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445B1 -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445B1
KR100834445B1 KR1020070023460A KR20070023460A KR100834445B1 KR 100834445 B1 KR100834445 B1 KR 100834445B1 KR 1020070023460 A KR1020070023460 A KR 1020070023460A KR 20070023460 A KR20070023460 A KR 20070023460A KR 100834445 B1 KR100834445 B1 KR 100834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waste
waste water
ta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Priority to KR1020070023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87Settling tanks provided with means for ensuring a special flow pattern, e.g. even inflow or out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장치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사각벽부 형상의 제어벽부재가 설치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제어벽부재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부딪쳐 그 유속이 일정속도 이하로 저하되게 하는 유속 감속부재가 설치되고 배수되는 폐수를 그물망을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배출하는 침수조와; 상기 침수조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장치부로 회수시켜 다시 파쇄장치부의 살수로 활용되게 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골제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저수조의 제어벽부와 맞닿은 침수조의 위치에 사각벽부형상의 감속부재를 설치하여 침수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배출하므로써, 폐수의 유속이 감속됨에 따라 폐수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그물망이 안정적으로 걸러내기 때문에 그물망을 자주 갈아줄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폐수처리비용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골재, 폐수, 건설폐기물, 감속부재, 유속

Description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waste water screen device of the water tank type aggregation sorting system using a contruction waste}
도 1은 종래 골재선별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폐수스크린장치중 감속부재를 설명하는 설명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쇄장치부 2 : 저수조
3 : 유속감속부재 4 : 그물망
5 : 침수조 6 : 정화장치부
7 : 모터구동부 8 : 배출구
9 : 제1 감속부재 10: 제2 감속부재
11: 제어벽부재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수조의 제어벽부와 맞닿은 침수조의 위치에 사각벽부형상의 감속부재를 설치하여 침수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배출하는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을 매립하는 경우 자원이 낭비될 뿐만 아니라 각종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어서, 최근에 건설폐기물을 재생 처리하여 재활용하는 방법이 많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한 처리시스템 가운데는 상기와 같은 각종 건설폐기물을 작게 파쇄하여 세척한 다음 선별하여 재활용하거나 혹은 물을 이용하여 재활용 골재를 선별 생산하는 시스템 등이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골재선별시스템을 도 1을 참고로 살펴보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고 그와동시에 세척하여 이물질을 선별해내는 파쇄장치부(70)와;
상기 파쇄장치부(70)에 의한 건설폐기물 세척중 발생된 폐수를 모아 배수시키는 저수조(71)와;
상기 저수조(71)에 의해 배수되는 폐수를 그물망(72)을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침전과정후에 배출하는 침수조(73)와;
상기 침수조(73)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장치부(74)로 회수시켜 다시 파쇄장치부(70)의 살수로 활용되게 하는 모터부(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골재선별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골재를 생산하기위해서는 예컨대, 건설폐기물을 파쇄장치부(70)로 공급하여 해당 건설폐기물을 일정크기로 파쇄하고 그와동시에 물을 그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살수하여 세척한 다음 이물질을 선별해낸다.
이때, 상기와 같이 파쇄장치부(70)에서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세척하는 공정에서 다량의 폐수가 발생되는데, 이 폐수는 재사용을 위해 하부의 저수조(71)로 모아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저수조(71)는 입수된 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일정부분 침전시킨 후 다시 하부의 침수조(73)의 그물망(72)를 통해 침수조(73)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71)에서 그물망(72)을 통해 침수조(73)로 폐수가 유입될 경우 상기 폐수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그물망(72)을 통과하면서 걸러지고 그물망을 통과한 페수가 침수조(73)로 흐르면서 그물망(72)의 그물눈금보다 작은 이물질이 다시 하부로 침전된다.
