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428B1 -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428B1
KR102248428B1 KR1020200076244A KR20200076244A KR102248428B1 KR 102248428 B1 KR102248428 B1 KR 102248428B1 KR 1020200076244 A KR1020200076244 A KR 1020200076244A KR 20200076244 A KR20200076244 A KR 20200076244A KR 102248428 B1 KR102248428 B1 KR 102248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case
discharg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용기
Original Assignee
탁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탁용기 filed Critical 탁용기
Priority to KR1020200076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08B3/042Cleaning travelling work the loose articles or bulk material travelling gradually through a drum or other container, e.g. by helix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Landscapes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라벨등의 기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폐플라스틱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세척장치는 세척케이스(1)의 외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1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12)과, 상기 분사노즐(12)의 잔방에 위치되도록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2)에서 분사된 물을 가속하여 전방으로 배출하는 가속관체(13)와, 상기 저장탱크(11)에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에 각각 연결된 급수관(14)과,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1)에 저장된 물을 압축하여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5)와, 후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속관체(13)의 전방에 위치되며 배출관(17)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에 연결된 흡입관체(16)와, 상기 배출관(17)의 중간부에 구비된 배수펌프(18)와, 상기 배수펌프(18)와 저장탱크(1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관(17)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17)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A)을 이용하여, 세척케이스(1)의 내부로 물을 순환시켜 세척케이스(1)의 하측에 가라앉은 PET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관체(16)로 흡입하여 필터링유닛(A)에서 제거함으로, 이물질이 세척케이스(1)에 저장된 물의 상부로 떠올라 밀도가 낮은 파쇄플라스틱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 세척장치{waste plastic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라벨등의 기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폐플라스틱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플라스틱을 재생할 때는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폐플라스틱을 분쇄한 후, 파쇄플라스틱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거쳐, 세척된 파쇄플라스틱을 생산하고, 파쇄플라스틱을 가열 및 성형하여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이와 같이, 파쇄플라스틱을 세척하는 폐플라스틱 세척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물이 저장된 세척케이스(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전방상측에 구비되어 세척케이스(1)에 폐플라스틱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2)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a)에 의해 회전되어 세척케이스(1)에 저장된 물의 수면으로 떠오른 파쇄플라스틱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회전날개(3)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하측에 구비되어 세척케이스(1)의 하측으로 가라앉은 파쇄플라스틱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4)과, 상기 회전날개(3)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파쇄플라스틱을 배출하는 제1 배출수단(5)과, 상기 이송유닛(4)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파쇄플라스틱을 배출하는 제2 배출수단(6)으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케이스(1)는 중간부에 구비된 격판(1a)에 의해 상부의 저수부(1c)와, 하측의 기계실(1d)로 구획되며 상기 저수부(1c)에 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격판(1a)은 중앙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에 경사면(1b)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파쇄플라스틱을 세척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공급컨베이어(2)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파쇄플라스틱이 혼합된 상태에서 공급하면, 밀도가 높은 PET는 아래로 가라앉고, 밀도가 낮은 기타 플라스틱은 물의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수면으로 떠오른 파쇄플라스틱은 상기 회전날개(3)에 의해 후방으로 밀러나가면서 세척된 후, 상기 제1 배출수단(5)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반대로, 세척케이스(1)의 하측으로 가라앉은 PET는 상기 이송유닛(4)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세척된 후, 상기 제2 배출수단(6)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세척케이스(1)에 공급된 파쇄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으며, PET와 기타 플라스틱을 간단하게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파쇄플라스틱 중에서 PET은 음료수병으로 주로 사용됨으로, 파쇄된 PET에는 음료수병의 라벨등의 기타 이물질이 혼합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물질이 혼합된 PET가 세척케이스(1)에 공급될 경우, 라멜등의 기타 이물질이 PET와 함께 세척케이스(1)의 하측으로 가라앉은 후, 세척되는 과정에서 상부로 떠올라, 물의 수면에 떠있는 밀도가 낮은 파쇄플라스틱과 혼합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21928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플라스틱에 포함된 라벨등의 기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내어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폐플라스틱 세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이 저장된 세척케이스(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전방상측에 구비되어 세척케이스(1)에 폐플라스틱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2)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a)에 의해 회전되어 세척케이스(1)에 저장된 물의 수면으로 떠오른 파쇄플라스틱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회전날개(3)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하측에 구비되어 세척케이스(1)의 하측으로 가라앉은 파쇄플라스틱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4)과, 