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841A -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841A
KR20170091841A KR1020160012596A KR20160012596A KR20170091841A KR 20170091841 A KR20170091841 A KR 20170091841A KR 1020160012596 A KR1020160012596 A KR 1020160012596A KR 20160012596 A KR20160012596 A KR 20160012596A KR 20170091841 A KR20170091841 A KR 2017009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blind
window
driv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호
권형석
정석진
최재홍
오지현
이동훈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1841A/ko
Publication of KR2017009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5Control mo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내에 없거나 실내외 환경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실내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창문 및 블라인드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 환기, 실내 채광 조절, 실내 온도 조절, 자외선 자단 등을 적절하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 장치로서, 투명한 창을 갖는 창문, 상기 창문의 개폐를 구동하는 창문 구동부, 상기 창문에 설치된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 및 차양각도를 구동하는 블라인드 구동부, 실내에 설치되어 제1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실내 센서부, 실외에 설치되어 제2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실외 센서부 및 상기 제 1, 2 센서신호의 크기와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창문 구동부와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AUTOMATIC WINDOW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라인드가 함께 설치된 창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나 빌딩 등에 적용되는 블라인드가 함께 설치된 창문을 센서에 의해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가 함께 설치된 창문은 아파트, 주택, 빌딩 및 사무실 등에서 실내 공기 환기, 실내 온도 조절, 실내 밝기 조절, 채광 조절, 사생활 보호 등을 위해 이용된다.
종래의 창문과 블라인드는 사용자가 직접 창문과 블라인드를 조절하여야 하기 때문에, 편리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실외 강한 햇빛 등으로 사무실 및 주택의 밝기를 조절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시시각각 변화하는 햇빛의 강도에 따라 블라인드를 조절해야 하거나, 실내 미세 먼지가 발생하거나 가스가 노출되는 경우마다 사용자가 수시로 창문을 열었다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창문을 닫아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상당한 번거로움을 주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 장치는,
투명한 창을 갖는 창문;
상기 창문의 개폐를 구동하는 창문 구동부;
상기 창문에 설치된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 및 차양각도를 구동하는 블라인드 구동부;
실내에 설치되어 제1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실내 센서부;
실외에 설치되어 제2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실외 센서부; 및
상기 제 1, 2 센서신호의 크기와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창문구동부와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장치는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가 제공하는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창문구동부와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제 1, 2 센서 신호 크기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창문구동부 또는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제 1, 2 센서 신호의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창문구동부 또는 상기 블라인드구동부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센서부는 온도센서, 가스센서 또는 먼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센서부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자외선센서 또는 먼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내 센서부와 실외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센서 신호의 크기 및 미리 설정된 각 센서신호의 우선순위에 따라 창문 또는 블라인드가 자동적으로 제어되어, 사용자가 실내에 없거나 실내외 환경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실내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창문 및 블라인드를 조절하여 실내 공기 환기, 실내 채광 조절, 실내 온도 조절, 자외선 자단 등을 적절하게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및 창문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및 블라인드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장치는 메인 제어부(110), 실내 센서부(120), 실외 센서부(130), 창문 구동부(140), 창문(150), 블라인드 구동부(160), 블라인드(17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110)은 실내 센서부(120)과 실외 센서부(130)에서 출력되는 제1, 2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창문 구동부(140) 및 블라인드 구동부(160)에 제어신호를 보내고, 그에 따라 상기 창문(150)을 개폐하거나 상기 