로 가지는 본체의 좌우 양 측면과 수로의 양측 내면 사이로 유입수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가림벽(101)의 좌우 폭은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과 수로의 내측면 간격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수로 내부에 상기 본체(100)를 설치할 때, 수로 내부의 구조적 변경 없이도 상기 본체(100)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후면 가림벽(103)은 스크린구조물(200) 후방에 위치하여 스크린구조물(200) 후방을 가리면서, 스크린 구조물(20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배출되도록 상부에 배출구(104)를 구비한다. 즉, 후면 가림벽(103)은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유입수가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면스크린(200b)을 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방을 가려 상기 유입수를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면스크린(200b) 방향으로 역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유입수의 수위보다 더 높게 본체(100)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한다.
배출구(104)는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배출되도록 후면가림벽(103) 상부에 형성하되, 협잡물의 배출 과정에서 협잡물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배출구(104) 둘레의 사면과 상면은 벽체로 가려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출구(104) 하부에는 배출구(104)를 통해 배출되는 협잡물을 별도의 장소로 운반하여 수집 처리할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104a)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벽(102)은 측면가림벽(101)과 후면가림벽(103) 사이에서 상기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하고, 스크린구조물(200)의 전면스크린(200a)과 후면스크린(200b)을 통해 동시에 여과되어 전면스크린(200a)과 후면스크린(200b) 사이로 유입된 각종 협잡물이 걸러진 여과수가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어 수로를 통해 흘러갈 수 있도록 엔드레스 컨베이어 형태로 구성된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의 전면스크린(200a)과 후면스크린(200b) 사이에 배수구(102a)를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배수구(102a)는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의 전방에서 유입되어 스크린구조물(200)의 전면스크린(200a)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여과수와,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방에서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면스크린(200b)을 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된 여과수가 동시에 배출됨으로써 스크린구조물(200)의 전면스크린(200a)과 후면스크린(200b)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스크린구조물(200)에 의한 여과 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양 측면벽(102)의 내면에는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의 양측 단부를 덮어주는 틈막이브러시(102b)를 구비함으로써 유입수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이 측면벽(102)의 내면과 스크린구조물(200)의 양측 단부 사이의 틈새에 끼거나, 상기 틈새를 통해 협잡물이 유입되어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에 의한 여과 과정 없이 바로 배수구(102a)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크린구조물(200)은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컨베이어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 전방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고, 협잡물이 걸러진 여과수가 본체(100)의 양 측면을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체인(304)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축핀(201)과, 상하 양단부에 경첩부(202a)를 형성하여 상기 경첩부(202a)를 상기 축핀(201)에 결합하여 다수를 컨베이어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다공판(202)과, 상기 다공판(202)에서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과, 바닥에 가라앉은 침전물을 퍼올리는 스쿠프(203)를 구비한다. 즉, 축핀(201)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롤러체인(304) 간을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하되, 상기 축핀(201)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각 축핀(201)에 상기 다공판(202)의 상하단부에 형성된 경첩부(202a)가 끼워지도록 다공판(202)을 컨베이어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다공판(202)이 롤러체인(304)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각 다공판(202)의 경첩부(202a)가 견고하게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경첩부(202a)에 협잡물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베이어 형태로 결합된 다수의 상기 다공판(202)이 롤러체인(304)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과정에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부분의 이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협잡물의 끼임이나, 유입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컨베이어 형태로 구성된 다수의 다공판(202) 중에서 특정 다공판(202)이 손상된 경우에는 손상된 다공판(202)만을 선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소하면서도 견고한 경첩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순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공판(202)에는 협잡물의 여과를 위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게 되는데, 구멍의 크기는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가 설치되는 수로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되는 각종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하기 위하여 주로 유입되는 협잡물의 형태나 종류에 대응하는 크기나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쿠프(203)는 상기 컨베이어 형태로 구성된 다수의 다공판(202)의 경첩부(202a)에서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다공판(202)이 구동부(300)에 의해 순환 구동될 때, 유입수에 포함된 각종 협잡물을 상부로 걷어 올리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본체(100)의 바닥면에 가라앉은 슬러지나 돌, 모래, 흙 등 각종 침전물을 퍼올려 스크린구조물(200)의 하단부가 침전물에 묻히는 것을 방지한다. 스쿠프(203)의 형태는 상기 다공판(202)의 폭과 일치하는 납작한 평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컵 형태나 레이크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 가능함을 물론이다.