상기 회전날개(3)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파쇄플라스틱을 배출하는 제1 배출수단(5)과, 상기 이송유닛(4)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파쇄플라스틱을 배출하는 제2 배출수단(6)을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세척장치에 있어서, 세척케이스(1)의 외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1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12)과, 상기 분사노즐(1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2)에서 분사된 물을 가속하여 전방으로 배출하는 가속관체(13)와, 상기 저장탱크(11)에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에 각각 연결된 급수관(14)과,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1)에 저장된 물을 압축하여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5)와, 후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속관체(13)의 전방에 위치되며 배출관(17)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에 연결된 흡입관체(16)와, 상기 배출관(17)의 중간부에 구비된 배수펌프(18)와, 상기 배수펌프(18)와 저장탱크(1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관(17)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17)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A)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관체(1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통로(13f)가 형성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로(13f)의 중앙부 상하측면에는 전방경사면(13a)과 후방경사면(13b)을 갖는 돌출부(13d)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d)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14)이 연결되는 급수챔버(13c)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d)의 전방경사면(13a)에는 상기 급수챔버(13c)와 연결되는 분사공(13e)이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수펌프(15)을 구동시켜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에 고압의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펌프(18)를 작동시키면, 급수관(14)을 통해 공급된 물이 분사노즐(12)을 통해 상기 가속관체(13)쪽으로 분사된 후 상기 가속관체(13)의 통로(13f)를 통과하고, 상기 급수챔버(13c)로 공급된 물이 상기 분사공(13e)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어 상기 통로(13f)를 통과하는 물을 가속하여 후방으로 배출되며, 가속관체(13)를 통과한 물은 상기 흡입관체(16)로 공급된 후, 배출관(17)과 필터링유닛(A)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탱크(11)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링유닛(A)은 후측면의 상부에는 공급공(21a)이 형성되고 전면하측에는 배출공(21b)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개구부(21c)가 형성된 필터케이스(21)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재(23)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며 내부 하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2a)이 형성된 승강관체(22)와, 상기 승강관체(22)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관체(22)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24)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24)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24)가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25)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수집통(27)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수집통(27)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재(24)의 상면에 쌓인 이물질을 상기 수집통(27)으로 밀어 제거하는 제거유닛(26)과, 상기 필터케이스(21)의 상측에 위치되며 연결관(28a)을 통해 상기 배출관(17)에 연결된 리저브탱크(28)와, 상기 필터부재(24)에 구비되어 필터부재(24)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9)와, 상기 압력센서(29)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5)와 제거유닛(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1)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5)가 축소되면 상기 필터부재(24)가 승강관체(22)의 걸림턱(22a)에 걸려 승강관체(22)와 함께 하강되어 승강관체(22)가 상기 공급공(21a)과 배출공(21b)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기구(25)가 신장되면 상기 필터부재(24)의 상면이 상기 개구부(21c)를 통해 필터케이스(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부재(24)가 상승되면 상기 탄성부재(23)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공급공(21a)을 밀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17)은 상기 흡입관체(16)와 배수펌프(18)를 연결하는 제1 배출부(17a)와, 상기 배수펌프(18)와 공급공(21a)을 연결하는 제2 배출부(17b)와, 상기 배출공(21b)과 저장탱크(11)를 연결하는 제3 배출부(17c)로 구성되고, 상기 리저브탱크(28)는 상기 제2 배출부(17b)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세척장치는 세척케이스(1)의 외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1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12)과, 상기 분사노즐(1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2)에서 분사된 물을 가속하여 전방으로 배출하는 가속관체(13)와, 상기 저장탱크(11)에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에 각각 연결된 급수관(14)과,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1)에 저장된 물을 압축하여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5)와, 후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속관체(13)의 전방에 위치되며 배출관(17)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에 연결된 흡입관체(16)와, 상기 배출관(17)의 중간부에 구비된 배수펌프(18)와, 상기 배수펌프(18)와 저장탱크(1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관(17)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17)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A)을 이용하여, 세척케이스(1)의 내부로 물을 순환시켜 세척케이스(1)의 하측에 가라앉은 PET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관체(16)로 흡입하여 필터링유닛(A)에서 제거함으로, 이물질이 세척케이스(1)에 저장된 물의 상부로 떠올라 밀도가 낮은 파쇄플라스틱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스틱 세척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세척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세척장치의 가속관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D-D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3의 