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875B1 -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875B1
KR101649875B1 KR1020150154072A KR20150154072A KR101649875B1 KR 101649875 B1 KR101649875 B1 KR 101649875B1 KR 1020150154072 A KR1020150154072 A KR 1020150154072A KR 20150154072 A KR20150154072 A KR 20150154072A KR 101649875 B1 KR101649875 B1 KR 101649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fall
opening
closing
transmission window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승진
박형근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2Equipment preventing vibration o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발명은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우 여부 및 강우량에 따라 자동으로 논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배수량도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배수의 필요 시 배수작업이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논의 침수가능성을 최소화 한다.
그리고 배수 후 배수 차단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헐적 폭우가 이루어지더라도 배수 및 배수차단 작업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번거로움이 최소화되고 전체적인 대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Automatic drainage system for paddy field}
본 발명은 우천 시 논에 채워진 논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배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강우 여부 및 강우량을 자체적으로 감지하여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마다 논둑에 설치된 배수문을 자동으로 개방함으로 써 우천 시 논의 침수 가능성을 항시 체크 하여 그에 따라 논의 배수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논의 침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벼농사의 경우 논 바닥에는 항시 논물이 적정수위 채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논물은 해당 논 내에 고여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장마철 처럼 강우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논물이 해당 논이 침수되는 현상이 초래된다.
따라서 강우량에 따라 그에 맞게 논물의 적절한 배수가 이루어져야만 침수 현상이 방지되는데, 현재 이러한 논물의 배수는 작업자가 강우량과 논물의 수위를 직접 확인 및 판단하여 논둑 일부를 절개하여 논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양수기 등을 이용해 강제적으로 배수시키는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가 직접 논물의 수위와 강우량을 판단한 뒤 배수여부도 직접 판단해야하므로 작업자가 해당 논에 직접 나가 확인하지 않는 이상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논둑을 절개하는 작업과 양수기를 설치 및 작동한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폭우 시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렵다.
특히 기존 방식은 장마철처럼 단시간에 강우량이 높고 간헐적인 폭우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에 따라 배수작업과 복구 작업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적정 시기에 대처하기는 더더욱 어렵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3103호(2014. 04. 08)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5903호(2015. 04. 07)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우 여부 및 강우량에 따라 자동으로 논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배수량도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배수의 필요 시 배수작업이 자동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논의 침수가능성을 최소화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배수 후 배수 차단 또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헐적 폭우가 이루어지더라도 배수 및 배수차단 작업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번거로움이 최소화되고 전체적인 대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과제의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논둑의 절개지점 내측면 상에 상호 대칭 형태로 마주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는 설치프레임, 판재 형태이고 상기 양 설치프레임 사이 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 테두리가 상기 양 설치프레임에 밀착되어 있고 양방향 이동 가능하며 이동 과정에서 상기 양 설치프레임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수문, 상기 개폐수문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문을 양방향 이동시키는 전동개폐구동부, 상기 전동개폐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강우 여부 및 강우량을 감지하는 우적감지센서, 상기 우적감지센서 및 상기 전동개폐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우적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개폐구동부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문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우적감지센서의 상측을 둘러싼 형태이며 상부면에는 투과창이 형성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우적감지센서는 상기 투과창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투과창 상부면에 접촉된 빗방울을 감지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창 주변에는 조류안착을 방지하기 위한 동물안착 방지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과창 상에 위치하여 상기 투과창 표면을 쓸고 지나갈 수 있는 이물질 제거부재, 상기 이물질제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재를 이동시키는 보조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강우량 데이터가 정도별로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고 각 강우량 데이터에 해당하는 작동유지시간 데이터가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는 형태이며, 실제 우천 시 상기 우적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강우량에 해당하는 강우량 데이터 및 작동유지시간 데이터가 적용되어, 상기 제어부가 그에 따른 작동신호를 상기 전동개폐구동부로 전달함에 따라 전동개폐구동부는 해당 작동신호에 해당 하는 시간에 맞게 작동제어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우천시 우적감지센서가 강우량을 감지하고 해당 강우량에 따라 제어부 및 전동개폐구동부를 통해 개폐수문이 미리 설정된 시점 및 시간동안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우천시 논물의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감지된 강우량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개폐수문의 적정 개폐시간이 사전에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우천논물의 배수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커버부재를 통해 우적감지센서의 외부노출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우적감지센서의 보호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상태에서 우천 시 투과창에 접촉된 빗물을 통해 강우 여부 및 강우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우적감지센서 주변에 동물안착 방지부재가 형성됨에 따라 조류가 우적감지센서에 착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류에 의한 우적감지센서의 작동방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제거부재를 통해 수시로 투과창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해 우적감지센서에 의한 강우감지에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전체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개폐수문이 상승된 상태의 개략도.
