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103A -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103A
KR20140043103A KR1020140031993A KR20140031993A KR20140043103A KR 20140043103 A KR20140043103 A KR 20140043103A KR 1020140031993 A KR1020140031993 A KR 1020140031993A KR 20140031993 A KR20140031993 A KR 20140031993A KR 20140043103 A KR20140043103 A KR 20140043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te
river
sluic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4480B1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2972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06748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065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03611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3550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06115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5036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05626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0641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10558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12495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30121798A/ko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ublication of KR2014004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으로서 강, 호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을 가동보 수문, 제진기, 흡착기를 통해 보다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한 하천수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강 또는 하천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수용 격벽; 상기 지수용 격벽의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히 설치되는 가동보 수문; 상기 비스듬히 설치된 가동보 수문의 평면상 하단부와 접하는 지수용 격벽에 상기 가동보 수문의 상류와 하류에 면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동보 수문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강 또는 하천과 통하도록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을 배출해주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부유물질 수집통;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을 분리해주는 제진기; 및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진기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의 부유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기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본 발명은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 호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을 가동보 수문, 제진기, 흡착기를 통해 보다 깨끗하게 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산업 사회의 발전으로 인해 하천수를 오염시키는 다양한 물질들이 존재한다.
이들물질들이 아무런 여과장치 없이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다보니 하천수의 오염은 물론 정화되지 않은 하천수들이 그대로 바다로 유입되다보니 바다 또한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물을 저장하여 농사용 또는 공업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기 위해 하천, 저수지의 여수로(余水路) 또는 관계 용수로에는 수중보 또는 수문이 설치되어 저수측(貯水側)의 수위를 항상 일정 높이로 유지하여 주게 된다.
종래 수중보는 대부분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유입수가 수중보의 상부로 넘쳐흐르는 방식으로 배출되므로 저장된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저수측의 하단부에 지속적으로 쌓여 퇴적오니가 누적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퇴적오니로 인해 병원성 세균 또는 해충의 발생이 심각해지는 등 2차 오염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 0821690호와 등록실용신안 제 320510 호 와 공개번호 10-2012-0094877호 와 공개번호 10-2011-0060875호 와 10-2011-0047182호 와 공개번호 10-2011-0116102호와 공개번호 10-2011-0086678호와 공개번호 10-2011-0042275호와 공개번호 10-2012-0090916호와 공개번호 10-2012-0086681호와 10-2011-0060876호와 10-2010-0020019호와 등에서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도 사이펀 원리에 의해 저수공간 저부의 퇴적오니를 포함한 저층수를 수문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이들 특허 들은 단순히 2유입 2배출공법을 적용한 사이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저수공간 하부측의 물을 배출하면서 퇴적오니와 같은 이물질을 같이 배출해주도록 한 방식이다보니 오염도가 심한 경우 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원활하게 걸러주지 못하고 자칫 수문에 끼어 작동 불능 상태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또한,수문이 기립된 상태에서 사이펀 통로를 통해 수문 너머로 물이 배출되면 모래, 자갈 등의 이물질이 수문 뒷부분에 역류되어 쌓이게 되고, 그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되어 지랫대 현상에 의해 수문이 찌그러지기 때문에 수문을 원활하게 전도시키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한편, 사이펀 원리를 이용한 일반적인 수문에서 사이펀 통로는 수문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까지 일정한 폭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하천의 수위가 수문 상단부 보다 높아지게 되면 당연히 사이펀 원리에 의해 하천의 저층수가 사이펀 통로를 통해 수문 너머로 배출될 수 있지만 갈수기에 하천의 수위가 낮아지더라도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천수가 사이펀 통로를 수문 너머로 모두 배출되면서 하천수위를 유지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종래의 싸이폰 통로들은 배출통로가 중력의 작용을 즉각적으로 발생시키는 일자형태로 구성되다 보니 가뭄철에 저장된 물이 모두 빠져나가는 중대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강, 호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물리 가동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정화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물속에 포함된 오염물질과 쓰레기를 우회시켜 완벽하게 수거함으로써 보다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갈수기에도 하천 수량을 일정량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한 하천수 정화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 또는 하천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수용 격벽; 상기 지수용 격벽의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히 설치되는 가동보 수문; 상기 비스듬히 설치된 가동보 수문의 평면상 하단부와 접하는 지수용 격벽에 상기 가동보 수문의 상류와 하류에 면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동보 수문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강 또는 