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719A - 전동 루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동 루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719A
KR20210052719A KR1020190136840A KR20190136840A KR20210052719A KR 20210052719 A KR20210052719 A KR 20210052719A KR 1020190136840 A KR1020190136840 A KR 1020190136840A KR 20190136840 A KR20190136840 A KR 20190136840A KR 20210052719 A KR20210052719 A KR 20210052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lade
frame
blades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태희
남상원
Original Assignee
남태희
남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희, 남상원 filed Critical 남태희
Priority to KR102019013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2719A/ko
Publication of KR2021005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8Failure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전동 루버 시스템으로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의해 중앙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장방형으로 결합되는 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중의 어느 하나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연동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은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이 폐쇄되고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의 반대 방향이 개방되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을 폐쇄하는 내판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각각은 일측의 돌출고정구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에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블레이드 브라켓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얇은 두께의 프레임 내에 구동모터부와 제어부 등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모든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있어 실내용 칸막이 패널의 개구부나 두께가 제한되어 있는 방화문의 개구부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동 루버 시스템{Electromotion Type Louver System}
본 발명은 전동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얇은 두께의 프레임 내에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모든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있어 방화문이나 칸막이 패널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고 프레임의 실내측에 망 고정용 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방충망이나 미세먼지망을 쉽게 설치, 제거 및 교체할 수 있으며 망 고정용 홈을 덮는 덮개가 구비되어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외관이 미려한 전동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루버 시스템은 폭이 좁은 판을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한 것으로서, 건축에서 미늘살문이나 미늘살창이라고도 하며, 채광(採光), 인공조명, 일조조정(日照調整), 통풍, 환기(換氣)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즉, 통풍이나 환기를 위해서는 빗물이 스며드는 관계로 루버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채광, 인공조명, 일조조정에 사용할 경우는 반드시 루버 시스템 형식을 취하지는 않는다. 즉, 가로, 세로 또는 격자창(格子窓)으로 하든지, 이것들의 변형을 응용하여 여러 가지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빛에 관해서 이것을 사용하면 광원면(光源面)은 그다지 밝게 보이지 않게 하고, 작업면만 밝게 할 수 있으며, 광선에 지향성을 갖게 하여 실내의 조도분포(照度分布)를 균일화할 수 있고, 직사 일광을 겨울철에는 실내에 들어오게 하고 여름철에는 차단하여 일조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 시스템은 이상의 여러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밖에서는 실내가 들여다 보이지 않고, 실내에서는 밖을 내다보는 데 불편이 없는 것이 특색이다.
이러한 루버 시스템 형식은 보통 환기창에서 많이 사용되므로, 환기창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데, 이런 환기창은 아파트의 베란다, 아파트 옥탑의 기계실 등에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되며, 최근에는 주상복합의 상업용 건물에 설치되는 에어컨의 실외기가 건물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기 위해 루버 시스템이 주로 설치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아파트에 수동식 루버가 설치되었는데, 수동식 루버는 에어컨을 작동시킬 때마다 사용자가 개방해야 하고 실외기의 작동이 멈추어도 루버가 열려있어 여러 해충들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은 방충망의 설치를 원하였지만, 기존의 루버는 날개의 회전축이 날개의 중심부에 있어 루버 시스템의 내면부에 직접 방충망을 설치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에, 루버 시스템의 프레임으로부터 실내측으로 돌출되는 별도의 설치용 프레임을 이용한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을 구입하여 설치해야 했다.
그리고, 이러한 별도의 설치용 프레임을 이용한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을 설치한 경우라도, 설치용 프레임의 실내측 면에 망 고정용 홈이 있는 경우에는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의 가장자리부가 노출되어 실내 미관을 해치게 되며,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이 오염되거나 손상 또는 노후되어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스스로 쉽게 교체할 수 없어 설치업체에 의뢰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대형 건물에는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1차, 2차 및 3차 안전 구획이 되어 있는데, 복도가 1차 안전 구획이고, 복도측의 방화문과 계단측의 방화문 사이의 공간(부속실)이 2차 안전 구획이며, 계단실이 3차 안전 구획이고, 계단실에는 평상시 옥상으로부터 40파스칼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있다.
