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262B1 -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262B1
KR102654262B1 KR1020200187851A KR20200187851A KR102654262B1 KR 102654262 B1 KR102654262 B1 KR 102654262B1 KR 1020200187851 A KR1020200187851 A KR 1020200187851A KR 20200187851 A KR20200187851 A KR 20200187851A KR 102654262 B1 KR102654262 B1 KR 102654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panel
building
ligh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883A (ko
Inventor
한은주
Original Assignee
한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은주 filed Critical 한은주
Priority to KR1020200187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262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2009/285Means for actuating a rod (being tilt rod or lift r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실내로 조사되는 채광량과 실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채광량과 실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입체 차광패널 자체가 입체적인 공간을 형성하여 건물 외부에 설치한 것만으로도 건물의 익스테리어 적인 요소로 작용하여 건물의 심미감을 한층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건물에 마련되어 있는 창문을 따라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수단과,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창문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과 평행하게 회전될 시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 사이에 직선 공간부 또는 입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이 한조가 되어 서로 한조가 된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을 노출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구동수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개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 차광 벽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LIGHT-SHIELDING SYSTEM WITH THREE-DIMENSIONAL DECORATION FUNCTION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을 따라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건물 외관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으며, 실내로 조사되는 채광량과 실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공기관 건물이나 빌딩, 아파트 등과 건물 등의 경우에는 채광과 환기를 위하여 햇빛과 실내외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다수의 창문이 마련되며, 상기 창문을 통해 실내로 조사되는 채광량과 환기량은 건물의 실내온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면, 겨울철 창문을 통해 실내로 조사되는 햇빛의 경우에는 실내 공기 온도를 상승시켜 실내 난방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나, 여름철 창문을 통해 실내로 조사되는 햇빛의 경우에는 실내 공기 온도를 상승시켜 실내 냉방에 요구되는 에너지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실내 채광과 환기를 위해 마련되는 창문의 경우 실내 채광과 실내 환기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실내 공간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개인 프라이버시나 보안 측면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창문을 통해 실내로 과도한 양의 햇빛이 조사되어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피부나 각종 진열품 등에 과도한 자외선이 조사될 경우에는 피부나 진열품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문에는 일반적으로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블라인드 등과 같은 채광 조절장치가 창문의 내측에 설치되어 창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블라인드 등과 같은 채광 조절장치는 창문의 내측에 설치되는 특성상 창문을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된 햇빛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이나 각종 진열품 등에 햇빛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실내 공기 온도가 상승되는 것은 전혀 방지할 수 없으므로 여름철의 경우에는 실내 냉방을 위한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는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종 공공기관 건물이나 빌딩 등과 같은 대형 건물에 마련되어 있는 다수의 창문에 각 호실별이나 각 층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블라인드를 무분별하게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건물 외관을 어지럽힌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11825호(등록일 : 2017. 02. 2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 창문을 따라서 건물 외측에 설치되어 실내로 조사되는 채광량과 실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채광량과 실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는 입체 차광패널 자체가 입체적인 공간을 형성하여 건물 외부에 설치한 것만으로도 건물의 외부장식으로 작용하여 건물 익스테리어를 한층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채광량을 자동으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채광량에 따라서 입체 차광패널의 회전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채광량에 따라 건물 외관을 실시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 내부에서 생활하는 건물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이벤트 발생 시에는 건물 내부에서 생활하는 건물 사용자들이 건물 외부 상황을 살펴 볼 수 있도록 건물 외부 상황을 인지하여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에 마련되어 있는 창문을 따라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수단과,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창문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과 평행하게 회전될 시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 사이에 직선 공간부 또는 입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이 한조가 되어 서로 한조가 된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을 노출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구동수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개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 차광 벽체유닛을 포함하는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차광 벽체유닛은 건물에 마련되어 있는 창문을 따라 건물 외부에 필요한 길이만큼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입체장식 차광패널부는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프레임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시 서로 이웃하는 공간에 직선 공간부 또는 입체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입체 차광패널과, 상기 입체 차광패널을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입체 차광패널을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한 쌍의 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구동수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을 노출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입체 차광패널은 일측에는 직선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와 돌출부가 교번 형성된 입체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시,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의 직선부가 마주하도록 회전되어 서로 이웃하는 공간에 직선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거나,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의 직선부와 입체 돌출부가 마주하거나,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의 입체 돌출부끼리 마주하도록 회전되어 서로 이웃하는 공간에 입체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시, 입체 돌출부끼리 마주하도록 회전되는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은 서로 이웃하는 입체 돌출부의 홈부와 돌출부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입체 돌출부의 홈부와 돌출부가 입체 차광패널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 회전 구동부와,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에 순환궤도 형태로 연결되어 제1, 2 회전 구동부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직선운동 변환부와,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측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부 중 어느 하나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제1 패널 회전부 및,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다른 한 측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장식 차광패널 중 다른 하나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제2 패널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는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에 설치되는 스프라켓 또는 풀리일 수 있다.