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4499A - 방화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방화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4499A
KR20080104499A KR1020070051360A KR20070051360A KR20080104499A KR 20080104499 A KR20080104499 A KR 20080104499A KR 1020070051360 A KR1020070051360 A KR 1020070051360A KR 20070051360 A KR20070051360 A KR 20070051360A KR 20080104499 A KR20080104499 A KR 20080104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ilding
wall
driving unit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4612B1 (ko
Inventor
권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070051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61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4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4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조량에 따라 햇볕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건물의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염이나 연기가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는 방화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는, 복수의 층구조로 건축된 건물의 상층과 하층의 창 사이의 외벽에 돌출되어 일측이 고정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과, 각각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열 설치된 장방형의 판재 형상인 복수의 회동블레이드와,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 각각의 길이방향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와 함께 회동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각각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작동로드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 블레이드, 리브, 작동로드, 구동부, 제어부, 센서

Description

방화 차양장치{ANTI-FLAME BLIND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부분절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화재시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200 : 회동블레이드
300 : 리브 400 : 작동로드
500 : 제1 구동부 600 : 고정블레이드
700 : 제2 구동부 800 : 송신기
850 : 수신기 900 : 제어부
920 : 일조량감지센서 940 : 화염감지센서
본 발명은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조량에 따라 햇볕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건물의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염이나 연기가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는 방화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장치는 건물에 설치된 창의 내측 혹은 외측에 설치되어 태양 빛을 차단 및 조절한다. 이러한 차양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내부차양과 실외에 설치되는 외부차양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내부차양에는 커튼, 블라인드, 스크린 등이 있고, 외부차양에는 차양막, 수직 또는 수평 루버 등이 있다.
상기의 차양 장치 중에서도 건물 외벽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 루버식 차양장치는 재실자의 외부조망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직사광선과 태양복사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차단시켜줄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차양 장치는 단순히 햇빛을 차단 및 조절하거나 오히려 차양의 역할보다는 외부입면의 장식적인 요소로만 활용하고 있어 그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파트 등의 공동 주거형 주택에서는 법규상 거실 외측으로 발코니를 배치하고 거실과 발코니 사이에 창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발코니에는 난간대가 설치되어 사람이 아래로 추락하거나 물품 등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대의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상기 발코니의 목적은 화재시 화염이 이웃세대로 번지는 역할을 방지하기 때문에 발코니를 확장하여 생활공간으로 변경하는 것을 불법으로 단속하였으나 최근 상하층 간의 경계부분에 화재 대피공간 설치를 의무화하는 조건으로 발코니 확장을 허용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이웃세대로 화염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발코니의 목적이 상실됨으로 인해 발코니 끝에 화염차단을 위한 방화판 등을 설치한다.
그러나, 발코니에 설치되는 화염차단을 위한 방화판 등은 아파트 생활공간의 전망을 제한하거나 아파트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고, 화염차단을 위한 방화판 등의 장치만으로는 효과적인 화염차단에 미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조량에 따라 햇볕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건물의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염이나 연기가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는 방화 차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화 차양장치는, 복수의 층구조로 건축된 건물의 상층과 하층의 창 사이의 외벽에 돌출되어 일측이 고정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과, 각각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열 설치된 장방형의 판재 형상인 복수의 회동블레이드와,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 각각의 길이방향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와 함께 회동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각각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작동로드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는, 각각이 회동시 하단이 상단보다 상기 건물의 외벽에 더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는, 각각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 폭의 총합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는, 각각 양 단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회동블레이드의 안착홈에 형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이 상기 건물의 외벽에 