블라인드(170)을 개폐 또는 채광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실내 센서부(120)는 실내 환경 요소를 감지하여 제1 센서 신호(복수의 종류일 수 있음)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예를들어 실내 센서부(120)은 온도센서, 가스센서 또는 먼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센서부(120)를 통해 실내 온도, 실내에 가스가 유출된 정도, 실내 먼지의 정도를 각 센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외 센서부(130)는 실외 환경 요소를 감지하여 제2 센서 신호(복수의 종류일 수 있음)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예를들어 실외 센서부(130)은 온도센서, 조도센서, 자외선 센서, 또는 먼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센서부(130)를 통해 실외 온도, 실외 햇빛의 세기, 햇빛 자외선의 정도, 실외 먼지의 정도를 각 센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창문구동부(140)는 상기 메인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창문(150)을 개폐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및 창문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창문구동부(140)은 톱니바퀴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창문(150)은 상기 톱니바퀴에 맞물리는 톱니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문구동부(140)은 모터를 통해 톱니바퀴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창문(150)에 구비된 톱니레일에 맞물려 구동하여 상기 창문(150)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160)는 상기 메인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170)를 접거나 펼치며, 또한 펼친 상태에서 채광각도를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및 블라인드 구동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160)은 블라인드 날에 결속된 끈들의 길이를 조절하는 모터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터들의 동작을 통하여 블라인드 날들이 겹쳐 접히거나 펼쳐지며, 또한 펼쳐진 상태에서 채광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160)에 관한 자세한 동작은 통상의 기술자라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장치는 타이머(1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타이머(180)은 시간정보를 메인 제어부(110)에 제공하며, 메인 제어부(110)은 타이머(180)의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창문구동부(140) 또는 블라인드 구동부(160)을 제어하여 창문(150) 또는 블라인드(170)을 동작시킨다.
예를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110)은 아침 7시에 상기 창문구동부(140)을 통해 창문(150)을 열리게 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거나,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160)을 통해 블라인드를 올리거나 블라인드의 채광각도를 조절하여 실내를 밝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밤 10시에는 상기 창문 구동부(140)을 통해 창문(150)을 닫고,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160)을 통해 블라인드를 펼치고 블라인드의 채광각도를 조절하여 실내를 어둡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을 다음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의 설명에서는 실내 센서부(120)에 가스센서와 먼지센서를 포함하고 있고, 실외 센서부(130)은 조도센서와 먼지센서를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첫째, 실외 조도센서가 일정 이상의 햇빛의 세기에 해당하는 제2 센서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메인 제어부(110)은 제2 센서 신호의 크기를 계산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160)을 제어하여 상기 블라인드(170)을 펼치고 블라인드의 채광각도를 조절하여 외부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실내 먼지센서가 실내 먼지 농도를 단위 용적당 10g으로 제1 센서신호를 출력하고, 실외 먼지센서가 실외 먼지 농도를 단위 용적당 5g으로 제2 센서신호를 출력한 경우에, 상기 메인 제어부(110)은 제1 센서신호와 제2 센서 신호의 크기 차이값을 계산하여 그 결과값으로 실내 먼지 농도가 실외 먼지 농도보다 높은 것을 인지한다. 그 결과 상기 메인 제어부(110)은 상기 창문 구동부(140)을 제어하여 상기 창문(150)을 열리게 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킨다. 반대로, 실외 먼지 농도가 실내 먼지 농도 보다 더 높은 경우에는 상기 메인 제어부(110)은 상기 창문(150)을 닫는다.
셋째, 실외 먼지센서에 의한 실외 먼지 농도보다 매우 높아 실내 공기 환기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실내 가스센서에 의해 측정된 실내 가스의 농도가 위험한 수준 이상인 경우에는 실내 가스센서에 의한 제1 센서신호의 우선순위가 실외 먼지센서에 의한 제2 센서신호의 우선순위보다 더 높은 것으로 설정되어 있어, 그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실내 가스센서에 의한 제1 센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상기 메인 제어부(110)은 상기 창문 구동부(140)을 제어하여 상기 창문(150)을 우선적으로 열리게 하여 실내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장치는 실내 센서부(120)에 의한 제1 센서신호와 실외 센서부(130)에 의한 제2 센서신호를 입력받은 메인 제어부(110)가 제1, 2 센서신호의 크기 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창문구동부(140)와 블라인드 구동부(160)를 제어하여 창문(150) 또는 블라인드(170)를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환경 변화를 자동적으로 감지하고 판단하여 적절하게 실내 공기 환기, 가스 유출 사고 방지, 실내 조명 조절, 실내 온도 조절, 실외 먼지 유입 방지를 할 수 있다.