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는 상기 제1, 2 회전구동부에 순환궤도 형태로 연결되는 체인 또는 벨트일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제1, 2 패널 회전부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랙 기어 및, 상기 복수개의 랙 기어와 기어 연결되도록 상기 입체장식 차광패널부의 제2 샤프트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2 패널 회전부는 상기 랙 기어와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가 흔들리지 않고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를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 공간의 밝기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조도 값이 기 세팅된 조도 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입체장식 차광패널부를 회전시키면서 창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광 벽체유닛 외측을 지나가는 행인 수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행인이 차광 벽체유닛 외측에 머무는 시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인체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인체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된 차광 벽체유닛 외부의 행인 수가 기 세팅된 인원수를 초과함과 동시에 기 세팅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차광 벽체유닛 외측에 머문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입체장식 차광패널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건물 외부의 소음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소음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소음감지 센서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된 건물 외부의 소음이 세팅된 데시벨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동수단이 작동되어 입체장식 차광패널부가 창문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창문을 차폐시킨 상태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 사이의 공간에 직선 공간부와 다양한 형상의 입체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건물 외부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건물의 외부 입체장식으로 작용하여 건물 익스테리어를 한층 더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로 외벽을 감싼 커튼월 구조의 기존 건축물의 외관에 설치할 경우 건축물의 리모델링과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건물 실내로 조사되는 채광량과 실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실내 공간의 조도 값에 따라서 제어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입체장식 차광패널부의 개폐되는 각도가 변경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채광량을 자동으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내 채광량에 따라 입체 차광패널의 회전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건물 외관을 실시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패널의 회전 각도변화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채광도 변하게 되어 건물 내부의 분위기도 함께 바뀌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건물 외부인이 차광 벽체유닛에 소정 거리 내로 진입하거나, 건물 외부를 지나는 행인의 수가 세팅된 인원수 이상 됨과 동시에 세팅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차광 벽체유닛 외측에 머물게 되면 제어부에 의해 입체장식 차광패널부가 자동으로 회전되어 건물의 창문을 차폐시킴으로써 건물 내부에서 생활하는 건물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까지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 외부에서 각종 사고나 화재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어 세팅된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되면 제어부에 의해 입체장식 차광패널부가 자동으로 회전되어 건물의 창문을 노출시켜 건물 내부에서 생활하는 건물 사용자들이 건물 외부 상황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만족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관리자가 건물 외부에서도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관리자 단말기 사용하여 통신부를 통해 제어부로 구동수단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도 입체장식 차광패널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실내 채광량과 공기 유입량의 자동 조절과 더불어 건물 외부에서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건물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외부 이벤트 발생도 건물 사용자들이 인지할 수 있고,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건물 외관을 다양한 형태로 실시간으로 변화시켜 사용상의 편의성과 사용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2의 'B'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2의 'B'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차광 벽체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광 벽체유닛(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200)에 마련되어 있는 창문(210)을 따라 건물(200) 외부에 필요한 길이만큼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차광 벽체유닛(100)은 프레임(110), 구동수단(120), 제어부(130),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 및, 동력전달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한 쌍의 가로대(111)와 한 쌍의 세로대(112)가 사각 틀 형태로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120)은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로대(111)의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12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는 상기 창문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회전될 시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 사이에 직선 공간부(S1) 또는 입체 공간부(S2)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11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는 입체 차광패널(141), 제1 샤프트(142) 및, 제2 샤프트(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은 상기 프레임(11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시 서로 이웃하는 공간에 직선 공간부(S1) 또는 입체 공간부(S2)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은 일측에는 직선부(14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H)와 돌출부(E)가 교번 형성된 입체 돌출부(141b)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시,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의 직선부(141a)가 마주하도록 회전되어 서로 이웃하는 공간에 직선 공간부(S1)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거나,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의 직선부(141a)와 입체 돌출부(141b)가 마주하거나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의 입체 돌출부(141b)끼리 마주하도록 회전되어 서로 이웃하는 공간에 입체 공간부(S2)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을 상기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시, 입체 돌출부(141b)끼리 마주하도록 