하천과 통하도록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을 배출해주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부유물질 수집통;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을 분리해주는 제진기; 및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진기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의 부유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수용 격벽의 일측에는 수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유입구와 배출구에는 상기 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하거나 수동으로 개폐되는 개폐문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진기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진기에서 수집한 이물질을 이송하여 주는 이송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하부에는 부유물질성 쓰레기들을 수집하여주는 이물질 수집통이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내하부에는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를 통해 펌핑된 물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기 위한 차집관이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기는, 유흡착제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흡착벨트와, 상기 흡착벨트와 밀착 설치되어 상기 흡착벨트를 강제로 압착하여 짜내주는 유기물질 수집장치와, 상기 유기물질 수집장치와 연결설치된 수집통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집통의 일단부에는 상기 수집된 유기물질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주는 이송관로가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보 수문은, 수문판의 하단부를 이루면서 하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수문판의 가동축 위치 위쪽에 형성된 다수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 각각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차단판;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수압확산벽; 상기 수문판의 전면부에 기립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전면부 지지판; 상기 전면부 지지판의 전면부에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합된 저층수 배출 유도판; 상기 수문판의 후면부에 기립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구성된 다수의 후면부 지지판; 상기 수문판의 위쪽에 가로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다수의 ∪ 통로;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자 형태 제2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 지지판에 접합되는 수압확산판; 상기 수압확산판과 상기 수압확산벽을 통해 형성되어 수압을 강화시켜주는 수압강화 통로; 상기 후면부 지지판과 상기 수압확산판을 통해 형성되는 제3 배출 통로; 다수의 굴곡부를 갖는 상태로 상기 수압확산판의 후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여울발생판;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형성되어 상기 여울발생판의 하단부분에 의해 하천수의 흐름에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여울발생판의 하단부를 일정한 높이로 띄워 지지하는 부상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형태로 조립날개부가 구비되는 전면부 조립판이 ∩ 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문판의 전면부에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전면부 조립판이 ∩ 자 형태로 결합되고; 저층수 배출 유도판이 상기 전면부 조립판과 조립되어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가 형성되며; ∩ 자 형태로 구성되는 후면부 조립판의 일측과 타측에 ┛┗자 형태로 조립날개부가 절곡되어 상기 수문판의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 조립판이 조립되고; 판재의 상단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자형태로 제2배출통로가 구성된 수압확산판이 구비되어 상기 후면부 조립판의 후면부분과 조립되면서 수압 확산통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보 수문의 후면부에는 가동보 수문 지지대가 1자 형태로 중첩되게 구비되고, 상기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에는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보 수문의 전면부에는 물에 포함된 물질의 비중과 밀도에 따라 다수의 수류층이 형성되도록 ∧자 형태의 여울발생대가 중첩되게 다단계로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보 수문은, 수문판의 하단부를 이루면서 하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수문판의 가동축 위치 위쪽에 형성된 다수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 상기 수문판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ㄱ자 형태로 결합되는 지지보강대;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 후면부에 상기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이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 뒤부분으로 밀리지 않도록 형성된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 정지턱; ⊂ ⊃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문판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저층수 배출통로 가이드; 상기 저층수 배출통로 가이드의 사이에 ㅡ자 형태로 구성되는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 상기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의 상단부와 상기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문판의 각도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의 위치를 개폐하는 조절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문판 하단부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 전면부에는 어도 조절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어도 조절판에는 조절장치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천의 바닥에 집수정이 설치되고,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는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보 수문의 상단부에는 원형 파이프가 접합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에는 분수 노즐이 구성되며, 상기 펌프와 상기 원형 파이프 사이에 연결관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동보 수문의 상단부에는 원형 파이프가 접합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의 전면부에는 하천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 파이프의 후면부에는 상기 하천수 유입구보다는 작은 크기의 분수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형 파이프에 2중 파이프가 구성되고, 상기 2중파이프에는 분사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하천 전단면 전폭에 걸쳐서 설치되는 가동보 수문의 일측에 구성되는 부유물질 수집통으로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천수를 모두 유입시킨 후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에 결합되어 구성되는 개폐문을 조작하여 하천수 유입수량 보다 미량 적게 하천의 하류로 방류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하천수와 섞여서 중력의 작용과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하천수의 