E-E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세척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세척장치의 제2 실시예의 필터링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세척장치의 제2 실시예의 필터일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세척장치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세척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 세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물이 저장된 세척케이스(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전방상측에 구비되어 세척케이스(1)에 폐플라스틱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2)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a)에 의해 회전되어 세척케이스(1)에 저장된 물의 수면으로 떠오른 파쇄플라스틱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회전날개(3)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하측에 구비되어 세척케이스(1)의 하측으로 가라앉은 파쇄플라스틱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4)과, 상기 회전날개(3)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파쇄플라스틱을 배출하는 제1 배출수단(5)과, 상기 이송유닛(4)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파쇄플라스틱을 배출하는 제2 배출수단(6)이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세척케이스(1)는 중간부에 구비된 격판(1a)에 의해 상부의 저수부(1c)와, 하측의 기계실(1d)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격판(1a)은 중앙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양측에 경사면(1b)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세척케이스(1)의 외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1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12)과, 상기 분사노즐(1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2)에서 분사된 물을 가속하여 전방으로 배출하는 가속관체(13)와, 상기 저장탱크(11)에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에 각각 연결된 급수관(14)과,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1)에 저장된 물을 압축하여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5)와, 후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속관체(13)의 전방에 위치되며 배출관(17)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에 연결된 흡입관체(16)와, 상기 배출관(17)의 중간부에 구비된 배수펌프(18)와, 상기 배수펌프(18)와 저장탱크(1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관(17)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17)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라벨 등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A)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분사노즐(12)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세척케이스(1)의 내부 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지지바(12a)의 전면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12a)는 상기 세척케이스(1)의 저수부(1c)의 높이의 1/3정도의 높이에 구비된다.
상기 가속관체(13)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통로(13f)가 형성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양측은 상기 격판(1a)의 경사면(1b)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통로(13f)의 중앙부 상하측면에는 전방경사면(13a)과 후방경사면(13b)을 갖는 돌출부(13d)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d)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14)이 연결되는 급수챔버(13c)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d)의 전방경사면(13a)에는 상기 급수챔버(13c)와 연결되는 분사공(13e)이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수챔버(13c)의 내부로 고압의 물을 공급하면, 물이 상기 분사공(13e)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상기 급수관(14)은 선단부가 2개로 분기되어 선단부가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의 급수챔버(13d)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흡입관체(16)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양측면이 상기 격판(1a)의 경사면(1b)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체(16)는 상기 공급컨베이어(2)에 의해 파쇄플라스틱이 공급되는 위치에 비해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필터링유닛(A)은 내부에 필터체가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17)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이 제거된 물만이 상기 저장탱크(11)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공급컨베이어(2)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파쇄플라스틱이 혼합된 상태에서 공급하면, 밀도가 높은 PET는 아래로 가라앉고, 밀도가 낮은 기타 플라스틱은 물의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그리고, 수면으로 떠오른 파쇄플라스틱은 상기 회전날개(3)에 의해 후방으로 밀러나가면서 세척된 후, 상기 제1 배출수단(5)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반대로, 세척케이스(1)의 하측으로 가라앉은 PET는 상기 이송유닛(4)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세척된 후, 상기 제2 배출수단(6)에 의해 후방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급수펌프(15)을 구동시켜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에 고압의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펌프(18)를 작동시키면, 급수관(14)에 의해 공급된 물이 분사노즐(12)을 통해 상기 가속관체(13)쪽으로 분사된 후 상기 가속관체(13)의 통로(13f)를 통과하고, 상기 급수챔버(13c)로 공급된 물이 상기 분사공(13e)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어 상기 통로(13f)를 통과하는 물을 가속하여 후방으로 배출되며, 가속관체(13)를 통과한 물은 상기 흡입관체(16)로 공급된 후, 배출관(17)과 필터링유닛(A)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탱크(11)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12)을 통해 분사된 후 가속관체(13)를 통과하여 흡입관체(16)로 흡입되는 물의 흐름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케이스(1)의 저수부(1c)에 저장된 물이 상하부로 나뉘게 되며, 세척케이스(1)의 상부에 저장된 물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세척케이스(1)의 하부에 저장된 물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4)에 의해 이송된 PET에서 분리되어 상부로 떠오르는 이물질은 후방으로 흐르는 물과 함께 상기 흡입관체(16)로 흡입된 후, 상기 배출관(17)을 통해 상기 필터링유닛(A)으로 공급되어, 필터링유닛(A)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필터링유닛(A)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상기 저장탱크(11)에 저장된 