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7310B1 -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 Google Patents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310B1
KR101617310B1 KR1020140079933A KR20140079933A KR101617310B1 KR 101617310 B1 KR101617310 B1 KR 101617310B1 KR 1020140079933 A KR1020140079933 A KR 1020140079933A KR 20140079933 A KR20140079933 A KR 20140079933A KR 101617310 B1 KR101617310 B1 KR 101617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ow frame
frame
mi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898A (ko
Inventor
안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린산업
Priority to KR102014007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7310B1/ko
Priority to PCT/KR2014/006167 priority patent/WO2015199275A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2Roof-covering aspects of dorme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은, 루프데크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결합프레임을 구비하는 채광창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루프데크의 개구부 상측을 덮도록 상기 채광창틀의 상면에 안착되되, 접착제에 의해 상기 결합프레임에 부착되는 상부채광판; 상기 루프데크의 개구부 하측을 덮도록 상기 채광창틀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은, 채광판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이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채광판이 창틀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므로 외기 유입이 방지되고, 채광창과 루프데크 사이가 효과적으로 실링되므로 밀폐성과 단열성이 향상되며, 오랜 기간이 지나더라도 채광판과 창틀 간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채광판이 흔들림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거나 외력에 의해 창틀로부터 채광판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Skylight window having enhanced tightness}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에 시공되는 채광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나사를 사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상부채광판이 장착채널에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채광창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공장(산업현장), 창고, 등 각종 건축물의 지붕 구성 시, 태양광선 유입을 통해 건축물의 실내가 밝아질 수 있도록 채광창을 설치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채광창은 단순한 태양광선의 유입 용도로서 뿐만 아니라, 형상적으로는 크게 평면형과 아치형으로 되며, 건축물 외관에 심미감을 부여하는 기능 또한 병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채광창에 사용되는 채광판은 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되어 볼트 등에 의해 채광창틀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한 겹의 채광판에 의해서 건축물의 실내 및 실외가 구분되면 건축물의 실내 및 실외의 단열 및 방음 기능이 매우 미흡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한 겹의 채광판으로 구성되는 채광창이 설치되는 경우, 태양광선이 직선으로만 유입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실내를 광범위하게 밝혀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하절기에는 태양광선에 의해서 실내의 온도가 매우 높게 상승되므로 에어컨 과다 사용으로 인한 전기사용량 증대 및 냉방병 유발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며, 동절기에는 실외의 차가운 온도에 의해서 실내의 더운 온도를 외부로 빼앗기게 되므로 난방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 개의 채광판 즉, 상부채광판과 하부채광판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채광창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채광판이 이격 설치되면, 태양광선이 어느 정도 분산되어 실내로 유입될 수 있어 채광성이 개선되고, 상부채광판과 하부채광판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단열성능이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창틀은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금속으로 제작되고, 채광판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 fiber reinforced plastics)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합성수지 재질의 채광판과 금속 재질의 창틀은 접착제로는 견고하게 결합되기 어려우므로 별도의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채광판이 나사에 의해 창틀에 결합되면, 채광판 중 나사가 관통되는 부위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단열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채광창 설치 이후 오랜 기간이 흘러 나사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경우, 외부의 바람 등에 의해 채광판이 흔들려 큰 소음이 유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광판이 창틀로부터 탈거되어 창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KR 10-090764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한 쌍의 채광판을 일정 거리 이격 설치하되, 상기 채광판에 나사홀을 형성하지 아니하더라도 채광판을 창틀에 견고히 결합시킴으로써 밀폐성과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랜 기간이 지나더라도 채광판과 창틀 간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채광판 진동에 의한 소음이나 채광판 분리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는 채광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은, 루프데크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창틀프레임과, 상기 창틀프레임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결합프레임을 구비하는 채광창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루프데크의 개구부 상측을 덮도록 상기 채광창틀의 상면에 안착되되, 접착제에 의해 상기 결합프레임에 부착되는 상부채광판; 상기 루프데크의 개구부 하측을 덮도록 상기 채광창틀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채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프레임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창틀프레임에 결합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수평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채광판은 저면이 상기 결합프레임의 수평부 상면에 밀착 결합된다.