상층부에 부상하면서 하천수의 유속에 의해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으로 흘러 들어오는 부유물질성 쓰레기들을 제진기를 가동하여 수집한 후 수집된 쓰레기들을 이송벨트로 수거하여 재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진기에서 처리하지 못하고 부유물질 수집통의 상층부로 부상하는 비중이 가벼운 유기물질성 부유물들은 유체성 유기물질성분을 흡착하여주는 유흡착제와 결합되어진 흡착 벨트를 회전시켜주는 흡착기로 흡착하여 유기물질 수집장치를 이용하여 수집한 후 수집된 유기물질성 부유물들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 깨끗하게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하천수를 보다 깨끗하게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물질 수집통으로 유입된 하천수중에서 비중이 차이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부로 자동부상하는 이물질들을 펌프로 펌핑 한 후 차집관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 하수처리장에서 깨끗한 하천수로 정수하여 하천으로 다시 방류하는 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오염된 하천수를 보다 깨끗하게 정화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질정화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는 가동보 수문의 내부에 저수가 완료되면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들오는 하천수가 가동보 수문의 상부를 넘치면서 1차 배출이 이루어지고, 가동보 수문을 넘쳐 흐르는 하천수는 가동보 수문의 뒷편에 구성되는 여울발생판의 상단부분으로 낙하하면서 자연스럽게 폭기작용이 발생되어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스럽게 정화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정화 작용이 발생함과 동시에 가동보 수문의 내부에서는 저층수가 수압확산벽을 통과함과 동시에 U형통로와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에서 수압이 확산되는 작용이 발생하면서 일정량의 하천수는 수압을 강화시켜주는 수압확산 통로를 연속적으로 통과한 후 제3배출통로를 통하여 배출된 후 제3배출통로를 통과한 하천수가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하천수와 여울발생판의 내부에서 강하게 접촉하는 와류작용과 폭기작용을 발생시키면서 자연스럽게 하천으로 유입될 수 있어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스럽게 정화시켜줄 수 있으며,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를 통과한 일정량의 또다른 깨끗한 하천수는 수압에 의해 제2배출통로로 배출됨과 동시에 가동보 수문을 타고 넘는 1차 배출수와 희석되어 여울발생판의 상부로 낙하하면서 자연스럽게 폭기작용이 발생되어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스럽게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포진한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물과 같이 배출되어 저수공간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천수 정화시스템을 대용량으로 적용하게 되면 대용량의 물을 저수하여 놓을 수가 있음은 물론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함과 동시에 적은 비용을 들여서 손쉽게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에 의해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자연정화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완전무결한 깨끗한 하천수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낼 수가 있고, 염소와 불소와 같은 화학 약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깨끗한 물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통로를 통하여 상시 물이 흐르고 있으므로 물고기가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를 통하여 하류로 이동하거나 상류로 이동할 수 있어 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무리 많은 물을 가두어 두어도 저장된 물이 썩지 않기 때문에 대용량의 물을 가두어 둘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수를 지속적으로 저장해 놓음으로 인히여 하천으로 유입되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하천 인근의 산과 들에는 수분의 함유량이 높은 상태의 토질을 유지하고 있게 되면서 수분을 항상 필요로 하는 식물들과 나무들의 성장을 촉진하여 주는 동시에 수분에 항상 젖어 있는 낙엽들이 담뱃불과 같은 화력에 의해 쉽게 점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산불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가뭄에 따른 토지의 사막화를 막아주는 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산림녹화의 촉진작용을 도와주는 중대한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천수 정화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천수 정화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형 통로와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의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수압확산판과 여울 발생판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전면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후면부 상세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설치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적용되는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보강대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전도시 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기립시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적용되는 경사식 수문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천수 정화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천수 정화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강이나 호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모든 오염물질과 쓰레기들을 완벽하게 수거하여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기 위한 하천수 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강 또는 하천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수용 격벽(1200)과; 지수용 격벽(1200)의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히 설치되는 가동보 수문과; 비스듬히 설치된 가동보 수문의 평면상 하단부와 접하는 지수용 격벽(1200)에 가동보 수문의 상류와 하류에 면하도록 설치되며, 가동보 수문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강 또는 하천과 통하도록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8008)와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을 배출해주는 배출구(8007)가 각각 형성된 부유물질 수집통(9002)과, 부유물질 수집통(90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입구(8008)를 통해 유입된 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을 분리해주는 제진기(9000)와; 부유물질 수집통(9002)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진기(9000)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의 부유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기(9110)를 포함한다.
이때, 지수용 격벽(1200)의 일측에는 수위센서(9003)가 설치되고, 부유물질 수집통(9002)의 유입구(8008)와 배출구(8007)에는 수위센서(9003)의 감지신호에 따라 유입구(8008)와 배출구(8007)를 자동으로 개폐하거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배출구(8007)에 설치된 개폐문(8009)만 도시하였다.
