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478B1 -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478B1
KR100668478B1 KR1020050104195A KR20050104195A KR100668478B1 KR 100668478 B1 KR100668478 B1 KR 100668478B1 KR 1020050104195 A KR1020050104195 A KR 1020050104195A KR 20050104195 A KR20050104195 A KR 20050104195A KR 100668478 B1 KR100668478 B1 KR 10066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water
trough
tank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Priority to KR102005010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 하수, 오수, 폐수 처리장에 유입되는 유기물에 의해 오염된 모래를 별도 분리 수거하여 세정하므로서 재사용 또는 폐기하기 위해 모래의 유기물의 탈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부분은 그 길이에 걸처 모래의 마찰을 크게 하고 모래의 배출이 용이한 그릴이 형성된 홈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길이에 걸처 모래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수 분사구관이 배치되며 상기 홈통 위에는 홈통으로 모래를 유입시키고 협잡물을 분리 이동시키기 위한 호퍼를 포함하는 제1 스크류콘베어와 수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그 길이에 걸처 부유물을 부유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에어분사관이 형성되며 소정의 경사각으로 그 상 단부가 세정탱크에 거치 고정되어 함침된 모래를 세정탱크로 이송하는 무축스크류를 포함하는 제2 스크류콘베어와 역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모래에서 유기물을 탈리시키기 위한 교반기가 설치되며 그 하부에는 물분사구와 에어분사구가 그 내경에 설치되어 모래에 혼합된 유기 부유물을 부유시키며 오버되는 물이 제2 스크류콘베어를 통하여 역 배출되도록 구성된 세정탱크와 세정탱크에서 세정된 모래를 이송하고 이송되는 모래를 세척하면서 퇴출시키는 주축스크류를 포함하는 제3 스크류콘베어로 구성된 모래 세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홈통(trough), 세정탱크, 스크류콘베어, 스크린

Description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Cleaning apparatus sand of sewage and waste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세정장치의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제1 스크류콘베어의 상세도
도 4는 제2 스크류콘베어의 상세도
도 5는 수조의 단면도
도 6은 세정탱크의 상세도
도 7은 제3 스크류콘베어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제1 이송부 12 : 홈통(a,b)
13 : 탈수부 14 : 배출구(a,b,c)
15 : 물분사관 16 : 호퍼
17 : 주축스크류 18 : 수조
19 : 제2 이송부 21 : 에어분사관
22 : 라이닝 23 : 용수유입구(a,b)
24 : 점검구 25 : 무축스크류(a,b)
26 : 세정탱크 27 : 집하부
28 : 교반기 29 : 날개
31 : 에어분사링 32 : 물분사링
34 : 제3 이송부 35 : 레일
37 : 웨지스크린 38 : 하우징
39 : 슈트
본 발명은 오, 폐수, 하수 처리장에서 처리되는 모래와 협잡물을 분리하여 모래는 매립장 협잡물은 소각장으로 반출이 가능하였으나 오, 폐수, 하수에 유입되는 모래는 유기물이 부착되어 있어 그대로 매립할 경우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립장에서 매립물의 기준을 강화하여 세정되지 않은 모래는 매립장에서 매립을 허가하지 않으므로 매립할 수 있는 모래에 이르기 위한 모래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그 길이에 걸처 모래를 배출하고 모래의 마찰을 크게 하기 위해 하부에 웨지 스크린을 장착한 홈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슈트를 장착한 호퍼와 그 길이에 걸처 모래를 세척하기 위한 세정수 분사관이 배치되어 모래는 수조로 낙하하고 협잡물은 탈수하여 배출시키는 제1 이송부와 홈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수조의 저부와 고정되고 수조의 길이 만큼 적어도 2개 이상의 에어분사관이 설치되어 수조에 모래와 같이 유입되는 부유물을 상승시키고 하부에는 무축스크류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라이닝이 설치되며 상부에는 세척수 유입구가 설치되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에서 유입되는 모래를 수용하며 에어분사관과 물분사관의 분사와 교반기의 교반에 의해 모래에서 탈리된 부유물을 상승시켜 물과 부유물은 제2 이송부의 홈통으로 역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세정탱크와 세정탱크 저부에 형성된 집하부에 적재되는 모래를 이송시켜 퇴출시키는 제3 이송부로 구성되어 모래에 부착된 유기물을 탈리시키도록 구성된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오, 폐, 하수에서 유입되는 모래에 부착된 유기물을 탈리 세척하기 위해 호퍼를 통하여 유입된 모래가 제1 이송부를 통과하면서 홈통의 웨지 스크린에서 모래의 마찰을 크게 하여 유기물이 탈리되도록 하고 유기물이 탈리된 모래는 수조의 저부이고 수조와 일체로 형성된 제2 이송부의 에어분사관의 에어분사에 의해 유기물이 부유하여 수조의 배출구로 배출하며 제2 이송부의 모래를 세정탱크로 이송하여 교반기의 교반에 의해 유기물을 재 탈리시키도록 하고 세정탱크 저부에서 작동하는 에어분사와 물분사에 의해 탈리된 유기물을 재 부유시켜 물분사에 의해 유입된 물과 부유물이 세정탱크의 배출구로 배출되어 제2 이송부의 홈통을 통해 수조에 유입하여 배출하고 집하부에 적재된 모래를 제3 이송부를 통하여 배출하고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입된 세정수에 의해 깨끗하게 세정된 모래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이송부의 스크류는 물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축스크류로 구성한다.