상기 창틀프레임은, 상기 루프데크의 개구부 내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창틀프레임과, 길이방향 양단이 서로 다른 제1 창틀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창틀프레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셋 이상의 제2 창틀프레임으로 구성되되, 상기 셋 이상의 제2 창틀프레임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2 창틀프레임은 상기 루프데크의 개구부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결합프레임은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2 창틀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제2 창틀프레임에 결합된다.
상기 제2 창틀프레임은, 상기 수직부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하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프레임의 수직부는 상기 수직판에 적층 구조로 결합된다.
길이방향 끝단이 상기 수직판과 상기 수직부를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판과 수직부를 결합시키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판의 상면 높이와 상기 수평부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의 상면 높이가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채광판의 상면 가장자리와 상기 루프데크의 개구부 상단을 덮도록 부착되어, 상기 상부채광판과 상기 루프데크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수시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루프데크는, 단열재와, 상기 단열재의 상면을 덮는 루프시트와, 상기 단열재의 저면을 덮는 루프강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시트는 열가소성 올레핀으로 제작되어 상기 루프시트와 상기 상부채광판 사이를 덮도록 접착된다.
상기 하부채광판은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루프강판과 겹쳐지도록 배열되며, 상기 루프데크와 상기 하부채광판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장착볼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은, 채광판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나사를 이용하지 아니하더라도 채광판이 창틀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므로 외기 유입이 방지되고, 채광창과 루프데크 사이가 효과적으로 실링되므로 밀폐성과 단열성이 향상되며, 오랜 기간이 지나더라도 채광판과 창틀 간의 결합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채광판이 흔들림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거나 외력에 의해 창틀로부터 채광판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채광창틀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B선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10)은 건축물의 지붕을 이루는 구조물(이하 '루프데크(20)'라 약칭함)에 설치되어 자연광을 실내로 유도하기 위한 창호의 일종으로서, 두 개의 채광판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이격 배열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루프데크(20)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10)은, 루프데크(20)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벽에 결합되는 채광창틀(100)과, 상기 루프데크(20)의 개구부 상측을 덮도록 채광창틀(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부채광판(200)과, 상기 루프데크(20)의 개구부 하측을 덮도록 채광창틀(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채광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채광판(200)과 하부채광판(300)은 자연광을 일정 비율 투과시킬 수 있도록 기준범위 이내의 투과율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데, 일반적으로 중량 대비 높은 강도를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 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제작된다.
이때, 루프데크(20)에 결합되는 채광창틀(100)은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압력이 인가되더라도 변형되거나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압축강도와 인장강도, 비틀림강도 등이 높은 재료 즉,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채광창틀(100)이 금속으로 제작되면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상부채광판(200)을 채광창틀(10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나사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이 요구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채광판(200)이 나사에 의해 채광창틀(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상부채광판(200)에는 나사가 관통되기 위한 나사홀이 필수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상기 나사홀은 나사의 외주면에 완벽하게 밀착되지 못하므로 나사홀과 나사 사이에는 미세하게나마 간극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나사홀과 나사 사이에 미세하게나마 간극이 발생되면, 상기 간극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어 단열성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빗물이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채광창(10) 