돌출되어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 중 상기 건물의 외벽에 가장 근접한 회동블레이드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1 구동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구동부의 길이보다 더 긴 폭을 가진 장방형의 판재 형상인 고정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는,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는 선형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는, 전자석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건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회동시킬 수 있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조량을 감지하는 일조량감지센서와, 상기 일조량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설정된 일조량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기 또는 온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센서와, 상기 화염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설정된 연기 또는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부분절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화재시 작동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방화 차양장치는 프레임(100), 회동블레이드(200), 리브(300), 작동로드(400) 및 제1 구동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차양장치는 고정블레이드(600), 제2 구동부(700), 송신기(800), 수신기(850), 제어부(900), 일조량감지센서(920) 및 화염감지센서(9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복수의 층구조로 건축된 건물의 상층과 하층의 창 사이의 외벽에 돌출되어 일측이 고정되고, 사각틀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층구조로 건축된 건물은 보통 아파트나 빌라 등의 다세대 복합 건물을 말하며, 프레임(100)은 상하층 간의 창 사이에 설치되고, 특히 상하층 간의 발코니 사이에 설치된다. 프레임(100)은 상기 건물의 외벽에 돌출되어 일측이 고정되고, 외벽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프레임(100)은 후술할 회동블레이드(200)나 제1 구동부(500) 등이 설치되므로 충분한 강성을 가지고, 상기 건물의 외벽에 단단히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0)은 사각틀 형상이되 사변이 모두 막힌 형상이거나 또는 고정된 일측을 제외하고 삼변이 막힌 형상이어도 무방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막대형상 부재의 각 일측이 건물의 외벽에 고정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즉, 프레임(100)의 내부에 후술할 회동블레이드(200)가 설치되므로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틀의 형상을 가지면 족하다.
회동블레이드(200)는 프레임(100)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복수가 구비되어 각각이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에 배열 설치되고, 장방형의 판재 형상이다.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는 각각이 후술할 리브(300)가 결합되어 회동하고, 그에 따라 프레임(100) 내부가 개폐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 각각은 회동시 하단이 상단보다 상기 건물의 외벽에 더 근접하게 설치되어 일조량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을 개폐하여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시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 각각의 상단이 외벽과 대향되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됨으로써, 화염 등이 상층의 발코니가 설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흐름을 바꾸어 놓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 각각은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 폭의 총합이 상기 프레임(100)의 상기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의 내부를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의 회동에 의해 완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 각각은 양단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회동블레이드의 안착홈에 형합될 수 있게 설계한다.
리브(300)는 후술할 작동로드(400)에 연결되어 작동로드(400)의 직선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를 회동시키는 것이다. 리브(300)는 상기 프레임(100)에 힌지 결합되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와 동수가 구비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 각각의 길이방향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와 함께 회동한다.
작동로드(400)는 상기 복수의 리브(300)를 회동시키는 것으로, 복수의 리브(300) 각각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다. 작동로드(400)는 막대 또는 판재 형상이어도 무방하되 상기 복수의 리브(300) 각각의 타단에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면 족하다.
제1 구동부(500)는 상기 작동로드(400)를 직선왕복운동시키는 것으로, 작동로드(400)의 일단과 연결된다. 제1 구동부(500)가 작동로드(400)를 직선왕복운동시키면 작동로드(400)와 연결된 복수의 리브(300)를 회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리브(300) 각각의 일단이 복수의 블레이드(200) 각각의 길이방향 일단에 결합되어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를 회동시킨다. 이 경우, 제1 구동부(500)가 작동로드(400)를 완전히 일직선으로 운동시키는 것은 아니므로 복수의 리브(300)가 회동할 정도의 모멘트는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부(500)는 링크장치나 랙 앤 피니언 등의 여러가지 장치를 사용할 수 있되 상기 작동로드(400)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것이면 족하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형 선형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선형 액추에이터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유압 또는 공압의 경우에는 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선형 전기 모터나 전자석 선형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장치의 단순화, 소형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석 선형 액추에이터의 종류로는 가동자의 종류에 따라 코일 가동형, 철심 가동형 및 영구 자석 가동형으로 구분되는데, 가동자를 어떤 것으로 사용하든지 간에 가동자가 상기 작동로드(4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으면 족하다.
