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9286B1 -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9286B1
KR101219286B1 KR1020120012794A KR20120012794A KR101219286B1 KR 101219286 B1 KR101219286 B1 KR 101219286B1 KR 1020120012794 A KR1020120012794 A KR 1020120012794A KR 20120012794 A KR20120012794 A KR 20120012794A KR 101219286 B1 KR101219286 B1 KR 101219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water
conveyor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김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준 filed Critical 김동준
Priority to KR102012001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92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9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9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distortion, beating, or vibration of the surface to be clea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보다 적은 세척수를 사용하는 것과 간소화된 세척공정을 통해 재활용 플라스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의 세척비용을 절감하는 특허에 관한 것이고, 세척조와 세척부로 구성되되, 세척부는 공급부와 배출부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세척수에 수명에 완전히 침전되게 설치되는 세척 컨베이어와, 세척 컨베이어의 양측 풀리의 사이인 벨트 내부에서 벨트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진동기로 구성되고, 세척 컨베이어는 플라스틱편이 통과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의 망체로 제작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외부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안내판으로 구성되고, 플라스틱편은 공급부를 통해 세척조로 투입된 뒤 세척 컨베이어의 안내판에 의해 수조 내부로 침전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뒤 배출부를 향해 이동되고,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외부에 부착된 이물질인 부유물과 침전물이 분리된 뒤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로 실현 가능하며, 재활용 플라스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최소한의 물을 사용하므로 폐수를 정화하는데 따르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WATER-SAVING TYPE WASHING DEVICE FOR RECYCLED PLASTIC}
본 발명은 폐기물로 버려진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데 따른 재활용 프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보다 적은 세척수를 사용하는 것과 간소화된 세척공정을 통해 재활용 플라스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재활용 플라스틱의 세척비용을 절감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상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플라스틱은 성형이 용이하고 방수성 및 방식성이 우수한 물리적 특징과, 제조원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범위가 매우 넓은 소재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유통되는 모든 상품의 포장에는 플라스틱이 빠지지 않고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플라스틱은 자연적으로 분해되는데 수십 내지 수백 년의 시간이 필요하고, 자연에 방치되는 경우 각종 환경호르몬과 같은 유해물질이 유출되기 때문에 환경보호의 입장에서는 매우 반환경적인 물질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유로 각국에서는 플라스틱제품의 사용을 억제하는 정책과 함께 사용된 플라스틱을 신속하게 수거한 뒤 이를 다시 사용할 수 있게 재가공하는 재활용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된 플라스틱들은 지자체의 청소업체에 의해 다른 재활용 폐기물들과 함께 수거된다. 이후, 청소업체에서는 하역장에 모인 재활용 폐기물 중 플라스틱 폐기물만을 별도로 선별하고, 선별된 플라스틱폐기물은 재활용 업체로 보내진다.
재활용 업체는 분쇄기를 이용해 플라스틱폐기물을 일정크기의 플라스틱편으로 분쇄한 뒤 이를 세척하고, 세척이 완료된 플라스틱편들은 건조과정을 거친 뒤 다시 용융되어 플라스틱사출기에서 필요한 물품으로 가공된다.
그러나 환경을 위해 플라스틱폐기물을 재가공하는 과정에서도 반 환경적인 오염물인 폐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즉, 버려진 플라스틱의 표면에 묻어있던 이물질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폐수가 바로 이러한 오염물질이고, 이는 플라스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이기에 재활용 시스템에서는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기도 하다.
플라스틱을 세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재활용업체로 운반된 플라스틱폐기물들은 외부 및 내부에 각종 오염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수로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하고, 이를 위해 일정 크기의 플라스틱편으로 가공된 뒤 세척된다.