따라서, 화재 시에 방화문이 일시 개방되어도 실내의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계단실과 복도 사이의 압력 차이 때문에 방화문을 하나만 설치하면 사람이 방화문을 열기가 매우 힘들게 되기 때문에 방화문을 이중으로 설치하고 그 사이에 부속실을 두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 방화문 및 부속실의 설치는 건축비의 상승 원인이 되며 건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사람들이 방화문을 두 번씩 열어야 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하나의 방화문을 사용하면서도 평상시에는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으며 사람이 방화문을 개방할 때에는 계단실과의 압력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담 없이 방화문을 열 수 있게 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770호(공고일자 2003년 11월 0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9307호(공고일자 2015년 02월 04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3452호(공개일자 2019년 07월 12일)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두께의 프레임 내에 구동모터부와 제어부 등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모든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있어 실내용 칸막이 패널의 개구부나 두께가 제한되어 있는 방화문의 개구부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전동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 접촉부재,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 및 패킹부재를 구비하여 블레이드가 닫힐 경우 가스를 차단함으로써 루버 시스템이 방화문의 개구부에 설치된 경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도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전동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루버 시스템이 방화문의 개구부에 설치된 경우 손잡이가 작동되면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공기가 자유롭게 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람들이 계단실과의 압력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담없이 방화문을 열 수 있고 방화문이 닫히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닫아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전동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에어컨 실외기가 작동하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개방시켜 에어컨 실외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고 에어컨 실외기의 작동이 멈추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닫아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프레임의 실내측에 망 고정용 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설치업체에 의뢰하지 않고 스스로 방충망이나 미세먼지망을 쉽게 설치, 제거 및 교체할 수 있는 전동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망 고정용 홈을 덮는 덮개가 구비되어 방충망이나 미세먼지망을 설치한 후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덮개를 덮어둘 수 있는,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외관이 미려한 전동 루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동 루버 시스템으로서,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의해 중앙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장방형으로 결합되는 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중의 어느 하나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연동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은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이 폐쇄되고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의 반대 방향이 개방되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을 폐쇄하는 내판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각각은 일측의 돌출고정구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에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블레이드 브라켓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에 의하면, 얇은 두께의 프레임 내에 구동모터부와 제어부 등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모든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있어 실내용 칸막이 패널의 개구부나 두께가 제한되어 있는 방화문의 개구부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블레이드 접촉부재,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 및 패킹부재를 구비하여 블레이드가 닫힐 경우 가스를 차단함으로써 루버 시스템이 방화문의 개구부에 설치된 경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도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루버 시스템이 방화문의 개구부에 설치된 경우 손잡이가 작동되면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공기가 자유롭게 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람들이 계단실과의 압력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담없이 방화문을 열 수 있고 방화문이 닫히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닫아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에어컨 실외기가 작동하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개방시켜 에어컨 실외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고 에어컨 실외기의 작동이 멈추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닫아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프레임의 실내측에 망 고정용 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설치업체에 의뢰하지 않고 스스로 방충망이나 미세먼지망을 쉽게 설치, 제거 및 교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망 고정용 홈을 덮는 덮개가 구비되어 방충망이나 미세먼지망을 설치한 후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덮개를 덮어둘 수 있는,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외관이 미려한 전동 루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의 블레이드가 닫혀있고 덮개도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프레임부에 블레이드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 및 구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중앙 개구부의 위치에서 바라본 수직프레임의 내판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블레이드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블레이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블레이드가 닫혀 있는 상태의 수직 단면 구조 및 수직프레임에 결합꺽쇠와 설치 브라켓이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회전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연동기구부가 설치되는 구조와 프레임 커버, 블레이드 접촉부재 및 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결합꺽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결합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설치 브라켓에 결합된 구동모터부가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부분의 수평 단면 구조 및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결합꺽쇠와 결합 브라켓을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를 함께 도시한 도면,
도 13은 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된 블레이드 브라켓의 돌출고정구가 회전 브라켓과 결합된 부분의 수평 단면 구조(블레이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수직프레임에 구동모터부나 회전 브라켓이 설치되지 않은(관통공과 관통공 사이) 위치의 수평 단면 구조와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 및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의 블레이드가 닫혀있고 덮개도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프레임부에 블레이드 브라켓과 회전 브라켓 및 구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중앙 개구부의 위치에서 바라본 수직프레임의 내판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블레이드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블레이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블레이드가 닫혀 있는 상태의 수직 단면 구조 및 수직프레임에 결합꺽쇠와 설치 브라켓이 설치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회전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연동기구부가 설치되는 구조와 프레임 커버, 블레이드 접촉부재 및 덮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은, 프레임부(10), 복수 개의 블레이드(20), 구동부(30) 및 연동기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을 지지하는 골격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에 의해 장방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중앙 개구부(13)가 형성되어 그곳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은 중앙 개구부(13) 방향이 폐쇄되고 중앙 개구부(13) 반대 방향이 개방되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내판부(111, 121) 및 한 쌍의 측판부(112, 122)를 포함한다.
즉, 중앙 개구부(13) 방향을 폐쇄하는 내판부(111, 121)는 일정한 폭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판부(111, 121)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한 쌍의 측판부(112, 122)가 직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21)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12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은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가공성이 좋고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은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프레임용 합성수지 또는 금속 부재를 45°각도로 절단하여 적절한 길이로 만든 후 수평프레임(11) 또는 수직프레임(12)으로 사용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측판부(112, 122)의 외면부 사이인 프레임부(10)의 두께가 44mm가 되도록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을 형성하였는데, 국내법상 방화문은 45mm의 두께를 갖도록 규정되어 있는바 기존의 전동 루버 시스템은 블레이드 구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가 두께 45mm 이하인 프레임 내에 내장될 수 없어서 방화문의 개구부에 설치할 수 없었음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은 방화문의 개구부나 두께가 얇은 실내용 칸막이 패널의 개구부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20)는 빗물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막으면서 통풍 및 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루버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수직프레임(12) 사이의 중앙 개구부(13)에 서로 평행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20)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는 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하였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닫힐 경우에 블레이드(2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블레이드(20)의 폭 방향 일단부는 일측면으로부터 폭 방향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되고 폭 방향 타단부는 타측면으로부터 폭 방향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블레이드(20)의 폭 방향 양단부의 내면부에는 패킹부재(22)가 결합되어 설치되게 된다(도 7 참조).