110: 메인제어부 120: 실내 센서부 130: 실외 센서부
140: 창문 구동부 150: 창문 160: 블라인드 구동부
170: 블라인드 180: 타이머

Claims (6)

  1. 투명한 창을 갖는 창문;
    상기 창문의 개폐를 구동하는 창문 구동부;
    상기 창문에 설치된 블라인드;
    상기 블라인드의 개폐 및 차양각도를 구동하는 블라인드 구동부;
    실내에 설치되어 제1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실내 센서부;
    실외에 설치되어 제2 센서신호를 출력하는 실외 센서부; 및
    상기 제 1, 2 센서신호의 크기와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창문 구동부와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장치는 시간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가 제공하는 시간정보에 따라 상기 창문 구동부와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창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제 1, 2 센서 신호 크기의 차이값에 따라 상기 창문 구동부 또는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창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제 1, 2 센서 신호의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창문구동부 또는 상기 블라인드 구동부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창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센서부는 온도센서, 가스센서 또는 먼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창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센서부는 온도센서, 조도센서, 자외선센서 또는 먼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및 블라인드 제어창치.
KR1020160012596A 2016-02-01 2016-02-01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91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596A KR20170091841A (ko) 2016-02-01 2016-02-01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596A KR20170091841A (ko) 2016-02-01 2016-02-01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841A true KR20170091841A (ko) 2017-08-10

Family

ID=5965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596A KR20170091841A (ko) 2016-02-01 2016-02-01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184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73B1 (ko) * 2017-12-27 2019-04-11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실내외 공기품질 반응 기반의 창문 개폐 자동제어 시스템
KR102094155B1 (ko) * 2019-10-30 2020-03-30 케이엠텍(주)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KR20200107050A (ko) 2019-03-06 2020-09-16 김지유 날씨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 능동형 창호 개폐시스템
KR20210053137A (ko) * 2019-10-30 2021-05-11 케이엠텍 주식회사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73B1 (ko) * 2017-12-27 2019-04-11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실내외 공기품질 반응 기반의 창문 개폐 자동제어 시스템
KR20200107050A (ko) 2019-03-06 2020-09-16 김지유 날씨에 따라 실내 분위기를 연출하는 능동형 창호 개폐시스템
KR102094155B1 (ko) * 2019-10-30 2020-03-30 케이엠텍(주)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KR20210053137A (ko) * 2019-10-30 2021-05-11 케이엠텍 주식회사 미세먼지 차단 겸용 방충망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52156C (en) Fenestration assembly and building service control with the same
US9169690B2 (en) Window treatment having backlighting
US5598000A (en) Dual-mode automatic window covering system responsive to AC-induced flicker in ambient illumination
KR20170091841A (ko) 자동 창문 개폐 장치 및 그 방법
EP3087241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motorized window treatments
US20180148976A9 (en) Window treatment control using bright override
US20140345807A1 (en) Motorized roller shade system with a sun angle sensor
TWM504418U (zh) 室內光線控制系統
KR20160047794A (ko) 실내외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루버장치
CN104482494B (zh) 建筑物采光照明系统及建筑物采光照明方法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JP5178003B2 (ja) 電動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KR20120030183A (ko) 자연채광 연동 차양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6217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루버창
KR101197301B1 (ko) 환기 기능이 포함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 시스템
JP3616896B2 (ja) 調光型遮光体
JP2006161309A (ja) 電動ブラインド
JPH0759871B2 (ja) ブラインド
JPH05340174A (ja) スリット付シャッターの開閉制御装置
JP2000303760A (ja) 自動制御式ブラインド装置
KR20110012970A (ko)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JP2010238543A (ja) 窓際演出の装置及び方法
KR20100006414U (ko) 자동창문
CN211533850U (zh) 基于光感应控制的电动窗帘和电动窗帘系统
CN211533847U (zh) 窗帘控制系统及电动窗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