후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분사노즐(12)로 공급된 분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는 세척케이스(1)의 외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1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12)과, 상기 분사노즐(1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2)에서 분사된 물을 가속하여 전방으로 배출하는 가속관체(13)와, 상기 저장탱크(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선단부가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에 각각 연결된 급수관(14)과,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1)에 저장된 물을 압축하여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5)와, 후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속관체(13)의 전방에 위치되며 배출관(17)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에 연결된 흡입관체(16)와, 상기 배출관(17)의 중간부에 구비된 배수펌프(18)와, 상기 배수펌프(18)와 저장탱크(1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관(17)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17)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A)을 이용하여, 세척케이스(1)의 내부로 물을 순환시켜 세척케이스(1)의 하측에 가라앉은 PET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관체(16)로 흡입하여 필터링유닛(A)에서 제거함으로, 이물질이 세척케이스(1)에 저장된 물의 상부로 떠올라 밀도가 낮은 파쇄플라스틱과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필터링유닛(A)은 후측면의 상부에는 공급공(21a)이 형성되고 전면하측에는 배출공(21b)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개구부(21c)가 형성된 필터케이스(21)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재(23)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며 내부 하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2a)이 형성된 승강관체(22)와, 상기 승강관체(22)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관체(22)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24)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24)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24)가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25)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된 수집통(27)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수집통(27)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재(24)의 상면에 쌓인 이물질을 상기 수집통(27)으로 밀어 제거하는 제거유닛(26)과, 상기 필터케이스(21)의 상측에 위치되며 연결관(28a)을 통해 상기 배출관(17)에 연결된 리저브탱크(28)와, 상기 필터부재(24)에 구비되어 필터부재(24)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9)와, 상기 압력센서(29)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5)와 제거유닛(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1)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17)은 상기 흡입관체(16)와 배수펌프(18)를 연결하는 제1 배출부(17a)와, 상기 배수펌프(18)와 공급공(21a)을 연결하는 제2 배출부(17b)와, 상기 배출공(21b)과 저장탱크(11)를 연결하는 제3 배출부(17c)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케이스(21)의 개구부(21c)는 상기 필터부재(24)와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관체(22)는 상하방향 길이가 상기 공급공(21a)의 하단에서 배출공(21b)의 상단까지의 거리에 비해 짧게 구성되는 것으로, 하강되면 상기 공급공(21a)과 배출공(21b)이 개방되고, 상승되면 둘레면이 상기 공급공(21a)을 수밀하게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3)는 상기 승강관체(22)의 하측에 구비되어 승강관체(22)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필터부재(24)는 다수개의 관통공(24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타공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하측면 중앙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고정관(24b)이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기구(25)는 상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25a)가 상기 고정관(24b)에 결합되는 것으로, 신축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24)가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수집통(27)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케이스(21)의 우측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제거유닛(26)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 좌측에 피스톤로드(26b)가 우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에어실린더(26a)와, 상기 에어실린더(26a)의 피스톤로드(26b)에 구비된 푸쉬판(26c)으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실린더(26a)를 신장시키면 상기 푸쉬판(26c)이 상기 수집통(27)쪽으로 전진된다.
상기 리저브탱크(28)는 연결관(28a)을 통해 상기 배출관(17)의 제2 배출부(17b)에 연결된다.
상기 압력센서(29)는 상기 필터부재(24)의 고정관(24b)의 내부에, 필터부재(24)의 하측면과 상기 실린더기구(25)의 피스톤로드(25a)의 상단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필터부재(24)에 하측으로 하중이 가해지면 필터부재(24)에 가해지는 하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31)을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필터링유닛(A)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25)가 축소되어, 필터부재(24)와 승강관체(22)가 하강되면, 상기 승강관체(22)는 상기 공급공(21a)과 배출공(21b)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강되고, 상기 필터부재(24)는 상기 승강관체(22)의 걸림턱(22a)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관체(16)로 흡입된 물과 이물질이 상기 배출관(17)의 제1 및 제2 배출부(17a,17b) 및 공급공(21a)을 통해 필터링유닛(A)의 필터케이스(21)의 내부 상측으로 공급된 후 하강되면서 상기 필터부재(24)를 통과하여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됨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된 물만이 저장탱크(11)로 순환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24)에 쌓이는 이물질이 증가되면, 물이 필터부재(24)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저항이 증가되며, 최종적으로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24)가 막혀 물이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31)은 상기 압력센서(29)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압력센서(29)에 가해지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필터부재(24)가 이물질에 의해 막힌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실린더기구(25)를 신장시켜 상기 필터부재(24)가 상승되도록 한다.