설치 이후 오랜 기간이 흘러 나사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바람 등에 의해 상부채광판(200)이 흔들려 큰 소음이 유발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부채광판(200)이 채광창틀(100)로부터 탈거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나사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접착제(136)를 이용하여 상부채광판(200)을 채광창틀(100)에 부착시키면 상부채광판(200)에 나사홀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언급한 문제가 예방될 수 있으나,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채광판(200)과 금속 재질의 채광창틀(100)은 접착제(136)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접착제(136)로 두 개의 부품을 접착시킬 때에는 결합시키고자 하는 대상의 재질에 따라 적절한 종류의 접착제(136)를 사용해야 하는데, 결합시키고자 하는 두 개의 대상이 각각 다른 종류의 재료로 제작되면 두 개의 대상을 결합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용 접착제(136)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채광판(200)과 접착제(136) 간의 결합력은 매우 높아지지만, 금속 재질의 채광창틀(100)과 접착제(136) 간의 결합력은 매우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용 접착제(136)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금속 재질의 채광창틀(100)과 접착제(136) 간의 결합력은 매우 높아지지만,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채광판(200)과 접착제(136) 간의 결합력은 매우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종(異種) 재료로 제작되는 상부채광판(200)과 채광창(10)호는 접착제(136)에 의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물론, 채광창틀(100)을 고강도 합성수지로 제작하면 외력에 대한 강성을 기준치 이상으로 높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접착제(136)에 의한 상부채광판(200)과의 결합이 가능해지지만, 고강도 합성수지는 매우 고가의 재료이므로 채광창(10)의 전체 제조원가가 현저히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채광창틀(100)은 제조원가가 높아지지 아니하면서도 외력에 대한 높은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채광판(200)과 접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금속 재료로 제작되어 기본 골격을 이루는 다수 개의 창틀프레임(110, 120)과, 합성수지 재료로 제작되어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채광판(200)과 접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채광창틀(100)은, 루프데크(2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창틀프레임(110, 120)과,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창틀프레임(110, 120)의 일측면에 결합되되 상면에 상부채광판(200)이 부착되는 결합프레임(13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창틀프레임(110, 120)은 루프데크(20)의 개구부 중 내벽에 별도의 체결나사(미도시)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 골격을 이루는 창틀프레임(110, 120) 이외에 합성수지 재질의 결합프레임(13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금속 재질의 창틀프레임(110, 120)과 합성수지 재질의 결합프레임(130)은 접착제(136)에 의해 결합되기 어려우므로, 상기 결합프레임(130)은 별도의 체결볼트(138)에 의해 상기 창틀프레임(110, 120)에 결합된다.
이때, 체결볼트(138)에 의해 결합프레임(130)에 체결되는 결합프레임(130)은 합성수지 재료로 제작되므로, 상부채광판(200)은 나사결합 방식이 아닌 접착방식으로 결합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10)은, 합성수지 재질의 상부채광판(200)과 결합프레임(130)이 접착제(136)(더 명확하게는 플라스틱용 접착제(136))에 의해 상호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부채광판(200)에 나사홀이 형성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10)은, 외기가 상부채광판(200)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유입되지 아니하므로 단열성이 매우 높아지고, 빗물이나 이물질 역시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밀폐성이 매우 우수해지며, 상부채광판(200)이 외부 진동에 의해 떨림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이나 상부채광판(200)이 채광창틀(10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창틀프레임(110, 120)은 체결나사에 의해 루프데크(20)의 개구부 내벽에 결합되고, 결합프레임(130)은 체결볼트(138)에 의해 창틀프레임(110, 120)에 결합되지만, 상기 체결나사와 체결볼트(138)가 결합되는 부위는 상부채광판(200) 및 하부채광판(300)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기가 유입되어 단열성이 저하되는 현상이나 빗물 또는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어 밀폐성이 저하되는 현상은 유발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루프데크(20)는 단열성 향상을 위해 대부분이 단열재(22)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루프데크(20)가 단열재(22)만으로 구성되면 강성이 매우 취약해지는바, 상기 루프데크(20)의 저면에는 루프강판(26)이 구비되고, 상기 루프데크(20)의 상면에는 방수를 위한 루프시트(24)가 구비된다. 이때 루프강판(26)의 가장자리는 상기 하부채광판(300)의 가장자리 부위와 겹쳐지도록 배열되어 별도의 장착볼트(310)에 의해 결합되된다.