도 3은 도 1의 우적감지센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제어부의 제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개략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전체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폐수문이 상승된 상태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우적감지센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제어부의 제어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수문(10)과 전동개폐구동부(20), 우적감지센서(3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수문(10)은 논물의 실질적인 배수여부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판재 형태이고 해당 논의 논둑(60) 일부를 절개한 상태에서 해당 절개지점을 막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때 개폐수문(10)은 별도의 설치프레임(11)을 통해 해당 절개지점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데, 설치프레임(11)은 논둑(60)의 절개지점 내측면 상에 상호 대칭 형태로 마주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호 마주하는 면에는 가이드레일(12)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설치프레임(11)의 구조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아니라, 개폐수문(10)을 지지하여 개폐수문(10)의 안정적인 설치 및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프레임(11)에 설치되는 개폐수문(10)은 양 설치프레임(11) 사이 공간 내에 위하여 해당 공간을 막고 있는 형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 테두리가 양 설치프레임(11)의 각 가이드레일(12)에 끼워진 형태로 설치되며, 이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2)의 형성경로를 따라 상하 직선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개폐수문(10)이 위쪽으로 승강하면 양 설치프레임(11) 사이 공간, 즉 논둑(60)의 절개지점이 개방됨에 따라 논물이 해당 개방지점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고, 개폐수문(10)이 아래쪽으로 하강하면 논물의 배수가 차단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설치된 개폐수문(10)에는 전동개폐구동부(20)가 연결설치된다.
전동개폐구동부(20)는 개폐수문(10)의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 제공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부재(21)가 동력전달부(22)를 통해 개폐수문(10)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고 개폐수문(10)은 구동부재(21)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승강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구동부재(21)은 모터, 감속기 및 스크류를 포함한다. 모터는 후술할 제어부(50)와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는 감속기와 연결되어 있다. 감속기는 스크류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크류는 개폐수문(10)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제어부(50)의 신호에 의해 모터가 작동하고 이와 연결된 감속기의 구동으로 스크류가 승강할 수 있다. 스크류의 상승으로 개폐수문(10)이 상승하여 논둑(60)의 절개지점이 개방될 수 있다.
도면과 같은 실린더 형태나 모터 등 개폐수문(10)의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고,
동력전달부(22)는 도면과 같은 단순 바아 형태이거나 체인, 스프로킷, 벨트, 풀리 등 구동부재(21)의 구동력을 개폐수문(10)으로 전달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전동개폐구동부(20)에는 우적감지센서(30)가 연결 설치된다.
우적감지센서(30)는 강우 여부 및 강우량을 자체적으로 감지하는 것으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쪽으로 지속적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다가 유리표면에 빗물이 존재할 경우 빗물에 반사된 적외선을 포토다이오드 등의 수신장치에서 수신하여 강우 여부 및 빗물의 양을 판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우적감지센서는 개폐수문(10) 외측 중 우천 시 빗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지점에 설치된다.