구동부(300)는 롤러체인(304)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을 순환 구동시키기 위하여 본체(100) 상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01)와, 본체(100) 상부에 횡방향으로 축설되고 양단부에는 제1스프로킷(302a)을 형성한 구동축(302)과, 상기 본체(100) 하부에 횡방향으로 축설되고 양단부에는 제2스프로킷(303a)을 형성한 종동축(303)과, 상기 제1스프로킷(302a)과 제2스프로킷(303a) 간에 연결 설치되어 순환 구동되는 롤러체인(304)을 구비한다.
구동모터(301)와 상기 구동축(302) 일단부에는 각각 구동스프로킷을 설치하여 롤러체인(304)으로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301)의 동력에 의해 구동축(302)이 회전하게 하고, 상기 구동축(302)과 상기 종동축(303) 양단부에는 각각 제1스프로킷(302a)과 제2스프로킷(303a)을 형성하여 상기 제1스프로킷(302a)과 제2스프로킷(303a)을 롤러체인(304)으로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301)의 동력에 의해 롤러체인(304)이 구동되고, 그로 인해 양측 롤러체인(304) 간에 컨베이어 형태로 설치된 스크린구조물(200)의 순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취수펌프장, 배수펌프장, 중계펌프장 등 각종 펌프장과 하수처리장, 오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 각종 수처리 관련 시설의 수로(W) 내부에 설치하여 수처리를 위하여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 및 협잡물을 걸러내어 수로의 상부로 배출하고, 각종 협잡물이 걸러진 여과수는 수로를 통해 흘려보내게 된다. 즉, 본체(100)의 전면 양측에 측면가림벽(101)을 설치하여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과 수로 내면 사이가 측면가림벽(101)에 의해 가려지도록 상기 본체(100)를 상기 수로(W) 내부에 설치한 후, 수로를 통해 각종 협잡물이 포함된 유입수를 유입시키면, 본체(100) 내부에 컨베이어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 스크린구조물(200)이 구동부(300)에 의해 순환 구동되면서, 본체(100)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상부로 걷어올린 후, 수로 외부로 별도 배출 처리된다. 이로써, 협잡물이 걸러진 여과수는 스크린구조물(200)의 다공판(202)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스크린구조물(200)을 통과하여 본체(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102a)를 통해 배출되어, 스크린구조물(200)에 의해 유입수의 여과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통해 스크린구조물(200)에 형성된 구멍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고 되고, 그로 인해 스크린구조물(200)에 의한 여과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 제어시스템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 제어 시스템은 이상동작 감지모듈(111), 제어모듈(113) 및 통신모듈(1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이상감지모듈(111)은 모터이상을 포함하는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을 감지한다. 제어모듈(113)은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키고, 에어컴프레셔 동작 종료 후, 이상동작 유무를 다시 확인한다. 제어모듈(113)은 이상동작이 유지되는 경우 롤러체인의 역회전을 수행한 후, 이상동작 유무를 다시 확인한다. 통신모듈(115)은 롤러체인의 역회전 수행 후 해당 이상동작이 해결되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 통신 이상동작 발생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13)은 이상동작 감지 이후, 에어컴프레셔를 설정된 시간 동안 최초 동작 시킨다. 이후, 제어모듈(113)은 해당 이상동작의 이상동작 경감 여부를 파악하여, 이상동작이 경감된 경우, 에어컴프레셔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켜 에어컴프레셔를 동작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은 장치의 진동이 감지되어 에어컴프레셔를 동작 시킨 경우, 에어컴프레셔 구동 이후의 진동이 주기와 강도가 경감된 것으로 파악되면, 에어컴프레셔 구동 시간을 이상동작 경감 비율에 비례하도록 증가시고, 증가된 구동시간 동안 에어컴프레셔를 다시 동작 시킨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13)은 에어컴프레셔 동작 이후에도 해당 이상동작이 여전히 감지되거나, 해당 이상동작의 이상 징후가 경감되지 않거나, 경감 비율이 일정 수준 미만으로 미미한 경우, 최초로 롤러체인을 통해 스크린 구조물 역회전을 1회 실시한다. 실시예에서는 최초 역회전 완료 이후, 이상동작 정보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상동작이 경감된 경우 역회전을 추가로 실시한다.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13)은 스크린 장치의 역회전 이후에도 해당 이상동작이 여전히 감지되는 경우, 이상동작 세부 정보가 포함된 리포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15)를 통해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른 이상동작 세부정보에는 이상동작 발생 예측 원인, 오류를 일으킨 기술 구성요소, 이상동작 감지 시각, 이상동작 유지 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의 작용(기능)은 스크린 장치 제어 시스템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는 이상감지모듈에서 모터이상을 포함하는 이상동작을 감지한다. 