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134B1 -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134B1
KR100849134B1 KR1020070059154A KR20070059154A KR100849134B1 KR 100849134 B1 KR100849134 B1 KR 100849134B1 KR 1020070059154 A KR1020070059154 A KR 1020070059154A KR 20070059154 A KR20070059154 A KR 20070059154A KR 100849134 B1 KR100849134 B1 KR 10084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blocking plate
light
whee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일
Original Assignee
고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일 filed Critical 고영일
Priority to KR102007005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봉으로 연동 되도록 길이방향 축설되는 차광판의 회동 위치를 위치센서에 의해 검출하는 차광판위치검출부와;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차광판이 권취 수납되는 차광판롤링부의 축을 구동시키는 정역 구동모터의 정역 회동을 제어하는 차광판롤링제어부와; 차광판이 윈도우를 차폐한 상태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울러와 종동로울러에 의해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어 동력전달하는 타이밍벨트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기 각 휠의 수평/수직상태를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부의 위치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판이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차광판회동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건축물의 윈도우 외측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건축물의 윈도우를 차폐하여 햇볕의 차단은 물론 침입자의 예방과, 태풍 등의 강풍으로부터 윈도우의 파손을 방지하고 강풍 등에 의해 윈도우측으로 불특정한 가격물이 윈도우측으로 강하게 가격하더라도 상기 차광판이 윈도우를 보호할 수 있어 이로인한 피해 및 신체상 위해 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윈도우, 차광부, 차광판, 차광판롤링부, 차광판회동부, 휠, 링크부재, 구동, 종동로울러, 타이밍벨트

Description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THE WINDOW SHADING THE LIGHT REGULATION AND CRIME PREVENTION SHUTTER OPENING AND SHUTT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괄적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실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실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채용되는 차광부에서의 휠과 차광판 및 링크부재 등의 연결상태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광판롤링부에서 휠이 휠가이드의 안내를 받으며 수직선상에서 수평선상으로 회동되며 진입, 배출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차광판회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 의한 차광판회동부의 타이밍벨트와 각 휠간 접속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종동로울러회동구의 동작에 따라 구동,종동로울러가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며 휠과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을 이루는 각 요소의 상호 제어관계를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지는 셔터 개폐 방법의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차광판위치검출부 2; 차광판롤링제어부
3; 차광판회동제어부 11; 위치센서
12; 풍량센서 13; 일조센서
100; 차광부 110; 휠
111; 개구홈 112; 힌지축
120; 축봉 130; 차광판
131; 요홈 140; 지지봉
150; 링크부재 200; 차광판롤링부
210; 휠가이드 220; 구동모터
221; 축 230; 수용케이스
300; 차광판회동부 310; 구동모터
311; 축 320; 구동로울러
321,321',321"; 종동로울러 330; 타이밍벨트
340; 휠안내부 350; 종동로울러회동구
351; 로드 352; 실린더
353; 승강부재 354; 링크
S1; 차광판위치검출단계 S2; 차광판수평수직판단단계
S3; 차광판회동제어단계 S4; 종동로울러회동제어단계
S5; 타이밍벨트수직상태전환단계 S6; 차광판롤링단계
본 발명은, 건축물의 유리 등으로 되는 창문 보호 및 외부로부터 침입을 방지하는 방범 기능과 더불어, 차광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창문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오피스텔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에는 통상 유리로 되는 개폐용 창문 또는 통상 통유리로 되는 윈도우(개폐용 창문이나 통유리로 되는 윈도우를 이하 본 발명에서는 윈도우라 통칭한다) 구비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윈도우를 통해 낮에는 햇볕이 실내로 투사되는바, 필요에 따라 외부로부터 조사되는 햇볕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햇볕을 차단하기 위해서 통상 실내에 롤블라인드 또는 버티칼 등과 같은 장치를 채택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주로 실내에 설치되므로 외부로부터 윈도우측으로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부터 상기 윈도우가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데, 돌풍이나 허리케인과 같은 강풍을 동반하는 태풍 등이 발생되었을 경우, 외부로부터 강풍과 함께 불어오는 여타의 가격물 등에 의해 윈도우측으로 그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는 현상이 있다.