그리고 우적감지센서(30)는 후술하는 제어부(50)를 통해 전동개폐구동부(20)와 연결되어 우적감지센서(30)를 통한 강우 감지 시 전동개폐구동부(20)의 작동여부와 작동시점 및 시간 등이 제어되는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우적감지센서(30)는 공지의 기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작동원리 등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상태에서 우적감지센서(30) 주변에는 커버부재(40)가 설치된다.
커버부재(40)는 우적감지센서(3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 하여 우적감지센서(30)의 파손 등을 방지하는 역할 및 강우 시 우적감지센서(30)가 빗물을 감지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개폐수문 외측에 위치하며 최소한 우적감지센서(30)의 상측을 둘러싼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우적감지센서(30)가 최대한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커버부재(40)의 상부면에는 우적감지센서(30)가 강우 여부 및 강우량을 파악하기 위해 빗물이 안착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적외선 투과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투명 투과창(41)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우적감지센서(30)는 커버부재(40) 내부 중 투과창(41) 바로 아래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적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창(41)을 투과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커버부재(40)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적감지센서(30)를 보호함과 동시에 빗물의 안착 및 적외선의 투과가 가능한 형태라면 다양한 구조로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40)에는 동물안착 방지부재(42)(도 1 참조)가 형성되는데, 동물안착 방지부재(42)는 조류 등의 동물이 투과창(41) 상에 안착하여 우적감지센서(30)의 강우 감지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뾰족한 돌기 형태이고 투과창(41) 주변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동물안착 방지부재(42)는 이러한 돌기 형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물이 투과창 상에 위치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로 선택 적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우적감지센서(30)와 전동개폐구동부(20)에는 제어부(50)가 연결된다.
제어부(50)는 함체, 서포트 및 회로부를 포함한다.
함체는 서포트에의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함체의 내부는 비어 있으면 일면은 개방되어 있다. 일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개방부를 개폐한다. 도어에는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조작패널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부는 함체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회로부는 우적감지센서(30), 전동개폐구동부(20) 및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원부는 밧데리 또는 전신주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일 수 있다. 제어부(50)는 조작패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회로부는 우적감지센서(30)의 강우여부 및 강우량 감지신호를 부여받아 전동개폐구동부(20)의 작동 여부와 작동시점 및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회로부는 기본적으로 사전에 강우량 데이터가 강우량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어 메모리화 되어 있고 각 강우량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동개폐구동부(20)의 작동시점 및 작동유지시간 데이터가 각 강우량 데이터마다 개별적으로 매칭된 형태로 메모리화 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천 시 우적감지센서가 강우여부 및 강우량을 체크하여 해당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보내면 제어부는 해당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강우량 데이터 및 전동개폐구동부(20)의 작동시점과 작동유지시간 데이터를 연산하고 이를 신호화 하여 전동개폐구동부(2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며, 이를 통해 개폐수문(10)의 개방시점 및 개방유지시간이 제어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평소 우적감지센서(30)는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를 통해 투과창을 향해 지속적으로 적외선을 송출하여 강우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강우 시 투과창(41) 표면에 빗물이 존재할 경우 우적감지센서(30)는 강우 상태 및 강우량을 감지함과 동시에 제어부(50)로 해당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해당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50)는 해당 강우량 데이터에 해당하는 전동개폐구동부(20)의 작동시점 및 작동유지시간 데이터를 매칭시켜 신호화 한 뒤 해당 신호를 전동개폐구동부(20)로 작동 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전동개폐구동부(20)가 작동한다.
즉 강우 상태 감지와 동시에 강우량을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실시간 강우량 데이터에 따라 해당 작동시점 및 작동유지시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추출하여 이를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만약 우적감지센서(30)를 통해 감지된 실시간 강우량이 5mm/hr일 경우 전동개폐구동부(20)는 해당 신호가 감지된 후 약 3시간 후 작동되도록 제어되고, 실시간 감지된 강우량이 40mm/hr일 경우 전동개폐구동부(20)는 신호 감지 후 약 30분 후 작동되도록 하는 형태 등으로 제어된다.