이후 S20 단계에서는 제어모듈에서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에어컴프레셔를 동작 시킨다. S30 단계에서는 제어모듈에서 해당 이상동작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고, 유지되는 경우 S40 단계로 진입하여 롤러체인을 역회전시킨다. 이후S50 단계에서는 제어모듈에서 해당 이상동작이 여전히 유지되는지 확인하고, 유지되고 있는 경우 S60 단계로 진입한다. S60 단계에서는 제어모듈에서 이상동작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리포트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S20 단계는 에어컴프레셔를 설정된 시간 동안 최초 동작 시키는 단계; 및 이상동작 경감 여부를 파악하여, 이상동작이 경감된 경우, 에어컴프레셔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켜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S20 단계에서는 제어모듈에서 해당 이상동작의 이상동작 경감 여부를 파악하여, 이상동작이 경감된 경우, 에어컴프레셔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켜 에어컴프레셔를 반복 구동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은 모터의 진동이 이상 동작으로 감지되어 에어컴프레셔를 구동 시키고, 구동 이후 모터 진동의 주기와 강도가 경감된 것으로 파악되면, 에어컴프레셔 구동 시간을 이상동작 경감 비율에 비례하도록 증가시고, 증가된 구동시간 동안 에어컴프레셔를 동작 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에어컴프레셔 동작 이후에도 해당 이상동작이 여전히 감지되거나, 해당 이상동작의 이상 징후가 경감되지 않거나, 경감 비율이 일정 수준 미만으로 미미한 경우, 최초로 롤러체인을 통해 스크린 구조물 역회전을 1회 실시한다. 최초 역회전 완료 이후에는 이상동작 정보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상동작이 경감된 경우 역회전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S40 단계에서는 이상동작이 유지되는 경우, 최초로 역회전을 1회 실시하고, 완료 이후 이상동작 정보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상동작이 경감된 경우 역회전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S40 단계에서는 회전수에 따른 이상동작 경감 비율을 산출하여, 역회전이 일어나는 경우, 이상동작이 일정 수준 이상 경감되면, 이상동작 정지까지 필요한 역회전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역회전수 만큼 스크린 장치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이상동작을 시스템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불필요한 회전형이 아닌 고정형의 2중 협잡물 제거장치를 추가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인 오수 및 폐수 필터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모터 이상 등 협잡물 처리 장치의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단계적으로 에어컴프레셔 동작 및 역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이상동작을 자체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역회전 동작 이후에도 이상동작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 관리자에게 이상동작을 리포트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스크린을 통해 걸러진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협잡물박스로 털어 내기 위해 스크린 후면에 협잡물 제거 장치를 추가 설치하여 협잡물 끼임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보다 효과적인 오수와 폐수 필터링 효과를 창출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본체 101: 측면가림벽
102: 측면벽 102a: 배수구
102b: 틈막이브러시 103: 후면가림벽
104: 배출구 200: 스크린구조물
200a: 전면스크린 200b: 후면스크린
201: 축핀 202: 다공판
202a: 경첩부 203: 스쿠프
300: 구동부 301: 구동모터
302: 구동축 302a: 제1스프로킷
303: 종동축 303a: 제2스프로킷
304: 롤러체인 400: 브러싱부
401: 브러싱롤러 402: 감속모터
246, 247: 에어컴프레셔
111: 이상동작 감지모듈
113: 제어모듈
115: 통신모듈
W: 수로

Claims (6)

  1.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수처리장의 수로(W) 내부에 설치되어 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된 후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어 흘러가게 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컨베이어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고, 협잡물이 걸러진 여과수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구조물(200);
    롤러체인(304)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구조물을 순환 구동 시키는 구동부(300);
    스크린 구조물을 공기 또는 물로 세척하는 에어컴프레셔(246); 및
    협잡물 배출구를 공기 또는 물로 세척하는 에어컴프레셔(247)을 포함하고
    상기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는
    상기 스크린장치의 이상동작을 감지하고, 에어컴프레셔 및 롤러체인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시스템은
    모터이상을 포함하는 이상동작을 감지하는 이상감지모듈;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키고, 에어컴프레셔 동작 완료 후 이상동작 유무를 다시 확인하고, 상기 이상동작이 유지되는 경우 롤러체인의 역회전을 수행한 후, 이상동작 유무를 다시 확인하는 제어모듈; 및