또한, 외부 침입자에 의해 윈도우가 파손되는 경우 등이 발생될 수 있는바, 종래의 롤브라인드나 버티컬 등은 차광 효과만을 갖을 뿐, 외부로부터 윈도우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날아들어오는 가격물 등이 롤브라인드나 파티컬 등에 의해 저지되더라도 그 저지력이 미비하여 실내에 머무는 사람들에게 외부 가격물이 윈도우를 파손시킨 후 신체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음은 이미 주지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윈도우 외측으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차광역할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허리케인 등 강풍을 동반하는 태풍이나 외부로부터의 가격물 및 침입자 등으로부터 윈도우를 지킴과 동시에 실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범 역할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상기 전동 셔터 개폐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축봉(120)으로 연동 되도록 길이방향 축설되는 차광판(130)의 회동 위치를 위치센서(11)에 의해 검출하는 차광판위치검출부(1)와,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부(1)의 신호에 따라 차광판(130)이 권취 수납되는 차광판롤링부(200)의 축(221)을 구동시키는 정역 구동모터(220)의 정역 회동을 제어하는 차광판롤링제어부(2)와,
차광판(130)이 윈도우를 차폐한 상태에서, 구동모터(31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울러(320)와 종동로울러(321,321',321")에 의해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어 동력전달하는 타이밍벨트(330)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기 각 휠(110)의 수평/수직상태를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부(1)의 위치센서(11)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10)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판(130)이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차광판회동제어부(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광판(130)으로 풍량센서(12)를 구비하여, 상기 풍량센서(12)에서 감지한 풍량이 사용자에 의해 셋팅 되는 허용치 이상을 초과할 경우 그 신호를 상기 차광판회동제어부(3)측으로 송출하여 상기 차광판(130)이 수직상태로 차폐되도록 상기 구동모터(310)를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광판(130)으로 일조센서(13)를 구비하여, 햇볕의 존재 유무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차광판회동제어부(3)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구동모터(310)를 제어하여 상기 차광판(130)이 윈도우를 반복 차폐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광판(130)에 위치센서(11)를 구비하여, 상기 차광판(130)의 수평 또는 수직 위치를 감지한 후 그 신호를 검출하는 차광판위치검출단계(S1)와,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단계(S1)에서 검출된 차광판(130)의 위치가 수평인지 또는 수직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차광판수평수직판단단계(S2)와,
상기 위치센서(11)에 의해 차광판(130)의 위치가 수평상태인 것을 감지하게 되면, 차광판회동부(300)의 구동모터(310)를 구동하여 무한궤적을 따라 진행되는 타이밍벨트(330)와 접하는 휠(110)을 회동시켜 상기 수평상태에 있는 차광판(130)을 수직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차광판회동제어단계(S3)와,
상기 차광판(130)이 수직선상으로 위치되는 것을 확인한 후 휠(110)과의 간섭을 배제하도록 하는 종동로울러회동제어단계(S4)와,
상기 종동로울러회동제어단계(S4)를 거치며 상기 휠(110)과 차광판회동부(300)의 타이밍벨트(330)간 접촉 상태를 해제하는 타이밍벨트수직상태전환단계(S5)와,
차광판롤링부(200)에 의해 차광부(100)의 차광판(130) 및 휠(110)이 상승 이동하여 차광판롤링부(200)의 수용케이스(230)측으로 진입,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차광판롤링단계(S6)로 이루어져, 차광판(130)이 수직상태로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터 개폐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 일실시예로 본원인에 의해 개시되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터 개폐장치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 실내에 설치되는 윈도우의 차광 역할을 하도록 함과 동시에, 방범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를 개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먼저 그 구성을 이루는데 있어서 차광판(130)이 구비되는 차광부(100)와, 상기 차광부(100)의 차광판(130)을 롤링하여 수납가능하도록 하는 차광판롤링부(200)와 상기 차광부(100)의 차광판(130)이 인출된 후 햇볕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차광판(13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광판회동부(300)로 구성된다.
