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4631A -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4631A
KR20220014631A KR1020200094480A KR20200094480A KR20220014631A KR 20220014631 A KR20220014631 A KR 20220014631A KR 1020200094480 A KR1020200094480 A KR 1020200094480A KR 20200094480 A KR20200094480 A KR 20200094480A KR 20220014631 A KR20220014631 A KR 20220014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space
pollution treatment
flow
sluic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157B1 (ko
Inventor
정회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업
Priority to KR1020200094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157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Sedimentation tan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 B01D21/0033Vertical, perforated parti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1Positive-displacement pumps; Screw feeders; Trough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류공간을 구비하면서 물 흐름을 갖도록 하나 이상의 가동수문을 설치하여 복수의 오염처리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오염처리영역은 상부는 일정한 물 흐름을 형성하고, 상기 오염처리영역의 저부에는 침전조의 역활을 수행토록 약품이 투입되면서 하부에 오니제거용 스크류가 구비되며, 저류되는 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water channel using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저류공간을 구비하면서 물 흐름을 갖도록 하나 이상의 가동수문을 설치하여 복수의 오염처리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오염처리영역은 상부는 일정한 물 흐름을 형성하고, 상기 오염처리영역의 저부에는 침전조의 역활을 수행토록 약품이 투입되면서 하부에 오니제거용 스크류가 구비되며, 저류되는 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질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 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로는 중금속, 병원성 미생물, 유기화합물, 방사성물질, 유독물질 및 기타 염류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들은 통상 강우시에 빗물에 쓸려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수질오염을 야기 시킴은 물론, 이로 인한 생태계의 파괴와 함께 최종적으로는 인간에게까지 매우 큰 폐해를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오염물질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강우시 빗물과 함께 하천, 내만, 호소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 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의 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은 하천, 내만, 호수 바닥에 침전되어 슬러지화되면서 오염도를 더욱 가속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2091573호에 친환경 수질 정화장치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수로를 계단의 형태 또는 수로벽체(100)의 형태로 정비하고 계단 또는 수로벽체(100)의 일측과 타측에 다수개의 상,하 작동 가이드(미도시)를 각각 중첩되게 구성시키고; 상기 상하 작동 가이드의 상부에 승하강 지지대(300)를 각각 구성시키고; 상기 상하작동가이드의 홈에 삽입 되서 승하강 작동을 하면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물들을 순차적으로 배출하여 다수개의 수질정화기 겸용 친환경 배출장치(200)를 순착적으로 각각 삽입하며, 상기 승하강 지지대(300)와 상기 수질정화기 겸용 친환경 배수장치(200)의 사이에 상기 수질정화기 겸용 친환경배출장치(200)를 승하강 시켜주는 권양장치(301)를 각각 흰지 결합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로벽체(100)의 최상류 부에 구성되는 상기 1차 수질정화기 겸용 친환경 배출장치(200)의 상류부에는 하천의 상류로 부터 유입되는 부유물질들과 쓰레기들을 제거 시켜주도록 삽날(501)을 갖는 이물질제거용 제진기(500)가 수로벽체(100)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질 정화장치는, 단순히 비중차에 의해 부유물을 제거하거나 낙하에 의해 물에 산소를 공급하여 오염물을 제거토록 하는 구성으로 수질 정화능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물을 항상 가두워 놓은 상태에서 동작토록 되어 자연적인 물의 흐름을 해치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의 흐름에 영향없이 물을 정화시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대용량의 물을 신속하게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유입되는 물의 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정화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고, 오염물질의 배출 및 처리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길이의 저류공간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물 흐름을 갖도록 하나 이상의 가동수문을 설치하여 복수의 오염처리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오염처리영역은 상부에서는 상류에서 하류를 향한 물 흐름을 갖도록 하면서 침전조의 역활을 수행토록 약품이 투입되면서 하부에 오니제거용 스크류가 구비되고,
저류되는 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설치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반기는, 수로의 측면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승,하강수단을 통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월류공간에는 걸림편을 갖는 복수의 배출공으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이 구비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수문은, 하단이 힌지연결되는 부력체, 내장되는 실린더로서 승,하강하는 인양수문, 힌지연결되면서 실린더가 구비되는 전도수문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포집도랑은 상부에 다공상의 슬러지스크린이 더 구비되어 대형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토록 하고, 상기 슬러지스크린은 일측에 자성체가 부착되어 금속성 물질을 제거토록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은 폭기파이프가 더 구비되어 저류공간에 산소를 공급토록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천의 폭을 구분하여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바이패스 영역은 물의 흐름을 제한하는 개폐수문이 설치되며,
상기 개폐수문은 내장되는 실린더로서 승,하강하는 인양수문, 힌지연결되면서 실린더가 구비되는 전도수문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천의 폭을 구분하여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바이패스 영역은 물의 흐름을 제한하는 개폐수문이 설치되며,
상기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영역은 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교차하는 위치에 바이패스영역과 오염처리영역이 각각 배치되며, 중앙에 유로변경수문이 설치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물의 흐름에 영향없이 물을 정화시켜 흐를수 있고, 대용량의 물을 신속하게 정화시키며, 유입되는 물의 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정화장치를 동작시키고, 오염물질의 배출 및 처리가 신속하게 진행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수질 정화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시스템의 동작상태도이다.