제2 이송부는 상방향으로 모래를 이송하지만 상방향 즉 세정탱크에서 배출되는 물과 부유물이 제2 이송부의 홈통을 통하여 수조로 배출되기 때문에 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공간 확보가 용이한 무축스크류를 설치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3 이송부는 이송과 세정과 탈수 기능을 높이기 위해 상부에 물 유입구를 설치하고 상부에서 상 단부 까지 스크류의 피치를 점진적으로 짧게 하여 탈수의 효과를 크게 한다.
또한 상기한 모래의 이송과 탈수의 효과를 최대로 높이기 위해 제3 이송부의 하우징의 경사각은 30도 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탱크 내의 교반기 날개는 회전하면서 물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용을 얻기 위해 날개를 경사지게 형성하고 날개의 경사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유기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고 분산의 효과를 크게 하며 유기물의 부유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은 호퍼(16)를 통하여 유입된 모래를 무축스크류(25a)를 이용하여 상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홈통(12a)을 포함하는 제1 이송부(11) 내경 하부에 치부시킨 웨지스크린(37)과 무축스크류(25a)의 회전에 의해 모래에 마찰를 유도하여 모래의 유기물을 탈리시키며 물 분사관(15)의 물분사에 의해 모래의 유기물의 분리가 용이하게 되어 물과 모래와 부유물이 웨지스크린(37)으로 배출되며 모래에서 분리된 협잡물은 스크류(25a)의 회전에 의해 탈수부(13)에서 탈수되어 배출구(14a)로 배출되는 제1 이송부(11)와, 제1 이송부(11)의 웨지스크린(37)에서 유입되는 모래 와 탈리된 유기물의 부유물을 수용하는 수조(18)와, 수조(18)의 저부에서 홈통(12b)의 상부가 수조(18)의 저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수조(18)에 노출되는 홈통(12b)의 양쪽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관(21)이 형성되며 홈통(12b)내경 하부에는 무축스크류(25b)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라이닝(22)이 형성되고 홈통(12b)의 상단부는 세정탱크(26)의 상단부에 거치 고정되어 세정탱크(26)에 모래를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19)와,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날개(29)를 형성한 교반기(28)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정탱크(26) 내경 하부에는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링(31)과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링(32)이 형성되며 물분사와 에어분사에 의해 물과 부유물이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을 통하여 배출되며 세정탱크(26)의 저부에는 모래가 적재되는 집하부(27)가 형성된다.
하우징(38)의 하단부는 상기 집하부(27)와 연결되어 모래를 이송시키며 하우징(38) 내경 저부에는 물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35)이 배치되며 상부의 주축스크류(17)는 상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스크류의 피치가 짧아지도록 형성되고 경사각은 30도 각으로 형성되는 제3 이송부(34)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정장치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3은 제1 이송부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A-A'선의 단면으로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제2 이송부의 내부와 외부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5는 제 2 이송부와 수조의 구조의 관계를 상세히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도 6은 세정탱크를 상세히 도시하고 평면상태로 에어분사링과 물분사링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7은 제3 이송부의 내부와 외형을 상세히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조(18)와 세정탱크(26)는 지면에 수평으로 거치 고정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제1 이송부(11)는 홈통(12a)의 하 단부가 수조(18)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고 상부 역시 수조(18)에 고정되며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부는 무축스크류(25a)를 작동시키는 동력이 치부되는 구조이며 모래에서 분리되어 이송된 협잡물은 무축스크류(25a)의 회전에 의해 탈수부(13)에서 압착 탈수하여 배출구(14a)로 퇴출시키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수조(18)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 단면은 수평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수조(18)의 저부는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 입구와 결합 고정되어 홈통(12b)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사지는 구조이다.