또한, 제진기(9000)의 후면부에는 제진기(9000)에서 수집한 이물질을 이송하여 주는 이송벨트(15)가 설치되고, 이송벨트(15)의 하부에는 부유물질성 쓰레기들을 수집하여주는 이물질 수집통(99001)이 설치된다.
부유물질 수집통(9002)의 내하부에는 펌프(8003)가 설치되고, 펌프(8003)를 통해 펌핑된 물을 하수처리장(8000)으로 이송하기 위한 차집관(8002)이 부유물질 수집통(9002)에 연결된다.
흡착기(9110)는, 유흡착제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흡착벨트(9111)와, 흡착벨트(9111)와 밀착 설치되어 흡착벨트(9111)를 강제로 압착하여 짜내주는 유기물질 수집장치(9112)와, 유기물질 수집장치(9112)와 연결설치된 수집통(9116)으로 구성되며, 수집통(9116)의 일단부에는 상기 수집된 유기물질을 하수처리장(8000)으로 이송하여주는 이송관로(9115)가 구성된다.
또한, 부유물질 수집통(9002)의 유입구(8008)에는 걸름망을 구비하여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배출구(8007)의 하부측에는 발전기(8885)와 결합되는 발전용 수차(8881)를 설치하여 소수력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해줌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방에는 기계실(9008)을 설치하고, 여기에 종합 컨트롤시스템을 설치하여 수위센서(9003)의 감지신호에 따라 가동보 수문, 제진기(9000), 흡착기(9110)가 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천수 정화시스템은 가동보 수문의 가동축(101)이 대각선방향으로 비스듬히 설치되는 것이어서 가동보 수문이 폐쇄된 상태일 때에는 부유물질 수집통(9002)으로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천수의 일부가 유입될 수 있으며, 부유물질 수집통(9002)으로 유입된 하천수는 제진기(9000)를 거치면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고, 흡착기(9110)를 순차 거치면서 유기성 부유물질이 흡착 제거될 수 있으며, 깨끗하게 정화된 하천수가 배출구(8007)를 통해 다시 하천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제진기(9000)를 통해 수집된 쓰레기들은 이송벨트(15)로 수거하여 재처리해주면 되고, 흡착기(9110)를 통해 수거한 유기물질성 부유물들은 하수처리장(8000)으로 이송하여 깨끗하게 처리해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기성 부유물질을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 비료를 만들거나, 연료로 재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유물질 수집통(9002)으로 유입된 하천수중에서 비중이 차이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부로 자동부상하는 이물질들은 펌프(8003)로 펌핑한 후 차집관(8002)를 통하여 하수처리장(8000)으로 이송하여 하수처리장(8000)에서 깨끗한 하천수로 정수하여 하천으로 다시 방류해주게 되므로 하천수를 보다 깨끗하게 정화시켜줄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형 통로와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의 상세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수압확산판과 여울 발생판의 상세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전면부 상세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후면부 상세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설치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가동보 수문의 한 예로서, 사이펀 원리에 의해 4중 배출 기능을 구현하는 가동보 수문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은, 수문판(80)의 하단부를 이루면서 기초 콘크리트(100) 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축(101); 수문판(80)의 가동축 위치 위쪽에 형성된 다수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117); 각각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117)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차단판(119); 수문판(80)의 상단부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수압확산벽(113); 수문판(80)의 전면부에 기립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전면부 지지판(151); 전면부 지지판(151)의 전면부에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합된 저층수 배출 유도판(118); 수문판(80)의 후면부에 기립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구성된 다수의 후면부 지지판(150); 수문판(80)의 위쪽에 가로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다수의 ∪ 통로(111);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자 형태 제2배출통로(110)가 형성되어 후면부 지지판(150)에 접합되는 수압확산판(70); 수압확산판(70)과 수압확산벽(113)을 통해 형성되어 수압을 강화시켜주는 수압강화 통로(112); 후면부 지지판(150)과 수압확산판(70)을 통해 형성되는 제3 배출 통로(116); 다수의 굴곡부(60)를 갖는 상태로 수압확산판(70)의 후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여울발생판(50); 기초 콘크리트(100) 위에 형성되어 여울발생판(50)의 하단부분에 의해 하천수의 흐름에 방해하지 않도록 여울발생판(50)의 하단부를 일정한 높이로 띄워 지지하는 부상돌기(30)로 구성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03은 가동보 수문의 상단부에 접합된 원형 파이프를 나타내도, 120은 여울발생판(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가동보 수문을 통해 형성되는 저수공간 내부에 저수가 완료되면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들오는 하천수가 가동보 수문의 상부를 넘치면서 1차 배출이 이루어지고, 가동보 수문을 넘쳐 흐르는 하천수는 가동보 수문의 뒷편에 구성되는 여울발생판(50)의 상단부분으로 낙하하면서 굴곡부(60)와 부딪힘에 따라 자연스럽게 폭기작용이 발생되어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스럽게 정화될 수 있다.
