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781B1 -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 Google Patents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781B1
KR101352781B1 KR1020110093824A KR20110093824A KR101352781B1 KR 101352781 B1 KR101352781 B1 KR 101352781B1 KR 1020110093824 A KR1020110093824 A KR 1020110093824A KR 20110093824 A KR20110093824 A KR 20110093824A KR 101352781 B1 KR101352781 B1 KR 101352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ylight
frame
light
plate
low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393A (ko
Inventor
이승근
방재우
Original Assignee
이승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근 filed Critical 이승근
Priority to KR102011009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781B1/ko
Priority to PCT/KR2011/007426 priority patent/WO2013042820A1/ko
Publication of KR2013003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05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sky-lights of flat or domed shape
    • E04D13/031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sky-lights of flat or domed shape characterised by a frame for connection to an inclined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provided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light-transmission or the heat-reflection, (e.g. shields, reflectors,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20Solar therm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태양광을 측면이 아닌 지붕측에서 광량이 조절되면서 유입되도록 하고, 광확산판을 사용하여 은은한 불빛을 유도하며, 혼자서도 채광창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채광창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광창은 지붕의 설치공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삽입시켜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올려져 태광광을 유입시키도록 틀 역할을 하는 프레임 부재의 상부에는 투광판이 부착되고, 하부에는 폴리프로필렌 광확산판으로 된 채광판이 하부 프레임속으로 들어가면서 투광판과는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이중으로 부착된 채광 프레임과, 채광 프레임의 투광판을 가리지 않으면서 상부를 덮어 하단부가 지붕면에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 부재의 하단 둘레에는 새시가 장착되고, 새시의 바깥쪽에는 봉체가 형성되며, 봉체에 끼워지도록 끼움링을 갖는 덮개판이 벌어질 수 있도록 결합되어 채광판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의 상단 양쪽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조인트에 의해서 꺽여지는 브라켓이 삽입되되, 서로 맞닿는 브라켓과 삽입홈의 면상에는 삽입만되고 인출이 되지 않도록 걸리는 래칫돌기가 형성되며, 브라켓의 상부는 바깥쪽으로 꺽여져 지붕면에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된다.

Description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A skylight}
본 발명은 채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시공이 편리하도록 마련된 광량 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광이라 함은 실내공간에 있어서 창문따위를 내어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채광방식으로는 창문을 통해 태양광을 직접적으로 받아들이는 직접 채광방식과 반사판을 통해 태양광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이는 간접 채광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직접 채광방식을 채택할 경우에는 조명도의 분포가 고르지 않아 반사 등으로 인하여 글레어(glare) 현상이 발생되어 조망이 나빠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태양광의 입사공간이 적어 태양광을 통한 실내공간의 보온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건물의 고층화에 따른 구조체 및 외피의 경량화와 창의 면적증가로 건물 전체 열손실의 40%를 차지하는 외피의 열성능을 더욱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커튼월의 입면을 가진 국내의 고층 건물들은 자연 환기보다는 기계식 강제환기를 적용하고, 자연 채광 보다는 인공조명에 의존함으로써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을뿐만 아니라 밀폐된 거주공간 내의 거주자들에게 건물병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과 같은 불쾌감이나 통증, 각종 질병 등을 유발시켜 거주자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거주자의 건강을 위한 실내환경의 질과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기계적 환기시스템보다는 자연 에너지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외피구조를 필요로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건축 환경에 대한 인식과 문화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건축 공간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가 나날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외피(facade)에 하나의 외피를 추가 적용한 multi-layer의 개념을 이용한 이중외피구조의 창호를 사용하고 있다. 