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892B1 -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892B1
KR100878892B1 KR1020080040607A KR20080040607A KR100878892B1 KR 100878892 B1 KR100878892 B1 KR 100878892B1 KR 1020080040607 A KR1020080040607 A KR 1020080040607A KR 20080040607 A KR20080040607 A KR 20080040607A KR 100878892 B1 KR100878892 B1 KR 10087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rum screen
treated water
treatment tank
tunnel exca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만
Original Assignee
효동개발 주식회사
(주)서동
서동산업(주)
충청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동개발 주식회사, (주)서동, 서동산업(주), 충청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효동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응집제 투입부(120)를 갖는 원수 유입구(140)가 형성되며, 타측 방향으로 다수개의 격판(160)이 형성되는 처리수조(100)와; 상기 처리수조(100)의 바닥면과 상기 격판(160)들의 하단 사이에 제공되며 다수개의 스크레이퍼(220)를 통해 원수로부터 낙하된 응집물을 운반하는 이물질 제거부(200)와; 상기 처리수조(100)의 타측에 제공되며, 원수가 필터링 되면서 통과되도록 하고 통과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럼스크린(300)과; 상기 처리수조(100)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의 스크레이퍼(220)에 의해 이동된 응집물을 보관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조(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Figure R1020080040607
터널 굴착, 드럼스크린, 폐수 처리장치