또한, 전기한 구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터를 개폐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바와 같이 차광판(130)의 회동 위치를 위치센서(11)에 의해 검출하는 차광판위치검출부(1)와,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부(1)의 신호에 따라 차광판롤링부(200)의 축(221)을 구동시키는 정역 구동모터(220)의 정역 회동을 제어하는 차광판롤링제어부(2)와, 상기 각 휠(110)의 수평/수직상태를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부(1)의 위치센서(11)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10)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판(130)이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차광판회동제어부(3)로 구성되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의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터 개폐장치를 이루는 구성 중, 상기 차광부(100)는 다수개의 차광판(130)이 각각 구비되어 차광판롤링부(200)에 의해 상하 승강됨과 동시에 차광판회동부(300)에 의해 차광판(13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 보듯이 후술하게 되는 양측단으로 각각 수직상 구비되는 휠가이드(210) 내부로 인입되는 다수의 휠(110)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축봉(120)에 의해 한조의 휠(110)이 각각 연결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휠(110)의 회동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휠(110)간을 축설하게 되는 축봉(120)과는 달리 그 직상방으로 지지봉(1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봉(140)은 차광판(130)이 수직상 회동되어졌을 때 그 양단부가 각각 접하며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봉(140)은 휠(110)과는 접하지 않은 상태로 이격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휠(110)과 고정되지 않고 이격되는 지지봉(140)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축봉(120)과 링크부재(15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휠(110)의 회동과는 무관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광판(130)은 햇볕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갖추도록 함은 물론,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이나 가격물 등에 의해 윈도우가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광판(130)을 스틸재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차광판(13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기 한 조의 휠(110)을 연결하는 축봉(120)에 그 상단부가 축설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휠(110)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동일각 회전되도록 한다.
특히, 차광판(130)의 상하단으로 각각 대향되는 요홈(131)을 형성하여 차광 판(130)이 수직상으로 위치되어졌을 때 상하로 각각 구비되는 요홈(131)의 내측면이 상기 지지봉(140)에 각각 접하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110)은 전기한 바와 같이 한 조로 각각 좌우에 구성되어 축봉(120)에 의해 고정되어지되, 후술하게 되는 차광판롤링부(200)의 구동에 따라 휠가이드(210)를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어, 차광판롤링부(200)의 수용케이스(230)에 권선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휠(11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개방되는 개구홈(111)을 구비하고, 상기 개구홈(111) 내주면으로부터 힌지축(112)을 축설하여 상기 축봉(120)의 단부와 직교 결합 되도록 하여, 상기 휠(110)이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축봉(120)과 휠(110)이 일직선상으로의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차광판롤링부(200)에 의해 차광부(100)가 상승 이송되어질 때, 휠가이드(210) 상단부측으로부터 차광판롤링부(200)에 진입되어질 때, 상기 휠(110)이 수직선상에서 수평선상으로 회동되어져, 차광판롤링부(200)의 수용케이스(230)측으로 용이한 진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휠(110)의 축봉(120)과 연동되도록 축설되는 차광판(13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휠(110)이 축봉(120)을 중심으로 회동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후술하게 되는 차광판회동부(300)의 타이밍벨트(330)와 접하여 타이밍벨트(330)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되어질 때 이와 동일한 회전비로 휠(1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휠(110)의 외주면으로 치차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차광판(130) 전면측으로 위치센서(11) 또는 풍량센서(12), 일조센서(13) 등을 어느 하나 이상 선택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센서 중 위치센서(11)는 상기 차광판(130)의 수평 또는 수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상기 차광판(130)이 수평상태에 놓여진 상태에서 차광판롤링부(200)를 작동하여 휠(110)이 상방측으로 이동되어 수용케이스(230) 내측으로 유입되어질 경우에 차광판(130)이 휠가이드(210) 하단측에 걸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차광판(130)이 상기 휠가이드(210)측으로의 원할한 진입을 위해서는 상기 차광판(130)이 수직상태로 회동되어져 결국 윈도우(W) 전면을 커버하는 상태에 있어야 한다.