고정블레이드(600)는 상기 제1 구동부(500)를 비 또는 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상기 건물의 외벽에 돌출되어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 중 상기 건물의 외벽에 가장 근접한 회동블레이드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고정블레이드(600)는 상기 제1 구동부(5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구동부(500)의 길이보다 더 긴 폭을 가진 장방형의 판재 형상이다. 고정블레이드(600) 일단은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드(200)가 회동시 프레임(100)의 내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건물의 외벽에 가장 근접한 회동블레이드의 일단과 접촉된다. 그에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200) 및 고정블레이드(600)가 형합 또는 접촉되어 프레임(100)의 내부를 완전이 페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프레임(100)은 일측이 상기 건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100) 및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어 프레임(100)을 회동시킬 수 있는 제2 구동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0)의 일측이 건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차양 효과를 원하지 않을 때 프레임(100)을 회동시켜 상기 건물의 외벽에 접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을 회동시킬 수 있는 제2 구동부(700)를 설치함으로써, 프레임(100)의 회동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구동부(700)는 전기모터 및 기어 장치에 의해 프레임(100)을 회동시킬 수 있고, 링크기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제2 구동부(700)는 상기 프레임(10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면 족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8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무선으로 신 호를 전송한다. 수신기(850)는 상기 송신기(800)로부터 상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한다. 이 경우 상기 수신기(850)로부터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제1 구동부(500) 및 제2 구동부(7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송수신 방식에는 블루투스, 지그비, 전파식별(RFID) 방식 등이 있으며, 어떠한 방식이든 상기 송신기(800)와 수신기(850) 사이에 무선으로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으면 족하다. 제어부(900)는 수신기(800)에 전송된 신호를 입력받아 제1 구동부(500) 및 제2 구동부(700)를 작동시킨다. 즉, 사용자는 무선으로 원격 조정을 통하여 제1 구동부(500) 및 제2 구동부(700)를 작동시킴으로써, 프레임(100)의 개폐 또는 회동으로 차양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일조량감지센서(920)는 차양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조량을 감지한다. 이 경우 상기 일조량감지센서(9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설정된 일조량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구동부(500) 및 제2 구동부(7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에 따라, 일조량에 따른 프레임(100)의 개폐 또는 회동으로 차양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일조량감지센서(92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건물의 외벽이나 창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어느 곳에 설치되든 시간에 따른 일조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곳이면 족하다.
화염감지센서(940)는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지연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기 또는 온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한다. 이 경우 상기 화염감지센서(94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설정된 연기 또는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구동부(500) 및 제2 구동부(7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에 따라,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시 프레임(100)의 개폐 또는 회동으로 화재의 확산을 효율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화염감지센서(940)는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고, 건물의 외벽이나 하층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어느 곳에 설치되든 하층에 화재가 발생하여 상층으로 화염 등이 확산되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곳이면 족하다.
한편, 프레임(100) 및 프레임(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동블레이드(200) 등의 각종 구성요소들은 상기와 같이 화염 확산을 지연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일상생활에서는 햇빛의 양을 조절하는 단순한 차양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무선 송수신 방식 또는 일조량감지센서(920)에 의한 자동 제어에 따라 제1 구동부(500) 및 제2 구동부(700)가 작동하여 프레임(100)의 개폐 또는 회동으로 차양효과를 달성한다.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100)이 개폐된다. 프레임(100)을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제1 구동부(500)와 연결된 작동로드(400)가 외벽으로부터 돌출된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작동로드(400)와 연결된 복수의 리브(300)가 회동하게 되고, 복수의 리브(300)와 각각 결합된 복수의 회동블레이드(200)가 함께 회동하게 된다. 그에 따 라 프레임(100)이 개방되는 것이다. 프레임(100)을 페쇄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의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면 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비상사태의 경우에는 방화장치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무선 송수신은 물론 화염감지센서(940)에 의한 자동 제어에 따라 제1 구동부(500) 및 제2 구동부(700)가 작동하여 프레임(100)의 개폐 또는 회동으로 방화효과를 달성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구동부(500)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100)이 폐쇄된다. 프레임(100)의 개폐과정은 상기 차양장치로서의 작동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차양장치는, 제1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작동로드를 직선왕복운동시켜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회동블레이드의 회동을 통하여 일조량에 따라 햇볕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건물의 하층에서 화재가 발생시 화염이나 연기가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송수신기에 의해 제어부를 통하여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작동시켜 프레임을 개폐 또는 회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차양 및 방화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일조량감지센서와 화염감지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차양 및 방화효과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1)