그러면, 상기 침수조(73)의 폐수는 모터부(75)에 의해 정화장치부(74)로 회수되게되는데, 이때, 상기 정화장치부(74)는 폐수에 약품을 투입, 중화처리하여 이물질과 깨끗한 물로 분리시킨 후, 아주 작은 알갱이의 이물질은 내부의 침전조에서 고속 침강재를 투입하여 이물질을 응결시켜 이물질인 슬러지를 침전시킨다음 깨끗한 물만을 다시 파쇄장치부(70)로 배출하여 다시 활용되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골재선별시스템의 폐기물 선별장치는 폐수를 저수조(71)에서 그물망(72)을 통해 침수조(73)로 배출할 경우 그 배출되는 폐수의 유속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그물망(72)속에 걸러진 각종 건축폐기물 찌꺼기들이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일정부피만 되면 부력에 의하여 물위로 자주 뜨게되어 그물망을 자주 갈아주어야 하므로 그에 따라 골재선별시스템의 작업공정성을 매우 저하시켰으며, 또한, 빠른 유속에 의해 그물망이 침수조내에서 급격하게 유동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폐수속에 포함된 건축폐기물 찌꺼기들이 걸러지거나 침전되지 않아 그 걸러지지 않은 찌꺼기들이 모터부로 그대로 유입되어 모터들을 파손시키므로 그에 따라 시스템의 유지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폐수의 유속이 감속됨에 따라 폐수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그물망이 안정적으로 걸러내기 때문에 그물망을 자주 갈아줄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폐수처리비용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폐수의 유속이 감속부재에 의해 다단계로 감소되어 침수조를 느리게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그물망의 눈금을 통과한 폐수속에 포함된 작은 이물질도 침전되게 되므로 그에 따라 폐수를 회수하는 모터의 파손도 상당히 줄어드는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부를 포함하는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쇄장치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사각벽부 형상의 제어벽부재가 설치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제어벽부재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부딪쳐 그 유속이 일정속도 이하로 저하되게 하는 유속 감속부재가 설치되고 배수되는 폐수를 그물망을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배출하는 침수조와;
상기 침수조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장치부로 회수시켜 다시 파쇄장치부의 살수로 활용되게 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고 그와동시에 살수하여 세척한 다음 이물질을 선별해내는 파쇄장치부(1)와;
상기 파쇄장치부(1)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모아 배수시키는 저수조(2)와;
상기 저수조(2)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부딪쳐 그 유속이 일정속도 이하로 저하되게 하는 유속 감속부재(3)가 설치되고 그 배수되는 폐수를 그물망(4)을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침전과정후에 배출하는 침수조(5)와;
상기 침수조(5)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장치부(6)로 회수시켜 다시 파쇄장치부(1)의 살수로 활용되게 하는 모터구동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속 감속부재(3)는 저수조(2)의 배출구(8)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침수조(5)의 바닥에 대략 사각판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감속부재(9)와, 상기 제1 감속부재(9)와 일정이격거리를 두고 대략 사각벽부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 감속부재(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침수조(5)의 그물망(4)은 유속 감속부재(3)를 통과한 폐수가 모두 그물망(4)을 경유하도록 유속 감속부재(3)의 폐수배출구를 모두 포함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에는 침수조(5)와 맞다은 위치에 폐수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사각벽부형상의 제어벽부재(11)가 설치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작은 먼저, 골재생산을 위해 건설폐기물이 파쇄장치부(1)로 공급될 경우 파쇄장치부(1)는 해당 건설폐기물을 일정크기로 파쇄하고 그와동시에 물을 그 파쇄된 건설폐기물에 살수하여 세척한 다음 이물질을 선별해낸다.