도3 및 도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시스템의 설치상태 및 동작상태도이다.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시스템의 요부 사시도 및 동작상태도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시스템의 부력에 의한 가동수문의 동작상태도이다.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시스템의 교반기 및 슬러지스크린의 설치상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시스템의 펌프게이트 설치상태도이다.
도12 및 도13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시스템의 가동수문 및 슬러지스크린의 설치상태도이다.
도14 및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수문의 설치상태도이다.
도1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시스템의 적용상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시스템의 물 흐름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물이 일정속도의 흐름을 형성하는 강이나 하천등의 유로(100)에 저류공간(200)을 형성하면서 일정공간내에서 물이 하류를 향하여 흐르도록 콘크리트 등으로 구조물(300)을 설치한다.
그리고, 도2와 같이 상기 유로(100)에서 일정한 수위의 물이 흐를 경우 부력에 의한 물의 가둠이 가능토록 부력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가동수문(750a)이 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복수의 오염처리영역(700)을 형성토록 한다.
이때, 상기 유로에 물이 일정한 수위를 형성하면서 흐를 경우 전체가 저류공간(200)이 될수 있으며, 상기 가동수문(750a)이 부력에 의해 동작할 경우 각 가동수문 사이에 흐르는 물의 일정량을 가두는 효과를 구현하여 오염처리영역(700)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도3내지 도16과 같이 구조물(300)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진기(310)와 펌프게이트(330)가 구비되어 대형의 부유물 유입을 방지하면서 물을 일부를 가두어 수위를 조절토록 하는 일정길이의 저류공간(200)이 형성되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진기(310)와 펌프게이트(330) 사이에는 펌프게이트에 의해 물 가둘수 있어 저류공간(200)이 형성되고, 상기 저류공간(200)에서는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는 일정한 물 흐름이 형성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염처리영역(700)을 형성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제진기(310)는 물의 유입은 가능하면서 큰 부유물을 제거토록 하고, 상기 펌프게이트(330)는 문비의 하부에는 펌프(미도시)가 상부에는 전도수문(미도시)이 설치되어 일정량의 물을 저장한 후에 전도수문을 동작시키면 월류토록 되고, 유량이 적어도 펌프를 동작시켜 물의 강제적인 흐름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게이트에 설치되는 펌프 및 전도수문의 설치위치는 정화처리를 위한 유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도16에서와 같이 상기 저류공간(400)의 내측에서는 지그재그의 물 흐름을 갖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서 월류공간(751)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가동수문(750)이 설치되어 복수의 오염처리영역(700)을 형성토록 한다.