그리고 이렇게 우적감지센서(30)를 통한 실시간 강우감지가 이루어짐에 따라 강우량의 변화가 실시간으로 감지되고 이를 통해 전동개폐구동부(20)의 작동 시점과 작동유지시간, 즉 개폐수문(10)의 개방시점과 개방유지시간이 수시로 변화되어 작용된다.
따라서 강우량이 변화되더라도 그에 맞게 논물의 배수여부 및 적정 배수량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과정을 통해 전동개폐구동부(20)의 작동시점이 되면 전동개폐구동부(20)가 작동되고 이를 통해 개폐수문(10)이 상승함에 따라 논물의 배수가 이루어져 논물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우적감지센서를 통해 강우 여부 및 강우량이 실시간으로 감지되고 이를 통해 논둑에 설치된 개폐수문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우천 시 논의 침수대비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결국 논의 침수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개략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는 개폐수문(10)과 전동개폐구동부(20), 우적감지센서(3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문(10), 우적감지센서(3) 및 제어부(50)는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수문, 우적감지센서 및 제어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동개폐구동부(20)는 도면과 같은 실린더 형태나 모터 등 개폐수문(10)의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우적감지센서를 보호하는 커버부재(4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은 투과창(41)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부재(40) 상면에는 별도의 이물질제거부재(43)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물질제거부재(43)는 투과창(41) 상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우적감지센서(30)의 강우 감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차량의 와이퍼(wiper)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투과창(41)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힌지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투과창(41)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물질제거부재(43)는 제어부(50)를 통해 별도의 보조구동부(44)와 연결되어 보조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제거부재(43)를 통해 수시로 투과창(41)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으므로 이물질에 의해 우적감지센서(30)에 의한 강우감지에 방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살펴본 많은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개폐수문 11: 설치프레임
12: 가이드레일 20: 전동개폐구동부
21: 구동부재 22: 동력전달부
30: 우적감지센서 40: 커버부재
41: 투과창 42: 동물안착 방지부재
43: 이물질제거부재 44: 보조구동부
50: 제어부 60: 논둑

Claims (5)

  1. 논둑의 절개지점 내측면 상에 상호 대칭 형태로 마주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마주하는 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한 쌍의 설치프레임,
    판재 형태이고 상기 양 설치프레임 사이 공간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양측 테두리가 상기 양 설치프레임의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설치프레임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 과정에서 상기 양 설치프레임 사이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수문,
    상기 개폐수문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개폐수문을 양방향 이동시키는 전동개폐구동부,
    상기 전동개폐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강우 여부 및 강우량을 감지하는 우적감지센서,
    상기 개폐수문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우적감지센서의 상측을 둘러싼 형태이며 상부면에는 빗물이 안착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적외선 투과가 가능한 투과창이 형성되어 있 커버부재 및
    상기 우적감지센서 및 상기 전동개폐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우적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개폐구동부의 작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우적감지센서는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이를 통해 상기 투과창을 향해 지속적으로 적외선을 송출하여 강우여부를 감지하며, 강우 시 상기 투과창 표면에 빗물이 존재할 경우 상기 우적감지센서는 강우 상태 및 강우량을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로 해당 감지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해당 강우량 데이터에 해당하는 상기 전동개폐구동부의 작동시점 및 작동유지시간 데이터를 매칭시켜 신호화 한 뒤 해당 신호를 상기 전동개폐구동부로 작동 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상기 전동개폐구동부 작동으로 상기 개폐수문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져 우천 시 논의 침수대비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우적감지센서는 상기 투과창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투과창 상부면에 접촉된 빗방울을 감지하는 형태인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투과창 주변에는 조류안착을 방지하기 