회전되는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은, 서로 이웃하는 입체 돌출부(141b)의 홈부(H)와 돌출부(E)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입체 돌출부(141b)의 홈부(H)와 돌출부(E)가 입체 차광패널(141)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을 상기 프레임(110)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시, 입체 돌출부(141b)끼리 마주하도록 회전되는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은, 일측에 위치한 입체 차광패널(141)의 일측 상부에는 돌출부(E)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홈부(H)가 형성된 입체 돌출부(141b)가 형성되면 타측에 위치한 입체 차광패널(141)의 타측에는 상부에는 홈부(H)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출부(E)가 형성된 입체 돌출부(141b)가 형성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의 입체 돌출부(141b)의 홈부(H)와 돌출부(E)가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입체 돌출부(141b)의 홈부(H)와 돌출부(E)가 입체 차광패널(141b)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샤프트(142)는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의 하단부를 상기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샤프트(143)는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의 상단부를 상기 프레임(1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 샤프트(143)는 동력전달수단(150)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수단(150)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1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수단(1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141)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을 노출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50)은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141)이 한조가 되어 서로 한조가 된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141)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을 노출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1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수단(120)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개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전달수단(150)은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 직선운동 변환부(152), 제1 패널 회전부(153a) 및, 제2 회전 패널부(1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는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12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로(151a)(151b)는 스프라켓 또는 풀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는 프레임(110)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구동수단(120)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에 순환궤도 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의 회전력을 좌우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로는 체인 또는 벨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120)에 설치되는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로 스프라켓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로는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에 순환궤도 형태로 연결되는 체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120)에 설치되는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로 풀리를 사용하게 되면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20)로는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에 순환궤도 형태로 연결되는 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패널 회전부(153a)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측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부(140) 중 어느 하나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의 제2 샤프트(14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패널 회전부(153a)는 랙 기어(1531) 및 피니언 기어(1532)일 수 있다.
상기 랙 기어(1531)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 측, 즉 체인 또는 벨트의 상부 측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1532)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부(140) 중 어느 하나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의 제2 샤프트(143)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 또는 벨트의 상부 측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랙 기어(1531)와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 회전부(153b)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 또는 하부 중 다른 한 측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 중 다른 하나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의 제2 샤프트(14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패널 회전부(153b)는 랙 기어(1533) 및 피니언 기어(1534)일 수 있다.
상기 랙 기어(1533)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하부 측, 즉 체인 또는 벨트의 하부 측에 소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1534)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부(140) 중 다른 하나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의 제2 샤프트(143)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 또는 벨트의 하부 측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랙 기어(1533)와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2 패널 회전부(153a)(153b)는 가이드(15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535)는 상기 랙 기어(1531)(1533)와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상기 랙 기어(1531)(1533)가 흔들리지 않고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를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조도센서(1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161)는 실내 공간의 밝기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로 조도센서(161)에 의해 감지된 조도 값이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조도센서(161)에 의해 감지된 실내 공간의 조도 값을 기 세팅된 조도 값과 비교하면서 조도센서(161)에 의해 감지되는 실내 공간의 조도 값이 기 세팅된 조도 값을 추종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120)을 작동시켜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를 회전시키면서 창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인체감지 센서(1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162)는 상기 차광 벽체유닛(100) 외측을 지나가는 행인 수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행인이 차광 벽체유닛(160) 외측에 머무는 시간을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전송을 하게 된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162)로부터 감지되어 제어부(130)로 전송된 차광 벽체유닛(100) 외부의 행인 수가 기 세팅 된 인원수를 초과함과 동시에 기 세팅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차광 벽체유닛(100) 외측에 머문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구동수단(120)을 작동시킴으로써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를 회전시켜 창문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근접센서(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63)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162)에 의해 차광 벽체유닛(100) 외측을 지나가는 행인 수가 감지될 시 작동되어 차광 벽체유닛(100) 외부의 행인과 차광 벽체유닛(10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63)로부터 감지되어 