이때, 상기 오염처리영역(700)은, 일부의 물은 저장되는 상태로 흐름이 최소화 되고, 일부의 물은 하류에 위치한 다른 오염처리영역으로 연속하여 흐를수 있도록 되고, 각 오염처리영역은 침전조의 역활을 수행토록 약품이 투입되면서 하부에 오니제거용 스크류(7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염처리영역(700)은, 저류되는 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73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교반기(730)는, 구조물(300)의 측면에 가이드레일(320)을 형성한 후 그 내측에 설치되는 크레인등의 승,하강수단(335)을 통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수문(750)은 지그재그의 물 흐름을 갖도록 월류공간(751)이 구비되고, 상기 월류공간(751)에는 걸림편(721)을 갖는 복수의 배출공(723)으로 이루어진 스크린망(720)이 구비되어 부유되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동수문(750)은, 하단이 힌지연결되는 부력체(750a), 내장되는 실린더로서 승,하강하는 인양수문(750b), 힌지연결되면서 실린더가 구비되는 전도수문(750c)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더하여, 상기 스크류(710)는 중력에 의해 슬러지가 모이도록 오염처리영역의 최저부에 설치되는 포집도랑(711)에 장착되며, 상기 포집도랑은 상부에 다공상의 슬러지스크린(715)이 더 구비되어 대형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러지스크린(715)은 일측에 자성체가 부착되어 금속성 물질을 제거토록 하여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오염처리영역(700)의 내측에는 폭기파이프(780)가 더 구비되어 저류공간에 산소를 공급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물(300)은, 하천의 폭을 구분하여 일정한 물 흐름을 형성하면서 오염물을 응집시켜 처리하는 오염처리영역(700)과 별도의 처리없이 물을하류로 바로 배출하는 바이패스 영역(780)으로 구분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영역(780)은 물의 흐름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개폐수문(78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문(785)은, 내장되는 실린더로서 승,하강하는 인양수문, 힌지연결되면서 실린더가 구비되는 전도수문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다.
또한, 도15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의 폭을 구분하여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 영역으로 구분하면서 바이패스 영역에 개폐수문이 설치될 때
상기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영역은 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교차하는 위치에 바이패스영역과 오염처리영역이 각각 배치되며, 중앙에 유로변경수문(900)이 설치되어도 좋다.
즉, 상기 유로변경수문(900)의 동작에 따라 바이패스영역(780)을 통과한 물이 하류측의 다른 바이패스영역(780)으로 향하거나 하류측의 다른 오염처리영역(700)으로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류의 오염처리영역(700)을 통과한 물 역시 하류측의 바이패스영역(780) 또는 오염처리영역(700)을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유로(100)에 일정한 수위의 물이 흐를 경우 부력에 의한 물의 가둠이 가능토록 하나 이상의 가동수문(750a)이 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되어 일정량의 물을 가두는 역활을 수행하면서 물이 하류를 향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동수문 사이에는 오염된 물의 정화처리를 위한 오염처리영역(70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유로에 일정한 수위를 형성할 경우 전체가 저류공간(200)이 될수 있으며, 상기 가동수문(750a)이 부력에 의해 동작할 경우 각 가동수문 사이에 흐르는 물의 일정량을 가두는 오염처리영역(700)의 형성함으로써 오염된 물의 정화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3 내지 도1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물이 일정속도의 흐름을 형성하는 강이나 하천등의 유로(100)에서 임의의 시간에 제한된 공간에 물이 존재하도록 저류공간(200)을 형성하고, 상기 저류공간(200)의 유로(100)에 설치되는 구조물(300)을 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조물(300)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제진기(310)와 펌프게이트(330)가 구비되어 펌프게이트(330)을 닫으면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저류공간(200)이 형성되고, 상기 저류공간(200)의 내측에는 제진기(310)를 통하여 협찹물등이 제거된 상태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일부가 저장토록 된다.
즉, 본 발명은 저류공간(200)에 일정한 유량의 물이 항상 위치토록 될 때 상기 저류공간(200)의 내측을 구분하여 하나 이상의 오염처리영역(700)을 형성하게 되고, 각 오염처리영역(700)은 물의 흐름이 억제되지 않고 일부의 물은 연속하여 하류를 향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물의 정화처리가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저류공간(200)은 전체에서 오염물의 응집작용을 수행하여도 좋으나 그 효과의 증대를 위하여 저류공간(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동수문(750)을 통하여 일정용량으로 구분되는 오염처리영역(7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동수문(750)에는 상단부 폭 방향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월류공간(751)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각 오염처리영역(700)에서 지그재그의 물 흐름이 형성되어 처리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월류공간(751)에는 걸림편(721)을 갖는 복수의 배출공(723)으로 이루어진 스크린망(720)이 구비되어 필터의 역활을 수행함으로써 부유 오염물을 제거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가동수문(750)을 통하여 구분되는 각 오염처리영역(700)은 침전조의 역활을 수행토록 약품이 투입되어 오염물을 슬러지 상태로 응집토록 하고, 응집된 오염물은 하부에 침강하여 하부에 설치된 오니제거용 스크류(710)를 통하여 지상에 운반 제거토록 한다.