형태적으로는 외기와 접하는 외측 외피와 실내에 접하는 내측 외피 그리고 내-외측 외피 사이의 수평 블라인드가 설치된 중공층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이중외피 구조는 기존의 건물외피 앞에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또 다른 외피를 덧붙인 것인데, 일반적으로 두 외피사이의 거리를 약 20 ∼140㎝ 정도로 하여 외피 사이의 공간에 차양 장치 등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직접 채광방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반사판을 이용한 간접 채광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채광장치는 반사판이 고정되어 그 기울기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공동주택에 이용될 경우 특히 비남향 공동주택의 경우 짧은 시간에만 햇빛이 반사되어 실내공간으로 입사되므로 충분한 양의 햇빛을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들로, 실용신안등록 제376695호(공동주택의 자동채광장치, 2005.03.10. 공고) 및 공개특허 제2011-73037호(자연채광이 가능한 건물의 이중외피, 2011.06.29. 공개)를 비롯한 다수의 발명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376695호의 채광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햇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발코니의 바깥쪽에 수평 설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상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의 측면에 대하여 수직 형성된 지지대에 측부가 제1 유니버셜 조인트로 결합되고, 상단부에 상기 반사판이 고정되며, 하단부의 길이가 가변되는 반사판 지지부;
상기 받침대 상에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 가능함과 더불어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반사판 지지부의 하단과 제2 유니버셜 조인트로 결합되는 조정로드;
상기 받침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조정로드를 전후 이동시킴과 더불어 제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조정로드 구동수단; 및
상기 조정로드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공개특허 제2011-73037호의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물의 이중외피는,
건물의 개구부에 이중구조로 설치되어 자연채광이 가능하도록 된 건물의 이중외피에 있어서,
외기와 접하는 외측외피;
상기 외측외피와 일정간격의 공간부를 두고 실내측에 위치하는 내측외피;로 구성되어,
상기 외측외피와 내측외피는 동일한 격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각각 구획되어, 각 구획부에는 유리가 끼워지며, 상기 공간부는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의 3개부분으로 구획되고, 3개부분은 외측외피와 내측외피를 연결하는 금속판으로 구획되며, 상기 외측외피의 상단부 및 중단부를 구획하는 경계부에는 외부방향으로 돌출하여 루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채광장치들은 건물의 측벽쪽으로 충분한 양의 태양광을 유입시키기 위해 일명 반사판이라는 구성을 추가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반사판은 태양의 고도에 상관없이 실내로 많은 양의 태양광을 유입시킬 수 있는 구조이지만, 이 반사판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발명의 도면에서와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는 문제가 뒤따르게 된다. 즉, 창문의 외측에 거추장스러운 반사판을 추가해야 하거나, 일예로 들지는 않았으나 블라인드처럼 구성된 반사판을 창문의 내부에 설치하여 이 반사판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태양광의 유입을 증가시키는 발명도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측면이 아닌 지붕측에서 광량이 조절되면서 유입되도록 하고, 광확산판을 사용하여 은은한 불빛을 유도하며, 혼자서도 채광창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붕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을 설치하여 이 설치공에 실내로 태양광을 유입시키도록 설치되는 채광창에 있어서,
설치공의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삽입시켜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올려져 태광광을 유입시키도록 틀 역할을 하는 프레임 부재의 상부에는 투광판이 부착되고, 하부에는 폴리프로필렌 광확산판으로 된 채광판이 하부 프레임속으로 들어가면서 투광판과는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이중으로 부착된 채광 프레임; 및
채광 프레임의 투광판을 가리지 않으면서 상부를 덮어 하단부가 지붕면에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을 제공한다.
이때, 프레임 부재의 하단 둘레에는 새시가 장착되고, 새시의 바깥쪽에는 봉체가 형성되며, 봉체에 끼워지도록 끼움링을 갖는 덮개판이 벌어질 수 있도록 결합되어 채광판을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의 상단 양쪽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조인트에 의해서 꺽여지는 브라켓이 삽입되되, 서로 맞닿는 브라켓과 삽입홈의 면상에는 삽입만되고 인출이 되지 않도록 걸리는 래칫돌기가 형성되며, 브라켓의 상부는 바깥쪽으로 꺽여져 지붕면에 체결구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의 하부에는 방사상 벌어진 상부 플랜지가 형성되어 체결구 및 꺽여진 브라켓을 위에서 감싸고, 상부 플랜지의 단부에는 기밀부재가 도포된다.