이와 같이 절단된 플라스틱편들은 단계적으로 세척조를 거치면서 표면의 오염물질들이 세척되는 과정과 헹굼과정을 통해 세척되는데, 이때 다량의 폐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폐수를 순환시켜 여과하는 시설이 있기는 하나 지금까지의 세척방식은 오로지 세척수에 의한 세척이기에 다량의 물이 사용되고 있고, 이는 다시 폐수를 정화시키는 시설의 대형화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시스템에서는 다량의 물을 정화하는데 많은 비용이 사용되었고, 이는 전체적인 플라스틱의 재활용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활용 플라스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최소한의 세척수를 사용하도록 하여 폐수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목적이고, 이로 인해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플라스틱을 세척하는 것과 표면의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과정을 동시에 진행하여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세척장치가 간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수조형상이고 내부에는 세척수(3)가 구비되며, 일측의 외부에는 절단된 플라스틱편(2)이 공급되는 공급부(200)가 설치되고, 타측의 내부에는 세척수(3)에 의해 세척된 플라스틱편(2)이 배출되는 배출부(300)가 설치된 세척조(100)와; 상기 세척조(100)의 내부에서 상기 세척수(3)를 이용해 상기 플라스틱편(2)을 세척하는 세척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세척부(400)는 상기 공급부(200)와 배출부(30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세척수(3)에 수명에 완전히 침전되게 설치되는 세척 컨베이어(410)와,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양측 풀리(413)의 사이인 벨트(411) 내부에서 벨트(411)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진동기(420)로 구성되고,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는 플라스틱편(2)이 통과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의 망체로 제작되는 벨트(411)와 상기 벨트(411)의 외부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안내판(4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라스틱편(2)은 상기 공급부(200)를 통해 세척조(100)로 투입된 뒤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안내판(412)에 의해 수조 내부로 침전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뒤 배출부(300)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진동기(420)의 진동에 의해 외부에 부착된 이물질인 부유물(5)과 침전물(6)이 분리된 뒤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척조(100)의 상부에는 세척조(100) 내부의 세척수(3)에 포함된 부유물(5)을 세척조(100) 밖으로 제거하고 세척수(3)를 여과하는 여과부(500)가 포함되고, 상기 여과부(500)는 상기 공급부(200)와 세척 컨베이어(41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되 세척 컨베이어(410)의 안내판(412)과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는 차단막(510)과,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상부 중 차단막(510) 측면에서 세척수(3)의 수면과 접하게 설치되는 흡입관(520)과, 상기 흡입관(520)을 통해 세척수(3)를 흡입하는 흡입펌프(530)와, 상기 흡입펌프(530)에서 흡입된 세척수(3)가 공급되고 내부의 세척수(3)를 정화하는 여과조(540)와, 상기 여과조(540)에서 정화된 세척수(3)를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되는 플라스틱편(2)을 향해 분무시키는 헹굼노즐(5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여과조(540)는 수집조(541), 침전조(542) 및 배수조(543)로 구성되고, 상기 수집조(541)와 침전조(542) 및 침전조(542)와 배수조(543)의 사이는 필터벽체(544,545)로 구분되며, 상기 흡입펌프(530)에 의해 여과조(540)로 공급되는 세척수(3)는 상기 수집조(541)에 공급된 뒤 수집조(541), 침전조(542), 배수조(543) 순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벽체(544,545)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되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척조(100)의 내부 하단에는 상기 세척부(40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7)를 세척조(100)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600)가 구비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부(600)는 세척조(100)의 공급부(200) 하단에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슬러지조(610)와, 상기 세척부(400)의 하단에서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하부로 침전되는 이물질인 침전물(6)을 상기 침전조(542)로 안내하는 슬러지 컨베이어(620)와, 상기 슬러지조(610)에 쌓이는 침전물(6)과 세척수(3)의 혼합물인 슬러지(7)를 배출시키는 배출관(640)과, 상기 배출관(640)을 통해 슬러지(7)를 배출시키는 배출펌프(650)로 구성되고, 상기 슬러지 컨베이어(620)는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하단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침전되는 슬러지(7)를 상기 슬러지조(610)로 안내하는 벨트(621)와, 상기 벨트(621)의 외주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안내판(622) 및 상기 벨트(621)의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623)로 구성되고, 상기 슬러지조(610)에 근접한 벨트(621)의 내부에는 상기 벨트(621)의 내부에서 상기 풀리(623) 중 슬러지조(610)에 근접한 풀리(623)와 벨트(621)의 사이에는 