또한, 상기 오염처리영역(700)은, 일부는 연속하여 흐르도록 하면서 나머지 저류되는 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730)가 설치되어 산소공급이나 약품의 투입에 의해 오염물의 응집을 원활하게 수행토록 한다.
이때, 상기 교반기(730)는, 구조물(300)의 측면에 가이드레일(320)을 형성한 후 그 내측에 설치되는 크레인등으로 이루어진 승,하강수단(330)을 통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되어 오염처리영역에 저장되는 오염수를 전체적으로 약품에 반응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동수문(750)은, 유지비의 최소를 위해서는 하단이 힌지연결되는 부력체(750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장되는 실린더로서 승,하강하는 인양수문(750b), 힌지연결되면서 실린더가 구비되는 전도수문(750c)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때, 상기 가동수문을 부력체를 사용할 경우 일정량의 물이 저장될 경우 부력에 의해 자동상승하여 각각의 오염처리영역을 구분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스크류(710)는 중력에 의해 슬러지가 모이도록 설치되는 포집도랑(711)에 장착되어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모이도록 하고, 상기 포집도랑은 상부에 다공상의 슬러지스크린(715)이 더 구비되어 대형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슬러지 만을 용이하게 수거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스크린(715)은 일측에 자성체가 부착되어 금속성 물질을 제거토록 하여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오염처리영역(700)의 내측에는 폭기파이프(780)가 더 구비되어 저류공간에 산소를 공급토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구조물(300)은, 하천의 폭을 구분하여 오염처리영역(700)과 바이패스 영역(780)으로 구분하여 수질의 오염이 해소될 경우 바이패스 영역으로 통과시켜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영역(780)은 물의 흐름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개폐수문(785)이 설치되어 미 사용시 개폐수문을 닫은 후 오염처리영역에서 오염된 물을 다단으로 처리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문(785)은, 내장되는 실린더로서 승,하강하는 인양수문, 힌지연결되면서 실린더가 구비되는 전도수문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다.
더하여, 상기 오염처리영역(700)은, 각 처리영역에서 서로 다른 약품을 사용토록 하여도 좋다.
한편, 도1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의 폭을 구분하여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 영역으로 구분하면서 바이패스 영역에 개폐수문이 설치될 때 상기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영역은 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교차하는 위치에 바이패스영역과 오염처리영역이 각각 배치된다.
즉, 중앙에 유로변경수문(900)를 동작시켜 오염된 물이 2번이상의 오염처리영역을 통과하면서 정화토록 하고, 바이패스영역을 통과한 물이 하측의 오염처리영역을 통과하거나 다른 바이패스영역으로 통과토록 하는 것이다.
더하여, 도16에서와 같이 상기 저류공간(400)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월류공간(751)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가동수문(750)이 설치되어 지그재그의 물 흐름을 갖는 복수의 오염처리영역(700)을 형성함으로써 일부의 물은 하류를 향하여 흐르면서 오염된 물을 정화처리토록 한다.