수조(18)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 입구는 개구되어 홈통(12b)의 내부는 수조(18)의 물이 수용되는 구조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상 단부는 세정탱크(26)에 거치 고정되어 세정탱크(26)의 배수구로 이용되며 하 단부는 동력이 치부되어 무축스크류(25b)를 작동시키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정탱크(26)는 팽이와 같은 원추형 구조이고 그 중심에는 수직으로 다수개의 날개(29)가 치부된 교반기(28) 설치되고 하부에는 공기와 물을 분사하는 에어분사링과 물분사링 형성되어 유입된 물과 부유물이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으로 배출되는 구조이며 저부에는 모래가 모이는 집하부(27)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3 이송부(34)의 하우징(38) 하 단부는 집하부(27)와 연결되는 구조이고 상 단부는 동력이 치부되어 주축스크류(17)를 작동시키는 구조이며 하우징(38) 내경 하부에는 물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수개의 레일(35)이 치부되는 구조이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축스크류(17)의 상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다수개(5~7)의 스크류의 피치가 점진적으로 짧아지는 구조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이송부(11)의 홈통(12a)에 동력이 치부된 부분이 상부로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 단부는 수조(18)에 수용되는 상태로 고정되며 상단부는 모래와 분리되어 이송된 협잡물을 압착 탈수하여 배출구(14a)로 퇴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길이에 걸처 아래 부분에는 모래를 유입시키는 호퍼(16)가 형성되고 외경 상부는 길이에 걸처 홈통 모양으로 개구되며 홈통(12a)의 길이에 걸처 일측에는 등 간격으로 물이 분사되는 물 분사관(15)이 설치되어 유입되어 이송되는 모래에 충분히 물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홈통(12a)의 내부 하부에는 모래의 마찰을 최대로 하고 모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웨지스크린(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이송부(11)의 웨지스크린(37)에는 수조(18)로 떨어지는 모래가 흩어지지 않도록 길이에 걸처 슈트(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18)는 제1 이송부(11)의 홈통(12a)의 웨지스크린(37)로 배출되는 모래와 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수조(18)의 물이 오버플로워하여 배출되는 배출구(1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18) 저부에는 그 길이에 걸처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이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고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의 상단부는 세정탱크(26) 상부에 거치 고정되어 있고 하 단부는 동력이 치부된다.
수조(18)와 결합된 제2 이송부(19)의 상부 홈통(12b)에는 용수유입구(23a)가 형성되고 홈통(12b)의 입구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조(18)에서 유입되는 모래가 수용되고 입구 양쪽에는 그 길이에 걸처 등 간격으로 다수개의 분사구가 형성된 에어분사관(21)이 형성되어 에어분사에 의해 모래에서 탈리된 유기물인 부유물을 상승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 내경 하부에는 무축스크류(25)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라이닝(22)이 배설되어 있다.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 상 단부와 연결되는 세정탱크(26)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팽이 모양과 같으며 상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교반기(28)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동력이 치부되고 하부에는 물을 회유시키기 위해 상 방향으로 경사진 날개(29)가 형성되어 있다.
교반기(28) 아래에는 세정탱크(26) 내경에 걸처 원형으로 다수개의 분사구를 갖는 에어분사링(31)과 물 분사링(32)이 형성되어 물과 에어를 분사하게 되면 하강하는 유기물을 회유하게 하며 모래는 중력에 의해 유기물 보다 더 신속하게 하강하 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세정탱크(26) 어느 일측에 점검 창(24)이 형성되어 세정탱크(26)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세정탱크(26) 저부에는 모래가 집하되는 집하부(27)가 형성되고 상기 집하부(27)에는 제3 이송부(34)의 하우징(38) 하 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주축스크류(17)에 의해 모래를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동력이 치부되어 주축스크류(17)를 작동하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모래의 세척을 완전하게 하기 위한 용수유입구(23b)가 형성되며 내경 하부면에는 유입되는 용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레일(35)이 배설된다.