이러한 1차 정화 작용이 발생함과 동시에 가동보 수문의 내부에서는 저층수가 수압확산벽(113)을 통과함과 동시에 U 통로(111)와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118)에서 수압이 확산되는 작용이 발생하면서 일정량의 하천수는 수압을 강화시켜주는 수압확산 통로(112)를 연속적으로 통과한 후 제3배출통로를 통하여 배출된 후 제3배출통로(116)를 통과한 하천수가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117)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하천수와 여울발생판(50)의 내부에서 강하게 접촉하는 와류작용과 폭기작용을 발생시키면서 자연스럽게 하천으로 유입될 수 있어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스럽게 정화시켜줄 수 있으며,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118)를 통과한 일정량의 또 다른 깨끗한 하천수는 수압에 의해 제2배출통로(110)로 배출됨과 동시에 가동보 수문을 타고 넘는 1차 배출수와 희석되어 여울발생판(50)의 상부로 낙하하면서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폭기작용이 발생되어 오염된 하천수가 자연스럽게 정화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저수공간의 하층부에 포진한 퇴적오니와 같은 오염물질이 물과 같이 배출되어 저수공간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가동보 수문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형태로 조립날개부(600)가 구비되는 전면부 조립판(300)이 ∩ 자 형태로 구비되어 수문판(80)의 전면부에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전면부 조립판(300)이 ∩ 자 형태로 결합되고, 저층수 배출 유도판(90)이 전면부 조립판(300)과 조립되어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118)가 형성되며, ∩ 자 형태로 구성되는 후면부 조립판(200)의 일측과 타측에 ┛┗자 형태로 조립날개부(600)가 절곡되어 수문판(80)의 후면부와 후면부 조립판(200)이 조립되고, 판재의 상단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자형태로 제2배출통로(110)가 구성된 수압확산판(70)이 구비되어 후면부 조립판(200)의 후면부분과 조립되면서 수압 확산통로(116)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가동보 수문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제4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가동보 수문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폭기작용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가동보 수문의 후면부에는 가동보 수문 지지대(3002)가 1자 형태로 중첩되게 구비되고,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에는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117)가 형성되며, 가동보 수문의 전면부에는 물에 포함된 물질의 비중과 밀도에 따라 다수의 수류층이 형성되도록 ∧자 형태의 여울발생대(3001)가 중첩되게 다단계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가동보 수문이 다수의 가동보 수문 지지대(3002)에 의해 강성이 강화될 수 있고, 수류가 여울발생대(3001)와 부딪히면서 자연스럽게 와류와 폭기작용이 발생되어 별도의 강제적인 동력없이도 오염된 하천수의 정화작용이 더욱 가속될 수 있게 된다.
[제5 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적용되는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의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적용되는 지지보강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가동보 수문의 또 다른 형태로서, 가동보 수문은, 수문판의 하단부를 이루면서 기초 콘크리트(100) 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축(201); 수문판(80)의 가동축 위치 위쪽에 형성된 다수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107); 수문판(8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ㄱ자 형태로 결합되는 지지보강대(301); 수문판(8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106); 수문판(80)의 상단부 후면부에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106)이 수문판(80)의 상단부 뒤부분으로 밀리지 않도록 형성된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 정지턱(109); ⊂ ⊃ 형태로 구성되어 수문판(80)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저층수 배출통로 가이드(202); 저층수 배출통로 가이드(202)의 사이에 ㅡ자 형태로 구성되는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102);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106)의 상단부와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102)의 사이에 결합되어 수문판(80)의 각도 변화에 연동하여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102)의 위치를 개폐하는 조절로프(104)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가동보 수문을 통한 저수공간에 완전 저수가 이루어지게 되면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106)이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수압에 의해 뒤로 밀려짐과 동시에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106)에 구성되어 있는 조절로프(104)가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102)을 가동보 수문의 상부로 당겨주면서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있는 저층수 배출통로(107)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어도가 자동 형성됨과 동시에 저수된 물 중에서 퇴적오니를 포함하는 하천수가 저층수 배출통로(107)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천의 하류에 서식하거나 상류에 서식하는 어류들이 저층수 배출통로(107)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를 포함한 모든 자연생태계를 복원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하천의 상류에서 유입되어 오는 하천수의 유입량이 줄어들게 되면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102)의 자중에 의해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102)이 저층수 배출통로(107)를 자동으로 폐쇄하게 되어 가동보 수문을 통해 형성되는 저수공간에 하천수가 저수될 수 있게 된다.