또한, 상부채광판(200)과 하부채광판(300) 사이의 기밀이 매우 우수하더라도, 루프데크(20)와 채광창(10)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면 상기 언급한 단열성 및 밀폐성이 매우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10)은, 루프데크(20)와 접하는 면에 발생되는 미세한 틈을 통해 외기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루프데크(20)의 상면과 상부채광판(200)의 상면 사이가 별도의 시트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도 2의 우측 확대도와 같이 별도의 방수시트(400)가 루프시트(24)와 상부채광판(200) 사이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도 2의 좌측 확대도와 같이 단열재(22) 상면을 덮은 루프시트(24)의 일측이 연장되어 루프시트(24)와 상부채광판(200) 사이를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방수시트(400)는 방수성 향상을 위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시트((Thermoplastic polyolefin sheet : 이하 'TPO시트'라 약칭함)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방수시트(400)는 TPO시트 전용 접착제에 의해 상부채광판(200)과 루프데크(20)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루프데크(20)의 저면은 루프강판(26)으로 덮여져 있으므로 비교적 강성이 크지만, 루프데크(20)의 상면은 단열재(22)가 노출되도록 구성되므로 비교적 강성이 작다. 따라서 장착볼트(310)의 헤드부가 단열재(22)의 상면에 압착될 때 상기 장착볼트(310)의 헤드부가 단열재(22) 내부까지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22)의 상면 중 장착볼트(310)가 관통되는 지점에는, 상기 장착볼트(310)의 헤드부보다 수평면적이 큰 고정디스크(3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장착볼트(310)가 나사결합되는 지점에 고정디스크(320)가 구비되면, 장착볼트(310)의 헤드부가 고정디스크(320)를 하향 가압하게 되고 고정디스크(320)는 단열재(22)의 상면을 하향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디스크(320)는 장착볼트(310)의 헤드부에 비해 수평면적이 넓으므로, 장착볼트(310)의 헤드부에 의해 하향 가압력을 인가받았을 때 보다 넓은 영역의 단열재(22) 상면을 가압하게 되는바, 상기 고정디스크(320)가 단열재(22) 내부로 인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채광창(1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채광창틀(10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창틀프레임(110, 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제1 창틀프레임(110)과, 가로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네 개의 제2 창틀프레임(1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창틀프레임(110)의 루프데크(20)의 개구부 좌우측 내벽에 고정 결합되고, 제2 창틀프레임(120) 중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도 7에서는 가장 앞쪽과 가장 뒤쪽에 위치하는) 제2 창틀프레임(120)은 루프데크(20)의 개구부 전후방측 내벽에 고정 결합되며, 제2 창틀프레임(120) 중 가운데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창틀프레임(120)은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서로 다른 제1 창틀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채광판(200)이 접착되는 결합프레임(130)은 상기 제1 창틀프레임(110)과 제2 창틀프레임(120) 중 어디에도 결합될 수 있는데, 루프데크(20)의 개구부 내벽에 결합된 창틀프레임(110, 120)은 수직판(122)이 루프데크(20)의 개구부 내벽에 접촉되고 상판(124)과 하판(126)이 개구부의 가운데를 향해 연장되므로, 루프데크(20)의 개구부 내벽에 결합된 창틀프레임(110, 120)에는 결합프레임(130)의 수직부(132)가 결합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결합프레임(130)의 수직부(132)는 각 창틀프레임(110, 120)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창틀프레임(도 7에서는 4개의 제2 창틀프레임(120) 중 가운데 위치하는 2개의 제2 창틀프레임(12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루프데크(20)의 개구부 내측면에 결합되지 아니하고 결합프레임(130)과 결합되는 제2 창틀프레임(120)이 2개만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결합프레임(130)과 결합되는 제2 창틀프레임(120)의 개수는 상부채광판(200)의 크기나 결합력, 채광창틀(100)에 요구되는 강성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결합프레임(130)과 결합되는 제2 창틀프레임(120)의 개수가 증가하면 채광창틀(100)의 각종 강성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결합프레임(130)의 개수 역시 증가하게 되어 상부채광판(200)과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결합프레임(130)과 결합되는 제2 창틀프레임(120) 및 결합프레임(130)의 개수가 증가되면 채광창(10)의 제조원가가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는바, 제2 창틀프레임(120) 및 결합프레임(130)의 개수는 여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됨이 바람직하다.