주축스크류(17)의 상단부의 약 5~7개 정도에서 상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스크류(17)의 피치가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이송되는 모래의 탈수를 용이하게 하고 탈수된 모래는 배출구(14c)를 통하여 배출된다.
실시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 폐수, 하수 처리장에서 처리되는 모래와 협잡물을 분리하여 모래는 매립장 협잡물은 소각장으로 반출이 가능하였으나 오, 폐수, 하수에 유입되는 모래는 유기물이 부착되어 있어 그대로 매립할 경우 토양을 오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립장에서 매립물의 기준을 강화하여 세정되지 않은 모래는 매립장에서 매립을 허가하지 않으므로 매립을 할 수 있거나 재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모래로 세척하기 위한 모래 세정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남 공주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성능을 시험한 바 있다.
실험 방법은 강열감량실험법을 적용하였다.
실시 후 유기물 제거는 98% 까지 제거되고 분리 능력은 0.2mm 크기의 모래알 95% 까지 분리할 수 있었다.
실시예
오, 폐, 하수를 처리할 때 발생하는 모래를 제1 이송부(11)의 홈통(12a) 위에 형성된 호퍼(16)에 유입시켜 모래가 홈통(12a)에 하강하도록 한다. 이때 동력이 작동된 상태이다.
호퍼(16)는 홈통(12a)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므로 무축스크류(25a)의 회전에 의해 모래는 상 방향으로 이송되며 이송되는 과정에서 모래는 무축스크류(25a)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되므로 모래와 모래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고 특히 웨지스크린(37)에 의해 모래와 웨지스크린(37) 사이에 마찰이 심하여 모래의 유기물의 탈리가 신속히 이루어지게 된다.
홈통(12a)의 상부에는 그 길이에 걸처 물 분사관(15)에 의해 물이 분사되므로 유기물이 탈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호퍼(16)로 유입되는 모래는 협잡물과 같이 이송되므로 이송과정에서 모래는 웨지스크린(37)으로 배출되고 협잡물은 탈수부(13)에서 압착되어 탈수되고 배출구(14a)에서 배출된다.
웨지스크린(37)에서 배출되는 모래와 모래에서 탈리된 유기물과 물은 수조(18)에 유입된다.
수조(18)의 바닥임과 동시에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 입구의 길이에 걸 처 다수개의 분사구가 형성된 에어분사관(21)이 설치되어 상 방향으로 공기를 강하게 분사하게 되므로 탈리된 유기물은 부유하게 되고 부유하는 유기물의 대부분은 수조(18)의 배출구(14b)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탈리된 유기물의 소수는 모래와 같이 침전되며 침전되는 모래는 홈통(12b)에 유입된다.
홈통(12b)에 유입된 모래는 무축스크류(25b)에 의해 세정탱크(26)로 이송된다.
홈통(12b)의 무축스크류(25b)작동으로 모래는 계속 운동하게 되어 모래의 유기물이 탈리되면서 이송되고 홈통(12b)의 상부에 형성된 용수 유입구(23a)에서 계속하여 용수가 유입되므로 상부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래의 일부는 계속하여 아래 방향으로 물과 함께 하강하고 또 이송시키는 작업을 계속하므로서 모래에서 탈리된 유기물은 수조(18)에 유입되어 부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조(18)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모래에서 탈리된 유기물은 에어분사에 의해 수조(18)의 물에 부유하여 배출되는 물과 함께 배출구(14b)로 배출하게 된다.
홈통(12b)의 무축스크류(25b)에 부하가 커지면 중력 방향으로 휨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홈통(12b)의 내경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라이닝(22)이 부착되어 스크류(25b)의 마모를 방지하였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정탱크(26)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 수직으로 다수개의 날개(29)가 형성된 교반기(28)가 회전하면서 교반하도록 형성되며 세정탱크(26) 아래에는 그 내경에 걸처 공기가 분사되는 에어분사링(31)과 물이 분사되는 물분사링(32)이 형성되어 있어 물 분사에 의해 세정탱크(26)에는 물이 수용되며 물분사와 에어분사에 의해 물이 강하게 회유하게 된다.