[제6 실시예]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전도시 상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가동보 수문의 기립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가동보 수문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107)를 수위센서(9003)의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 개폐되도록 하거나, 수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수문판(80) 하단부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107) 전면부에는 어도 조절판(50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어도 조절판(501)에는 조절장치(미도시)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 502는 어도 조절판(50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수위센서(9003)의 감지신호에 따라 어도 조절판(501)의 개폐 정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어도 조절판(501)의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제7 실시예]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는 하천수를 가동보 수문의 상단부로 분사하여 분수와 같은 상황을 연출함과 동시에 산소가 자동으로 주입되도록 하여 보다 깨끗하게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하천의 바닥에 집수정(802)이 설치되고, 집수정(802)의 내부에는 펌프(미도시)가 구비되며, 가동보 수문의 상단부에는 원형 파이프(103)가 접합되고, 원형 파이프(103)에는 분수 노즐(800)이 구성되며, 펌프와 원형 파이프(103) 사이에 연결관(801)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펌프로 하천수를 펌핑하면 가동보 수문 상단부에 구성되는 분수 노즐(800)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되면서 외부에서 볼 때 수문 상단부에서 분수가 분출되는 환상적인 상황을 연출해줄 수 있으며, 이러한 하천수의 분출과정에서 대기중에 존재하는 산소와 결합하여 폭기작용과 마찬가지로 하천수를 정화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제8 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는 별도의 집수정 및 펌프없이도 분수 연출 및 하천수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가동보 수문의 상단부에는 원형 파이프(103)가 접합되고, 원형 파이프(103)의 전면부 즉 저수공간 방향에는 하천수 유입구(803)가 형성되며, 원형 파이프(103)의 후면부 즉 저수공간 반대방향에는 하천수 유입구(803)보다는 작은 크기의 분수 노즐(800)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가동보 수문을 통해 형성되는 저수공간에 물이 만수위가 되면 저수공간 상층부의 물이 하천수 유입구(803)를 통해 원형 파이프(103)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분수 노즐(800)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분수와 같은 상황을 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대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폭기작용과 동등하게 하천수의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제9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적용되는 가동보 수문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는 제7 실시예와는 달리 원형 파이프(103) 외측으로 물이 유입되었다가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원형 파이프(103)에 2중 파이프(903)가 구성되고, 2중 파이프(903)에는 분사노즐(900)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원형 파이프(103)를 손상시키지 않고, 그 외측으로 2중 파이프(903)를 구성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사노즐(900)을 통한 분수 연출 및 하천수 정화작용은 제7 실시예와 동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제10 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적용되는 경사식 수문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는 경사식 수문에서도 분수 연출과 하천수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하천의 바닥에 집수정(902)을 설치하고, 집수정(902)의 내부에 펌프(미도시)를 구성하며, 경사식 수문의 상단부에 2중파이프(903)를 구성하고, 2중 파이프(903)에 분사노즐(900)을 구성하며, 펌프와 2중 파이프(903)의 사이에 연결관을 연결하여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경사식 수문에서도 제7 실시예 및 제9 실시예와 동등하게 분수를 연출할 수 있고, 하천수를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단일 구조의 하천수 정화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하천수 정화시스템을 다단을 구성하여 단계적으로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천의 일측 제방과 타측 제방이 무너지지 않도록 보호 시설물을 설치하여 하천의 양안을 정비한 후 전체 하천의 전단면 전체와 하천의 전체 길이에 계단식으로 가동보 수문을 각각 설치하여 대용량의 하천수를 전체 하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계단식으로 설치되는 가동보 수문마다 부유물질 수집통(9002)과 발전기(8885)를 결합하여 하천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하천수로 전력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80 : 수문판 9002 : 부유물질 수집통
9000 : 제진기 9110 : 흡착기

Claims (11)

  1. 강 또는 하천의 양측에 형성되는 지수용 격벽;
    상기 지수용 격벽의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히 설치되는 가동보 수문;
    상기 비스듬히 설치된 가동보 수문의 평면상 하단부와 접하는 지수용 격벽에 상기 가동보 수문의 상류와 하류에 면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동보 수문 위치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는 강 또는 하천과 통하도록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을 배출해주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 부유물질 수집통;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을 분리해주는 제진기; 및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진기를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물의 부유물질을 흡착하는 흡착기를 포함하여서 된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용 격벽의 일측에는 수위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유입구와 배출구에는 상기 수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자동으로 개폐하거나 수동으로 개폐되는 개폐문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의 후면부에는 상기 제진기에서 수집한 이물질을 이송하여 주는 이송벨트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하부에는 부유물질성 쓰레기들을 수집하여주는 이물질 수집통이 설치되며;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의 내하부에는 펌프가 설치되고, 상기 펌프를 통해 펌핑된 물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기 위한 차집관이 상기 부유물질 수집통에 연결되며;