  1. 복수의 층구조로 건축된 건물의 상층과 하층의 창 사이의 외벽에 돌출되어 일측이 고정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과,
    각각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배열 설치된 장방형의 판재 형상인 복수의 회동블레이드와,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일단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 각각의 길이방향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와 함께 회동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각각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작동로드를 직선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제1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화 차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는, 각각이 회동시 하단이 상단보다 상기 건물의 외벽에 더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는, 각각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 폭의 총합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돌출된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는, 각각 양 단에 안착홈이 형성되어 인접한 다른 회동블레이드의 안착홈에 형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건물의 외벽에 돌출되어 타단이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일단이 상기 복수의 회동블레이드 중 상기 건물의 외벽에 가장 근접한 회동블레이드의 일단과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제1 구동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구동부의 길이보다 더 긴 폭을 가진 장방형의 판재 형상인 고정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는 선형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는, 전자석 액추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일측이 상기 건물의 외벽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 및 상기 건물의 외벽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을 회동시킬 수 있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무선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로부터 상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조량을 감지하는 일조량감지센서와,
    상기 일조량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설정된 일조량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기 또는 온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화염감지센서와,
    상기 화염감지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고 설정된 연기 또는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차양장치.
KR1020070051360A 2007-05-28 2007-05-28 방화 차양장치 KR100874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360A KR100874612B1 (ko) 2007-05-28 2007-05-28 방화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360A KR100874612B1 (ko) 2007-05-28 2007-05-28 방화 차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4499A true KR20080104499A (ko) 2008-12-03
KR100874612B1 KR100874612B1 (ko) 2008-12-17

Family

ID=4036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360A KR100874612B1 (ko) 2007-05-28 2007-05-28 방화 차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10Y1 (ko) * 2016-06-22 2017-07-19 김은주 어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318B1 (ko) * 2013-10-29 2014-07-02 노유선 방화용 자동닫힘 루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428Y2 (ko) * 1987-04-16 1992-08-04
JP3438595B2 (ja) * 1997-11-13 2003-08-18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開閉体の制御システム
JP2001090244A (ja) 1999-09-27 2001-04-03 Nippon Eisei Center:Kk 開閉式屋根構造
KR200323752Y1 (ko) 2003-05-31 2003-08-19 김영중 차양장치
JP2006274666A (ja) * 2005-03-29 2006-10-12 Shin Nikkei Co Ltd 屋根
JP2006274665A (ja) 2005-03-29 2006-10-12 Shin Nikkei Co Ltd 屋根
KR100725854B1 (ko) 2006-10-14 2007-06-08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자동 슬라이딩 지붕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010Y1 (ko) * 2016-06-22 2017-07-19 김은주 어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612B1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5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lectrical insulating shutter system
KR101762067B1 (ko) 블라인드가 일체형으로 내장된 이중창호.
CN101684716A (zh) 带有可倾斜板条的卷式百叶窗
KR101219091B1 (ko) 친환경 기능성 창호
JP2005105732A (ja) 換気機能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物
KR101586399B1 (ko)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KR100874612B1 (ko) 방화 차양장치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2265528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을 구비한 전동식 루버창호
JP7023010B2 (ja) 建物用の垂直スライド窓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102032838B1 (ko) 블라인드 일체형 창호
WO2017151064A1 (en) External blind in a glazed housing
KR100509343B1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100588073B1 (ko) 빗물가림막 주택창호시설
KR200319639Y1 (ko) 창문용 블라인드
KR20160120635A (ko) 창호 시스템
KR102450426B1 (ko) 루버 개폐 장치
KR101125347B1 (ko) 차양용 롤스크린 장치
KR20040092401A (ko) 창문용 블라인드
KR101844967B1 (ko) 교체형 블라인드 창호
Ariosto et al. Evaluation of Residential Window Retrofit Solutions for Energy Efficiency
EP2989277B1 (en) Window privacy screen
KR102129388B1 (ko) 채광루버형 일사조절장치
KR20210052719A (ko) 전동 루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