그리고 하부 프레임의 내측면상에는 채광을 선택하거나 채광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과 수직으로 회전되는 날개를 갖는 블라인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광창은 지붕에서 태양광을 유입받기 때문에 태양의 고도에 따라 광량이 크게 차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폐되는 블라인드에 의해 태양광의 유입을 원하거나 원치 않을때에 선택적으로 ON/OFF 할 수 있고, 블라인드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어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채광창의 채광판을 폴리프로필렌 광확산판으로 사용하여 직사광선을 제거하여 여름철 온도상승을 막아주면서 제품의 변형 및 탈색을 방지하고, 은은한 불빛을 연출할 수 있으며, 이 채광패널을 선택적으로 갈아 끼울 수 있도록 하여 내부 조명의 색채를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채광창의 하부 고정구조물인 하부 프레임에 꺽여지는 브라켓을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1인 작업으로도 채광창의 설치를 할 수 있는 높은 시공성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채광창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광창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광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광창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 프레임과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채광 프레임을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채광 프레임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확대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 채광창에 블라인드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광창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지붕(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붕(10)의 전체 면적에 설치되는 것이 아닌 지붕(10)의 일부에 단독 또는 다수의 채광창(100)이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채광창(10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광창(100)의 하부 골격을 갖는 하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10)을 지붕에 고정시키는 브라켓(115)과,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올려지는 채광 프레임(120)과, 채광 프레임(120)의 상부에 올려지는 상부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채광창(100)은 도면에서는 사각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연출하는 분위기에 따라 사각형 외에도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과 원형, 또는 별모양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채광창(10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축물의 지붕에 채광창(100)의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공(11)을 천공한 다음 시공된다. 설치공(11)의 사이즈는 채광창 중에서 하부 프레임(110)의 사이즈에 맞도록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 채광창(100)의 하부 프레임(110)은 실내에서 설치공(11)쪽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이 하부 프레임(110)의 외곽에는 설치공(11)의 바깥쪽 천장면에 밀착되는 하부 플랜지(1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하부 플랜지(111)는 설치공(11)의 절단면을 가려주는 마감역할 외에도 실내에서 채광창(100)을 바라볼때에 테두리 장식 역할도 함께 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110)은 위 설명과 같이 실내쪽에서 설치공(11)쪽으로 삽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지붕위에 올라가 있는 시공자가 설치공을 통해서 안쪽으로 손을 넣어 고정시키는 등의 작업을 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즉, 채광창(100)을 설치하는 곳이 일반적인 가정집일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공장등과 같이 층고가 높은 곳이며, 실내에 시설물이 배치되어 있어 실내쪽에서는 채광창의 설치가 어렵게 되어 지붕위에서 시공하는 방법이 최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지붕위에서도 채광창의 설치가 쉽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일단, 하부 프레임(110)을 설치하면 나머지는 이 하부 프레임(110)의 위쪽에 올려진다고 보여지므로 하부 프레임(110)의 설치가 시공의 난이도를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부 프레임(110)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의 어느 마주보는 양쪽에 하향 연장되는 삽입홈(112)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112)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브라켓(115)이 구비된다. 삽입홈(112)의 내측면상과 이 삽입홈(112)에 삽입되는 브라켓(115)의 접촉면상에는 서로 대응되는 래칫돌기(116)가 형성된다. 즉, 삽입홈(112)쪽의 래칫돌기에는 아래쪽으로 빗면이 형성되고, 브라켓(115)쪽의 래칫돌기에는 이와 반대로 위쪽으로 빗면이 형성되어 있어 브라켓(115)이 삽입홈(112)으로 들어갈때에는 "따각 따각"소리를 내며 삽입되다가 래칫돌기(116)들이 서로 걸려서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브라켓(115)은 그 중간부에 힌지에 의한 조인트(117)가 형성되어 있어 꺽여지는 구조를 갖는다.
브라켓(115)에 의한 하부 프레임(110)의 설치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브라켓(115)을 삽입홈(112)으로 끼워넣어 하부 프레임(110)에 브라켓(115)을 고정시키고, 이 상태에서 하부 프레임(110)을 설치공(11)의 아래쪽에서부터 삽입한다. 하부 프레임(110)을 설치공(11)에 삽입하면 설치공(11)의 위쪽으로 브라켓(115)이 돌출되는데, 이 브라켓(115)을 조인트(117)를 기준으로 바깥으로 꺽어서 지붕(10)면에 맞닿게 한 후, 브라켓(115)에서부터 지붕면으로 스크류나 앙카 등과 같은 체결구(118)로 결합시켜 하부 프레임(110)의 설치를 완료한다.