제어부(130)로 전송된 차광 벽체유닛(100) 외부의 행인과 차광 벽체유닛(100) 사이의 거리가 기 세팅된 거리 미만이라고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구동수단(120)을 작동시킴으로써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를 회전시켜 창문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소음감지 센서(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감지 센서(164)는 건물 외부의 소음을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음감지 센서(164)에 의해 감지되어 전송된 건물 외부의 소음이 세팅된 데시벨 이상이라고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구동수단(120)을 작동시킴으로써 창문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80)와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관리자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관리자 단말기(180)를 이용하여 통신부(170)를 통해 제어부(130)로 구동수단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으로도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창문을 노출시킬 시에는 제1 회전 구동부(151a)가 설치되어 있는 구동수단(120)이 작동되고 창문을 차폐시킬 시에는 제2 회전 구동부(151b)가 설치되어 있는 구동수단(120)이 작동된다는 가정 하에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을 작동시켜 건물에 마련되어 있는 창문을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한 쌍의 구동수단(120) 중 제1 회전 구동부(151a)가 설치되어 있는 구동수단(120)을 작동시켜 상기 제1 회전 구동부(151a)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 회전 구동부(151a)가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제1 회전 구동부(151a)와 연결되어 있는 직선운동 변환부(152)가 상기 제1 회전 구동부(151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좌우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경우에는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와 순환궤도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회전 구동부(151a)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고 가정하면,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하부는 좌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와 연결되어 있는 제2 회전 구동부(151b)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가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를 따라 상부는 우측으로 이동되고 하부는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와 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2 패널 회전부(153a)(153b)의 랙 기어(1531)(1533) 또한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와 연동되어 좌우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랙 기어(1531)가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연결되고,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랙 기어(1533)가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연결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랙 기어(1531)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와 연동되어 우측으로 이동되고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랙 기어(1533)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하부와 연동되어 좌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랙 기어(1531)가 우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랙 기어(1533)가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랙 기어(1531)와 기어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153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랙 기어(1533)와 기어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153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141) 중 어느 하나의 입체 차광패널(141)의 제2 샤프트(143)에는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피니언 기어(1532)가 설치되며, 다른 하나의 입체 차광패널(141)의 제2 샤프트(143)에는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피니언 기어(153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피니언 기어(1532)가 설치되어 있는 입체 차광패널(141)은 상기 피니언 기어(1532)와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창문을 노출시키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피니언 기어(1534)가 설치되어 있는 입체 차광패널(141)은 상기 피니언 기어(1534)와 연동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창문을 노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120)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이 90도까지만 회전되어 창문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입체 차광패널(141)이 회전되어 창문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창문을 다시 차폐시키기 위해서는, 제2 회전 구동부(151b)가 설치되어 있는 구동수단(120)을 작동시켜 제2 회전 구동부(151b)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2 회전 구동부(151b)가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제2 회전 구동부(151b)와 연결되어 있는 직선운동 변환부(152)가 상기 제2 회전 구동부(151b)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좌우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와 순환궤도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직선운동 변환부(152)는 상기 제2 회전 구동부(151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고 가정하면,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하부는 우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 구동부(151a)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가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151a)(151b)를 따라 상부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하부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와 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2 패널 회전부(153a)(153b)의 랙 기어(1531)(1533) 또한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와 연동되어 좌우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에 소정간격으로 연결된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랙 기어(1531)는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상부와 연동되어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연결된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랙 기어(1533)는 직선운동 변환부(152)의 하부와 연동되어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랙 기어(1531)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랙 기어(1533)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랙 기어(1531)와 기어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153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랙 기어(1533)와 기어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153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141) 중 어느 하나의 입체 차광패널(141)의 제2 샤프트(143)에는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피니언 기어(1532)가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입체 차광패널(141)의 제2 샤프트(141)에는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피니언 기어(153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패널 회전부(153a)의 피니언 기어(1532)가 설치되어 있는 입체 차광패널(141)은 상기 피니언 기어(1532)와 연동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창문을 차폐시키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패널 회전부(153b)의 피니언 기어(1534)가 설치되어 있는 입체 차광패널(141)은 상기 피니언 기어(1534)와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창문을 차폐시키게 된다.