각각의 블레이드(20)는 길이 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블레이드 브라켓(21)을 매개로 하여 수직프레임(12)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블레이드(20)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가공성이 좋고 가벼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채광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할 경우에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채광성 소재로 제작하면 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블레이드(20)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투명 또는 반투명의 강화유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제작함으로써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충분한 채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블레이드 브라켓(21)은, 일측이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21)의 관통공(121a)을 관통하여 후술하게 될 회전 브라켓(41)의 돌출고정구 결합부(411)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블레이드(20)의 길이 방향 일단부가 결합되는 부재로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고정구(211)가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21)의 관통공(121a)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일반적인 루버 시스템의 블레이드 브라켓의 회전축은 블레이드 브라켓의 중앙부에 구비됨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의 블레이드 브라켓(21)의 돌출고정구(211)는 블레이드 브라켓(21)의 폭 방향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가 닫힌 상태로부터 완전히 개방된 상태까지 회동되더라도 블레이드(20)가 실내측으로는 프레임부(10)의 두께 범위 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바 프레임부(10)의 실내측 내면부에 설치되는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과 블레이드(2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돌출고정구(211)가 반드시 블레이드 브라켓(21)의 폭 방향 일측 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블레이드(20)의 회동 과정에서 프레임부(10)의 실내측 내면부에 설치되는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만 블레이드 브라켓(21)의 중심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면 된다.
돌출고정구(211)는 전체적으로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나, 손실 없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회전 브라켓(41)의 돌출고정구 결합부(411)에 결합되는 부분은 외측면을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다만, 돌출고정구 결합부(411)에 결합되는 부분은 외측면의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원통형의 외측면에 스플라인이나 세레이션 등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블레이드 브라켓(21)은 일측의 돌출고정구(211)가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21)의 관통공(121a)을 관통하여 회전 브라켓(41)과 결합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 하나의 블레이드 브라켓(21)은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부(31)의 구동축(311)과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과 우측의 수직프레임(12) 각각에 9개의 블레이드 브라켓(21)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었는데, 다른 모든 블레이드 브라켓(21)의 돌출고정구(211)는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서 회전 브라켓(41)과 결합되게 되나, 그 중 오른쪽 수직프레임(12)의 중앙부에 설치된 블레이드 브라켓(21)의 돌출고정구(211)는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서 구동모터부(31)의 구동축(311)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돌출고정구(211)의 중심부에는 외측 단부로부터 회전축 방향 내측으로 구동축 삽입공이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구동축 삽입공의 단면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바, 구동축(311)의 외측면에 스플라인이나 세레이션 등이 형성되는 경우 구동축 삽입공이 그에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구동부(30)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0) 중 어느 하나에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가하여 정역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구동모터부(31) 및 제어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력공급부(3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부(31)는 제어부(32)의 제어에 따라 구동축(311)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정역 회전되는 모터축의 구동 토크를 증폭시켜 구동축(311)을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어(3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감속기어(312)로는 웜기어가 사용되었다.
감속기어(312)로서 웜기어와 같이 감속비가 매우 큰 기어를 사용함으로써,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고 멈추어 있는 경우, 구동축(311)과 결합된 블레이드 브라켓(21)을 매개로 하여 수직프레임(12)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블레이드(20)에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구동축(311)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20)의 현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모터에 지속적인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모터가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구동모터부(31)에 사용되는 모터로는 회전각에 대한 정확한 위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DC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부(31)는, 수직프레임(12)의 관통공(121a)을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2)의 내부로 삽입된 블레이드 브라켓(21)의 돌출고정구(211)에 구동축(311)이 결합되도록, 설치 브라켓(313)을 매개로 하여 수직프레임(12) 내부에 설치된다(도 2 및 도 7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오른쪽 수직프레임(12)의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블레이드 브라켓(21)의 돌출고정구(211)에 구동축(311)이 결합되도록, 설치 브라켓(313)을 매개로 하여 수직프레임(12) 내부에 설치되었다.
제어부(32)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구동회로와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전력공급부(33)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부(32)에 공급하기 적절한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전력공급장치(SMPS, Switched Mode Power Supply)일 수 있으며, 구동회로는 전력공급부(33)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력을 구동모터부(31)로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블레이드(20)의 개방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면 구동회로는 전력공급부(33)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정방향 회전을 위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구동모터부(31)에 제공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블레이드(20)의 폐쇄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면 구동회로는 전력공급부(33)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역방향 회전을 위한 전력으로 변환하여 구동모터부(31)에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회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제공하는 신호에 따라 미세한 각도로 구동되도록 구동모터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바, 8비트 체계를 가지면서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한 구성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스위치회로, 리모트 컨트롤 신호 수신부, 센서회로 또는 유무선 모뎀을 포함하는 제어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인터페이스를 이루면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회로는 프레임부(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스위치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리모트 컨트롤 신호 수신부는 적외선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거리에서 사용되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면 적외선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회로는 보일러나 에어컨 실외기 등의 가동 또는 가스 누출을 감지하는 센서류와 이들의 센싱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일러의 기동, 에어컨 실외기의 기동, 가스 누출 상태나 외부의 빗물을 감지하는 센서류로부터 대응되는 제어신호가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제공됨에 따라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보일러나 에어컨 실외기의 가동 상태, 가스 누출 상태 또는 외부의 빗물 감지 상태에 대응하여 통풍 및 환기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유무선모뎀은 원격지에 위치한 관제시스템과 같은 시스템과 연동하고 원격지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모니터링 신호 등에 대응한 제어신호를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제공할 수 있고, 유무선 모뎀은 유선 모뎀 또는 전력선 통신을 포함하는 유선 통신을 위한 유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아트(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는 비동기 방식으로 시리얼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용 프로토콜을 갖는 인터페이스로서 RS-232 프로토콜 및 RS-485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으며, RS-232 프로토콜은 1:1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고, RS-485 프로토콜은 1:N 데이터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유무선 모뎀은 무선 통신을 위한 지그비 통신 모뎀 또는 와이파이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 있다.