    상기 흡착기는, 유흡착제와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흡착벨트와, 상기 흡착벨트와 밀착 설치되어 상기 흡착벨트를 강제로 압착하여 짜내주는 유기물질 수집장치와, 상기 유기물질 수집장치와 연결설치된 수집통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집통의 일단부에는 상기 수집된 유기물질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여주는 이송관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보 수문은,
    수문판의 하단부를 이루면서 하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수문판의 가동축 위치 위쪽에 형성된 다수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
    각각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차단판;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에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수압확산벽;
    상기 수문판의 전면부에 기립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전면부 지지판;
    상기 전면부 지지판의 전면부에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접합된 저층수 배출 유도판;
    상기 수문판의 후면부에 기립된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구성된 다수의 후면부 지지판;
    상기 수문판의 위쪽에 가로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다수의 ∪ 통로;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자 형태 제2배출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후면부 지지판에 접합되는 수압확산판;
    상기 수압확산판과 상기 수압확산벽을 통해 형성되어 수압을 강화시켜주는 수압강화 통로;
    상기 후면부 지지판과 상기 수압확산판을 통해 형성되는 제3 배출 통로;
    다수의 굴곡부를 갖는 상태로 상기 수압확산판의 후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여울발생판;
    상기 기초 콘크리트 위에 형성되어 상기 여울발생판의 하단부분에 의해 하천수의 흐름에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여울발생판의 하단부를 일정한 높이로 띄워 지지하는 부상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자형태로 조립날개부가 구비되는 전면부 조립판이 ∩ 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수문판의 전면부에 가로 방향으로 다수개의 전면부 조립판이 ∩ 자 형태로 결합되고;
    저층수 배출 유도판이 상기 전면부 조립판과 조립되어 저층수 배출유도 통로가 형성되며;
    ∩ 자 형태로 구성되는 후면부 조립판의 일측과 타측에 ┛┗자 형태로 조립날개부가 절곡되어 상기 수문판의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 조립판이 조립되고;
    판재의 상단부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자형태로 제2배출통로가 구성된 수압확산판이 구비되어 상기 후면부 조립판의 후면부분과 조립되면서 수압 확산통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보 수문의 후면부에는 가동보 수문 지지대가 1자 형태로 중첩되게 구비되고,
    상기 가동보 수문의 하단부에는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보 수문의 전면부에는 물에 포함된 물질의 비중과 밀도에 따라 다수의 수류층이 형성되도록 ∧자 형태의 여울발생대가 중첩되게 다단계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보 수문은,
    수문판의 하단부를 이루면서 하천 바닥부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축;
    상기 수문판의 가동축 위치 위쪽에 형성된 다수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
    상기 수문판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ㄱ자 형태로 결합되는 지지보강대;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 후면부에 상기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이 상기 수문판의 상단부 뒤부분으로 밀리지 않도록 형성된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 정지턱;
    ⊂ ⊃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수문판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저층수 배출통로 가이드;
    상기 저층수 배출통로 가이드의 사이에 ㅡ자 형태로 구성되는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
    상기 저층수 배출통로 조절판의 상단부와 상기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수문판의 각도 변화에 연동하여 상기 저층수 배출 자동 조절문의 위치를 개폐하는 조절로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8.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판 하단부의 어도 겸용 저층수 배출통로 전면부에는 어도 조절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어도 조절판에는 조절장치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하천의 바닥에 집수정이 설치되고,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는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가동보 수문의 상단부에는 원형 파이프가 접합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에는 분수 노즐이 구성되며, 상기 펌프와 상기 원형 파이프 사이에 연결관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보 수문의 상단부에는 원형 파이프가 접합되고, 상기 원형 파이프의 전면부에는 하천수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원형 파이프의 후면부에는 상기 하천수 유입구보다는 작은 크기의 분수 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파이프에 2중 파이프가 구성되고, 상기 2중파이프에는 분사노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KR1020140031993A 2013-03-20 2014-03-19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KR101574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721 2013-03-20
KR1020130029721A KR20130067480A (ko) 2013-03-20 2013-03-20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는 저층수 배출통로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물질분자별로 자동 분리되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로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 배출시키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친환경 수질정화 시스템