또한 풍량센서(12)는 외부로부터 불어오는 강풍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채택될 수 있는 것으로, 차광판(130)의 전면등에 부착될 수 있으며, 강풍의 세기 정도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여 일정 정도 이상의 강풍이 불 경우 상기 풍량센서(12)가 차광판회동제어부(3)측으로 그 신호를 인가하여 개방된 상태인 수평상태에 있게 되는 상기 차광판(130)을 수직상태로 차폐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강풍과 함께 불어올 수 있는 불순물이나 기타 가격물 등에 의해 윈도우(W)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일조센서(13)는 햇볕이 실내로 들어오는 시각과, 출몰되는 시각 등에 따라 상기 차광판(130)이 직각상태로 휠(110)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거나 또는 수직 상태로 회동되어 윈도우(W)를 차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한 각 센서와 같이 상기 일조센서(13)에 의해 햇볕의 조사 상태를 인지한 후 그 신호를 차광판회동제어부(3)측으로 인가한 후, 상기 차광판회동제어부(3)에서 차광판회동부(300)의 구동모터(310)를 구동시켜 축(311)의 회동에 따라 상기 축(311)에 축설되어 연동되는 차광판(130)의 수직상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센서의 센싱 동작에 의해 얻게 되는 신호는 차광판(130)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차광판회동제어부(3)측으로 송출된 후, 상기 차광판회동제어부(3)에서 상기 차광판(130)을 회동시킬 수 있는 차광판회동부(300)의 구동모터(310)의 정역 구동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차광판롤링부(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W)를 차폐한 차광부(100)를 이용하여 상기 윈도우(W)를 차폐하기 위해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휠(110)을 안내하기 위한 휠가이드(210)와, 상단으로 길이방향 구비되어 차광부(100)의 차광판(130)을 권취시키기 위한 수용케이스(230) 내부를 가로지르는 축(22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220)가 일측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케이스(230) 저면부는 적정 폭을 갖으며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권취되는 차광판(130)이 상기 수용케이스(230) 내부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휠(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을 기준으로 직하방 개구되는 개구홈(111)에 힌지축(112)이 직교되면서 고정되는 축봉(120)을 이루고 있어, 윈도우(W)를 셧터링할 때에는 상기 휠(110)이 도 1 또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축봉(120)과 직교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나, 차광판롤링부(200)의 구동모터(220)에 의해 차광판(130)이 축(221)을 중심으로 권취될 경우 상기한 휠(110)의 축봉(120)과의 직교 상태에 의해 수용케이스(230) 내부로의 진입이 어려워진다.
이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휠(110)의 축봉(120)이 힌지축(112)을 중심으로 직교 회동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휠가이드(210)의 구조를 도 5에서와 같이 휠(110)이 진입되는 휠가이드(210)의 하단부는 휠(110)의 수직상 진입이 용이하도록 휠(110)의 지름 및 폭과 대응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휠(110)이 진입되면서 점진적으로 수평상태로 전환되도록 휠가이드(210)가 상방으로 갈수록 수평상태를 이루게 한다.