지그비(Zigbee) 통신은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에 기반한 무선 네트워킹 기술을 말하며, 지그비 통신은 10 내지 20M 정도의 근거리 통신과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리고,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ty)는 무선접속장치(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의 일정 거리 안에서 초고속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통신망(LAN)인 무선랜을 의미한다.
연동기구부(40)는 구동모터부(31)에 의해 직접적으로 정역 회전되는 블레이드(20)의 움직임에 따라 다른 블레이드(20)들이 동일하게 연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회전 브라켓(41) 및 수직 연결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 브라켓(41)은, 구동모터부(31)의 구동축(311)에 결합된 블레이드 브라켓(21)을 제외한 다른 블레이드 브라켓(21)들과 함께 회동되도록, 수직프레임(12)의 관통공(121a)을 관통하여 수직프레임(12)의 내부로 삽입된 블레이드 브라켓(21)의 돌출고정구(211)에 일측이 결합되어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회전 브라켓(4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블레이드 브라켓(21)의 돌출고정구(211)와 결합되는 돌출고정구 결합부(411)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타측에는 수직 연결대(42)의 끼움공(422)에 끼워지는 한 쌍의 삽입결합구(41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회전 브라켓(41)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데, 삽입결합구(412)는 수직 연결대(4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 끼움공(422)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측 부분의 직경보다 끼움공(422)의 외부에 위치되는 외측 부분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바, 삽입결합구(412)가 탄성 변형되어 수직 연결대(42)의 끼움공(422)에 끼워진 상태로 회동 되는 과정에서 수직 연결대(42)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수직 연결대(42)는 회전 브라켓(41)의 삽입결합구(412)가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끼움공(42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하나의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회전 브라켓(41)에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수직 연결대(42)가 연결되는데, 한 쌍의 수직 연결대(42)가 연결될 경우, 하나의 수직 연결대(42)에는 복수 개의 회전 브라켓(41)의 삽입결합구(412)들 중에서 일측의 삽입결합구(412)들이 끼움공(422)에 관통되어 연결되며, 나머지 하나의 수직 연결대(42)에는 복수 개의 회전 브라켓(41)의 삽입결합구(412)들 중에서 타측의 삽입결합구(412)들이 끼움공(422)에 관통되어 연결되게 되며, 한 쌍의 수직 연결대(42)는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는 9개의 회전 브라켓(41)이 설치되었고, 우측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는 8개의 회전 브라켓(41)이 설치되었다.
도 9는 오른쪽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연동기구부(4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인데, 상측 4개의 회전 브라켓(41)에 한 쌍의 수직 연결대(42)가 연결되고 하측 4개의 회전 브라켓(41)에 다른 한 쌍의 수직 연결대(42)가 연결된바, 오른쪽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8개의 회전 브라켓(41)에는 총 두 쌍의 수직 연결대(42)가 연결되게 된다.