세정탱크(26)의 상부로부터 유입된 모래는 교반기(28)의 회전에 의해 모래에서 유기물이 탈리되고 탈리된 유기물은 회유하게 되며 에어분사와 물 분사에 의해 유기물을 더욱 부유시키게 되며 비중이 큰 모래는 하강하여 집하부(27)에 모이게 되고 부유하는 유기물은 물과 함께 홈통(12b)를 통하여 배출하여 수조(18)에 모이게 되고 수조(18)에서 부유하면서 수조(18)의 배출구(14b)로 배출된다.
집하부(27)의 모래는 하우징(38)를 통하여 배출되며 하우징(38)의 상부의 용수유입구(23b)에 용수가 유입되어 이송되는 모래를 세척하게 되므로 모래의 잔여 탈리된 유기물을 세척하여 세척된 유기물은 물과 함께 집하부(27)로 이송되고 다시 세정탱크(26)로 이송되고 다시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으로 이송되고 다시 수조(18)로 이송되어 수조(18)의 배출구(14b)로 유기물이 배출된다.
제3 이송부(34)의 하우징의 주축스크류(17)는 상 단부에서 5~7개의 스크류에서부터 상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스크류의 피치를 줄여 모래의 탈수를 용이하게 하여 배출구(14c)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은 오, 폐, 하수 처리장에 유입되는 모래에 피복된 유기질을 탈리시키기 위해 홈통과 물분사관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탈리하는 제1 이송부와 수조와 수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모래의 세척과 모래에서 유기물을 분리하는 제2 이송부 와 유입되는 모래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모래의 유기물을 탈리시키고 물분사와 에어분사에 의해 탈리된 유기물을 부유시켜 물과 함께 배출시키는 세정탱크와 세정탱크의 집하부에 모이는 모래를 이송하면서 세척용수를 이용하여 탈리된 유기물을 최대한 분리가 가능하여 본 발명에 의해 분리된 모래는 재사용 또는 매립하더라도 자연을 훼손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하수, 오수, 폐수 처리장에서 분리된 모래가 유입되는 호퍼(16)와 호퍼(16)로 유입된 모래와 협잡물을 분리시키며 협잡물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11)와, 물과 모래를 수용하며 탈리된 유기물을 부유시켜 배출시키는 배출구(14a)가 형성된 수조(18)와, 수조(18)의 내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수조(18)에서 모인 모래를 세정탱크(26)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19)와, 제2 이송부(19) 상부와 연결되어 제2 이송부(19)의 모래가 유입되는 세정탱크(26)와 세정탱크 집하부(27)의 모래를 이송하여 퇴출시키는 제3 이송부(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이송부(11)의 홈통(12a)에는 모래를 이송시키고 물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무축스크류(25a)가 설치되며 홈통(12a) 내경 하부에는 이송되는 모래의 분산을 방지하며 모래의 마찰을 크게 하고 모래를 배출시키기 위해 슈트(39)가 장착된 웨지스크린(37)이 형성되고 홈통(12a) 입구 일측에 홈통(12a)의 길이에 걸처 홈통(12a)의 모래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관(15)이 형성되며 홈통(12a)의 상부에는 모래와 분리된 협잡물이 스크류(25a)의 회전에 의해 탈수부(13)에서 압착 탈수되어 배출구(14a)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의 입구는 수조(18)와 결합되어 수조(18)와 일체로 형성되어 수조(18)로 유입되는 모래는 홈통(12b)에 침전되도록 구성되며 홈통(12b)의 양 입구에는 홈통(12b)의 길이에 걸처 등 간격으로 분사구가 형성된 에어분사관(21)이 형성되어 상부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수조(18)에 침전되는 유기 부유물을 회유시켜 수조(18)의 배출구(14b)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며 모래를 이송하는 무축스크류(25b)의 휨에 의한 스크류(25b)를 보호하기 위해 홈통(12b) 내경 하부에 라이닝(22)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세정탱크(26) 내부 중앙에는 회전할 때 모래의 유기물을 탈리하고 탈리된 유기물이 회유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개의 날개(29)가 고정된 교반기(28)가 형성되며 교반기(28)가 회전과 같이 부유물의 부력을 크게 하기 위해 세정탱크(26) 하부 내경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링(31)과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링(32)으로 구성되고 하부에는 세정된 모래가 쌓이는 집하부(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3 이송부(34)의 하우징(38) 하단부가 집하부(27)와 연결되어 모래를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지면에서 30도의 경사각으로 고정되며 하우징(38) 상부에는 용수유입구(23b)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용수에 의해 모래가 세척되며 모래를 세척한 물은 모래에서 탈리된 유기 부유물과 같이 집하부(27)를 통과하고, 제2 이송부(19)의 홈통(12b)을 통과하고, 수조(18)에 수용되어 물과 부유물이 수조(18)의 배출구(14b)로 배출되며 주축스크류(17)의 상부에서 5~7번째 스크류부터 