상부채광판(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채광창틀(100)에 부착되기 위해서는, 결합프레임(130) 중 상부채광판(200)과 접합되는 면 즉, 접착제(136)가 도포되는 상면이 넓게 확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프레임(130)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2 창틀프레임(12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결합프레임(130) 중 제2 창틀프레임(120)과 겹쳐지는 면 또한 넓게 확보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결합프레임(130)은 제2 창틀프레임(120) 및 상부채광판(200)과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창틀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수직부(132)와, 상기 수직부(132)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에 접착제(136)가 도포되는 수평부(134)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결합프레임(130)이 'ㄱ'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바(bar) 구조로 제작되면, 중량 대비 제2 창틀프레임(120)과 접촉되는 면과 상부채광판(200)과 접촉되는 면이 매우 넓게 확보되므로, 제2 창틀프레임(120) 및 상부채광판(200)과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창틀프레임(120)은 채광창(10)의 전체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각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대한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22)과, 상기 수직판(122)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124)과, 상기 수직판(12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하판(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창틀프레임(120)이 수직판(122)과 상판(124)과 하판(126)이 각각 하나씩 구비되며 상판(124)과 하판(126)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 즉, 'ㄷ'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바(bar)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2 창틀프레임(120)은 다양한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바(bar)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창틀프레임(120)은 수직판(122)과 상판(124)과 하판(126)을 각각 하나 이상씩 구비한다면, 'ㅁ'형상의 횡단면이나 'H'형상의 횡단면 등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바(bar)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창틀프레임(120)이 수직판(122)과 상판(124)과 하판(126)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성되면, 결합프레임(130)의 수직부(132)가 수직판(122)에 적층 구조로 밀착될 수 있으므로 결합프레임(130)과 제2 창틀프레임(12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상부채광판(200)의 저면이 상판(124)에 안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부채광판(200)의 처짐이 방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창틀프레임(110) 역시 제2 창틀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ㅁ'형상의 횡단면이나 'H'형상의 횡단면 등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을 갖는 바(bar) 구조로 제작되어,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 비틀림강도가 개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창틀프레임(120)에 포함되는 상판(124)의 상면 높이와 상기 결합프레임(130)에 포함되는 수평부(134) 상면 높이가 일치하면, 상부채광판(200)이 상기 상판(124) 및 수평부(134) 상에 안착되었을 때 수평부(134)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136)가 상부채광판(200)의 자중에 의해 가압되어 측방으로 밀려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136)가 측방으로 배출되면, 상부채광판(200)과 수평부(134) 사이에 남아 있는 접착제(136)의 두께가 매우 얇아지므로, 상부채광판(200)과 결합프레임(130) 간의 결합력이 현저히 감소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상판(124)의 상면 높이는 수평부(134)의 상면 높이와 일치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부(134)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136)의 상면 높이와 일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판(124)의 상면 높이가 접착제(136)의 상면 높이와 일치하게 되면, 상부채광판(200)이 상판(124) 및 수평부(134) 상에 안착되더라도 접착제(136)가 측방으로 밀려 배출되지 아니하고 상부채광판(200)의 저면과 수평부(134)의 상면 사이에서 일정 두께 유지되는바, 상부채광판(200)과 결합프레임(130) 간의 결합력이 매우 높게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채광창 20 : 루프데크
22 : 단열재 100 : 채광창틀
110 : 제1 창틀프레임 120 : 제2 창틀프레임
122 : 수직판 124 : 상판
126 : 하판 130 : 결합프레임
132 : 수직부 134 : 수평부
136 : 접착제 138 : 체결볼트
200 : 상부채광판 300 : 하부채광판
310 : 장착볼트 320 : 고정디스크
400 : 방수시트

Claims (9)

  1. 삭제
  2. 루프데크(20)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창틀프레임(110, 120)과, 상기 창틀프레임(110, 12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결합프레임(130)을 구비하는 채광창틀(100);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상기 루프데크(20)의 개구부 상측을 덮도록 상기 채광창틀(100)의 상면에 안착되되, 접착제(136)에 의해 상기 결합프레임(130)에 부착되는 상부채광판(200);
    상기 루프데크(20)의 개구부 하측을 덮도록 상기 채광창틀(100)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채광판(300);
    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프레임(13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창틀프레임(110, 120)에 결합되는 수직부(132)와, 상기 수직부(132)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에 접착제(136)가 도포되는 수평부(134)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채광판(200)은 저면이 상기 결합프레임(130)의 수평부(134) 상면에 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프레임은, 상기 루프데크(20)의 개구부 내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창틀프레임(110)과, 길이방향 양단이 서로 다른 제1 창틀프레임(1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 창틀프레임(110)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셋 이상의 제2 창틀프레임(1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셋 이상의 제2 창틀프레임(120)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2 창틀프레임(120)은 상기 루프데크(20)의 개구부 내측면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결합프레임(130)은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2 창틀프레임(120)을 제외한 나머지 제2 창틀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창틀프레임(120)은, 상기 수직부(132)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수직판(122)과, 상기 수직판(122)의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판(124)과, 상기 수직판(12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하판(126)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프레임(130)의 수직부(132)는 상기 수직판(122)에 적층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5. 제4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끝단이 상기 수직판(122)과 상기 수직부(132)를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판(122)과 수직부(132)를 결합시키는 체결볼트(1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1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24)의 상면 높이와 상기 수평부(134)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136)의 상면 높이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채광판(200)의 상면 가장자리와 상기 루프데크(20)의 개구부 상단을 덮도록 부착되어, 상기 상부채광판(200)과 상기 루프데크(20) 사이를 밀폐시키는 방수시트(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데크(20)는, 단열재(22)와, 상기 단열재(22)의 상면을 덮는 루프시트(24)와, 상기 단열재(22)의 저면을 덮는 루프강판(26)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수시트(400)는 열가소성 올레핀으로 제작되어, 상기 루프시트(24)와 상기 상부채광판 사이를 덮도록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채광판(300)은 가장자리 부위가 상기 루프강판(26)과 겹쳐지도록 배열되며,
    상기 루프데크(20)와 상기 하부채광판(30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장착볼트(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창.