이에 반하여, 왼쪽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9개의 회전 브라켓(41)에는 한 쌍의 수직 연결대(42)가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수직 연결대(42)는 회전 브라켓(41)의 회동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하게 되는바, 한 쌍의 수직 연결대(42)에 연결된 복수 개의 회전 브라켓(41)은 동일하게 연동되어 회동되게 되므로, 복수 개의 회전 브라켓(41) 각각에 결합된 블레이드(20)도 함께 회동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30)로부터 가해지는 구동력에 의해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연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30)는 오른쪽 수직프레임(12)의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블레이드 브라켓(21)에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가하게 되고, 그 회전력은 블레이드 브라켓(21)에 결합된 블레이드(20)를 통하여 왼쪽 수직프레임(12)의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블레이드 브라켓(21)과 결합된 회전 브라켓(41)으로 전달되며, 왼쪽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한 쌍의 수직 연결대(42)에 의해 왼쪽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나머지 8개의 회전 브라켓(41)으로도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회전력은 왼쪽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상측 4개의 회전 브라켓(41)과 하측 4개의 회전 브라켓(41)에 결합된 블레이드(20)를 통하여 오른쪽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8개의 회전 브라켓(41)으로 전달되며, 오른쪽 수직프레임(12)의 내부에 설치된 상측 4개의 회전 브라켓(41)과 하측 4개의 회전 브라켓(41)은 각각에 연결된 한 쌍의 수직 연결대(42)에 의해 동일하게 연동되어 회동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은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이 방화문의 개구부에 설치될 경우, 감지부는 방화문에 설치된 손잡이의 작동을 감지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32)는 감지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블레이드(20)를 개방시키도록 구동모터부(31)를 제어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복수 개의 블레이드(20)를 닫도록 구동모터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화문의 손잡이가 작동되면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공기가 자유롭게 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람들이 계단실과의 압력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담없이 방화문을 열 수 있고 방화문이 닫히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닫아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방화문의 개구부에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을 설치할 경우 풍압감소공간인 이중 방화문 사이의 공간(부속실)을 없앨 수 있는바 건축비를 절감할 수 있고 건물의 공간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이 에어컨 실외기가 설치된 다용도실 등에 설치될 경우, 감지부는 에어컨 실외기의 작동을 감지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32)는 감지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 개의 블레이드(20)를 개방시키도록 구동모터부(31)를 제어하고 감지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복수 개의 블레이드(20)를 닫도록 구동모터부(3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 실외기가 작동하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개방시켜 에어컨 실외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고 에어컨 실외기의 작동이 멈추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닫아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이하에서는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의 결합을 위한 결합꺽쇠(14)와 결합 브라켓(15)의 구성 및 프레임 커버(16)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결합꺽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결합 브라켓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는 설치 브라켓에 결합된 구동모터부가 수직프레임에 설치된 부분의 수평 단면 구조 및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결합꺽쇠와 결합 브라켓을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된 블레이드 브라켓의 돌출고정구가 회전 브라켓과 결합된 부분의 수평 단면 구조(블레이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수직프레임에 구동모터부나 회전 브라켓이 설치되지 않은(관통공과 관통공 사이) 위치의 수평 단면 구조와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 및 스프링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은 결합꺽쇠(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꺽쇠(14)는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의 결합을 위하여 사용되는 'ㄱ'자 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1)에 삽입되는 한 쌍의 결합편(141) 및 수직프레임(12)에 삽입되는 다른 한 쌍의 결합편(14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결합편(141)에는 내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꺽쇠(14)와의 결합을 위하여, 수평프레임(11) 및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11, 121)의 폭 방향 양측 내면부에는 꺽쇠 결합부(111b, 121b)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2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수직프레임(12)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꺽쇠 결합부(111b)에 결합꺽쇠(14)가 결합된 경우 결합편(141)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평프레임(11)의 내판부(11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도 결합편(141)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이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꺽쇠(14)가 결합된 상태에서 나사공을 통해 나사나 볼트를 관통시켜 결합편(141)의 관통공과 나사결합 시키게 되면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도 12 참조).
이 경우, 나사나 볼트의 머리부가 프레임부(10)의 중앙 개구부(13)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접시머리를 갖는 나사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은 결합 브라켓(15) 및 프레임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브라켓(15)은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을 결합시키면서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의 한 쌍의 측판부(112, 122) 사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이 결합되는 부분에서 한 쌍의 측판부(112, 122) 사이에 결합되게 되며, 결합돌기 결합홈(151) 및 체결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 결합홈(151)은 후술하게 될 수평프레임(11) 또는 수직프레임(12)의 결합돌기(112a, 122a)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폭 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홈이며, 체결부(152)는 수평프레임(11) 또는 수직프레임(12)의 한 쌍의 측판부(112, 122) 중 하나의 내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체결부(152)는, 결합 브라켓(15)이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이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될 경우 실내측에 위치되는 측판부(112, 122)의 내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수평프레임(11) 또는 수직프레임(12)의 한 쌍의 측판부(112, 122) 사이에 결합 브라켓(15)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이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 브라켓(15)이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하게 될 망 고정용 홈(113, 123) 및 덮개 결합부(114, 124)가 형성되는 실내측 측판부(112, 122)의 외면부로부터 실내측 측판부(112, 122) 및 체결부(152)를 관통하도록 나사를 체결하면 한 쌍의 측판부(112, 122) 사이에 결합된 결합 브라켓(15)을 고정시킬 수 있는바,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덮개 결합부(114, 12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50)를 덮게 되면 실내측 측판부(112, 122) 및 체결부(152)를 관통하도록 체결된 나사의 머리부가 덮개(50)에 의해 숨겨지게 되는바,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을 갖게 된다.
프레임 커버(16)는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의 한 쌍의 측판부(112, 122)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어 프레임부(1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을 폐쇄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은 'ㄷ'자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바, 단순히 각각의 한 쌍의 측판부(112, 122)의 외측 단부에 프레임 커버(16)를 결합시켜 프레임부(1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을 폐쇄하게 되면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의 한 쌍의 측판부(112, 122)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이 결합되는 부분에 결합 브라켓(15)을 설치하여 한 쌍의 측판부(112, 122) 사이를 지지함으로써 이러한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결합 브라켓(15)과의 결합을 위하여,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의 한 쌍의 측판부(112, 122)의 내면부에는 결합돌기(112a, 122a)가 직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12a, 122a)는 일단부가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블레이드(20)가 닫힐 경우 가스를 차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은 블레이드 접촉부재(17) 및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접촉부재(17)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닫힐 경우 상단부 블레이드(20) 또는 하단부 블레이드(20)와 접촉되도록 수평프레임(11)의 내판부(11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결합홈 결합부(171) 및 블레이드 접촉부(172)를 포함한다.