진동기(6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슬러지 컨베이어(620)의 안내판(622)은 벨트(621)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힌지축(625)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안내판(622)은 부력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시틱용 절수형 세척장치로 실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최소한의 물을 사용하므로 폐수를 정화하는데 따르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라스틱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편의 표면에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것과 세척하는 것을 동시에 진행하므로 세척장치가 간소화되는 효과 및 이에 따른 설비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를 상세히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도 1 내지 도 2의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1: 이하, 세척장치라 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척장치(1)는 수집된 뒤 일정 크기로 절단되는 플라스틱편(2)을 세척하는 장치로서, 세척조(100), 공급부(200), 배출부(300), 세척부(4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세척조(100)는 상부가 개방된 오목한 수조형상이고, 내부에는 플라스틱편(2)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가 담긴다. 이러한 세척조(100)의 일측과 타측에는 공급부(200)와 배출부(300)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급부(200)는 세척조(100)의 일측 외부에서 세척조(100)의 내부로 플라스틱편(2)을 공급하는 장치이고, 배출부(300)는 세척조(100) 내부에서 세척된 플라스틱편(2)을 배출하는 장치이다.
상기에서 공급부(200)는 컨베이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세척조(100)의 상단에서 플라스틱편(2)을 세척수(3)를 향해 떨어트리는 구조로 설치된다. 배출부(300) 역시 컨베이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세척조(100)의 내부 하단에서 세척조(100)의 외부 상단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플라스틱편(2)을 세척조(10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이다.
세척부(400)는 세척조(100) 내부에 구비되고 세척조(100) 내부로 공급된 오염된 플라스틱편(2)을 세척하는 한편, 세척되는 플라스틱편(2)을 배출부(3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세척 컨베이어(410)와 진동기(420)로 구성된다.
세척 컨베이어(410)는 세척조(100)의 세척수(3)에 침전되게 설치되고 공급부(200) 부근과 배출부(300) 부근에 설치되는 풀리(413)와 양측 풀리(413)에 의해 순환회전되는 벨트(411) 및 벨트(411)의 외부면에 벨트(411)와 수직되게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안내판(412)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벨트(411)는 망체로 구성되되, 세척조(100) 내부로 공급되는 플라스틱편(2)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크기의 망으로 구성된다. 안내판(412)은 세척수(3)의 수위에는 근접하되 세척수(3)에 잠기는 위치에 설치된다.
진동기(420)는 세척 컨베이어(4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세척 컨베이어(410)의 양측 풀리(413)의 사이인 벨트(411)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 개가 벨트(411)의 회전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며, 가급적 벨트(411)의 상부와 하부 중 하부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진동기(420)는 내부의 모터(미 도시됨)에 의해 고진동을 유발시키는 것으로서, 이 진동은 진동기(420) 주변의 세척수(3) 및 플라스틱편(2)을 진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의 사용을 살펴보면, 수집되어 파쇄된 플라스틱편(2)은 공급부(200)에 의해 세척조(100) 내부로 공급된다. 세척조(100)에 공급된 플라스틱편(2)은 세척수(3)보다 비중이 작아 세척수(3)에 뜨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틱편(2)은 공급부(200)와 세척부(400) 사이에서 세척수(3)에 혼입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세척부(400)의 세척 컨베이어(410)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도면상에서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벨트(411)의 외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안내판(412)이 공급부(200)에서 공급된 뒤 세척수(3)와 섞여 있는 상태로 떠있는 플라스틱편(2)들을 강제로 침전시킨다. 따라서 플라스틱편(2)은 세척 컨베이어(410)에 의해서 세척수(3)에 침전된 뒤 공급부(200) 측에서 배출부(300) 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세척 컨베이어(410)에 의해 침전된 뒤 이동되는 플라스틱편(2)은 순차적으로 진동기(420) 부근을 지나가게 된다. 플라스틱편(2)이 각각의 진동기(420) 주변을 지나게 되면 플라스틱편(2)과 그 주변의 세척수(3)는 진동기(420)의 강한 진동에 의해 함께 진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플라스틱편(2)의 외부에 묻어 있던 이물질들은 플라스틱편(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플라스틱편(2)에서 분리되는 이물질은 세척수(3)에 용해되는 이물질과, 세척수(3)보다 비중이 작아 세척수(3) 수면으로 부유되는 부유물(5), 및 세척수(3)보다 비중이 커서 세척수(3) 아래로 가라앉는 침전물(6)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3)의 수면으로 부유되는 부유물(5)은 대부분 세척 컨베이어(410)의 벨트(411)의 망체 사이로 빠져나가 세척수(3)의 상부로 부유 되고, 세척수(3)의 아래로 가라앉는 침전물(6)은 세척조(100)의 아래로 침전된다.