이때, 상기와 같이 파쇄장치부(1)에서는 파쇄된 건설폐기물을 세척하는 공정에서 다량의 폐수가 발생되는데, 이 폐수는 재사용을 위해 하부의 저수조(2)로 모아 배출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저수조(2)는 입수된 폐수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일정부분 침전시킨 후 제어벽부재(11)를 경유하여 다시 하부의 침수조(5)로 배출시키게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벽부재(11)의 배출구(8)로부터 방출되는 폐수는 일차로 유속 감속부재(3)의 제1 감속부재(9)에 부딪혀 유속이 일정부분 감소된 다음 이 제1 감속부재(9)의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데, 예컨대, 저수조(2)에서 수평방향으로 유입되는 폐수의 흐름방향이 상기 유속 감속부재(3)에 의해 제어되어 하부의 수직방향으로 떨어지게된다.
또한, 상기 제1 감속부재(9)의 상부를 넘는 폐수는 이 제1 감속부재(9)의 후 면부에서 일정이격거리를 두고 감싸듯이 설치되어 있는 제2 감속부재(10)에 부딪혀 유속이 다시 일정부분 감소된 다음 이 제2 감속판부재(10)의 하부로 수직 낙하하면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장치의 제1 감속부재(9)와 제2 감속부재(10)를 거칠 경우 폐수의 유속이 상당부분 완화되어 바로 연이어 설치된 그물망(4)를 통해 침수조(5)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저수조(2)의 폐수가 제1 감속부재(9)와 제2 감속부재(10)에 의해 일정속도 이하로 유속이 감소되어 그물망(4)를 통과할 경우 폐수속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뿐만아니라 폐수의 유속이 느리기 때문에 폐수가 유동하는 동안 폐수중의 작은 이물질도 침수조(5)의 하부에 더 잘 침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침수조(5)에 의해 처리된 폐수는 모터구동부(7)에 의해 정화장치부(6)로 회수되게되는데, 이때, 모터구동부(7)의 모터(도시안됨)들은 폐수속에 포함된 이물질들이 이미 침수조(5)에 의해 처리되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해 파손되는 일이 상당부분 저하된다.
한편, 상기 정화장치부(6)는 침수조(5)로부터 회수된 폐수에 약품을 투입, 중화처리하여 이물질과 깨끗한 물로 분리시킨 후, 아주 작은 알갱이의 이물질은 내부의 침전조(도시안됨)에서 고속 침강재를 투입하여 이물질을 응결시켜 이물질인 슬러지를 침전시킨다음 깨끗한 물만을 다시 파쇄장치부(1)로 배출하여 다시 활용되게된다.
이상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저수조의 제어벽부와 맞닿은 침수조의 위치에 사각벽부형상의 감속부재를 설치하여 침수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배출하므로써, 폐수의 유속이 감속됨에 따라 폐수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그물망이 안정적으로 걸러내기 때문에 그물망을 자주 갈아줄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라 폐수처리비용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발명에 의하면, 폐수의 유속이 감속부재에 의해 다단계로 감소되어 침수조를 느리게 통과하게 되기 때문에 그물망의 눈금을 통과한 폐수속에 포함된 작은 이물질도 침전되게 되므로 그에 따라 폐수를 회수하는 모터의 파손도 상당히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장치부를 포함하는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파쇄장치부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사각벽부 형상의 제어벽부재가 설치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제어벽부재로부터 유입되는 폐수가 부딪쳐 그 유속이 일정속도 이하로 저하되게 하는 유속 감속부재가 설치되고 배수되는 폐수를 그물망을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배출하는 침수조와;
    상기 침수조로부터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장치부로 회수시켜 다시 파쇄장치부의 살수로 활용되게 하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감속부재는 저수조의 배출구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침수조의 바닥에 사각판형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제1 감속판부재와, 상기 제1 감속부재와 일정이격거리를 두고 사각벽부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 감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조의 그물망은 유속 감속부재의 폐수배출구를 모두 포함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제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KR1020070023460A 2007-03-09 2007-03-09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KR100834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60A KR100834445B1 (ko) 2007-03-09 2007-03-09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60A KR100834445B1 (ko) 2007-03-09 2007-03-09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445B1 true KR100834445B1 (ko) 2008-06-09