    롤러체인의 역회전 이후에도 상기 이상동작이 유지되는 경우 통신 이상동작 발생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수처리장의 수로 내부에 설치되어 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된 후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어 흘러가도록 수로 양측 내면에 밀착 고정되어 본체(100) 중앙으로 유입수의 유입을 유도하는 측면가림벽(101)과,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을 통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수구(102a)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스크린구조물(200)의 양측 단부를 덮어서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틈막이브러시(102b)를 구비한 측면벽(102)과, 상기 스크린구조물(200) 후방에 위치하여 양방향 스크린 역할을 위한 후면 가림벽(103)과,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후면 가림벽(103)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04)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가림벽(101)은
    상기 본체(100)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가림벽(101)의 좌우 폭은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과 수로의 내측면 간격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면 가림벽(103)은 스크린구조물(200) 후방에 위치하여 스크린구조물(200) 후방을 가리면서, 스크린 구조물(20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배출되도록 상부에 배출구(104)를 구비하고
    상기 후면 가림벽(103)은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유입수가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면스크린(200b)을 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방을 가려 상기 유입수를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면스크린(200b) 방향으로 역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유입수의 수위보다 더 높게 본체(100)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2. 삭제
  3. 삭제
  4. 협잡물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에 있어서,
    (A) 이상감지모듈에서 모터이상을 포함하는 이상동작을 감지하는 단계;
    (B) 제어모듈에서 이상동작이 감지된 경우,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키는 단계;
    (C) 제어모듈에서 이상동작 유무를 다시 확인하고, 이상동작이 유지되는 경우 롤러체인의 역회전을 수행하는 단계; 및
    (D) 제어모듈에서 역회전 수행 이후 이상동작 유무를 다시 확인하고, 이상동작이 유지되는 경우 통신모듈에서 이상동작 발생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의 단계; 는
    에어컴프레셔 동작 이후이상동작이 유지되는 경우, 최초로 역회전을 1회 실시하고, 역회전 완료 이후 이상동작 정보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상동작이 경감된 경우 역회전을 추가로 실시하고
    상기 (B)의 단계; 는
    에어컴프레셔를 설정된 시간 동안 최초 동작 시키는 단계; 및
    동작 완료 후 이상동작 경감 여부를 파악하여, 이상동작이 경감된 경우, 에어컴프레셔의 동작 시간을 연장시켜 에어컴프레셔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협잡물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는
    수처리장의 수로(W) 내부에 설치되어 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된 후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어 흘러가게 하는 본체(100);
    상기 본체 내부에서 세로 방향으로 순환하도록 컨베이어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고, 협잡물이 걸러진 여과수가 상기 본체의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스크린구조물(200);
    롤러체인(304)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린구조물을 순환 구동 시키는 구동부(300);
    스크린 구조물을 공기 또는 물로 세척하는 에어컴프레셔(246); 및
    협잡물 배출구를 공기 또는 물로 세척하는 에어컴프레셔(247)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0)는
    수처리장의 수로 내부에 설치되어 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전방, 후방, 하부로 유입된 후 양 측면을 통해 배출되어 흘러가도록 수로 양측 내면에 밀착 고정되어 본체(100) 중앙으로 유입수의 유입을 유도하는 측면가림벽(101)과,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을 통해 여과된 여과수를 배출하는 배수구(102a)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스크린구조물(200)의 양측 단부를 덮어서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틈막이브러시(102b)를 구비한 측면벽(102)과, 상기 스크린구조물(200) 후방에 위치하여 양방향 스크린 역할을 위한 후면 가림벽(103)과,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후면 가림벽(103) 상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04)를 구비하고