이와 같이 세척부(400)를 통과한 플라스틱편(2)들은 진동기(420)의 진동에 의해 표면에서 부유물(5)과 침전물(6)이 동시에 제거되어 신속하게 세척된 뒤 배출부(300)를 통해 세척조(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세척조(100)의 상부에는 세척조(100)의 세척수(3)를 순환여과방식으로 정화시키는 여과부(500)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여과부(500)는 이물질 중에서 부유물(5)과 오염된 세척수(3)를 동시에 흡입한 뒤 세척수(3)와 부유물(5)을 분리시킨 뒤 세척수(3)를 여과시키는 것으로서, 차단막(510), 흡입관(520), 흡입펌프(530), 여과조(540) 및 헹굼노즐(550) 등으로 구성된다.
차단막(510)은 세척조(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세척수(3)의 상부에 접하는 위치 중 공급부(200)와 세척 컨베이어(41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단이 세척 컨베이어(410)의 안내판(412)과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관(520)은 상기 차단막(510)의 측면 중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상부에 설치된다.
흡입펌프(530)는 여과조(540)와 흡입관(5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고, 흡입관(520)을 통해 세척조(100)의 세척수(3)와 부유물(5)을 흡입한 뒤 상기 여과조(540)로 공급하는 것이다.
여과조(540)는 상기 흡입펌프(530)를 통해 공급된 오염된 세척수(3)와 부유물(5)이 담기는 것으로서, 세척수(3)를 기계적인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세척수(3)로부터 부유물(5)을 분리시키는 것과 세척수(3)를 여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헹굼노즐(550)은 상기 여과조(540)에서 여과된 세척수(3)를 다시 세척조(100)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배출부(300)를 통해 세척조(100)의 세척수(3) 외부로 배출되는 플라스틱편(2)의 상부로 세척수(3)를 분사시켜 최종적으로 플라스틱편(2)을 헹구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여과부(5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세척부(400)를 통해 세척되는 플라스틱편(2)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중 부유물(5)은 세척 컨베이어(410)의 벨트(411) 사이를 통과하여 세척수(3)의 수면으로 떠오른다.
이때, 수면의 부유물(5)들은 세척 컨베이어(410)의 회전에 의한 세척수(3)의 흐름 방향을 따라 차단막(510) 부근으로 모이게 되고, 차단막(510)에 막혀 공급부(200)에서 투입되는 플라스틱편(2)들과는 섞이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부유물(5)이 위치되는 차단막(510) 주변의 세척수(3)는 세척조(100) 전체로 보았을 때 상당히 오염된 상태이고, 이곳의 세척수(3)와 부유물(5)들은 흡입관(520)과 흡입펌프(530)에 의해 흡입되어 여과조(540)로 보내진다.