이때,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24)가 상승되면, 상기 탄성부재(23)의 탄성에 의해 승강관체(22)가 함께 상승되어 상기 공급공(21a)을 밀폐하며, 필터부재(24)의 상단이 상기 필터케이스(21)의 내부 상면에 걸리면 필터부재(24)는 더 이상 상승되지 않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상기 공급공(21a)이 밀폐되면, 상기 배출관(17)의 제1 및 제2 배출부(17a,17b)로 공급된 물과 이물질은 상기 연결관(28a)을 통해 리저브탱크(28)로 공급된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25)를 더욱 상승시키면, 상기 필터부재(24)는 상기 개구부(21c)를 통해 상면이 필터케이스(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1)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거유닛(26)의 에어실린더(26a)를 신장시켜, 상기 푸쉬판(26c)이 상기 필터부재(24)의 상면에 올려진 이물질을 상기 수집통(27)으로 미러 배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31)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거유닛(26)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기구(25)를 축소시켜, 필터부재(24)와 승강관체(22)가 하강되도록 하며, 상기 리저브탱크(28)에 저장된 물과 이물질은 상기 제2 배출부(17b)를 통해 필터케이스(21)의 내부로 공급되어 필터링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는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24)가 막힐 경우, 이를 자동으로 확인하여 제거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필터부재(24)가 막혀 필터링유닛(A)이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1. 저장탱크 12. 분사노즐
13. 가속관체 14. 급수관
15. 급수펌프 16. 흡입관체
17. 배출관 18. 배수펌프

Claims (2)

  1. 내부에 물이 저장된 세척케이스(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전방상측에 구비되어 세척케이스(1)에 폐플라스틱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2)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상측에 구비되며 구동모터(3a)에 의해 회전되어 세척케이스(1)에 저장된 물의 수면으로 떠오른 파쇄플라스틱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복수개의 회전날개(3)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하측에 구비되어 세척케이스(1)의 하측으로 가라앉은 파쇄플라스틱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유닛(4)과,
    상기 회전날개(3)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파쇄플라스틱을 배출하는 제1 배출수단(5)과,
    상기 이송유닛(4)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파쇄플라스틱을 배출하는 제2 배출수단(6)을 포함하는 폐플라스틱 세척장치에 있어서,
    세척케이스(1)의 외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11)와,
    상기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전방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12)과,
    상기 분사노즐(1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세척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2)에서 분사된 물을 가속하여 전방으로 배출하는 가속관체(13)와,
    상기 저장탱크(11)에서 연장되어 선단부가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에 각각 연결된 급수관(14)과,
    상기 급수관(14)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11)에 저장된 물을 압축하여 상기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로 공급하는 급수펌프(15)와,
    후측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속관체(13)의 전방에 위치되며 배출관(17)을 통해 상기 저장탱크(11)에 연결된 흡입관체(16)와,
    상기 배출관(17)의 중간부에 구비된 배수펌프(18)와,
    상기 배수펌프(18)와 저장탱크(11)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배출관(17)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17)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링유닛(A)을 포함하고,
    상기 가속관체(13)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통로(13f)가 형성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로(13f)의 중앙부 상하측면에는 전방경사면(13a)과 후방경사면(13b)을 갖는 돌출부(13d)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3d)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14)이 연결되는 급수챔버(13c)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d)의 전방경사면(13a)에는 상기 급수챔버(13c)와 연결되는 분사공(13e)이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급수펌프(15)를 구동시켜 분사노즐(12)과 가속관체(13)에 고압의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배수펌프(18)를 작동시키면, 급수관(14)에 의해 공급된 물이 분사노즐(12)을 통해 상기 가속관체(13)쪽으로 분사된 후 상기 가속관체(13)의 통로(13f)를 통과하고, 상기 급수챔버(13c)로 공급된 물이 상기 분사공(13e)을 통해 후방으로 배출되어 상기 통로(13f)를 통과하는 물을 가속하여 후방으로 배출되며, 가속관체(13)를 통과한 물은 상기 흡입관체(16)로 공급된 후, 배출관(17)과 필터링유닛(A)을 통과하여 상기 저장탱크(11)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유닛(A)은
    후측면의 상부에는 공급공(21a)이 형성되고 전면하측에는 배출공(21b)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개구부(21c)가 형성된 필터케이스(21)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탄성부재(23)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며 내부 하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2a)이 형성된 승강관체(22)와,