이때, 상기 오염처리영역(700)은, 가동수문의 상승상태 및 펌프게이트의 열림상태에 따라 저장되는 유량이 조절되는 상태로 일부의 물은 저장되면서 일부의 물은 하류를 향하여 연속하여 흐르면서 정화처리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100...유로 200...저류공간
300...구조물 310...제진기
330...펌프게이트 700...오염처리영역
710...스크류 750...가동수문
780...바이패스영역 785...개폐수문
900...유로변경수문

Claims (8)

  1. 하류를 향한 연속적인 물 흐름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저류공간의 내측에서 일정한 유량의 물을 가둘수 있도록 하면서 하류를 향하여 연속하여 흐르도록 하나 이상의 가동수문을 설치하여 복수의 오염처리영역으로 형성하며,
    상기 각 오염처리영역은, 침전조의 역활을 수행토록 약품이 투입되면서 하부에 약품에 의해 응집되어 저부에 모이는 슬러지를 제거토록 오니제거용 스크류가 구비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처리영역의 내측에는 물을 교반시키는 교반기가 더 설치되며,
    상기 교반기는, 구조물의 측면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하여 승,하강수단을 통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의 일정위치에 형성되는 저류공간에는 이물질이 제거되면서 일정량의 물을 저류토록 가동수문의 전방 및 후방에 제진기와 펌프게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진기와 저류공간 및 펌프게이트 사이에서는 하류를 향한 연속적인 물 흐름이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가동수문은, 지그재그의 물 흐름을 갖도록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월류공간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월류공간에는 걸림편을 갖는 복수의 배출공으로 이루어진 스크린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수문은, 하단이 힌지연결되는 부력체, 내장되는 실린더로서 승,하강하는 인양수문, 힌지연결되면서 실린더가 구비되는 전도수문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오염처리영역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포집도랑에 설치되고,
    상기 포집도랑의 상부에 다공상의 슬러지스크린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처리영역은, 폭기파이프가 더 구비되어 저류공간에 산소를 공급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바이패스 영역은 물의 흐름을 제한하는 개폐수문이 설치되며,
    상기 개폐수문은 내장되는 실린더로서 승,하강하는 인양수문, 힌지연결되면서 실린더가 구비되는 전도수문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하천의 폭을 구분하여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바이패스 영역은 물의 흐름을 제한하는 개폐수문이 설치되며,
    상기 오염처리영역과 바이패스영역은 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교차하는 위치에 바이패스영역과 오염처리영역이 각각 배치되며, 중앙에 유로변경수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KR1020200094480A 2020-07-29 2020-07-29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KR102507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80A KR102507157B1 (ko) 2020-07-29 2020-07-29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80A KR102507157B1 (ko) 2020-07-29 2020-07-29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31A true KR20220014631A (ko) 2022-02-07
KR102507157B1 KR102507157B1 (ko) 2023-03-07

Family

ID=8025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80A KR102507157B1 (ko) 2020-07-29 2020-07-29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2383A (zh) * 2024-01-11 2024-02-13 海南平瑾易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闸口清淤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529A (ko) * 2017-09-07 2019-03-15 엠씨이 코리아 주식회사 침사지 내의 탁수 및 퇴적물 처리 장치
KR102029774B1 (ko) * 2018-05-28 2019-10-08 이상섭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2091573B1 (ko) * 2018-10-11 2020-04-23 한상관 하천,강,저수지, 호수, 석호 또는 댐의 주변에서 흘러들어오는 오염된 하천수와 오염물질들과 흙 탕물등을 수집하여 깨끗하게 정화시켜주는 수질정화기 겸용 친환경 수질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면서 오염된 물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7529A (ko) * 2017-09-07 2019-03-15 엠씨이 코리아 주식회사 침사지 내의 탁수 및 퇴적물 처리 장치
KR102029774B1 (ko) * 2018-05-28 2019-10-08 이상섭 오염토양 정화장치
KR102091573B1 (ko) * 2018-10-11 2020-04-23 한상관 하천,강,저수지, 호수, 석호 또는 댐의 주변에서 흘러들어오는 오염된 하천수와 오염물질들과 흙 탕물등을 수집하여 깨끗하게 정화시켜주는 수질정화기 겸용 친환경 수질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면서 오염된 물을 자연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52383A (zh) * 2024-01-11 2024-02-13 海南平瑾易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闸口清淤装置
CN117552383B (zh) * 2024-01-11 2024-03-22 海南平瑾易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工程闸口清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157B1 (ko)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516B1 (ko) 조정식 표면 세정 메카니즘을 가진 필터 카트리지
KR100897258B1 (ko) 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 처리 장치
KR101332781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991492B1 (ko) 다단처리를 통한 자연형 초기 우수 정화 장치 및 그 정화 방법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334884B1 (ko)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186604B1 (ko) 활성바이오 담체를 이용한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0750495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2507157B1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US20210087804A1 (en) Removable trash filter basket with hinged wier for catch basins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100931522B1 (ko) 미생물접촉재와 메쉬망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760902B1 (ko) 블록식 결합형태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화장치
KR101147021B1 (ko)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KR101802483B1 (ko) 탈착식 여과장치
KR20010082482A (ko)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
KR101806838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2441181B1 (ko) 우수처리설비 및 우수처리방법
KR20110039047A (ko) 하천 지류의 부유물 제거 및 여과 시스템
KR100964596B1 (ko) 다층여재형 우수 정화처리 장치
KR101912323B1 (ko) 침전 및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40043103A (ko)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KR200377629Y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100628881B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