상기에서 여과조(540)는 단순한 침전식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수집조(541), 침전조(542) 및 배수조(543)로 구분되고, 수집조(541), 침전조(542) 및 배수조(543)의 경계에는 필터벽체(544,545)가 설치된다.
따라서 여과조(540)로 공급되는 세척수(3)와 부유물(5)은 최초에는 수집조(541)로 공급되고, 부유물(5)과 다소 입자가 큰 이물질들은 수집조(541)와 침전조(542)의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벽체(54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침전조(542)로 유입된 세척수(3)는 부유물(5)과 일부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가 되고, 침전조(542)에 머무르면서 중력에 의해 이물질이 가라앉게 됨과 동시에 다시 침전조(542)와 배수조(543) 사이에 구비된 필터벽체(545)에 의해 이물질은 통과되지 않고 세척수(3)만이 배수조(543)로 이동된다.
배수조(543)로 이동된 세척수(3)는 상기 두 곳의 필터벽체(544,545)를 통과하면서 상당부분 여과된 상태가 되고, 다시금 헹굼노즐(550)을 통해 세척조(100)로 공급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세척조(100)의 세척수(3)는 여과부(500)를 통해 순환여과되고 다시 세척조(100)로 공급된다.
상기 세척조(100)의 하부에는 세척부(40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 중 침전물(6)을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출부(6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슬러지 배출부(600)는 침전물(6)이 모여 슬러지(7) 형태로 존재하는 슬러지조(610), 침전물(6)을 슬러지조(610)로 이동시키는 슬러지 컨베이어(620), 슬러지조(610)의 슬러지(7)가 세척조(100)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관(640) 및 배출관(640)을 통해 슬러지(7)를 배출시키는 배출펌프(65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슬러지조(610)는 세척조(100)의 내부 중 공급부(200)의 하단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슬러지 컨베이어(620)는 세척 컨베이어(410)의 하단에 구비되되 세척조(100)의 내부 하단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슬러지 컨베이어(620)는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623)와 풀리(623)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벨트(621) 및 벨트(621)의 외부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수직으로 세워지는 안내판(62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슬러지 컨베이어(620)는 세척 컨베이어(41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벨트(621) 상부로 떨어지는 침전물(6)을 상기 슬러지조(610)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슬러지 컨베이어(620)에는 슬러지조(610)에 근접한 벨트(621)의 내부 상부에 진동기(63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진동기(630)는 세척부(400)의 진동기(420)보다는 진동력이 작아 이물질이 벨트(621)에서만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슬러지 컨베이어(620)는 세척조(100)의 하단에 최대한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침전물(6)이 침전될 때 세척 컨베이어(410)와 슬러지 컨베이어(620)가 너무 근접해 있으면 침전물(6)은 슬러지 컨베이어(620)에 쌓이지 못하고 세척 컨베이어(410)와 슬러지 컨베이어(620)의 사이에서 계속해서 교반되는 상태에 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슬러지 컨베이어(620)가 세척 컨베이어(410)와 최대한 이격되게 하기 위해서는 슬러지 컨베이어(620)가 세척조(100)의 바닥에 최대한 근접되어 있어야만 되고, 이와 같이 슬러지 컨베이어(620)가 세척조(100)에 최대한 근접되어 있어야만 세척 컨베이어(410)와 슬러지 컨베이어(620) 사이에서 교반작용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슬러지 컨베이어(620)는 안내판(622)이 벨트(621)와 힌지축(625)에 의해 결합되고, 안내판(622)은 부력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슬러지 컨베이어(620)는 벨트(621)의 상부에 위치되는 안내판(622)은 벨트(62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서 침전물(6)을 슬러지조(61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적합하고, 벨트(621)의 하부에 위치되는 안내판(622)은 세척조(100)의 하단과 접하는 동시에 상기 힌지축(625)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슬러지 컨베이어(620)는 안내판(622)이 회전되므로 인해 세척조(100)의 하단에 최대한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슬러지 컨베이어(620)와 세척 컨베이어(410) 사이에서 침전물(6)이 교반되지 않게 하여 침전물(6)이 원활히 침전되게 한다.