    상기 승강관체(22)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관체(22)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24)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재(24)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필터부재(24)가 승강되도록 하는 실린더기구(25)와,
    상기 필터케이스(21)의 일측에 구비된 수집통(27)과,
    상기 필터케이스(21)의 상부에 상기 수집통(27)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필터부재(24)의 상면에 쌓인 이물질을 상기 수집통(27)으로 밀어 제거하는 제거유닛(26)과,
    상기 필터케이스(21)의 상측에 위치되며 연결관(28a)을 통해 상기 배출관(17)에 연결된 리저브탱크(28)와,
    상기 필터부재(24)에 구비되어 필터부재(24)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9)와,
    상기 압력센서(29)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5)와 제거유닛(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31)을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기구(25)가 축소되면 상기 필터부재(24)가 승강관체(22)의 걸림턱(22a)에 걸려 승강관체(22)와 함께 하강되어 승강관체(22)가 상기 공급공(21a)과 배출공(21b)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기구(25)가 신장되면 상기 필터부재(24)의 상면이 상기 개구부(21c)를 통해 필터케이스(21)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상승되도록 하고, 상기 필터부재(24)가 상승되면 상기 탄성부재(23)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공급공(21a)을 밀폐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17)은
    상기 흡입관체(16)와 배수펌프(18)를 연결하는 제1 배출부(17a)와,
    상기 배수펌프(18)와 공급공(21a)을 연결하는 제2 배출부(17b)와,
    상기 배출공(21b)과 저장탱크(11)를 연결하는 제3 배출부(17c)로 구성되고, 상기 리저브탱크(28)는 상기 제2 배출부(17b)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KR1020200076244A 2020-06-23 2020-06-23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KR102248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44A KR102248428B1 (ko) 2020-06-23 2020-06-23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44A KR102248428B1 (ko) 2020-06-23 2020-06-23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428B1 true KR102248428B1 (ko) 2021-05-06

Family

ID=7591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44A KR102248428B1 (ko) 2020-06-23 2020-06-23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4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61B1 (ko) * 2006-05-03 2007-05-25 주식회사 강천엔비텍 재생 플라스틱 세척장치
KR101199832B1 (ko) * 2012-05-10 2012-11-09 조동국 파쇄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및 세척수 재활용방법
KR101219286B1 (ko) 2012-02-08 2013-01-09 김동준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KR101978631B1 (ko) * 2018-07-11 2019-05-15 박문수 폐플라스틱 파쇄 및 세척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761B1 (ko) * 2006-05-03 2007-05-25 주식회사 강천엔비텍 재생 플라스틱 세척장치
KR101219286B1 (ko) 2012-02-08 2013-01-09 김동준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KR101199832B1 (ko) * 2012-05-10 2012-11-09 조동국 파쇄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및 세척수 재활용방법
KR101978631B1 (ko) * 2018-07-11 2019-05-15 박문수 폐플라스틱 파쇄 및 세척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54727B (zh) 一种基于资源再利用的餐厨废弃物处理装置
JPH07204419A (ja) 液体から固体粒子をろ過および逆洗する方法と装置
KR102248428B1 (ko)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CN107214067A (zh) 一种新型茶叶筛分装置
US494486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plastics from contaminants
US10603699B2 (en) Chemical jug washer and disposal assembly
US20160303624A1 (en) Chemcial jug washer and disposal assembly
CN113172027A (zh) 一种用于应用于五面加工高效除屑的收集装置
KR101816574B1 (ko) 캔 재활용 처리방법
KR102006400B1 (ko) 압착필터 장치
CN209955081U (zh) 塑料瓶清洗用新型整瓶清洗装置
CN112092436B (zh) 一种湿垃圾挤压装置
CN212171090U (zh) 一种注塑机下料机构
KR20090003100U (ko) 잉크 카트리지용 잉크 충진 장치
CN1845695A (zh) 具有清洁头和清洁产品供应部件的清洁装置
KR100337191B1 (ko) 탈수기의 세척용수 재생 시스템용 여과기
CN219401525U (zh) 塑料包装箱清洗装置
KR101920237B1 (ko) 압축효율을 향상시킨 캔 압축방법
JP3968754B2 (ja) 容器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2240074A (ja) 射出成形機
CN219648252U (zh) 一种样瓶自动清洗烘干系统
CN105088734A (zh) 包括用于产生压力蒸汽的筒的熨烫设备的工作方法
KR101816577B1 (ko) 캔 재활용 처리장치
KR200432237Y1 (ko) 턴테이블형 펄프 몰드 제조장치용 성형장치
CN216988491U (zh) 一种新型选矿用高效滚筒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