즉, 휠(11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11)에 힌지축(112)에 의해 힌지회동되도록 축설되는 축봉(120)을 기준으로 상기 휠(110)이 회동되면서 휠가이드(210)의 상단부에 다다랐을 때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이는 차광판롤링부(200)의 구동모터(220)에 의해 차광판(130)이 권취되어질 때 휠(110)이 수직상으로 권치될 경우 권취상태 자체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광판롤링부(200)를 제어하기 위해 즉, 차광판롤링부(200)에서의 차광판(130) 롤링시 그 오동작을 막고, 제품의 사용 수명의 현저한 연장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상기 차광판롤링부(200)에서 상기 차광판(130) 이 롤링되어질 때의 상태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광판(130)이 수평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차광판회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휠(110)과 타이밍벨트(330)간 단락된 후 차광판롤링부(200)의 구동모터(220) 구동에 의해 차광판(130)을 지지하는 양단의 휠(110)이 안내되어 수용케이스(230) 하단측의 휠가이드(210)측으로 진입되어질 때, 차광판(130)이 수평상태로 활개 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휠가이드(210) 하단부측과 차광판(130)이 충격 되어 손상을 입힐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광판(130)에 부착될 수 있는 위치센서(11)에서 차광판(130)의 수평 또는 수직 상태를 인식하여, 차광판위치검출부(1)측으로 그 신호를 인가하도록 한 후 차광판회동제어부(3)에서 상기 차광판(130)을 원하는 위치로 회동되도록 하여 항상 차광판(130)이 수직으로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차광판롤링부(200)에서의 구동에 따라 수용케이스(230)측으로 차광판(130)이 권취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차광판회동부(300)는 차광부(100)가 차광판롤링부(200)의 구동모터(220) 구동에 의해 윈도우(W)를 차폐하였을 때, 상기 차광부(100)를 이루는 차광판(130)을 회동시켜, 윈도우(W)를 통해 실내로 햇볕이 들어오도록 하거나 또는 들어오는 햇볕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차광판(130)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차광판(130)을 축설하고 있는 축봉(120)을 회전시켜야 되며, 상기 축봉(120) 단부와 힌지축(112)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휠(110)을 동일 위치에서 회동시켜야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동관계 구현을 위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광판롤링부(200)의 양측 휠가이드(210) 직하방으로 수직상 각각 구비되며 휠(110)이 하강되어질 때 안내하기 위한 휠안내부(340)의 일측으로 구동로울러(320)와, 3개의 종동로울러(321,321'321")가 타이밍벨트(330)에 의해 사각형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구동로울러(3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310)가 축(311)과 연결 구비되고, 상기 구동로울러(320)와 수평상 편심되어 있는 종동로울러(321) 및 상기 구동로울러(320)와 하측방 수직선상 동일 중심선에 위치되는 종동로울러(321')와 수평상 위치되는 종동로울러(321")를 각각 구동로울러(320)의 중심 수직선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종동로울러회동구(3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종동로울러회동구(350)는 구동로울러(320)와 상기 구동로울러(320)의 중심선의 직하방으로 구비되는 종동로울러(321')간을 연결하며 직상방으로 연결되는 로드(351)를 구비하고, 상기 로드(351)를 따라 실린더(352)에 의해 상하 승강되는 승강부재(353)를 상기 구동로울러(320) 및 종동로울러(321') 직상방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각 승강부재(353)와 링크(354) 종동로울러(321, 321")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실린더(352)의 승강 운동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353)가 승강되며 이와 연결되어 있는 종동로울러(321,321")를 각각 회동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윈도우(W)를 차폐하고자 할 경우 차광판롤링부(200)의 구동모터(220)가 구동되어 축(221)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차광부(100)의 차광판(130)이 휠가이드(210)의 안내를 받으며 휠(110)이 하강함과 동시에 차광판(130)도 동시에 하강되어져 윈도우(W) 전체를 차폐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휠(110)이 차광판롤링부(200)의 수용케이스(230)내 축(221)에 권취되어져 있을 때에는 그 휠(110)은 축봉(120)과 수평선상을 유지한 