또한, 슬러지 컨베이어의 안내판(622)이 힌지축(625)에 의해 회전되고 자체 부력에 의해 세워지도록 구성되어 침전물(6)을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세척조(100)의 깊이는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슬러지 컨베이어(620)의 벨트(621) 상부에 침전되는 침전물(6)은 슬러지조(610)에 쌓이게 되고, 슬러지조(610)의 내부에는 침전물(6)과 세척수(3)가 혼합된 상태의 슬러지(7)가 존재한다.
이러한 슬러지(7)는 슬러지조(610)에 구비된 배출관(640)과 배출관(640)을 통해 슬러지(7)를 배출시키는 배출펌프(650)에 의해 세척조(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세척조(100) 외부로 배출된 슬러지(7)는 고농도 폐기물과 폐수에 해당되므로 별도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는 플라스틱편(2)을 세척수(3)의 내부로 침하시킨 뒤 진동기(420)를 이용해 세척하므로 한 공정에서 부유물(5)과 침전물(6)이 동시에 세척된다. 따라서 세척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물질인 부유물(5)과 침전물(6)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해 플라스틱편(2)을 세척하므로 세척수(3)가 요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주요 요인이 되는 폐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세척공정을 단순화시키고 폐수의 발생을 억제하므로 인해 기존의 장치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플라스틱편(2)을 세척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만 한다.
1: 세척장치 2: 플라스틱편
3: 세척수 5: 부유물
6: 침전물 7: 슬러지
100: 세척조 200: 공급부
300: 배출부 400: 세척부
410: 세척 컨베이어 411: 벨트
412: 안내판 420: 진동기
500: 여과부 510: 차단막
520: 흡입관 530: 흡입펌프
540: 여과조 541: 수집조
542: 침전조 543: 배수조
544,545: 필터벽체 550: 헹굼노즐
600: 슬러지 배출부 610: 슬러지조
620: 슬러지 컨베이어 621: 벨트
622: 안내판 623: 풀리
625: 힌지축 630: 진동기
640: 배출관 650: 배출펌프

Claims (5)

  1. 삭제
  2. 수조 형상의 세척조(100)의 내부에 세척수(3)가 구비되고, 세척조(100) 일측의 외부에 절단된 플라스틱편(2)이 공급되는 공급부(200)가 설치되고, 타측의 내부에는 세척수(3)에 의해 세척된 플라스틱편(2)이 배출되는 배출부(300)가 설치되며, 세척조(100)의 내부에서 세척수(3)를 이용해 플라스틱편(2)을 세척하는 세척부가 구비된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에 있어서,
    세척부(400)는 공급부(200)와 배출부(300) 사이에서 수평방향으로 세척수(3)의 수면 아래로 완전히 침전되게 세척 컨베이어(410)가 설치되고,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는 양쪽 풀리(413)에 벨트(411)가 고정되되 벨트(411) 내부에서 벨트(411)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진동기(420)가 설치되며,
    세척 컨베이어(410)의 벨트(411)는 플라스틱편(2)이 통과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의 망체로 제작되고,
    벨트(411)의 외부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안내판(412)이 설치되며,
    플라스틱편(2)은 상기 공급부(200)를 통해 세척조(100)로 투입된 뒤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안내판(412)에 의해 수조 내부로 침전되는 방향으로 이동된 뒤 배출부(300)를 향해 이동되고, 상기 진동기(420)의 진동에 의해 외부에 부착된 이물질인 부유물(5)과 침전물(6)이 분리된 뒤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되며,
    세척조(100)의 상부에는 세척조(100) 내부의 세척수(3)에 포함된 부유물(5)을 세척조(100) 밖으로 제거하고 세척수(3)를 여과하는 여과부(500)가 포함되고,
    상기 여과부(500)는 상기 공급부(200)와 세척 컨베이어(410)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되 세척 컨베이어(410)의 안내판(412)과 접촉되지 않게 설치되는 차단막(510)과,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상부 중 차단막(510) 측면에서 세척수(3)의 수면과 접하게 설치되는 흡입관(520)과, 상기 흡입관(520)을 통해 세척수(3)를 흡입하는 흡입펌프(530)와, 상기 흡입펌프(530)에서 흡입된 세척수(3)가 공급되고 내부의 세척수(3)를 정화하는 여과조(540)와, 상기 여과조(540)에서 정화된 세척수(3)를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되는 플라스틱편(2)을 향해 분무시키는 헹굼노즐(5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여과조(540)는 수집조(541), 침전조(542) 및 배수조(543)로 구성되고, 수집조(541)와 침전조(542) 및 침전조(542)와 배수조(543)의 사이는 필터벽체(544,545)로 구분되며,