KR1020140079933A 2014-06-27 2014-06-27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KR101617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33A KR101617310B1 (ko) 2014-06-27 2014-06-27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PCT/KR2014/006167 WO2015199275A1 (ko) 2014-06-27 2014-07-09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33A KR101617310B1 (ko) 2014-06-27 2014-06-27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98A KR20160001898A (ko) 2016-01-07
KR101617310B1 true KR101617310B1 (ko) 2016-05-03

Family

ID=5493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933A KR101617310B1 (ko) 2014-06-27 2014-06-27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7310B1 (ko)
WO (1) WO2015199275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5203A (ja) * 2006-07-21 2008-02-07 Pal Co Ltd 採光扉
KR20090004199A (ko) * 2007-07-06 2009-01-12 (주)케이비산업 채광판 구조
KR100907644B1 (ko) 2009-01-08 2009-07-13 장성덕 건축물 지붕의 채광창
KR20120006338U (ko) * 2011-03-04 2012-09-12 송태호 지붕 채광창의 설치구조
KR20130000276U (ko) * 2011-06-17 2013-01-10 조규오 개폐식 프레임을 채용하여 확산재의 교체가 가능한 채광창
KR101352781B1 (ko) * 2011-09-19 2014-01-16 이승근 광량조절 및 시공이 용이한 채광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99275A1 (ko) 2015-12-30
KR20160001898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393B2 (en) Large-area skylight system
CN204343560U (zh) 屋顶天窗
US4569872A (en) Insulating window panel
JP2015040432A (ja) 断熱パネル及びその取付構造
KR20160142819A (ko) 패널 건재 및 그 설치 구조
JP4641872B2 (ja) 建物用庇
KR101617310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채광창
KR101741803B1 (ko) 통합형 커튼월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커튼월 시스템
KR20110000268A (ko) 건축용 패널의 시공구조
JPH09252657A (ja) 温室などの透光板の取付構造
JP2010229771A (ja) 太陽エネルギー変換モジュールの配線引き込み構造及び太陽エネルギー変換モジュールを備える外装構造
JP5166911B2 (ja) 屋根構造
JP2013241736A (ja) 外壁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用ジョイナー
KR102013455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및 그 조립 구조
KR101084404B1 (ko) 방수 처리용 건축 내외장 판넬 및 그 시공 방법
JP2020172758A (ja) カーポート
JP4981710B2 (ja) 断熱建具
JP5913530B2 (ja) 建築構造体
JP5258308B2 (ja) 建物用庇
JP2007204922A (ja) 壁間防水構造
JP6422687B2 (ja) 断熱気密外壁構造
US20090007518A1 (en) Structural terminus implemented to inhibit explosive effect
KR200490323Y1 (ko) 복층패널 이음연결용 프레임
JP2006188897A (ja) 断熱パネルの接続構造
JP5896654B2 (ja) 屋根材が取り付け部材を用いて建物の構造部材に固定される構造、そのような構造に用いられる屋根材、及び屋根材を取り付け部材を用いて建物の構造部材に固定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