위와 같이 설치된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올려지는 채광 프레임(12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격을 갖는 프레임 부재(121)와, 이 프레임 부재(121)의 상부에 부착되는 투광판(122)과, 프레임 부재(121)의 하부에 부착되는 채광판(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 부재(121)는 설치공(11)내로 삽입될 수 있는 규격을 가지며, 채광판(123)이 부착되는 프레임 부재(121)의 하부는 채광판(123)이 하부 프레임(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작은 규격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채광판(123)은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광확산판으로 태양광을 확산시키는 방식으로 작용된다. 광확산판의 경우 직사광선을 제거하여 여름에 온도 상승을 막아주고, 제품의 변형과 탈색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광확산판은 투광판이나 아크릴판 등에 비해 충격강도나 태양열에 대해 강하고, 변형이나 탈색이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쪽의 투광판(122)과 아래쪽의 채광판(123)이 이중으로 되어 있어 겨울에는 단열효과와 채광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업무에 적합한 공장 내부의 조도는 보통 700~1,500lx이다. 광확산판이 사용되는 본 발명의 채광창(100)은 1,200~1,600lx정도의 조도가 나와 작업에 아무 지장이 없게 되고, 일반 조명기구에 노출되었을 때보다 더욱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광판(123)은 손쉽게 갈아 끼울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채광판(123)은 기본이 흰색 계열의 폴리프로필렌 광확산판인데, 실내 분위기를 바꿀 수 있도록 다른 색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프레임 부재(121)의 하부면에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된 채널(125)을 결합시켜 네군데 모서리의 모든 채널(125)을 벌리면 그 안쪽의 채광판(123)을 인출 및 삽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채널(125)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21)의 하부면상 둘레에 새시(125)를 볼트 결합시키고, 이 새시(125)의 외측에 덮개판(127)이 회동되도록 결합시키다. 따라서 새시(125)의 바깥쪽에는 단면이 원형을 갖는 봉체(126)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링체(126)에 끼워질 수 있도록 덮개판(127)의 일측에 봉체(126)와 대응되는 끼움링(128)이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끼움링(128)은 일부가 절개되어 봉체(1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덮개판(127)이 60~90ㅀ정도의 범위내에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부 프레임(130)은 채광 프레임(120)의 상부에 막아 채광 프레임(120)을 보호해 주거나 브라켓(115)을 고정시킨 체결구(118)들을 위에서 막아주어 방수처리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130)은 삿갓 형상을 갖는 것으로, 투광판(122)을 가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채광 프레임(121)의 상부면 테두리를 감싸고, 하단에는 지붕(10)에 밀착되도록 방사상 벌어진 하부 플랜지(1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프레임(130)은 채광 프레임(120)의 상부면과 맞닿는 부분 및 지붕(10)과 맞닿는 부분에 실리콘 등의 기밀부재(132)를 도포하여 고정 및 방수처리를 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채광창(100)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블라인드(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블라인드(140)는 하부 프레임(110)의 내측면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판으로된 다수의 날개(141)가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채광을 원할 때에는 날개(141)를 수직하게 세워 열어주고, 채광을 원치 않을 때에는 날개(141)를 수평하게 눕혀 닫아준다. 이러한 블라인드(140)는 천장까지 올라가 손으로 돌려줄 수 없기 때문에 벽면등에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거나 리모콘(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블라인드(140)의 자동제어는 가정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이미 상용화된 기술로 특별한 설명이 필요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대략적인 구조는 블라인드(140)의 날개(141)를 축(142)에 의해 연결시키고, 이 축(142)은 전동모터 및 감속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하고, 이 전동모터를 스위치 또는 리모콘으로 조작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지붕 11 : 설치공
100 : 채광창 110 : 하부 프레임
111 : 하부 플랜지 112 : 삽입홈
115 : 브라켓 116 : 래칫돌기
117 : 조인트 120 : 채광 프레임
121 : 프레임 부재 122 : 투광판
123 : 채광판 125 : 새시
126 : 봉체 127 : 덮개판
128 : 링부재 130 : 상부 프레임
131 : 상부 플랜지 132 : 기밀부재
140 : 블라인드 141 : 날개

Claims (5)

  1. 지붕(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공(11)을 천공하여 이 설치공(11)에 실내로 태양광을 유입시키도록 설치되는 채광창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11)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삽입시켜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110);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상부에 올려져 태광광을 유입시키도록 틀 역할을 하는 프레임 부재(121)의 상부에 투광판(122)이 부착되고, 하부에는 폴리프로필렌 광확산판으로 된 채광판(123)이 상기 하부 프레임(110)속으로 들어가면서 상기 투광판(122)과는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이중으로 부착된 채광 프레임(120); 및