    흡입펌프(530)에 의해 여과조(540)로 공급되는 세척수(3)는 수집조(541)에 공급된 뒤 수집조(541), 침전조(542), 배수조(543) 순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벽체(544,545)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되어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세척조(100)의 내부 하단에는 세척부(400)에서 배출되는 슬러지(7)를 세척조(100)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600)가 구비되고,
    상기 슬러지 배출부(600)는 세척조(100)의 공급부(200) 하단에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슬러지조(610)와, 상기 세척부(400)의 하단에서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하부로 침전되는 이물질인 침전물(6)을 상기 침전조(542)로 안내하는 슬러지 컨베이어(620)와, 상기 슬러지조(610)에 쌓이는 침전물(6)과 세척수(3)의 혼합물인 슬러지(7)를 배출시키는 배출관(640)과, 상기 배출관(640)을 통해 슬러지(7)를 배출시키는 배출펌프(650)로 구성되고,
    상기 슬러지 컨베이어(620)는 상기 세척 컨베이어(410)의 하단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침전되는 슬러지(7)를 상기 슬러지조(610)로 안내하는 벨트(621)와, 상기 벨트(621)의 외주면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안내판(622) 및 상기 벨트(621)의 양측에 설치되는 풀리(623)로 구성되고,
    상기 슬러지조(610)에 근접한 벨트(621)의 내부에는 상기 벨트(621)의 내부에서 상기 풀리(623) 중 슬러지조(610)에 근접한 풀리(623)와 벨트(621)의 사이에는 진동기(6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5. 삭제
KR1020120012794A 2012-02-08 2012-02-08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KR101219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794A KR101219286B1 (ko) 2012-02-08 2012-02-08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794A KR101219286B1 (ko) 2012-02-08 2012-02-08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9286B1 true KR101219286B1 (ko) 2013-01-09

Family

ID=4784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794A KR101219286B1 (ko) 2012-02-08 2012-02-08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9286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956B1 (ko) 2017-07-17 2017-09-18 이재혁 플라스틱 세척장치
WO2018147484A1 (ko) * 2017-02-10 2018-08-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고압세척수 재생시스템 및 재생방법
CN108787637A (zh) * 2018-07-13 2018-11-13 六安市裕安区天缘中药材种植专业合作社 水栀子根部自动清洗装置
CN112246764A (zh) * 2020-10-15 2021-01-22 朱锃琪 一种微电子产品自动化清洗设备及使用方法
CN112354962A (zh) * 2020-11-26 2021-02-12 沙洋宇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塑料回收生产用清洗装置
KR102248428B1 (ko) 2020-06-23 2021-05-06 탁용기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KR102328331B1 (ko) * 2021-03-10 2021-11-18 천명메탈 폐전선 처리 장치
KR102395318B1 (ko) * 2021-04-09 2022-05-09 배덕관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KR102395320B1 (ko) * 2021-06-21 2022-05-09 배덕관 세척스크류를 구비한 회수된 폐비닐과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CN114800939A (zh) * 2022-04-08 2022-07-29 吴典璟 一种塑料制品回收用清洗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6104A (en) * 1981-08-14 1984-03-13 Taiyo Denko Kabushiki Kaisha Method of treatment for recycling a waste film as a raw material and apparatus therefor
JP2006067993A (ja) * 2004-05-17 2006-03-16 Tatsuo Okazaki 野菜、皿等の食材食器洗浄、殺菌、脱臭方法及び洗浄、殺菌、脱臭装置