그리고,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닫힐 경우 블레이드 브라켓(21)과 접촉되도록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21)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결합홈 결합부(181) 및 패킹부(18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11) 및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11, 121)의 외면부에는 블레이드 접촉부재(17) 또는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의 결합홈 결합부(171, 181)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11c, 121c)이 길이 방향으호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111c, 121c)은 도브테일 형상 또는 'T'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결합홈 결합부(171, 181)가 결합홈(111c, 121c)에 삽입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21)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121a)이 형성되는바, 복수 개의 관통공(121a)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결합홈(121c)이 구비될 수 없게 될 것이다.
블레이드 접촉부재(17)의 결합홈 결합부(171)는 수평프레임(11)의 결합홈(111c)에 삽입되어 블레이드 접촉부재(17)가 수평프레임(11)의 내판부(111)의 외면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접촉부재(17)의 일측에 도브테일 형상 또는 'T'자형 단면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블레이드 접촉부재(17)의 블레이드 접촉부(172)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닫힐 경우 상단부 블레이드(20) 또는 하단부 블레이드(20)와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접촉부재(17)의 타측에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블레이드(20)의 폭 방향 양단부의 내면부에는 패킹부재(22)가 설치되는바,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닫힐 경우 블레이드 접촉부재(17)의 블레이드 접촉부(172)가 상단부 블레이드(20) 또는 하단부 블레이드(20)의 패킹부재(22)와 접촉되어 상단부 블레이드(20) 또는 하단부 블레이드(20)와 수평프레임(11) 사이를 커버하게 된다.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의 결합홈 결합부(181)는 수직프레임(12)의 결합홈(121c)에 삽입되어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가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21)의 외면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의 일측에 도브테일 형상 또는 'T'자형 단면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의 패킹부(182)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닫힐 경우 블레이드 브라켓(21)과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의 타측에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다만, 수평프레임(11)의 내판부(111)의 외면부에는 하나의 블레이드 접촉부재(17)가 결함됨에 반하여, 수직프레임(12)의 내판부(121)의 외면부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121a) 사이의 부분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가 결합되는 차이점이 있다.
복수 개의 블레이드(20)의 폭 방향 양단부의 내면부에는 패킹부재(22)가 설치되어 복수 개의 블레이드(20)가 닫힐 경우 블레이드(20) 사이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블레이드 접촉부재(17),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18) 및 패킹부재(22)는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신축성이 좋은 실리콘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프레임부(10)의 실내측 내면부에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과 덮개(50)가 설치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은 한 쌍의 측판부(112, 122) 중 실내측 측판부의 외면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망 고정용 홈(113, 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망 고정용 홈(113, 123)에 삽입되는 가스켓 부재(191)를 매개로 하여 프레임부(10)의 실내측에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을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 된다.
사용자가 스스로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을 설치, 제거 및 교체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후술하게 될 덮개(50)를 연 후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을 프레임부(10)의 실내측에 대고 크기를 맞추어 재단한다. 그리고, 재단된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의 가장자리 부분을 망 밀대(롤러)를 이용하여 망 고정용 홈(113, 123)에 밀어 넣는다. 그 후, 가스켓 부재(191)를 망 고정용 홈(113, 123)에 끼워 넣어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이 빠지지 않게 하고 망 밀대(롤러)로 가스켓 부재(191)를 잘 눌러준다. 마지막으로 덮개(50)를 덮으면 된다.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의 교체시에는 덮개(50)를 열고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 및 가스켓 부재(191)를 망 고정용 홈(113, 123)으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새로운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을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1)은 덮개(50) 및 스프링(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50)는 평상시에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19)의 가장자리부를 덮는 기능을 하는 부재로서, 도 9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직선형이고 타측은 내측으로 절곡된 단면 형상을 갖도록 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프레임 결합부(51) 및 스프링 걸림턱(52)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은 덮개 결합부(114, 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덮개(50)의 프레임 결합부(51)는 덮개 결합부(114, 124)에 결합되도록 덮개(50)의 폭 방향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덮개(50)의 폭 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원호형 단면을 갖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스프링 걸림턱(52)은 후술하게 될 스프링(60)의 일측이 눌려지면서 걸리도록 덮개(50)의 직선형 단면을 갖는 부분의 내면부에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도 9 참조).
스프링(60)은 덮개(50)가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의 덮개 결합부(114, 124)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과정에서 열리는 방향 및 닫히는 방향으로 덮개(50)에 편향력이 생기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덮개(50)의 스프링 걸림턱(52)과 수평프레임(11) 또는 수직프레임(12)의 덮개 결합부(114, 124)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축부(61) 및 눌림부(62)를 포함하는 와이어형 스프링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부(61)는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스프링(60)이 덮개(50)의 스프링 걸림턱(52)과 수평프레임(11) 또는 수직프레임(12)의 덮개 결합부(114, 124) 사이에 설치될 경우 덮개 결합부(114, 124)의 스프링 안착홈(114b, 124b)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게 된다.
눌림부(62)는 회전축부(61)의 양단부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된 후 연장되고 일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스프링(60)이 덮개(50)의 스프링 걸림턱(52)과 수평프레임(11) 또는 수직프레임(12)의 덮개 결합부(114, 124) 사이에 설치될 경우 내측으로 절곡된 눌림부(62)의 일단부가 덮개(50)의 스프링 걸림턱(52)에 눌려지면서 걸려지게 된다.