Family

ID=3976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460A KR100834445B1 (ko) 2007-03-09 2007-03-09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4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438B1 (ko) * 2016-10-24 2017-07-10 신상곤 상향류식 액상비료 정화장치
KR101756439B1 (ko) * 2016-10-24 2017-07-10 신상곤 액상비료 정화시스템
KR20190060103A (ko) 2017-11-24 2019-06-03 이민석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용 구멍 천공방법
KR20200022131A (ko) 2018-08-22 2020-03-03 이민철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40B1 (ko) * 1994-09-14 1997-06-17 삼성건설 주식회사 오수정화구조물
KR200265588Y1 (ko) 1997-02-14 2002-04-13 권영순 폐수 처리장치
JP2003147559A (ja) * 2001-11-07 2003-05-21 Touzai Kagaku Sangyo Kk ボイラ用給水処理設備
JP2003268754A (ja) * 2002-03-15 2003-09-25 Yashiro Sign Kogei:Kk 河川活性化再生方法及び河川活性化再生装置
KR20060027737A (ko) *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폐건축골재 재생장치에 설치되는 세척수 저장조 흙 혼입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40B1 (ko) * 1994-09-14 1997-06-17 삼성건설 주식회사 오수정화구조물
KR200265588Y1 (ko) 1997-02-14 2002-04-13 권영순 폐수 처리장치
JP2003147559A (ja) * 2001-11-07 2003-05-21 Touzai Kagaku Sangyo Kk ボイラ用給水処理設備
JP2003268754A (ja) * 2002-03-15 2003-09-25 Yashiro Sign Kogei:Kk 河川活性化再生方法及び河川活性化再生装置
KR20060027737A (ko) * 2004-09-23 2006-03-28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폐건축골재 재생장치에 설치되는 세척수 저장조 흙 혼입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6438B1 (ko) * 2016-10-24 2017-07-10 신상곤 상향류식 액상비료 정화장치
KR101756439B1 (ko) * 2016-10-24 2017-07-10 신상곤 액상비료 정화시스템
KR20190060103A (ko) 2017-11-24 2019-06-03 이민석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용 구멍 천공방법
KR20200022131A (ko) 2018-08-22 2020-03-03 이민철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1219286B1 (ko)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US201503361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contaminated material, and glass cullet produced thereby
CN110270588A (zh) 一种重金属污染土壤异位洗脱系统及控制系统及方法
US20140190897A1 (en) Enhanced separation of nuisance materials from wastewater
KR100834445B1 (ko) 건축폐기물을 이용한 저수조식 골재선별시스템의 폐수스크린장치
JP4798619B2 (ja) 砂分離洗浄装置
JP2009136846A (ja) 粉粒体処理システム及び粉粒体処理方法
EP0935513A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cyceln von wasserstrahlschneidabrasivmitteln
KR100774583B1 (ko) 스크류 상향류식 여과필터
JP2002239481A (ja) 木材の洗浄処理方法及び洗浄処理装置
JPH06114294A (ja) 泥水または土砂含有物処理法と装置
JP3823849B2 (ja) 油汚染土壌洗浄設備
KR102351916B1 (ko) 침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오염토양정화시스템
JP2002136977A (ja) 廃家電再資源化処理装置の汚水処理装置
US202200013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desired materials using a ball mill or rod mill
KR102230225B1 (ko)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JP5292482B2 (ja) 湿式選別装置
KR100456716B1 (ko)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JP5143070B2 (ja) 粉粒体処理システム及び粉粒体処理方法
CN106698752B (zh) 一种水净化前处理设备
JP6210261B1 (ja) 土壌浄化システム及び土壌浄化方法
JP2010234217A (ja) 粉粒体処理システム及び粉粒体処理方法
JP2006095413A (ja) 砂分離洗浄装置
KR100956626B1 (ko) 건설폐기물과 준설토, 정수오니, 폐토사의 파분쇄 및 선별 처리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