    상기 채광 프레임(120)의 투광판(122)을 가리지 않으면서 상부를 덮어 하단부가 상기 지붕(10)면에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13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121)의 하단 둘레에는 새시(125)가 장착되고, 상기 새시(125)의 바깥쪽에는 봉체(126)가 형성되며, 상기 봉체(126)에 끼워지도록 끼움링(128)을 갖는 덮개판(127)이 벌어질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채광판(123)을 교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상단 양쪽에는 삽입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2)에는 조인트(117)에 의해서 꺽여지는 브라켓(115)이 삽입되되, 서로 맞닿는 브라켓(115) 과 삽입홈(112)의 면상에는 서로 대응되는 래칫돌기(116)가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15)의 상부는 바깥쪽으로 꺽여져 지붕(10)면에 체결구(118)에 의해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130)의 하부에는 방사상 벌어진 상부 플랜지(131)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118) 및 꺽여진 브라켓(115)을 위에서 감싸고, 상기 상부 플랜지(131)의 단부에는 기밀부재(132)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110)의 내측면상에는 채광을 선택하거나 채광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과 수직으로 회전되는 날개(141)를 갖는 블라인드(14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KR1020110093824A 2011-09-19 2011-09-19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KR101352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24A KR101352781B1 (ko) 2011-09-19 2011-09-19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PCT/KR2011/007426 WO2013042820A1 (ko) 2011-09-19 2011-10-07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3824A KR101352781B1 (ko) 2011-09-19 2011-09-19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393A KR20130030393A (ko) 2013-03-27
KR101352781B1 true KR101352781B1 (ko) 2014-01-16

Family

ID=4791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824A KR101352781B1 (ko) 2011-09-19 2011-09-19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52781B1 (ko)
WO (1) WO2013042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2235A (zh) * 2018-08-03 2020-02-14 淮安市淮宁钢结构有限公司 一种屋顶钢结构采光天窗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35Y1 (ko) * 2013-04-16 2014-09-01 조규오 채광량 조절이 가능한 채광창
EP2947219B1 (de) * 2014-05-22 2017-11-15 Roto Frank Ag Einbauelement für ein Dachfenster, Dachfenster sowie Verfahren zum Einbau eines Dachfensters
KR101617310B1 (ko) * 2014-06-27 2016-05-03 주식회사기린산업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974A (ja) 2001-10-09 2003-04-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採光窓
JP2003193763A (ja) 2001-12-25 2003-07-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採光窓の結露水の排水構造
KR100530220B1 (ko) 2003-04-03 2005-11-22 티센 폴리머 게엠베하 창문 및/또는 도어 등이 장착되는 컨테이너
KR20060084840A (ko) * 2006-07-05 2006-07-25 안태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6522B2 (ja) * 2001-12-25 2004-12-02 松下電工株式会社 採光窓の調光ユニットの取り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9974A (ja) 2001-10-09 2003-04-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採光窓
JP2003193763A (ja) 2001-12-25 2003-07-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採光窓の結露水の排水構造
KR100530220B1 (ko) 2003-04-03 2005-11-22 티센 폴리머 게엠베하 창문 및/또는 도어 등이 장착되는 컨테이너
KR20060084840A (ko) * 2006-07-05 2006-07-25 안태인 건축용 외장 채광판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2235A (zh) * 2018-08-03 2020-02-14 淮安市淮宁钢结构有限公司 一种屋顶钢结构采光天窗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2820A1 (ko) 2013-03-28
KR20130030393A (ko)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20388A1 (en) Double-skin and moveable-sunshade facade system
KR101352781B1 (ko)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KR101141922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물의 이중외피
KR101551722B1 (ko) 투광형 박막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차양 및 난방용 이중외피 시스템
KR20150131709A (ko) 투광형 박막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한 회전형 이중외피 시스템
JP2006222011A (ja) 建築物
KR10156217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루버창
KR101097923B1 (ko) 에너지 절감형 기능성 창호
KR101090972B1 (ko) 접이식 창문
AU2016273806B2 (en) Building having security and safety function
KR101125347B1 (ko)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KR101670251B1 (ko) 고정형 수직 차양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3883046B (zh) 断桥隔热自然通风独立单元式幕墙系统
Rayaz et al. Review of advanced daylighting systems
JP2016056533A (ja) 建物
KR101589979B1 (ko) 친환경 주택
KR101141924B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내부형 이중외피
CN211923161U (zh) 一种具有通风构件的非透光幕墙单元及建筑幕墙
CN214785390U (zh) 一种连屋屋面透光通风装置及连屋屋面
CN215716677U (zh) 一种节能的可调节双层遮阳构件
KR101141925B1 (ko) 광선반을 구비한 건물의 이중외피
JP6424196B2 (ja) 採光構造
AU2012100990A4 (en) Daylighting arrangements using channel panels
JPH0246630Y2 (ko)
JP6093138B2 (ja) 採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