덮개 결합부(114, 124)는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의 한 쌍의 측판부(112, 122) 중 실내측 측판부(112, 122)의 외면부의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덮개(50)의 프레임 결합부(51)와 결합되면서 스프링(60)의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14a, 124a) 및 스프링 안착홈(114b, 124b)을 포함한다.
삽입홈(114a, 124a)은 덮개 결합부(114, 124)와 수평프레임(11) 또는 수직프레임(12)의 측판부(112, 122) 사이에 원호형 단면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덮개(50)가 회동 가능하도록 프레임 결합부(5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스프링 안착홈(114b, 124b)은 스프링(60)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스프링 안착홈(114b, 124b)은, 덮개(50)가 수평프레임(11)과 수직프레임(12) 각각의 덮개 결합부(114, 12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 안착홈(114b, 124b)의 중앙부로부터 스프링 걸림턱(52)까지의 거리가 스프링 안착홈(114b, 124b)의 양측부로부터 스프링 걸림턱(52)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50)가 완전히 닫힌 상태 또는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스프링(60)의 회전축부(61)가 스프링 안착홈(114b, 124b)의 양측부에 의해 지지되게 되고, 덮개(50)가 중간 정도 열린 상태에서는 스프링(60)의 회전축부(61)가 스프링 안착홈(114b, 124b)의 중앙부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 안착홈(114b, 124b)을 상기한 바와 같은 곡면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하면, 덮개(50)가 완전히 닫힌 상태 또는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스프링(60)의 회전축부(61)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눌림부(62)의 일단부까지의 거리가 덮개(50)가 중간 정도 열린 상태에서의 스프링(60)의 회전축부(61)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눌림부(62)의 일단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50)가 완전히 열리는 방향 또는 완전히 닫히는 방향으로 덮개(50)에 편향력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루버 시스템에 의하면, 얇은 두께의 프레임 내에 구동모터부와 제어부 등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모든 구성요소가 내장되어 있어 실내용 칸막이 패널의 개구부나 두께가 제한되어 있는 방화문의 개구부 등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블레이드 접촉부재,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 및 패킹부재를 구비하여 블레이드가 닫힐 경우 가스를 차단함으로써 루버 시스템이 방화문의 개구부에 설치된 경우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여도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루버 시스템이 방화문의 개구부에 설치된 경우 손잡이가 작동되면 블레이드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공기가 자유롭게 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람들이 계단실과의 압력 차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담없이 방화문을 열 수 있고 방화문이 닫히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닫아 유독가스가 계단실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에어컨 실외기가 작동하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개방시켜 에어컨 실외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고 에어컨 실외기의 작동이 멈추면 자동으로 블레이드를 닫아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프레임의 실내측에 망 고정용 홈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설치업체에 의뢰하지 않고 스스로 방충망이나 미세먼지망을 쉽게 설치, 제거 및 교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망 고정용 홈을 덮는 덮개가 구비되어 방충망이나 미세먼지망을 설치한 후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덮개를 덮어둘 수 있는,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고 외관이 미려한 전동 루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전동 루버 시스템
10: 프레임부
11: 수평프레임 111: 내판부
111b: 꺽쇠 결합부 111c: 결합홈
112: 측판부 112a: 결합돌기
113: 망 고정용 홈 114: 덮개 결합부
114a: 삽입홈 114b: 스프링 안착홈
12: 수직프레임
121: 내판부 121a: 관통공
121b: 꺽쇠 결합부 121c: 결합홈
122: 측판부 122a: 결합돌기
123: 망 고정용 홈 124: 덮개 결합부
124a: 삽입홈 124b: 스프링 안착홈
13: 중앙 개구부
14: 결합꺽쇠 141: 결합편
15: 결합 브라켓
151: 결합돌기 결합홈 152: 체결부
16: 프레임 커버
17: 블레이드 접촉부재
171: 결합홈 결합부 172: 블레이드 접촉부
18: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
181: 결합홈 결합부 182: 패킹부
19: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 191: 가스켓 부재
20: 블레이드
21: 블레이드 브라켓 211: 돌출고정구
22: 패킹부재
30: 구동부
31: 구동모터부 311: 구동축
312: 감속기어 313: 설치 브라켓
32: 제어부 33: 전력공급부
40: 연동기구부 41: 회전 브라켓
411: 돌출고정구 결합부 412: 삽입결합구
42: 수직 연결대 422: 끼움공
50: 덮개
51: 프레임 결합부 52: 스프링 걸림턱
60: 스프링
61: 회전축부 62: 눌림부

Claims (16)

  1.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의해 중앙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장방형으로 결합되는 프레임부;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서로 평행하게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중의 어느 하나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연동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은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이 폐쇄되고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의 반대 방향이 개방되도록 전체적으로 'ㄷ'자 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을 폐쇄하는 내판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각각은 일측의 돌출고정구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측에 블레이드가 결합되는 블레이드 브라켓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광성 소재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꺽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은,
    상기 중앙 개구부 방향을 폐쇄하는 상기 내판부; 및
    상기 내판부의 폭 방향 양단부에 직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판부의 폭 방향 양측 내면부에는 상기 결합꺽쇠의 결합편이 결합되는 꺽쇠 결합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결합시키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의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사이를 지지하는 결합 브라켓; 및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의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의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내면부에는 상기 결합 브라켓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직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 브라켓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폭 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결합홈; 및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중 하나의 내면부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레이드 접촉부재; 및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은,