위한 동물안착 방지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투과창 상에 위치하여 상기 투과창 표면을 쓸고 지나갈 수 있는 이물질제거부재,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재를 이동시키는 보조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에 강우량 데이터가 정도별로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고 각 강우량 데이터에 해당하는 작동유지시간 데이터가 분할되어 저장되어 있는 형태이며, 실제 우천 시 상기 우적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강우량에 해당하는 강우량 데이터 및 작동유지시간 데이터가 적용되어, 상기 제어부가 그에 따른 작동신호를 상기 전동개폐구동부로 전달함에 따라 전동개폐구동부는 해당 작동신호에 해당 하는 시간에 맞게 작동제어되는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KR1020150154072A 2015-11-03 2015-11-03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KR101649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072A KR101649875B1 (ko) 2015-11-03 2015-11-03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072A KR101649875B1 (ko) 2015-11-03 2015-11-03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875B1 true KR101649875B1 (ko) 2016-08-22

Family

ID=56855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072A KR101649875B1 (ko) 2015-11-03 2015-11-03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822B1 (ko) * 2017-09-29 2018-08-31 심왕섭 벼의 생육시기에 따라 논의 담수 수위가 조절되는 용수자동화 관리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779B1 (ko) *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하천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KR101125709B1 (ko) * 2011-07-21 2012-03-27 (주)한일에스티엠 카메라 보호케이스장치
JP2012164215A (ja) * 2011-02-08 2012-08-30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水利施設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管理方法
KR101219055B1 (ko) * 2011-05-18 2013-01-09 (주)월드이엔씨 조류퇴치기가 구비된 가로등
KR20140043103A (ko) 2013-03-20 2014-04-08 한상관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KR20150035903A (ko) 2015-03-03 2015-04-07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여수 점검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4215A (ja) * 2011-02-08 2012-08-30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水利施設の管理システムとその管理方法
KR101219055B1 (ko) * 2011-05-18 2013-01-09 (주)월드이엔씨 조류퇴치기가 구비된 가로등
KR101106779B1 (ko) * 2011-05-24 2012-01-18 한국바이오시스템(주) 하천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KR101125709B1 (ko) * 2011-07-21 2012-03-27 (주)한일에스티엠 카메라 보호케이스장치
KR20140043103A (ko) 2013-03-20 2014-04-08 한상관 점 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는 친환경 공법 시스템
KR20150035903A (ko) 2015-03-03 2015-04-07 주식회사 시온테크닉스 여수 점검이 가능한 저수지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822B1 (ko) * 2017-09-29 2018-08-31 심왕섭 벼의 생육시기에 따라 논의 담수 수위가 조절되는 용수자동화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2374B1 (ko) 개폐식 수문 장치
CN205490346U (zh) 一种光伏太阳能装置自动防护装置
KR100523818B1 (ko) 유압식 인양 수문
CN110521421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树障自动清除机器人及使用方法
US10174554B2 (en) Gate with counterweight and lowering exchangeable span
CN105775946B (zh) 一种电梯控制系统及方法
KR20150027900A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1649875B1 (ko) 논물 배수용 자동 배수장치
JP5645439B2 (ja) 遮煙構造が乗り場に付設されたエレベータの冠水防止装置
US20050235570A1 (en) Automatic sliding door
KR101654103B1 (ko) 축전지 충전 수조의 가스포집장치 및 방법
GB2477365A (en) Flood barrier
KR101060498B1 (ko) 창문개폐장치
JP2007051427A (ja) ゲート設備
KR102062850B1 (ko) 수문 권양기의 긴급 차단장치
JP2001032621A (ja) 防水扉
KR101968578B1 (ko) 권양기 커버
KR20100006095A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US20230340751A1 (en) Variable sliding manhole safety guard
KR20090057851A (ko) 수변전기기부 침수 방지용 주름막커버 승하강장치
US20140246063A1 (en) Height adjustable swimming pool cover/canopy system
CA2882012A1 (en) Active water management for fenestration assembly
CN209449050U (zh) 一种安防设备箱防水装置
CN218214307U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监控设备
KR100849134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