여기서도, 상기 구동수단(120)은 상기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이 90도까지만 회전되어 상기 창문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이 회전되어 창문이 노출된 상태에서는 인체감지 센서(162)에 의해 차광 벽체유닛(100) 외측을 지나가는 행인 수와 행인이 차광 벽체유닛(100) 외측에 머무는 시간이 실시간으로 감지되어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상기 인체감지 센서(162)로부터 감지되어 전송된 차광 벽체유닛(110) 외부의 행인 수가 기 세팅된 인원수를 초과함과 동시에 기 세팅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차광 벽체유닛(110) 외측에 머문다고 제어부(132)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구동수단(120)을 작동시켜 창문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입체장식 차광패널(141)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입체 차광패널(141)이 회전되어 창문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인체감지 센서(162)에 의해 차광 벽체유닛(110) 외측을 지나가는 행인 수가 감지되면, 근접센서(163) 또한 작동되어 차광 벽체유닛(100) 외부의 행인과 차광 벽체유닛(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130)로 전송을 하게 된다.
상기 근접센서(163)로부터 감지되어 제어부(130)로 전송된 차광 벽체유닛(100) 외부의 행인과 차광 벽체유닛(100) 사이의 거리가 기 세팅된 거리 미만이라고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인체감지 센서(162)에 의해 감지된 차광 벽체유닛(100) 외측을 지나가는 행인 수가 기 세팅된 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어도 구동수단(120)을 작동시켜 창문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입체장식 차광패널(141)을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입체 차광패널(141)에 의해 창문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소음감지 센서(164)에 의해 건물 외부의 소음이 감지되어 제어부(130)로 전송된다.
상기 소음감지 센서(164)로부터 감지되어 제어부(130)로 전송된 건물 외부의 소음이 세팅된 데시벨 이상이라고 상기 제어부(130)에 의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구동수단(120)을 작동시켜 창문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입체장식 차광패널(14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창문을 차폐시킨 상태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141) 사이의 공간에 직선 공간부(S1)와 다양한 형상의 입체 공간부(S2)가 형성됨으로써 건물 외부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건물의 외부 입체장식으로 작용하여 건물 익스테리어를 한층 더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로 외벽을 감싼 커튼월 구조의 기존 건축물의 외관에 설치할 경우 건축물의 리모델링과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건물 실내로 조사되는 채광량과 실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도센서(161)에 의해 감지된 실내 공간의 조도 값에 따라서 제어부(130)에 의해 실시간으로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의 개폐되는 각도가 변경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채광량을 자동으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내 채광량에 따라 입체 차광패널부(140)의 회전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건물 외관을 실시간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광패널의 회전 각도변화에 따라 실내로 유입되는 채광도 변하게 되어 건물 내부의 분위기도 함께 바뀌게 되므로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건물 외부인이 차광 벽체유닛(100)에 소정 거리 내로 진입하거나, 건물 외부를 지나는 행인의 수가 세팅된 인원수 이상 됨과 동시에 세팅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차광 벽체유닛(100) 외측에 머물게 되면 제어부에 의해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가 자동으로 회전되어 건물의 창문을 차폐시킴으로써 건물 내부에서 생활하는 건물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까지 지킬 수 있다.
또한, 건물 외부에서 각종 사고나 화재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어 세팅된 데시벨 이상의 소음이 발생되면 제어부(130)에 의해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가 자동으로 회전되어 건물의 창문을 노출시켜 건물 내부에서 생활하는 건물 사용자들이 건물 외부 상황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은 관리자가 건물 외부에서도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관리자 단말기(180) 사용하여 통신부(170)를 통해 제어부(130)로 구동수단(120)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도 입체장식 차광패널부(1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프레임 (120) : 구동수단
(130) : 제어부 (140) : 입체장식 차광패널부
(150) : 동력전달수단 (151a) : 제1 회전 구동부
(151b) : 제2 회전 구동부 (152) : 직선운동 변환부
(153a) : 제1 패널 회전부 (153b) : 제2 패널 회전부
(161) : 조도센서 (162) : 인체감지 센서
(163) : 근접센서 (164) : 소음감지 센서
(170) : 통신부

Claims (13)

  1. 건물에 마련되어 있는 창문을 따라 건물 외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수단;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창문을 차폐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과 평행하게 회전될 시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 사이에 직선 공간부 또는 입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 및
    상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이 한조가 되어 서로 한조가 된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을 노출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구동수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복수개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된 차광 벽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한 쌍의 구동수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 2 회전 구동부;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에 순환궤도 형태로 연결되어 제1, 2 회전 구동부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직선운동 변환부;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측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부 중 어느 하나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제1 패널 회전부; 및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다른 한 측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장식 차광패널 중 다른 하나의 입체장식 차광패널부의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제2 