    상기 내판부의 외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 접촉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결합홈 결합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닫힐 경우 상단부 블레이드 또는 하단부 블레이드와 접촉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블레이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브라켓 접촉부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결합홈 결합부; 및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닫힐 경우 상기 블레이드 브라켓과 접촉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패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 각각의 폭 방향 양단부의 내면부에 결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접촉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가 닫힐 경우 상기 블레이드 접촉부가 상기 상단부 블레이드 또는 상기 하단부 블레이드의 상기 패킹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상단부 블레이드 또는 상기 하단부 블레이드와 상기 수평프레임 사이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정역 회전되는 모터축의 구동 토크를 증폭시켜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어가 구비된 구동모터부; 및
    상기 구동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부는 상기 돌출고정구에 상기 구동축이 결합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는 웜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부는,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블레이드 브라켓을 제외한 다른 블레이드 브라켓의 돌출고정구와 결합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돌출고정구 결합부가 구비된 복수 개의 회전 브라켓; 및
    상기 복수 개의 회전 브라켓 각각의 타측에 구비된 삽입결합구들이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끼움공이 형성되는 수직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손잡이의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방화문의 개구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부를 제어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닫도록 상기 구동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에어컨 실외기의 작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부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닫도록 상기 구동모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중 실내측 측판부의 외면부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망 고정용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실내측에는 방충망 또는 미세먼지망이 상기 망 고정용 홈에 삽입되는 가스켓 부재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폭 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망 고정용 홈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측판부 중 실내측 측판부의 외면부의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덮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스프링 걸림턱과 상기 덮개 결합부의 스프링 안착홈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폭 방향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프레임 결합부; 및
    상기 스프링의 일측이 눌려지면서 걸리도록 내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기 스프링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덮개 결합부는,
    상기 덮개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 결합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며 원호형 단면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삽입홈; 및
    상기 스프링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기 스프링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의 양단부에서 일측으로 절곡된 후 연장되고 일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눌림부;를 포함하는 와이어형 스프링이며,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덮개 결합부의 상기 스프링 안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상기 눌림부의 일단부는 상기 덮개의 상기 스프링 걸림턱에 눌려지면서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안착홈은, 상기 스프링 안착홈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스프링 걸림턱까지의 거리가 상기 스프링 안착홈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스프링 걸림턱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루버 시스템.
KR1020190136840A 2019-10-30 2019-10-30 전동 루버 시스템 KR20210052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840A KR20210052719A (ko) 2019-10-30 2019-10-30 전동 루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840A KR20210052719A (ko) 2019-10-30 2019-10-30 전동 루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719A true KR20210052719A (ko) 2021-05-11

Family

ID=7591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840A KR20210052719A (ko) 2019-10-30 2019-10-30 전동 루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27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438B1 (ko) * 2022-07-29 2023-01-13 새론테크 주식회사 투명 안전 난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770Y1 (ko) 2003-07-11 2003-11-01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전동식 갤러리 창호
KR101489307B1 (ko) 2014-01-23 2015-02-04 이흥주 단열 시스템 루버
KR20190083452A (ko) 2018-01-04 2019-07-12 서윤현 루버시스템의 전동오퍼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770Y1 (ko) 2003-07-11 2003-11-01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전동식 갤러리 창호
KR101489307B1 (ko) 2014-01-23 2015-02-04 이흥주 단열 시스템 루버
KR20190083452A (ko) 2018-01-04 2019-07-12 서윤현 루버시스템의 전동오퍼레이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438B1 (ko) * 2022-07-29 2023-01-13 새론테크 주식회사 투명 안전 난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5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al insulating shutter system
US20120261079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motorized window treatment to save energy
AU2017202404B2 (en) A Twin Louvre Window Assembly for Efficient Thermal Control
Dubois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ing and daylighting retrofits: results from IEA SHC task 50
KR20210052719A (ko) 전동 루버 시스템
CN106223823A (zh) 一种防火外遮阳一体化窗
KR102236387B1 (ko) 공동주택용 자동개폐형 복도 창문
US20120021680A1 (en) Ventilator with rotating cylinder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20160047794A (ko) 실내외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가능한 루버장치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101352781B1 (ko)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JP4460887B2 (ja) 自然換気装置
US20170298685A1 (en) Protective lining for a door or a window
CN108019141B (zh) 防火遮阳节能一体化窗
KR101097923B1 (ko) 에너지 절감형 기능성 창호
KR20160131565A (ko) 창호 일체형 루버 블라인드
KR100700116B1 (ko) 카운터를 이용한 센서등
CN204238464U (zh) 一种保温采光排烟天窗
CN2767612Y (zh) 可转动百叶铝合金平开窗
CN221032282U (zh) 一种防火窗内框
CN110469256A (zh) 一种三层玻璃百叶窗
CN213953429U (zh) 一种便于定位安装的窗户
KR20080104499A (ko) 방화 차양장치
KR100424971B1 (ko) 환기창의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