KR100588836B1 (ko) * 2006-03-20 2006-06-14 태성개발(주)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20110049963A (ko) * 2009-11-06 2011-05-13 홍석기 비점오염원 정화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6104A (en) * 1981-08-14 1984-03-13 Taiyo Denko Kabushiki Kaisha Method of treatment for recycling a waste film as a raw material and apparatus therefor
JP2006067993A (ja) * 2004-05-17 2006-03-16 Tatsuo Okazaki 野菜、皿等の食材食器洗浄、殺菌、脱臭方法及び洗浄、殺菌、脱臭装置
KR100588836B1 (ko) * 2006-03-20 2006-06-14 태성개발(주)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20110049963A (ko) * 2009-11-06 2011-05-13 홍석기 비점오염원 정화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484A1 (ko) * 2017-02-10 2018-08-1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고압세척수 재생시스템 및 재생방법
KR101778956B1 (ko) 2017-07-17 2017-09-18 이재혁 플라스틱 세척장치
CN108787637A (zh) * 2018-07-13 2018-11-13 六安市裕安区天缘中药材种植专业合作社 水栀子根部自动清洗装置
KR102248428B1 (ko) 2020-06-23 2021-05-06 탁용기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CN112246764A (zh) * 2020-10-15 2021-01-22 朱锃琪 一种微电子产品自动化清洗设备及使用方法
CN112354962A (zh) * 2020-11-26 2021-02-12 沙洋宇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塑料回收生产用清洗装置
KR102328331B1 (ko) * 2021-03-10 2021-11-18 천명메탈 폐전선 처리 장치
KR102395318B1 (ko) * 2021-04-09 2022-05-09 배덕관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WO2022215807A1 (ko) * 2021-04-09 2022-10-13 배덕관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KR102395320B1 (ko) * 2021-06-21 2022-05-09 배덕관 세척스크류를 구비한 회수된 폐비닐과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CN114800939A (zh) * 2022-04-08 2022-07-29 吴典璟 一种塑料制品回收用清洗设备
CN114800939B (zh) * 2022-04-08 2023-12-22 重庆迪尚威铭新材料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回收用清洗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9286B1 (ko)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KR101684633B1 (ko) 폐배터리 해체용 수력분리기 및 폐배터리 해체 시스템
KR101281514B1 (ko) 마이크로버블 유닛과 경사판 구조를 갖는 가압 부상식 오염수 처리방법
KR20200088943A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JP4798619B2 (ja) 砂分離洗浄装置
CN211563293U (zh) 一种骨料浮选分选机
KR100912058B1 (ko)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KR200416997Y1 (ko)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JP3811887B2 (ja) 洗浄処理装置
KR100834445B1 (ko)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KR20180132480A (ko) 이동식 선박 폐유수 처리 시스템
KR20180132481A (ko) 선박 폐유수 이동식 처리 시스템
KR100650737B1 (ko)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WO2022215807A1 (ko) 회수된 폐어망의 세척분리장치
KR102081851B1 (ko)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KR10173911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중 발생되는 폐기물의 펌프식 이물질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조식 골재 처리 시설
CN210711192U (zh) 塑料清洗用水的循环处理装置
KR100397530B1 (ko) 원심 상향류식 모래 여과기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JP4074927B2 (ja) 洗浄処理装置
KR101352690B1 (ko) 협잡물종합처리기
KR102070832B1 (ko) 세정액 정화 시스템
KR200337189Y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쓰레기의 분류 및세척장치
JP2003094069A (ja) 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装置
JP4382397B2 (ja) 土砂洗浄装置及び土砂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0820

Effective date: 201211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