    상기 측면가림벽(101)은
    상기 본체(100)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측면가림벽(101)의 좌우 폭은 상기 본체(100)의 양 측면과 수로의 내측면 간격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면 가림벽(103)은 스크린구조물(200) 후방에 위치하여 스크린구조물(200) 후방을 가리면서, 스크린 구조물(200)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배출되도록 상부에 배출구(104)를 구비하고
    상기 후면 가림벽(103)은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서 유입되는 유입수가 상기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면스크린(200b)을 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방을 가려 상기 유입수를 스크린구조물(200)의 후면스크린(200b) 방향으로 역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유입수의 수위보다 더 높게 본체(100)의 후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210166512A 2021-11-29 2021-11-29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260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512A KR102601272B1 (ko) 2021-11-29 2021-11-29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6512A KR102601272B1 (ko) 2021-11-29 2021-11-29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590A KR20230079590A (ko) 2023-06-07
KR102601272B1 true KR102601272B1 (ko) 2023-11-13

Family

ID=8676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6512A KR102601272B1 (ko) 2021-11-29 2021-11-29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82163B (zh) * 2023-11-27 2024-02-23 广州中科碧疆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格栅以及污水预处理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38B1 (ko) * 2016-02-25 2016-08-19 주식회사 에싸 3방향 스크린 장치
KR101850137B1 (ko) * 2017-09-27 2018-04-19 주식회사 바우텍 지능형 스마트 제어 평면 스크린
KR102175110B1 (ko) * 2020-07-29 2020-11-05 김오연 협잡물 및 부유물 처리용 스크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00B1 (ko) 2009-01-02 2009-04-17 주식회사 우성테크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KR102004507B1 (ko) 2018-07-16 2019-07-26 주식회사 우성테크 오폐수 협잡물 종합처리기의 스크린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938B1 (ko) * 2016-02-25 2016-08-19 주식회사 에싸 3방향 스크린 장치
KR101850137B1 (ko) * 2017-09-27 2018-04-19 주식회사 바우텍 지능형 스마트 제어 평면 스크린
KR102175110B1 (ko) * 2020-07-29 2020-11-05 김오연 협잡물 및 부유물 처리용 스크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9590A (ko)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938B1 (ko) 3방향 스크린 장치
KR101246050B1 (ko) 오수처리용 드럼스크린 장치
KR102601272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0693109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20050080074A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0922231B1 (ko) 협잡물 처리기의 유분 제거장치
JP4750050B2 (ja) スクリーン循環式除塵機
KR101609133B1 (ko) 동심 회전식 이중드럼을 구비한 여과 선별기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JP4141229B2 (ja)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KR101976013B1 (ko) 수직 무한궤도 이송형 스크린을 갖춘 협잡물 처리장치
KR20100109534A (ko) 수처리장치
KR101609134B1 (ko) 준설물 전처리 장치
KR102038453B1 (ko)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장치를 구비한 준설물 처리장치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JP4476920B2 (ja) 越流水の除塵装置
KR10084037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JP2004033983A (ja) 洗浄水自動供給スクリーン
EP1075865B1 (en) Apparatus for use in a sewage treatment plant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CN205461276U (zh) 一种带式机械格栅机
KR100878892B1 (ko)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KR200414355Y1 (ko) 조목, 미세목 일체형 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침사 협잡물종합처리기
JP2003094069A (ja) 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装置
KR100366776B1 (ko) 무빙스크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