상단부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스크류피치가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1020050104195A 2005-11-02 2005-11-02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10066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95A KR100668478B1 (ko) 2005-11-02 2005-11-02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4195A KR100668478B1 (ko) 2005-11-02 2005-11-02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262U Division KR200406313Y1 (ko) 2005-11-04 2005-11-04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8478B1 true KR100668478B1 (ko) 2007-01-12

Family

ID=3786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195A KR100668478B1 (ko) 2005-11-02 2005-11-02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4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38B1 (ko) 2006-09-01 2007-11-29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종합 협잡물 처리장치
KR101168748B1 (ko) * 2008-08-08 2012-07-26 김동열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그 제거 방법
WO2014003522A1 (ko) * 2012-06-29 2014-01-03 In Suk Shin 정수장치
CN116495953A (zh) * 2023-06-26 2023-07-28 中国市政工程华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污水管网沉积污泥筛分及有机物高效洗脱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693A (ja) * 1996-01-16 1997-07-29 Hitachi Kiden Kogyo Ltd 汚砂処理装置
KR200167301Y1 (ko) 1999-08-17 2000-02-15 주식회사청우이엔이 모래 세척기
KR20000019476A (ko) * 1998-09-11 2000-04-15 김양수 모래 세척기
KR200303298Y1 (ko) 2002-11-13 2003-02-07 (주)대명크라샤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2693A (ja) * 1996-01-16 1997-07-29 Hitachi Kiden Kogyo Ltd 汚砂処理装置
KR20000019476A (ko) * 1998-09-11 2000-04-15 김양수 모래 세척기
KR200167301Y1 (ko) 1999-08-17 2000-02-15 주식회사청우이엔이 모래 세척기
KR200303298Y1 (ko) 2002-11-13 2003-02-07 (주)대명크라샤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38B1 (ko) 2006-09-01 2007-11-29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종합 협잡물 처리장치
KR101168748B1 (ko) * 2008-08-08 2012-07-26 김동열 오염물질 제거 장치 및 그 제거 방법
WO2014003522A1 (ko) * 2012-06-29 2014-01-03 In Suk Shin 정수장치
CN116495953A (zh) * 2023-06-26 2023-07-28 中国市政工程华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污水管网沉积污泥筛分及有机物高效洗脱系统
CN116495953B (zh) * 2023-06-26 2023-10-10 中国市政工程华北设计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污水管网沉积污泥筛分及有机物高效洗脱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100952752B1 (ko) 미세토양 세척장치 및 방법
KR102099047B1 (ko) 컴팩트형 복합 오염토양 정화 시스템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KR100668478B1 (ko)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100912058B1 (ko) 준설물 종합 처리 시스템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200406313Y1 (ko) 오. 폐수의 모래 세정장치
KR100545927B1 (ko) 건축용 폐골재 재활용을 위한 폐골재 분류장치
CN102020403B (zh) 污泥净化处理方法及其装置
KR100849521B1 (ko) 준설토 선별 분리기
JP5067809B2 (ja) 沈砂洗浄装置
KR100850489B1 (ko) 골재 생산을 위한 콘크리트 건설 폐기물의 재생처리장치
CN110204157B (zh) 油泥处理工艺
KR101943483B1 (ko) 준설토 처리장치
KR20030078574A (ko) 재활용 모래 선별기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100428498B1 (ko) 이물질 분리장치
JP4557604B2 (ja) 沈砂分級機
KR100728588B1 (ko) 토양 세척기와 진동선별기를 이용한 토양 세척 방법과 그 장치
KR200332864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CN111672619A (zh) 一种混凝土废料快速处理回收系统
CN106145573A (zh) 一种污泥接收系统及其处理污泥的方法
KR200284152Y1 (ko) 재활용 모래 선별기
KR101749521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4