Description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A tunnel digging a waste water disposal plant using drum screen}
본 발명은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널 굴착시 발생되는 폐수를 단계적으로 안전하게 필터링 시켜 필터링과 동시에 처리수를 재활용 또는 외부 하천으로 연속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지하철 공사시에는 터널을 형성하게 되고 터널 등의 공사현장에서는 터널 굴착 등의 작업시 유출수(지하수, 하천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유출수는 별도로 마련된 집수조를 통해 유로로 이동되어 폐수 처리장치를 통해 필터링 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하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유출수에는 다량의 부유물질(SS; Suspended Solids)이 함유되어 있어 유출수가 심하게 오염된 경우 부유물질을 침전시킨 후 여과된 상태에서 배출하게 된다.
즉, 터널 등의 굴착 작업시에는 굴착을 위해 초기 폭파 등의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때 먼지가 비산되고 이러한 먼지의 비산을 초기에 진화시키고자 물 등을 뿌려 가라앉히게 된다.
이때, 터널 굴착시에 발생되는 폐수와 비산되는 먼지를 가라앉히기 위해 사용되는 물에 의해 다량의 부유물질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폐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경우 주변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 굴착에 따른 유출수가 외부로 배출될 때 처리수조와 드럼스크린을 통과하면서 허용치 이상으로 필터링 되어져 재활용수로 이용 또는 외부 하천 등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응집제 투입부를 갖는 원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측 방향으로 다수개의 격판이 형성되는 처리수조와; 상기 처리수조의 바닥면과 상기 격판들의 하단 사이에 제공되며 다수개의 스크레이퍼를 통해 원수로부터 낙하된 응집물을 운반하는 이물질 제거부와; 상기 처리수조의 타측에 제공되며, 원수가 필터링 되면서 통과되도록 하고 통과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럼스크린과; 상기 처리수조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스크레이퍼에 의해 이동된 응집물을 보관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처리수조의 바닥에서 모터를 통해 연속 반복적으로 이송되는 체인벨트와, 상기 체인벨트에 다수개 제공되며 상기 체인벨트의 이동시 바닥면에 낙하된 이물질을 긁어서 운반하는 다수개의 스크레이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드럼스크린은, 일측에 개폐도어가 형성되고 수면에 중간부가 위치되도록 고정되며 필터링을 위한 망사체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외형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제공되어 내부로 유입되어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에 수질 확인 센서와, 필터가 더 제공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의 망사체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외부로 낙하시키는 스프레이가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레이 고정구가 더 제공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는, 터널 굴착에 따른 유출수를 펌핑시켜 처리수조로 유입시키고 처리수조에서 드럼스크린을 통해 허용치 이상으로 필터링 시켜 처리수를 재활용수로 이용 또는 외부 하천 등으로 배출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터널 굴착에 따른 유출수인 원수를 수용하는 처리수조(100)와, 상기 처리수조(100)에 설치되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응집제를 통해 분리 되면 이를 처리하는 이물질 제거부(200)와,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원수를 필터링 시켜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시키는 드럼스크린(300)과,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에 의해 제거된 이물질을 수용하는 처리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처리수조(100)는, 상향 개방공간을 가지며, 상부 일측에 펌핑 동작에 의해 이동되는 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 유입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원수 유입구(140)에는 원수와 함께 응집제가 투입되도록 응집제 투입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공간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다수개의 격판(160)이 형성되며, 상기 격판(160)은 상기 처리수조(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에 일단이 위치되고 수직한 타단이 유입되는 원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처리수조(100)의 상단 높이보다 낮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처리수조(100)는, 하측부 내측이 하향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취하도록 경사각(102)이 형성되어 응집제를 통한 고형의 이물질이 바닥면에 모아지면서 쌓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는, 상기 처리수조(100)의 바닥면과 상기 격판(160)들의 하단 사이에 제공되며 다수개의 스크레이퍼(220)를 통해 원수로부터 낙하된 응집물을 외부로 운반하게 된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는, 상기 처리수조(100)의 바닥에서 다수개의 모터(230)(232)를 통해 연속 반복적으로 이송되는 체인벨트(210)와, 상기 체인벨트(210)에 다수개 제공되며 상기 체인벨트(210)의 이동시 바닥면에 낙하된 이물질을 긁어서 운반하는 다수개의 스크레이퍼(220)로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모터(230)(232)가 구동하게 되면 체인벨트(210)가 이동하게 되고, 이때 체인벨트(210)에 등간격 배열된 스크레이퍼(220)가 상기 처리수조(100)의 바닥면을 긁어내어 바닥면으로 낙하된 고형의 이물질을 천천히 외부로 긁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처리수조(100)의 바닥면 폭이 상기 스크레이퍼(220)의 폭과 동일 또는 조금 크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스크린(300)은, 상기 처리수조(100)의 타측 개방공간에 제공되며, 원수가 필터링 되면서 통과되도록 하고 통과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드럼스크린(300)은, 수면에 중간부가 위치되도록 고정되며 필터링을 위한 망사체(312)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개폐도어를 가지며 원통형의 외형을 갖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을 회전시키는 모터(330)와, 상기 하우징(310)의 일측에 제공되어 내부로 유입되어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320)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320)의 구동시 상기 하우징(310)이 천천히 회전하게 되어 상기 처리수조(100)의 원수가 망사체(312)를 통과하면서 필터링 된 상태로 상기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는 상기 하우징(310)의 망사체(312)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외부로 낙하시키는 스프레이가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레이 고정구(340)가 제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레이는 상기 하우징(310)의 개폐도어를 통해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320)에는 수질 확인 센서(350)와, 필터(360)가 더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수질 확인 센서(350)의 센싱값이 허용치 이하이면 필터(360)를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센싱값이 허용치 이상이면 그대로 배출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필터(360)는 상기 배출구(320)에 작업자 선택에 따라 고정 및 분리 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망사체(312)의 외측에는 상기 처리수조(100)로부터 고정된 이물질 제거함(380)이 제공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함(380)의 일측이 회전되는 상기 망사체(312)에 근접 또는 슬라이드 밀착되어 상기 망사체(312)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처리조(400)는, 상기 처리수조(100)의 타측 외부에 제공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의 스크레이퍼(220)에 의해 이동된 응집물을 보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터널 굴착 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터널 굴착에 따른 원수를 펌핑기를 통해 펌핑시켜 원수 유입구(14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원수 유입구(140)에 설치된 응집제 투입부(120)를 통해 적정량의 응집제가 투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원수가 응집제와 함께 처리수조(100)내로 유입되게 되고, 이때 원수의 이물질은 응집제를 통해 응집되어 바닥으로 가라앉게 된다. 그러면 이물질 제거부(200)의 모터(230)(232)가 구동되어 체인벨트(310)를 이송시키고 체인벨트(310)는 스크레이퍼(320)를 이동시켜 상기 처리수조(100)의 바닥면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긁어 내어 처리조(400)에 낙하 저장시키게 된다.
연속해서 응집제에 의해 이물질이 가라앉은 물은 다수개의 격판(160)을 순차적으로 넘어가면서 응집된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가라앉도록 하게 되고 동시에 드럼스크린(300)을 이루는 망사체(312)를 통과하여 다시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를 수질 확인 센서(350)가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허용치를 넘어서지 못하게 되면 배출구(320)에 필터(36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필터링 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터널 굴착 폐수 처리를 위한 것으로 만 한정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심지의 토파기 공사 등의 오폐수 처리 작업장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터널 굴착, 오폐수처리장치, 토파기 작업장,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면 요부도,
도 3은 도 1에서 드럼스크린을 보인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측면 요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처리수조
120: 응집제 투입부 140: 원수 유입구
200: 이물질 제거부
210: 체인벨트 220: 스크레이퍼
300: 드럼스크린
310: 하우징 312: 망사체
320: 배출구
400: 처리조