상태에 있고, 휠가이드(210)의 상단측을 따라 아래로 하강하면서 점차 상기 휠(110)의 중앙 힌지축(112)에 의해 개구홈(111)의 안내를 받으며 수직상으로 위치되어져, 차광판롤링부(200)의 양측 직하방으로 구비되는 차광판회동부(300)의 휠안내부(340)의 안내를 받으며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광판(130)이 전체 하강되어져 윈도우(W)를 차폐한 상태는 상기 차광판(130)이 전부 수직선상으로 위치되어진 상태에 있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차광판(130)을 회동시켜 실내로 햇볕 등이 들어오도록 할 경우, 차광판회동부(300)의 구동모터(310)를 구동시켜, 종동 및 구동로울러(320,321,321',321") 외주면으로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타이밍벨트(330)를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되도록 하는데, 상기 타이밍벨트(330) 내주면은 물론 외주면도 전술한 바와 같이 치차 형성되어 그 외주면과 상기 각각의 휠(110) 외주면간 치차결합을 이루고 있어, 상기 타이밍벨트(330)에 접하고 있는 각각의 휠(110)을 동일 회전, 동일각 회동시켜 결국 윈도우(W)를 차폐하고 있던 차광판(130)이 수평상태로 회동되어 개방되거나 또는 개방되어져 있는 상태의 차광판(130)이 수직상태로 회동되어 윈도우(W)를 차폐하여 외부로부터의 빛이나 기타 가격물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차광판(130)으로 풍량센서(12) 또는 일조센서(13) 중 하나 또는 양센서를 장착하여 차광판(130)을 풍압이나 햇빛의 일조 강도에 따라 회동시켜 윈도우(W)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강한 바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윈도우(W)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차광부(100)를 상기한 차광판롤링부(200)의 수용케이스(230)측으로 롤링, 권취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상기 차광판회동부(300)에서의 종동로울러(321,321'321")의 위치를 변경하여 타이밍벨트(330) 외주면과 휠(110) 외주면간 접촉상태를 해제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차광판(130)이 차광판롤링부(200)에 의해 롤링되어질 때 그 차광판(130)이 수평상태로 있게 되면 휠가이드(210)에 걸려지게 되어 차광판(130)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광판(130)의 수평 또는 수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센서(11)에 의해 차광판위치검출단계(S1)를 거치게 된다.(이후 도 9 이하 참조)
차광판위치검출단계(S1)에서 검출된 차광판(130)의 위치가 수평인지 또는 수직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차광판수평수직판단단계(S2)를 거치게 되는데, 이 과 정에서 예컨데 차광판(130)이 수평상태로 개방되어 있을 경우 차광판롤링부(200)의 구동에 의해 지속적으로 휠(110)이 휠가이드(210)측으로 유도 유입되어지면 차광판(130)이 파손되어지므로, 상기 위치센서(11)에 의해 차광판(130)의 위치가 수평상태인 것을 감지하게 되면, 차광판회동제어단계(S3)를 거쳐 상기 차광판회동부(300)의 구동모터(310)를 구동하여 무한궤적을 따라 진행되는 타이밍벨트(330)와 접하는 휠(110)을 회동시켜 상기 수평상태에 있는 차광판(130)을 수직상태로 전환되도록 하여 재차 차광판수평수직판단단계(S2)를 거치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차광판(130)이 수직선상으로 위치되는 것을 확인하게 되면, 종동로울러회동제어단계(S4)를 거쳐, 상기한 휠(110)과 차광판회동부(300)의 타이밍벨트(330)간 접촉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여, 휠(110)과의 간섭을 배제하는 타이밍벨트수직상태전환단계(S5)를 거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광판회동부(300)의 종동로울러회동구(350)의 실린더(352)를 승강 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352)와 연동되는 승강부재(353)와 연결되는 각 종동로울러(321,321")가 구동로울러(320) 및 상기 구동로울러(320) 직하방으로 적정 간격 이격 축설되는 종동로울러(321')를 축으로 하여 종동로울러(321,321")가 회동되어져, 결국 도 8에서와 같이 구동로울러(320)와 종동로울러(321,321'321")가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는 타이밍벨트수직상태전환단계(S5)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 다다른 후 차광판롤링단계(S6)를 거쳐, 상기 차광판롤링부(200)에 의해 차광부(100)의 차광판(130) 및 휠(110)이 상승 이동하여 차광판롤 링부(200)의 수용케이스(230)측으로 진입, 권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휠(110)은 수직선상의 상태를 이루며 휠안내부(340)를 따라 이동되어진 후 차광판롤링부(200)의 휠가이드(210)의 진입구에서 유출되어질 때에는 양단의 휠(110)간을 연결하는 축봉(120)이 상기 휠(110)의 개구홈(111)에 구비되는 힌지축(112)과 직교된 상태에서 자유회동되어 상기 축봉(120)과 휠(110)간 위치 배열 상태가 