KR1020130030657A KR20130036115A (ko) 2013-03-22 2013-03-22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도록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가 구성되는 다기능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정화장치
KR1020130030657 2013-03-22
KR1020130035504A KR20130061154A (ko) 2012-10-02 2013-04-02 오염된 하천수를 배출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정화 시스템
KR1020130035504 2013-04-02
KR1020130050367A KR20130056265A (ko) 2013-05-06 2013-05-06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분자들과 쓰레기들을 완벽하게 수거하여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정화 시스템
KR1020130050367 2013-05-06
KR1020130106413 2013-09-05
KR1020130106413A KR20130105585A (ko) 2013-09-05 2013-09-05 강이나 호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분자들과 쓰레기들을 완벽하게 수거하여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제거 시스템
KR1020130124956A KR20130121798A (ko) 2013-10-19 2013-10-19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한 하천수 정화시스템
KR1020130124956 2013-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103A true KR20140043103A (ko) 2014-04-08
KR101574480B1 KR101574480B1 (ko) 2015-12-11

Family

ID=50651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993A KR101574480B1 (ko) 2013-03-20 2014-03-19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4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012A (ko) * 2015-04-27 2016-05-27 한상관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 각종 쓰레기들 및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KR101649875B1 (ko) 2015-11-03 2016-08-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KR102152328B1 (ko) 2019-11-21 2020-09-04 (주)에이비 경작지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2541A (ja) 2000-03-14 2001-09-26 Maeda Setsubi Kogyo Kk 塵芥除去設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012A (ko) * 2015-04-27 2016-05-27 한상관 하천수에 함유된 미립자성 오염물질들, 각종 쓰레기들 및 유체성 오염물질분자들을 완벽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자연친화적인 수질 정화기 겸용 친환경 발전 시스템
KR101649875B1 (ko) 2015-11-03 2016-08-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KR102152328B1 (ko) 2019-11-21 2020-09-04 (주)에이비 경작지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480B1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8864B2 (en) Construction si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s
US8889000B2 (e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stormwater and waste fluids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441852B1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발생 되는 하천수와 빗물에 함유된 각종 쓰레기들과 협잡물들을 완벽하게 처리하여 저장하거나 깨끗하게 정수하는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 처리시스템
KR100901263B1 (ko) 이온 교환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자연형 비점 오염원 저감장치
KR101239389B1 (ko)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CN109205935A (zh) 河道排水口污水截流处理的人工湿地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20140043103A (ko)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KR100750495B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100812539B1 (ko) 전단면 전폭의 배수장치를 설치하여 오염된 수질을정화시켜주면서 토사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친환경공법을 이용한 댐
KR20130036115A (ko)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도록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가 구성되는 다기능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정화장치
KR101085199B1 (ko) 하천 지류의 부유물 제거 및 여과 시스템
KR100749718B1 (ko)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 선별 처리시스템
KR20140016407A (ko) 어도 겸용 퇴적오니 배출통로가 구비되는 2중 작동 다기능 가동보 수문을 이용하여 하천 생태계를 복원시켜주면서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
KR102507157B1 (ko) 저류공간을 활용하는 수로용 수질정화 시스템
KR101635966B1 (ko) 수질정화 기능을 갖는 생태수로
KR20130067480A (ko) 오염된 하천수를 자연적으로 정화시켜는 주는 저층수 배출통로로 비중이 무거운 깨끗한 하천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물질분자별로 자동 분리되는 중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2유입구와 4개의 배출구로 오염된 하천수를 분리 배출시키는 공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키는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친환경 수질정화 시스템
KR100732404B1 (ko) 다단계 저수장치를 이용한 하천수질 정화방법
CN209155313U (zh) 一种初期雨水截污处理装置
KR20130105585A (ko) 강이나 호수 또는 하천으로 유입되는 모든 종류의 오염물질분자들과 쓰레기들을 완벽하게 수거하여 깨끗한 하천수로 정화시키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 제거 시스템
KR101206857B1 (ko) 비점오염 처리용 다목적 집약형 인공습지
KR102611173B1 (ko) 우수 맨홀 전처리부의 부유물 처리장치
CN108930326A (zh) 自动分离悬浮物质的格栅
CN214115140U (zh) 一种分质分区cso调蓄净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