패널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 구동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의 상부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하부는 우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회전 구동부는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가 상기 제1, 2 회전 구동부를 따라 상부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하부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의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제1, 2 패널 회전부의 랙 기어가 상기 직선운동 변환부와 연동되어 좌우 직선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제1 패널 회전부의 랙 기어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제2 패널 회전부의 랙 기어는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패널 회전부의 랙 기어와 기어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2 패널 회전부의 랙 기어와 기어 연결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 패널 회전부의 피니언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입체 차광패널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동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창문을 차폐시키며,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 패널 회전부의 피니언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 입체 차광패널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연동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장식 차광패널부는,
    상기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프레임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시 서로 이웃하는 공간에 직선 공간부 또는 입체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입체 차광패널;
    상기 입체 차광패널을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1 샤프트; 및
    상기 입체 차광패널을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한 쌍의 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구동수단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입체 차광패널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창문을 노출시키거나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 샤프트를 포함하는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차광패널은,
    일측에는 직선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와 돌출부가 교번 형성된 입체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과 평행하게 회전시켜 창문을 차폐시킬 시,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의 직선부가 마주하도록 회전되어 서로 이웃하는 공간에 직선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거나,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의 직선부와 입체 돌출부가 마주하거나, 서로 이웃하는 입체 차광패널의 입체 돌출부끼리 마주하도록 회전되어 서로 이웃하는 공간에 입체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00187851A 2020-12-30 2020-12-30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KR10265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51A KR102654262B1 (ko) 2020-12-30 2020-12-30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851A KR102654262B1 (ko) 2020-12-30 2020-12-30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883A KR20220095883A (ko) 2022-07-07
KR102654262B1 true KR102654262B1 (ko) 2024-04-02

Family

ID=8239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851A KR102654262B1 (ko) 2020-12-30 2020-12-30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26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095A (ja) * 2006-07-18 2008-02-07 Seiko Industry Co Ltd ルーバー装置
KR102164979B1 (ko) * 2019-03-07 2020-10-13 한은주 건물 외벽의 입체장식 및 채광조절을 위한 차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9517A (ko) * 2005-09-10 2007-03-14 김재균 능동소음차단장치
KR20100037287A (ko) * 2008-10-01 2010-04-0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물의 이중외피 차양장치
KR101711825B1 (ko) 2016-04-27 2017-03-03 한은주 건물 외벽의 입체장식 및 채광조절을 위한 가변 작동형 목재 스크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095A (ja) * 2006-07-18 2008-02-07 Seiko Industry Co Ltd ルーバー装置
KR102164979B1 (ko) * 2019-03-07 2020-10-13 한은주 건물 외벽의 입체장식 및 채광조절을 위한 차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883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4361A (ko) 유리창의 햇빛 투과량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101693796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US20170292319A1 (en) Twin louver window assembly for efficient thermal control
KR102654262B1 (ko) 건물 입체장식 기능을 가지는 차광시스템
EP1514005B1 (en) Screening device with motor drive and use hereof
KR101861595B1 (ko) 전동식 롤 블라인드
KR102164979B1 (ko) 건물 외벽의 입체장식 및 채광조절을 위한 차광 시스템
KR20170091841A (ko)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17929A (ko) 기능성 창호 스크린 장치
KR20110118853A (ko) 간접조명장치로 이용가능한 프리즘 블라인드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20100006095A (ko) 윈도우용 차광 조절 겸용 방범 전동 셔텨 개폐방법
KR20080004754A (ko)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발코니 도어
TWM616460U (zh) 智慧型多功能情境窗
KR101588967B1 (ko) 접이식 수평덧창 및 수평도어
KR20180013578A (ko) 스마트형 차광블라인드 장치
US20120193039A1 (en) Window shade with reflective and aesthetic features
KR20210052719A (ko) 전동 루버 시스템
CN111594014A (zh) 一种多功能防盗门通风窗
KR101495870B1 (ko) 건축용 안전 창문틀
JP5697903B2 (ja) 建物構造
JP7489264B2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CN211533850U (zh) 基于光感应控制的电动窗帘和电动窗帘系统
JP6008526B2 (ja) 開閉体装置
CN211533847U (zh) 窗帘控制系统及电动窗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