수평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휠가이드(210)로부터 유출된 후 차광판롤링부(200)의 축(221)에 권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때 비상전원 혹은 밧데리를 통해 진행될 수 있음을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의 추가로 인한 구동방법도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틸재 등으로 되는 차광판으로 구비된 본 발명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윈도우 외측에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건축물의 윈도우를 차폐하여 햇볕의 차단은 물론 침입자의 예방과, 태풍 등의 강풍으로부터 윈도우의 파손을 방지하고 강풍 등에 의해 윈도우측으로 불특정한 가격물이 윈도우측으로 강하게 가격하더라도 상기 차광판이 윈도우를 보호할 수 있어 이로인한 피해 및 신체상 위해 요소를 사전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건축물의 윈도우 및 새로 시공되는 윈도우 등에 다양한 적용 설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이로인한 설치 시공비의 현저한 절감 등 부대적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의 조건 등 즉, 차광판의 올바른 위치 검출 및 적정 기준 이상의 풍압이나 풍량, 햇볕의 일조 강도 등에 따라 차광판의 차폐가 자동 가능하게 되므로, 별도의 조작 등의 작업을 요하지 않게 되며 차광판의 권취 또는 윈도우 차폐시 항상 차광판이 수직선상으로 위치되어져 권취 또는 차폐시 발생될 수 있는 차광판의 손상 등을 완벽하게 방지,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축봉(120)으로 연동 되도록 길이방향 축설되는 차광판(130)의 회동 위치를 위치센서(11)에 의해 검출하는 차광판위치검출부(1)와,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부(1)의 신호에 따라 차광판(130)이 권취 수납되는 차광판롤링부(200)의 축(221)을 구동시키는 정역 구동모터(220)의 정역 회동을 제어하는 차광판롤링제어부(2)와,
    차광판(130)이 윈도우를 차폐한 상태에서, 구동모터(31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로울러(320)와 종동로울러(321,321',321")에 의해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어 동력전달하는 타이밍벨트(330)의 외주면과 접하는 상기 각 휠(110)의 수평/수직상태를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부(1)의 위치센서(11)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10)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차광판(130)이 수평 또는 수직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차광판회동제어부(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130)으로 풍량센서(12)를 구비하여, 상기 풍량센서(12)에서 감지한 풍량이 사용자에 의해 셋팅 되는 허용치 이상을 초과할 경우 그 신호를 상기 차광판회동제어부(3)측으로 송출하여 상기 차광판(130)이 수직상태로 차폐되도록 상기 구동모터(310)를 구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터 개폐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130)으로 일조센서(13)를 구비하여, 햇볕의 존재 유무에 따라 검출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차광판회동제어부(3)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구동모터(310)를 제어하여 상기 차광판(130)이 윈도우를 반복 차폐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터 개폐방법.
  4. 차광판(130)에 위치센서(11)를 구비하여, 상기 차광판(130)의 수평 또는 수직 위치를 감지한 후 그 신호를 검출하는 차광판위치검출단계(S1)와,
    상기 차광판위치검출단계(S1)에서 검출된 차광판(130)의 위치가 수평인지 또는 수직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차광판수평수직판단단계(S2)와,
    상기 위치센서(11)에 의해 차광판(130)의 위치가 수평상태인 것을 감지하게 되면, 차광판회동부(300)의 구동모터(310)를 구동하여 무한궤적을 따라 진행되는 타이밍벨트(330)와 접하는 휠(110)을 회동시켜 상기 수평상태에 있는 차광판(130)을 수직상태로 전환되도록 하는 차광판회동제어단계(S3)와,
    상기 차광판(130)이 수직선상으로 위치되는 것을 확인한 후 휠(110)과의 간 섭을 배제하도록 하는 종동로울러회동제어단계(S4)와,
    상기 종동로울러회동제어단계(S4)를 거치며 상기 휠(110)과 차광판회동부(300)의 타이밍벨트(330)간 접촉 상태를 해제하는 타이밍벨트수직상태전환단계(S5)와,
    차광판롤링부(200)에 의해 차광부(100)의 차광판(130) 및 휠(110)이 상승 이동하여 차광판롤링부(200)의 수용케이스(230)측으로 진입,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차광판롤링단계(S6)로 이루어져, 차광판(130)이 수직상태로 차폐된 상태를 유지하며 권취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터 개폐방법.