Claims (5)

  1. 일측에 응집제 투입부(120)를 갖는 원수 유입구(140)가 형성되며, 타측 방향으로 다수개의 격판(160)이 형성되는 처리수조(100)와; 상기 처리수조(100)의 바닥면과 상기 격판(160)들의 하단 사이에 제공되며 다수개의 스크레이퍼(220)를 통해 원수로부터 낙하된 응집물을 운반하는 이물질 제거부(200)와; 상기 처리수조(100)의 타측에 제공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의 스크레이퍼(220)에 의해 이동된 응집물을 보관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처리조(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폐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조(100)에, 원수가 필터링 되면서 통과되도록 하고 통과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럼스크린(300)를 제공하며;
    상기 드럼스크린(300)은,
    일측에 개폐도어가 형성되고 수면에 중간부가 위치되도록 고정되며 필터링을 위한 망사체(312)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외형을 갖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을 회전시키는 모터(330)와, 상기 하우징(310)의 일측에 제공되어 내부로 유입되어 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3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200)는,
    상기 처리수조(100)의 바닥에서 모터(230)(232)를 통해 연속 반복적으로 이송되는 체인벨트(210)와, 상기 체인벨트(210)에 다수개 제공되며 상기 체인벨트(210)의 이동시 바닥면에 낙하된 이물질을 긁어서 운반하는 다수개의 스크레이퍼(22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20)에
    수질 확인 센서(350)와, 필터(360)가 더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310)의 망사체(312)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외부로 낙하시키는 스프레이가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레이 고정구(340)가 더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KR1020080040607A 2008-04-30 2008-04-30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KR10087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607A KR100878892B1 (ko) 2008-04-30 2008-04-30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607A KR100878892B1 (ko) 2008-04-30 2008-04-30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8892B1 true KR100878892B1 (ko) 2009-01-15

Family

ID=4048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607A KR100878892B1 (ko) 2008-04-30 2008-04-30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021B1 (ko) * 2012-03-06 2012-06-18 그린바이오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 처리장치
CN109368797A (zh) * 2018-11-06 2019-02-22 山东省农业可持续发展研究所 一种多功能的净化功能型湿地植物筛选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038A (ja) * 2001-05-15 2002-11-26 Sun Tec:Kk クーラントの濾過装置
JP2003326436A (ja) * 2002-03-01 2003-11-18 J P C:Kk 切削液濾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7038A (ja) * 2001-05-15 2002-11-26 Sun Tec:Kk クーラントの濾過装置
JP2003326436A (ja) * 2002-03-01 2003-11-18 J P C:Kk 切削液濾過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6021B1 (ko) * 2012-03-06 2012-06-18 그린바이오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 처리장치
CN109368797A (zh) * 2018-11-06 2019-02-22 山东省农业可持续发展研究所 一种多功能的净化功能型湿地植物筛选设备
CN109368797B (zh) * 2018-11-06 2021-09-17 山东省农业可持续发展研究所 一种多功能的净化功能型湿地植物筛选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675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및 비점오염 물질 저감방법
KR100557985B1 (ko) 오폐수 및 하수 여과장치
KR100942564B1 (ko) 하수도 준설물 처리시스템
JP2009045562A (ja) 濾過フイルター式スラッジ脱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2009847B1 (ko) 비점오염 저감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0912058B1 (ko)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KR100878892B1 (ko) 드럼스크린을 이용한 터널 굴착 폐수 처리장치
CN102020403B (zh) 污泥净化处理方法及其装置
KR101309775B1 (ko) 건설용 폐수의 처리장치
KR100849521B1 (ko) 준설토 선별 분리기
KR101496828B1 (ko) 배토수 재처리 장치
KR102601272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2351916B1 (ko)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토양정화시스템
JP2003334533A (ja) 土壌洗浄方法及び土壌洗浄装置並びに吸水送気兼用装置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JP4141229B2 (ja)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20090107224A (ko) 해변의 오염된 흙의 기름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102038453B1 (ko)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장치를 구비한 준설물 처리장치
KR100728588B1 (ko) 토양 세척기와 진동선별기를 이용한 토양 세척 방법과 그 장치
EP3617155A1 (en) A dewatering unit
KR101350617B1 (ko) 우수처리 장치
KR20220014631A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KR101758155B1 (ko) 와류방지 및 여과역세박스를 이용한 자동화 비점오염 저감시설
KR200346465Y1 (ko)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