KR1020070059154A 2007-06-15 2007-06-15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KR10084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54A KR100849134B1 (ko) 2007-06-15 2007-06-15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54A KR100849134B1 (ko) 2007-06-15 2007-06-15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134B1 true KR100849134B1 (ko) 2008-07-30

Family

ID=3982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154A KR100849134B1 (ko) 2007-06-15 2007-06-15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1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69B1 (ko) * 2008-07-08 2012-10-05 고영일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CN113062685A (zh) * 2021-04-12 2021-07-02 武汉昕亿佳节能新材料有限公司 节能环保塑钢门窗及其安装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1700A (en) 1983-04-15 1987-02-10 Zveibil Salvador M Curtain of windable oscillating blades
JPH0821057A (ja) * 1994-07-08 1996-01-23 Nitto Boseki Co Ltd ベランダ用開閉式目隠し
JPH08210049A (ja) * 1995-02-02 1996-08-13 Oiles Ind Co Ltd ブラインド装置
KR0122526B1 (ko) * 1993-12-24 1997-11-13 오정무 블라인드 자동제어장치
KR19990003825U (ko) * 1997-06-02 1999-01-25 박홍관 전동식 롤 스크린의 제어장치
US6134842A (en) 1997-04-03 2000-10-24 Cheng; Chi Integrated window/light shelf system
KR20000065915A (ko) * 1999-04-10 2000-11-15 김조천 태양광 적응형 블라인더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1700A (en) 1983-04-15 1987-02-10 Zveibil Salvador M Curtain of windable oscillating blades
KR0122526B1 (ko) * 1993-12-24 1997-11-13 오정무 블라인드 자동제어장치
JPH0821057A (ja) * 1994-07-08 1996-01-23 Nitto Boseki Co Ltd ベランダ用開閉式目隠し
JPH08210049A (ja) * 1995-02-02 1996-08-13 Oiles Ind Co Ltd ブラインド装置
US6134842A (en) 1997-04-03 2000-10-24 Cheng; Chi Integrated window/light shelf system
KR19990003825U (ko) * 1997-06-02 1999-01-25 박홍관 전동식 롤 스크린의 제어장치
KR20000065915A (ko) * 1999-04-10 2000-11-15 김조천 태양광 적응형 블라인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669B1 (ko) * 2008-07-08 2012-10-05 고영일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CN113062685A (zh) * 2021-04-12 2021-07-02 武汉昕亿佳节能新材料有限公司 节能环保塑钢门窗及其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7042A1 (en) Automatic hurricane, light and burglary protection system
KR101187669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KR20100034361A (ko) 유리창의 햇빛 투과량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US8011414B2 (en) Roll-up shutter with tiltable slots
US55556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ning and closing skylights
KR100849134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KR101586399B1 (ko)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KR101266800B1 (ko) 계절에 따른 태양의 위치에 따라 광량으로 자동 작동하는 차양장치
KR100846168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장치
JP4148863B2 (ja) 防水扉装置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KR101224131B1 (ko) 중앙제어식 양방향 개폐형 아케이드 갤러리 시스템
KR101023294B1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장치
CN109598832A (zh) 一种智能门禁控制系统
KR20100052238A (ko) 경보기능이 마련된 블라인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범창
KR100873175B1 (ko) 주차장치
KR101545612B1 (ko) 공동주택의 고층 창 구조물
KR102287038B1 (ko) 울타리용 자동문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120069224A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셔텨장치의 제어방법
KR20120040034A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셔텨장치
JPS63165683A (ja) シ−トシヤツタ−の捲込み昇降装置
KR102654262B1 (ko)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WO2019117340A1 (ko) 전동식 롤 블라인드
CN214697612U (zh) 一种自动感应升降式外防护栏
KR102349425B1 (ko) 다층 시설물의 무빙 패널 연동 기반의 방화 셔터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